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418Y1 -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 - Google Patents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418Y1
KR200181418Y1 KR2019990024006U KR19990024006U KR200181418Y1 KR 200181418 Y1 KR200181418 Y1 KR 200181418Y1 KR 2019990024006 U KR2019990024006 U KR 2019990024006U KR 19990024006 U KR19990024006 U KR 19990024006U KR 200181418 Y1 KR200181418 Y1 KR 200181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ntroller
unit
setting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수
이규태
이택주
Original Assignee
상덕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4839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14375B1/ko
Application filed by 상덕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덕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4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4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418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모터의 제어에 관한 설정이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4)와, 복수의 입력버튼이 구성된 스위치 입력부(40)와,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프로토콜 연결부(44)와, 각종의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46)와, 입력된 신호를 연산 및 판단하여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CPU(48)와, 설정된 소정의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49)와,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50)와, 인가된 신호를 고속으로 스위칭하는 고속 릴레이(52)와, 교류전원을 제곱 평균값의 제곱근(RMS; 실효값)으로 변환시키는 AC/RMS 컨버터(56-58)와, 모터의 역상이나 결상상태를 검출하는 역상/결상 검출용 파형 정형부(60)와,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릴레이부(61-65)와, 외부의 자동 접점을 병렬로 처리하는 외부 자동 접점 병렬 처리부(66)와, 콘트롤러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콘트롤러 전원공급기(67)와,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연결되는 터미널 블록(68)과, 콘트롤러를 제어하거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제어패널(10)과, 인가되는 과전압에 의한 돌입전류를 차단하는 퓨즈(26)가 포함되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다기능 콘트롤러로 모터의 역상이나 결상 또는 과전류나 지락전류 등을 감지, 표시 및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Multi-Function Motor Controller}
본 고안은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다기능 콘트롤러로 모터의 역상이나 결상 또는 과전류나 지락전류 등을 감지하여 표시하거나 모터의 구동이나 제어를 위한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모터 내에 코일이 권취된 고정자에 전기 에너지가 인가되면 고정자의 내측에 구성된 회전자가 코일의 자기장에 의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것이다.
모터 콘트롤러는 모터에 인가된 전력을 정해진 방법에 의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모터 콘트롤러는 모터의 제어를 위한 다양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종래에 소정 마력, 예로, 50마력 이하의 출력을 갖는 모터를 운전하는 유니트에는 별도의 변류기를 설치하지 않는다. 변류기는 교류 전류의 측정시에 측정용 계기의 사용범위 내의 전류를 변화시키는 전류변성기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이나 장치 등이 독립적으로 설비되어 있어 모터의 역상이나 결상 또는 과전류나 지락전류 등을 감지하거나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각 별도의 독립된 설비가 필요하였다.
또한, 모터의 운전중에 순간적인 정전이 발생한 후에 다시 복전이 되었을 경우에 모터가 계속하여 운전되지 않거나 운전이 되더라도 급격한 과전류에 모터를 보호하기가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모터의 운전중에 모터의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하거나 모터의 운전 조건을 설정 및 제어하기 위한 다기능의 모터 콘트롤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모터를 제어하는 콘트롤 센터 등에서 복수의 모터를 원격에서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통신설비를 연결시키고, 모터의 역상이나 결상 또는 과전류나 지락전류에 대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모터의 운전 조건을 제어패널에서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목적이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의 블록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의 제어패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어패널 11: 원격제어설정표시램프
12: 세트버튼
14, 40: 표시부 15: 7-세그먼트
16: 증감버튼부 21: 타이머 설정부
22:(Y)결선상태표시램프 23:(Δ)결선상태 표시램프
24: 시간설정(오프)상태 표시램프 25: 시간설정(온)상태 표시램프
26: 퓨즈 27: 수동/자동모드 설정버튼
28: 수동모드 표시램프 29: 자동모드 표시램프
30: 오프버튼 31: 오프상태 표시램프
32: 온버튼 33: 온상태 표시램프
34-37: 폴트상태 표시램프 38: 리세트 버튼
39: 테스트 버튼 42: 스위치 입력부
44: 통신 프로토콜 연결부 46: 메모리부
48: CPU 49: 타이머
50: A/D 컨버터 52: 고속 릴레이
56-58: AC/RMS 컨버터 60: 역상/결상 검출용 파형 정형부
61-65: 릴레이부 66: 외부 자동 접점 병렬 처리부
67: 콘트롤러 전원공급기 69: 터미널 블록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터의 제어에 관한 설정이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복수의 입력버튼이 구성된 스위치 입력부와,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프로토콜 연결부와, 각종의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입력된 신호를 연산 및 판단하여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CPU와, 설정된 소정의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와,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인가된 신호를 고속으로 스위칭하는 고속 릴레이와, 교류전원을 제곱 평균값의 제곱근(RMS; 실효값)으로 변환시키는 AC/RMS 컨버터와, 모터의 역상이나 결상상태를 검출하는 역상/결상 검출용 파형 정형부와,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릴레이부와, 외부의 자동 접점을 병렬로 처리하는 외부 자동 접점 병렬 처리부와, 콘트롤러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콘트롤러 전원공급기와, 모터가 연결되는 터미널 블록과, 콘트롤러를 제어하거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제어패널과, 인가되는 과전압에 의한 돌입전류를 차단하는 퓨즈가 포함된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콘트롤러의 제어패널도이다.
