KR200182160Y1 -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160Y1
KR200182160Y1 KR2019990027511U KR19990027511U KR200182160Y1 KR 200182160 Y1 KR200182160 Y1 KR 200182160Y1 KR 2019990027511 U KR2019990027511 U KR 2019990027511U KR 19990027511 U KR19990027511 U KR 19990027511U KR 200182160 Y1 KR200182160 Y1 KR 200182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output terminal
power output
power
cov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삼
Original Assignee
최종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삼 filed Critical 최종삼
Priority to KR2019990027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1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1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64Protective covers for terminals
    • H02K11/04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류를 연료로 하는 엔진의 구동력으로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산업용 발전기에 있어서,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에 커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감전이나 누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발전기의 전원출력단자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발전기 전원 출력단자가 노출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전기 사용시에 인체 감전사고의 발생은 물론, 물기나 습기 등으로 인한 누전, 작업자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감전, 이물질 투입으로 인한 합선사고 등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본 고안은 유류를 연료로 하여 엔진을 구동시키고, 이 엔진 구동에 의해 발전기를 회전시켜 소정 전압/전류/용량의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기에 있어서,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부에 전원단자 전체를 덮거나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 가능한 커버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 커버장치이며, 상기 전원 출력단자 커버는 투명하여 그 내부의 전원단자 접속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 커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 커버장치{Power Output Terminal Cover of Electrical Generator}
본 고안은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의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류를 연료로 하는 엔진의 구동력으로 발전기를 회전시켜 15㎾ 내지 250㎾의 전력을 생산하는 산업용 발전기(자가 발전기 또는 상용전력 정전 대비 비상 발전기)에 있어서,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에 커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감전이나 누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발전기는 유류를 엔진으로 하여 발전기를 회전구동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설비로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1) 내부에 엔진과 발전기가 장착되어 있고, 공기 흡입구(102), 공기 배출구(103), 방음형 소음기(104), 운전반 (105), 전기 출력단자부(106) 등이 구비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발전기는 경유 등을 연료로 하여 엔진을 구동시키고, 이 엔진 구동력에 의해서 발전기를 회전시켜 소정 전압/전류/용량의 전력을 자가 생산하는 설비로서, 야외무대 또는 건설현장등 산업현장의 자가 발전설비나, 상용전력의 정전 대비 비상 발전설비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발전기에서는 생산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 출력단자부 (106)를 가지고 있는데, 종래에는 이 전원 출력단자부(106)가 노출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 출력단자(106a)들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어 쉽게 인체와 접촉될 수 있는 환경이었다.
따라서, 발전기 사용시에 인체 감전사고의 발생은 물론, 물기나 습기 등으로 인한 누전, 작업자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감전, 이물질 투입으로 인한 합선사고 등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부에 커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전원단자에 인체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해주고, 외부의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해 줌으로써, 감전이나 누전, 합선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 커버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의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부 구성을 나타낸 발전기 외관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전원 출력단자부 구성을 나타낸 발전기 외관 사시도
본고안은 유류를 연료로 하여 엔진을 구동시키고, 이 엔진 구동에 의해 발전기를 회전시켜 소정 전압/전류/용량의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기에 있어서,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부에 전원단자 전체를 덮거나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 가능한 커버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출력단자 커버는 투명하여 그 내부의 전원단자 접속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고안의 기술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살펴본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전원 출력단자 커버장치를 구비한 발전기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를 보이고 있는데, 전원 출력단자부(106)에 커버(107)를 경첩 (107a)으로 부착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 커버(107)는 절연재, 예를 들면 아크릴판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투명창으로 형성함으로써, 커버(107)를 열지 않고도 그 내부의 전원 출력단자(106a)들의 접속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커버(107)가 전원 출력단자부(106)를 덮어주고 있으므로, 그 내부의 전원 출력단자(106a)에 작업자가 직접 접촉될 우려가 전혀 없게 되고, 또한 외부의 이물질이나 빗물 등의 침투하는 것도 커버(107)가 차단해 주기 때문에 누전이나 합선의 위험을 배제시킬 수 있다.
더구나, 이 투명 커버(107)위에 경고문구(예: 전기위험)를 기재함으로써, 작업자가 투명 커버(107)를 열고 작업을 할 때 경각심을 높여 줄 수 있는 효과도 확보한다.
본 고안은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부에 커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전원단자에 인체가 직접 접촉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외부의 빗물이나 이물질 투입도 차단하여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감전사고의 발생이나, 전기 누전, 합선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유류를 연료로 하여 엔진을 구동시키고, 이 엔진 구동에 의해 발전기를 회전시켜 소정 전압/전류/용량의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기에 있어서,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부에 전원단자 전체를 덮거나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 가능한 커버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 커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출력단자 커버는 투명하여 그 내부의 전원단자 접속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 커버장치.
KR2019990027511U 1999-12-08 1999-12-08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 커버장치 KR2001821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511U KR200182160Y1 (ko) 1999-12-08 1999-12-08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511U KR200182160Y1 (ko) 1999-12-08 1999-12-08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 커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160Y1 true KR200182160Y1 (ko) 2000-05-15

Family

ID=1960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511U KR200182160Y1 (ko) 1999-12-08 1999-12-08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1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834494B1 (fr) Dispositif de servo-direction electrique
DE59913876D1 (de) Zwei-Batteriesystem
MX9602826A (es) Terminal de cable de bateria para vehiculos.
DE69636906D1 (de) Turbolader mit eingebautem elektrische hilfsmotor und kühleinrichtung dafür
ES2131286T3 (es) Conjunto constituido por una cerradura electrica de puerta con una funcion de emergencia electrica y por medios de control y alimentacion.
DE19882898T1 (de) Schutzgehäuse für elektrische Bauteile und wiederaufladbare Batterieanordnung
DE59801549D1 (de) Kommunikationsfähige schaltgeräteeinheit
FR2766950B1 (fr) Dispositif de livraison d'energie electrique
DE69400534D1 (de) Verbindungsstruktur zum elektrischen Verbinden von Elektromotor und Motorregeleinheit
KR200182160Y1 (ko) 발전기의 전원 출력단자 커버장치
ITMI930383U1 (it) Dispositivo di azionamento a motore elettrico
GB2297127A (en) Wind driven generator unit
DK97483D0 (da) Flammesikkert motorhus
CN206864937U (zh) 一种配电箱防水柜门结构
CN213636664U (zh) 一种厚板厂空压站的集成控制柜
DE69831272D1 (de) Überwachungsschaltung und -verfahren für einen elektrischen motor
DE59901898D1 (de) Vorrichtung zum Starten eines Verbrennungsmotors und zum Umwandeln von mechanischer Leistung in elektrischen Strom für Fluggeräte
CN205645050U (zh) 一种基于继电控制的多路电源控制装置
SE9200357D0 (sv) Saekerhetsanordning
KR0128042Y1 (ko) 자동차의 카폰 장착구조
KR980007345U (ko) 전기자동차용 전원개폐기
FR2727262B1 (fr) Dispositif d'elimination de signaux harmoniques dans une ligne electrique et installation electrique ainsi equipee
KR960017214A (ko) 전기가 통하면 색이 어두워지는 필름을 이용한 자동차용차광장치
ES1025387U (es) Dispositivo corta corriente de seguridad para aparatos electronicos.
UA30039A (uk) Індукційно-температурний пристрій захист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