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026Y1 - 경사벨트식 콘베어 스크린 - Google Patents
경사벨트식 콘베어 스크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82026Y1 KR200182026Y1 KR2019990027074U KR19990027074U KR200182026Y1 KR 200182026 Y1 KR200182026 Y1 KR 200182026Y1 KR 2019990027074 U KR2019990027074 U KR 2019990027074U KR 19990027074 U KR19990027074 U KR 19990027074U KR 200182026 Y1 KR200182026 Y1 KR 20018202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or
- wastewater
- air
- screen
- air lin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10 Micro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39 c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8 micr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9—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iltering bands, e.g. movable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 B01D29/096—Construction of filtering bands or supporting belts, e.g. devices for centering, mounting or sealing the filtering bands or the supporting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 또는 오, 폐수내의 고형물을 걸러내는 경사벨트식 콘베어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의 구성을 개선하여 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고형물을 물을 이용하지 않고도 스크린으로부터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오, 폐수가 담기는 챔버(11)내에 일부가 잠겨지도록 설치되어 오, 폐수내의 부유물질(12)을 걸러내는 콘베어(13)와, 오, 폐수의 외부로 노출되는 콘베어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콘베어에 끼인 미세한 부유물질을 공기압에 의해 털어내는 에어라인(14)과, 상기 에어라인의 에어분사방향의 직하방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콘베어로부터 자중에 의해 떨어지는 부유물질 및 에어라인의 구동에 따라 콘베어로부터 제거되는 미세한 부유물질이 담겨지는 적재함(17)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하수 또는 오, 폐수내의 고형물을 걸러내는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양어장에서 고기의 먹이로 투입되었던 고형물(잔류 먹이)을 걸러내는 경사벨트식 콘베어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수질 오염의 방지를 위해 하수 및 각종 오, 폐수의 배출 기준치는 날이 갈수록 강화되고 있는데, 오, 폐수를 처리하는데 있어 오, 폐수내에 포함된 SS(Suspended Solids : 부유물질)를 제거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기존 활성오니 공정식 처리장의 경우, 1g의 부유 고형물은 1.6g의 COD와, 1.0g의 BOD5그리고 20 - 50mg의 인(P)을 함유할 수 있으며 20mg/ℓ의 BOD5증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SS를 최대한 제거하는 것이 배출 오염도를 떨어뜨리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상기 SS를 제거하는 여과기로는 '스크린'이라고 불리우는 미세한 필터망을 이용하여 오, 폐수내의 고형물을 제거하는 드럼여과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드럼식 스크린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챔버(1)의 내부에 유입된 오, 폐수에 일부가 잠겨진 상태로 회전하는 드럼(2)의 외주면에 제거하고자 하는 부유물질에 따라 5㎛, 10㎛ 또는 20 - 100㎛ 대역의 미세 구멍을 갖는 초고장력 극세사 폴리에스터 직조의 필터망(3)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드럼(2)의 상측에는 필터망(3)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질을 털어내기 위해 물을 분사하는 노즐(4)이 드럼(2)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럼(2)의 내부에는 필터망(3)에서 털어진 부유물질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호퍼(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럼(2)은 외부 직경의 약 80% 정도가 챔버(1)내의 오, 폐수내에 잠겨진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데, 드럼(2)의 일측 개방부를 통해 드럼의 내부로 처리할 오, 폐수가 유입되면 외부의 수위보다 약 150 - 200mm 정도 높은 상태의 수위를 유지하며 회전하게 된다.
상기 드럼(2)의 내, 외부의 수압차에 의해 내부의 오, 폐수가 필터망(3)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다음 드럼의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이 때, 드럼(2)의 내면에 위치하는 필터망(3)의 표면에 부유물질이 걸러지게 되고, 걸러진 부유물질은 드럼(2)이 계속해서 회전하므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필터망(3)에 걸러져 상측으로 이동된 부유물질은 드럼(2)의 상측에 설치된 노즐(4)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필터망(3)으로부터 분리되어 호퍼(5)내에 담겨져 수거되므로 드럼의 중심축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부유물질은 벨트 프레스 투입부로 이송되어 탈수 처리되고, 드럼(2)의 외측으로 흘러나온 여과수는 수위 조절이 가능한 뚝을 넘어 배출되어 재활용되거나, 하천 등으로 방류 처리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여과기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필터망(3)에 걸러진 부유물질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노즐(4)에 의해 분사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제거하므로 물의 분사압력을 증대시켜야 되었고, 이에 따라 필요이상의 용량을 갖는 펌프를 구비하여야 된다.