표시부(14)는 모터의 제어에 관한 설정이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복수의 7-세그먼트(15)가 구성되거나 LCD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는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입력이나 설정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발광다이오드)이 포함된 것이다.
스위치 입력부(42)는 복수의 입력버튼이 구성된 것으로, 모터의 운전를 기동시키거나 정지 또는 제어를 위한 스위치의 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신 프로토콜 연결부(44)는 원격에서 모터를 감시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포트로 입출력되는 프로토콜을 일치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통신 프로토콜 연결부(4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성할 수 있고,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연결용 컨넥터(45)가 포함되어 있다.
메모리부(46)는 각종의 데이터가 저장된 것으로, 모터의 제어에 관한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기도 한다. 또한, 메모리부(46)의 메모리는 비전압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동에 필요한 전압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데이터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 적용된다.
CPU(48)는 입력된 신호를 연산 및 판단하여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CPU(48)는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가 포함된 것이거나 입력 조건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머(49)는 설정된 소정의 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으로, 타이머(49)는 내장된 전자부품의 구동이나 각종의 카운트에 필요한 시간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D 컨버터(50)는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외부에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CPU(48)에서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고속 릴레이(52)는 반도체소자를 사용하여 인가된 신호를 고속으로 스위칭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복수의 고속 스위치(53-55)가 포함되어 있다.
AC/RMS 컨버터(56-58)는 입력되는 교류전원(R상, S상, T상)을 제곱 평균값의 제곱근(RMS; 실효값, 0.707)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역상/결상 검출용 파형 정형부(60)는 모터의 역상이나 결상상태를 검출하여 검출된 파형을 정형화시키는 것이다.
릴레이부(61-65)는 복수의 릴레이가 구성된 것으로, 릴레이는 M릴레이(61), Y릴레이(62), D릴레이(63), 오토선택신호 릴레이(64) 및 오버 릴레이(65)가 포함된 것이다.
외부 자동 접점 병렬 처리부(66)는 한 개의 외부 자동 접점을 다수의 콘트롤러에 병렬로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 콘트롤러 전원공급기(67)는 콘트롤러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터미널 블록(68)은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연결되는 부분이고, 제어패널(10)은 콘트롤러를 제어하거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며, 퓨즈(26)는 인가되는 전원의 과전압에 의한 돌입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또한, 상기 제어패널(10)에는 콘트롤러에 원격제어를 위한 번지설정을 알리는 원격제어설정표시램프(11)와, 콘트롤러의 작동에 관한 설정을 위한 세트버튼(12)과, 콘트롤러의 작동 및 설정에 관하여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와, 설정값을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증감버튼(17-20)이 구성된 증감버튼부(16)와, 모터의 Y-Δ 절환을 표시하는 Y-Δ결선상태 표시램프(22)(23)와, 모터의 작동시간이 소정의 시간으로 설정되어있었음을 표시하는 시간설정상태 표시램프(24)(25)와, 모터의 작동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수동/자동모드 설정스위치(27)와, 모터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를 표시하기 위한 수동/자동모드 표시램프(28, 29)와, 마그네틱스위치를 투입하기 위한 온버튼(32)과, 마그네틱스위치를 차단하기 위한 오프버튼(30)과, 온 또는 오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온/오프상태 표시램프(31, 33)와, 모터의 결상, 역상, 과전류 또는 지락전류가 인가되었을 때에 이를 표시하는 복수의 폴트상태 표시램프(34-37)와, 운전전의 정상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리세트 버튼(38)과, 상기 폴트상태 표시램프(34-37)를 점등시키고, 마그네틱 스위치를 차단하는 테스트 버튼(39)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의 작용을 설명하면, 통상적으로, 50마력 이하의 모터를 운전하는 유니트에는 별도의 변류기를 설치하지 않고, 50마력 이상 250마력 이하의 대용량 모터를 운전하는 유니트에는 한가지의 변류기로 통일하여 규격화함으로써, 모터 용량의 증감에 따른 변류기 선택의 번거로움을 해결하였다.