둘째, 필터망(3)에 걸러진 부유물질을 물의 분사에 의해 제거하므로 오, 폐수의 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즉, 100t의 오, 폐수를 처리할 경우, 필터망(3)에 걸러진 부유물질의 제거에 별도의 10t정도 물이 필요하게 되므로 100t의 오, 폐수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고 110t + α의 오, 폐수를 처리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셋째, 필터망(3)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질을 필터망의 상측에서 노즐(4)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분사압력에 의해 제거하므로 점결력이 큰 부유물질인 경우 필터망으로부터 제거되지 않으므로 부유물질의 처리효율이 저하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스크린의 구성을 개선하여 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고형물을 물을 이용하지 않고도 스크린으로부터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드럼식 스크린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챔버 13 : 콘베어
14 : 에어라인 17 : 적재함
19 : 벤츄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오, 폐수가 담기는 챔버내에 일부가 잠겨지도록 설치되어 오, 폐수내의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콘베어와, 오, 폐수의 외부로 노출되는 콘베어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콘베어에 끼인 미세한 부유물질을 공기압에 의해 털어내는 에어라인과, 상기 에어라인의 에어분사방향의 직하방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콘베어로부터 자중에 의해 떨어지는 부유물질 및 에어라인의 구동에 따라 콘베어로부터 제거되는 미세한 부유물질이 담겨지는 적재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벨트식 콘베어 스크린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오, 폐수가 담기는 챔버(11)의 내부에 오, 폐수내의 부유물질(12)을 걸러내는 콘베어(13)가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구동에 따라 일정궤적을 그리며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11)내의 오, 폐수에 일부가 잠겨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콘베어(13)에는 오, 폐수의 외부로 노출되는 지점에 근접되게 에어라인(14)이 설치되어 콘베어에 끼인 미세한 부유물질(12)을 공기압에 의해 털어낸다.
상기 에어라인(14)은 외부의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파이프(15)와, 상기 파이프내의 압축공기를 콘베어(13)측으로 강하게 분사하는 노즐(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에어라인(14)은 콘베어(13)의 이송속도에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노즐(16)을 통해 압축공기를 계속해서 분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에어라인(14)의 에어분사방향의 직하방에는 콘베어(13)로부터 자중에 의해 떨어지는 부유물질(12) 및 에어라인(14)의 구동에 따라 콘베어로부터 제거되는 미세한 부유물질이 담겨지는 적재함(17)이 위치되어 있는데, 상기 적재함은 받침대(18)에 얹혀져 있다.
상기 에어라인(14)으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 즉 콘베어(13)의 직하방에는 벤츄리(19)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에어라인(14)의 노즐(16)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최소화하고도 콘베어(13)로부터 부유물질(12)을 보다 효과적으로 털어내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챔버(11)의 내부로 부유물질(12)이 포함된 오, 폐수가 유입되고, 받침대(18)에 적재함(17)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에 따라 오, 폐수에 일부가 잠겨지도록 설치된 콘베어(13)가 도 3에 나타낸 화살표을 따라 이동하면 오, 폐수내에 있던 부유물질(12)이 콘베어(13)상에 얹혀져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오,폐수로부터 부유물질(12)이 걸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오, 폐수로부터 부유물질(12)이 걸러져 콘베어(13)의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콘베어(13)에 얹혀져 있던 부유물질(12) 중 덩어리형태의 부유물질은 콘베어(13)의 이송방향이 절환되는 지점에서 자중에 의해 콘베어(13)로부터 떨어져 적재함(17)내에 담기게 된다.
그러나 오, 폐수내에 있던 부유물질(12)은 수분이 포함되어 있어 콘베어(13)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지 않음은 물론 미세한 부유물질(콘베어상의 눈금보다 큰 입자의 부유물질)은 콘베어의 눈금사이에 끼이게 되므로 콘베어의 이송방향이 절환되더라도 콘베어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 즉 콘베어(13)의 눈금사이에 미세한 부유물질(12)이 끼인상태에서 콘베어(13)에 걸러진 부유물질이 하방을 향한 채 이동하면 에어라인(14)의 파이프(15)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주기적으로 노즐(16)을 통해 분사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콘베어(13)의 눈금에 끼여있던 미세한 부유물질(12)이 압축공기에 의해 콘베어(13)로부터 분리되어 도 3의 화살표방향과 같이 직하방으로 떨어져 적재함(17)내에 담기게 된다.