본 고안의 콘트롤러는 모터를 운전하고 있는 도중에 0.5초 동안에 순간적인 정전시에도 모터를 운전상태로 유지시켜 주고, 모터를 운전하고 있는 도중에 0.5초 이상동안 정전되었다가 복전되었을 경우에는 모터가 정지상태로 된다. 단, 콘트롤러의 수동/자동모드 설정스위치(27)가 자동위치에 있고, 외부로부터 명령받은 자동 입력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복전과 동시에 운전상태로 복귀한다.
운전중인 모터에 발생된 과전류 또는 지락전류가 콘트롤러에 설정된 과전류 또는 지락 전류치에 도달하였을 경우에는 콘트롤러의 설정치에 도달하여 차단설정시간경과 즉시 마그네틱 스위치를 차단하며, 이때, 발생된 과전류 또는 지락전류는 콘트롤러의 표시부(14)에 표시되며, 각각 해당하는 폴트상태 표시램프(34-37)가 점등된다.
운전중인 모터가 과전류 또는 지락전류로 인하여 마그네틱 스위치가 차단되었을 경우에는 콘트롤러의 리세트버튼(38)을 동작시켜서 운전전의 정상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리세트버튼(38)을 누르기 전에는 그 이외의 버튼 등을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운전중인 모터가 결상 또는 역상되었을 경우에는 결상 또는 역상 발생과 동시에 마그네틱 스위치를 차단하고, 콘트롤러의 표시부(14)에 결상시에는 110, 101, 011, 역상시에는 001, 010, 100과 같은 숫자가 표시되며, 각 해당하는 폴트상태 표시램프(34-37)가 점등된다. 이때, 결상, 역상시에 나타나는 숫자는 전원 공급선인 R, S ,T상을 뜻하며, 여기서 결상시에는 0의 숫자로 나타낸 자리에 해당하는 상이 결상된 것이며, 역상시에는 0의 숫자로 나타낸 자리에 해당하는 상이 서로 바뀐 것으로 본다. 단, 단상인 모터는 적용되지 않는다.
일반모터와 예비모터가 있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명령받은 한 개의 자동 입력신호로 일반모터의 콘트롤러와 예비모터의 콘트롤러에 구비된 자동 입력 접점에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일반모터의 콘트롤러와 예비모터의 콘트롤러는 동시에 한 개의 자동 입력신호를 공동으로 받아 상호간에 한 개의 모터만을 운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두 개의 모터 중에서 한 개의 모터만이 장시간 동안 운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 입력신호가 한번 들어 올 때마다 일반모터와 예비모터가 교대로 운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한 개의 모터가 고장 또는 이상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이상 발생된 모터를 정지시키고, 이상 발생신호를 이상 발생모터 콘트롤러에 나타냄과 동시에 정상 가동할 수 있는 다른 한 개의 모터가 자동으로 기동 운전되며, 외부로부터 명령받은 자동 입력신호가 들어올 때마다 정상 가동할 수 있는 모터가 계속 운전된다.
또한, 중-대형 모터를 Y결선 상태로 기동하여 Δ결선으로 운전하는 경우에는 콘트롤러의 전면에 부가된 세트버튼(12)으로 Y결선 기동시간을 지연할 수 있다. 여기서, Y결선 기동 지연시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먼저, 콘트롤러 표시부(14)의 왼쪽에 있는 세트버튼(12)을 1초 이상 누르면 표시부(14)가 깜박(점멸)이며, 세트버튼(12)을 Y-Δ시간설정표시가 될 때까지 반복하여 누른다. 이때, 표시부(14)의 오른쪽에 구성된 증감버튼부(16) 중에서 왼쪽 증감버튼(17, 19)으로 10초 단위, 오른쪽 증감버튼(18, 20)으로 1초 단위를 증감 조절하여 적정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세트버튼(12)을 다시 반복하여 세트 종료될 때까지 누르면 Y결선 기동 지연시간이 설정되고, Y-Δ 기동 지연시간을 설정하였다는 Y-Δ결선상태 표시램프(22)(23)가 점등된다.
여기서, Y-Δ 모터 기동시간을 설정한 후에 콘트롤러의 온(On, 운전)버튼(32)을 누르면 모터가 기동될 때에 Y결선상태를 알리는 Y결선상태 표시램프(22)만 점등되며, Y결선 상태의 기동이 완료되고, Δ결선으로 절환되면 Δ결선상태 표시램프(23)만 점등된다.
Y-Δ기동이 필요하지 않은 소용량의 모터를 운전할 경우에는 Y-Δ 기동 시간설정에 따라 마그네틱 트립 특성곡선이 달라지므로 콘트롤러의 Y-Δ기동시간을 0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입력된 자동 신호가 없거나 모터 제어유니트 자체에서 자동으로 운전해야 하는 경우에는 콘트롤러의 전면에 부가된 세트버튼(12)으로 모터의 운전, 정지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모터의 운전시간과 정지시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먼저, 콘트롤러의 표시부(14) 왼쪽에 있는 세트버튼(12)을 1초 이상 누르면 콘트롤러의 표시부(14)가 깜박이며, 세트버튼(12)을 반복시간 설정표시가 될 때까지 누른다. 이때, 운전해야할 시간을 설정하고, 세트버튼을(12)을 또 한번 누르면 정지 해야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설정방법은 표시부(14)의 오른쪽 증감버튼부(16) 중에서 왼쪽 증감버튼(17, 19)으로 10분 단위, 오른쪽 증감버튼(18, 20)으로 1분 단위를 증감 조절하여 적절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세트버튼(12)을 다시 반복하여 세트 종료까지 누르면 모터의 운전 및 정지시간이 설정되고, 24시간 운전, 정지 반복시간을 설정하였다는 시간설정 표시램프(24)(25)가 점등된다.
24시간 운전 및 정지시간을 설정한 직후에 운전시간을 먼저 수행하고, 설정된 운전시간이 완료되면 정지시간을 수행하여 이를 계속 반복하며, 24시간 타이머는 콘트롤러의 수동/자동모드 설정스위치(27)를 수동에 위치하였을 때에도 시간의 변동없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여기서, 24시간 운전 및 정지시간을 설정한 경우에는 콘트롤러의 수동/자동모드 설정스위치(27)를 자동으로 선택하였을 때에 콘트롤러에 구비된 자동 입력접점에 외부로부터 명령받은 자동 신호로 운전, 정지를 반복하거나 그 외의 운전을 하고자 할 때에는 24시간 운전, 정지시간을 0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모터의 용량에 따라 모터를 운전하고자 하는 경우에 모터 제어유니트의 콘트롤러에 과전류 트립치를 설정하고자 할 때에는 콘트롤러의 표시부(14) 왼쪽에 있는 세트버튼(12)을 1초 이상 누르면 콘트롤러의 표시부(14)가 깜박이며, 세트버튼(12)을 모터마력이 표시되는 다음 단계에서 과전류트립 설정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다. 이때, 모터의 마력에 대한 정격전류의 1.6배에 해당하는 전류치를 표시부(14)에 나타내고, 모터의 특성이나 용도에 따라 과전류 트립설정을 증감해야 할 경우에는 표시부(14) 오른쪽에 있는 증감버튼(17-20)을 증감 조절하여 적정한 과전류 트립치를 설정한 후에 세트버튼(12)을 다시 세트가 종료될 때까지 누르면 모터의 정격에 해당하는 과전류 트립치가 설정된다.
모터를 운전하고 있는 도중에 과전류 설정치를 바꾸고자 할 때에 과전류 설정치를 바꾸는 동안에 모터에 과전류 또는 지락전류가 발생되면 콘트롤러의 표시부(14)에 나타내고 있는 현재의 전류치에 과전류가 도달하여 설정된 동작시간 경과즉시 마그네틱을 차단하고, 각 해당하는 폴트상태 표시램프(34-37)가 점등된다.