그러나 노즐(16)의 에어분사방향 직하방에 벤츄리(19)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노즐(16)을 통해 소량의 에어가 분사되더라도 에어가 분사될 때 에어 분사량의 5 - 7배 정도의 주위 공기를 벤츄리(19)측으로 유입시켜 콘베어(13)로부터 부유물질(12)을 털어주게 되므로 부유물질의 제거능력을 배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콘베어(13)에 걸러진 부유물질(12)중 크기가 큰 부유물질을 자중에 의해 콘베어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미세한 부유물질은 에어라인(14)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압에 의해 분리시키게 되므로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콤프레셔의 용량을 종래 장치에 비해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둘째, 종래 장치와는 달리 물을 사용하지 않고 콘베어(13)에 걸러진 부유물질(12)을 걸러내게 되므로 오, 폐수의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되고, 이에 따라 정화시설의 가동에 따른 전기료를 절감하게 된다.
셋째, 콘베어(13)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질(12)을 콘베어가 하측을 향한 상태에서 노즐(16)에서 분사되는 공기압에 의해 제거하므로 점결력이 큰 부유물질이더라도 콘베어로부터 손쉽게 제거되므로 부유물질의 처리효율을 극대화하게 된다.
Claims (2)
- 오, 폐수가 담기는 챔버내에 일부가 잠겨지도록 설치되어 오, 폐수내의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콘베어와, 오, 폐수의 외부로 노출되는 콘베어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콘베어에 끼인 미세한 부유물질을 공기압에 의해 털어내는 에어라인과, 상기 에어라인의 에어분사방향의 직하방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콘베어로부터 자중에 의해 떨어지는 부유물질 및 에어라인의 구동에 따라 콘베어로부터 제거되는 미세한 부유물질이 담겨지는 적재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벨트식 콘베어 스크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에어라인의 에어분사방향으로 벤츄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벨트식 콘베어 스크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27074U KR200182026Y1 (ko) | 1999-12-03 | 1999-12-03 | 경사벨트식 콘베어 스크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27074U KR200182026Y1 (ko) | 1999-12-03 | 1999-12-03 | 경사벨트식 콘베어 스크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82026Y1 true KR200182026Y1 (ko) | 2000-05-15 |
Family
ID=1959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27074U KR200182026Y1 (ko) | 1999-12-03 | 1999-12-03 | 경사벨트식 콘베어 스크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82026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0125B1 (ko) * | 2000-09-30 | 2002-11-07 | 김의환 | 양식장의 슬러지 수거처리 장치 |
KR100470306B1 (ko) * | 2002-11-05 | 2005-02-05 | 강선길 |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
KR102147259B1 (ko) | 2020-03-24 | 2020-08-25 | (주)가온텍 | 회전 벨트방식의 이중 필터스크린 시스템 |
-
1999
- 1999-12-03 KR KR2019990027074U patent/KR20018202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0125B1 (ko) * | 2000-09-30 | 2002-11-07 | 김의환 | 양식장의 슬러지 수거처리 장치 |
KR100470306B1 (ko) * | 2002-11-05 | 2005-02-05 | 강선길 |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
KR102147259B1 (ko) | 2020-03-24 | 2020-08-25 | (주)가온텍 | 회전 벨트방식의 이중 필터스크린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47554A (en) | Process for treating wastes from the machining of ferromagnetic materials | |
KR100557985B1 (ko) | 오폐수 및 하수 여과장치 | |
EP0592508B2 (de)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der aufbereitung von abwasser-feststoffen, sand, müll oder dergleichen | |
KR101729262B1 (ko) |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처리기 | |
EP1243559B1 (en) | Magnetic membrane separator | |
BG64488B1 (bg) | Подвижно устройство и метод за пречистване на тиня и отпадни води | |
KR101431161B1 (ko) | 모래 및 협잡물 여과, 탈수 장치 | |
US3796317A (en) | System for treating dilute slurries | |
KR20130083147A (ko) | 축산폐수 정화장치 및 방법 | |
KR101943483B1 (ko) | 준설토 처리장치 | |
KR20120011990A (ko) | 브러쉬형 미세 협잡물처리기 | |
KR200182026Y1 (ko) | 경사벨트식 콘베어 스크린 | |
KR102111034B1 (ko) | 준설토 처리 장치 | |
GB2290985A (en)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ying water | |
KR100292225B1 (ko) | 오·폐수 및 축산, 분뇨폐수의 중수도화에 관한 방법 및 장치 | |
KR100475431B1 (ko) | 대용량 토양세척장치 | |
JP6330210B2 (ja) | 排水処理設備 | |
JP4016064B1 (ja) | ベルト式濃縮機及びその運転方法 | |
GB160368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ludge treatment | |
KR101156021B1 (ko) | 음식물 쓰레기의 음폐수 처리장치 | |
US488206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liquid from suspensions | |
KR100754247B1 (ko) | 협잡물 종합처리기 | |
KR100397530B1 (ko) | 원심 상향류식 모래 여과기 | |
KR100998074B1 (ko) |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 |
KR102175759B1 (ko) | 수처리용 이물질 분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30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