모터가 정상 운전중일 때에 과전류 또는 지락전류 발생시에 과전류 또는 지락전류가 콘트롤러에 설정된 과전류 트립치의 90%에 도달하면, 각 해당하는 폴트상태 표시램프(34-37)가 깜박이기 시작하다가 설정치의 100%에 가까워짐에 따라 깜박임이 빨라지며, 설정치에 도달하여 설정된 동작시간 경과즉시 마그네틱 스위치를 차단시키고, 각 해당하는 폴트상태 표시램프(34-37)가 점등된다.
모터를 운전하고 있는 중에는 콘트롤러의 표시부(14)에 모터의 운전전류가 표시되고, 전류표시는 1초의 시간 지연을 두고 변화된다.
모터 운전시에 모터의 기동전류가 모터 정격전류의 6배 이상인 것을 고려하여 콘트롤러의 온버튼(32)을 누르면 1초 동안 무한전류로 마그네틱 스위치의 차단을 지연하고, 1초 후에 모터용량에 따른 과전류 트립 설정치의 1000%부터 계단식 특성곡선을 그리며 하강하여 10초 후에 과전류 트립 설정치에 이르러 안정된 정상 운전상태가 된다. 여기서 중-대형 모터를 운전하는 모터 제어유니트에 사용되는 콘트롤러에 Y-Δ 기동 지연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콘트롤러의 운전버튼을 누르면 Y 결선상태로 기동함과 동시에 1초 동안 무한 전류로 마그네틱 스위치의 차단을 지연하고, 1초 후에 모터용량에 따른 과전류 트립 설정치의 1000%부터 계단식 특성곡선을 그리며 하강하여 Δ결선으로 바뀔 때까지 과전류 트립 설정치의 200%에 도달하며, Δ결선으로 바뀐 순간부터 1초 동안 무한 전류로 마그네틱 스위치 차단을 지연하고, 1초 후에 모터용량에 따른 과전류 트립 설정치의 1000%부터 특성곡선을 그리며 하강하여 10초 후에 과전류 트립 설정치에 이르러 안정된 정상 운전상태가 된다.
콘트롤러의 테스트버튼을 1초 동안 누르면, 결상, 역상, 과전류, 지락전류를 표시하는 폴트상태 표시램프(34-37)가 점등되고, 마그네틱 스위치를 차단한다.
콘트롤러의 전면에 있는 콘트롤러 회로 보호용 퓨즈(26)는 모터 제어유니트 내에 설치된 기기의 회로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도 보호된다. 콘트롤러의 설정되어 있는 설정치는 정전시에도 지워지지 않는다.
복수의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콘트롤 센터를 운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원격 제어 또는 감시가 필요한 곳에 중앙 감시 시설을 할 경우에는 선택사양에 의하여 통신 프로토콜 연결부(44)에 RS-485 방식으로 전송된 시스템을 부가하여 제작하고, 각 유니트의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받는 집중기를 주 전원공급 유니트에 부설한다.
또한, 모터 콘트롤 센터를 원격 제어 또는 감지하기 위하여 각 유니트 콘트롤러의 고유번호를 지정하기 위하여 유니트 콘트롤러의 표시부(14) 왼쪽에 있는 세트버튼(12)을 1초 동안 누르면 표시부(14)가 깜박이고, 이때, 세트버튼(12)을 반복하여 코드지정 표시가 될 때까지 누른다. 이때, 표시부(14) 오른쪽 증감버튼부 중에서 왼쪽 증감버튼(17, 19)으로 10단위, 오른쪽 증감버튼으로 1단위씩 증감하여 모터 콘트롤러 센터의 유니트 번호와 동일하게 번호를 지정한 후에 세트버튼(12)을 다시 한번 반복하여 세트종료 될 때까지 누르면 원격 제어에 대한 지정번호가 설정된다.
여기서 급수, 배수의 용도로 운전하는 모터에 사용할 경우에는 수위계를 내장하여 별도의 수위계를 설치하지 않고도 수위에 필요한 모터를 운전하도록 부설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상술한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충분히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는 모터의 이상상태, 설정상태 및 작동상태와 제어상태를 표시하거나 입력 조건 등을 설정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고, 원격에서 모터를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한가지의 변류기로 다양한 모터의 용량에 따라 변류기의 선택없이 모터의 제어를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어 모터의 운전에 편의를 제공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모터의 제어에 관한 설정이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4)와,
    복수의 입력버튼이 구성된 스위치 입력부(40)와,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프로토콜 연결부(42)와,
    각종의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46)와,
    입력된 신호를 연산 및 판단하여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CPU(48)와,
    설정된 소정의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49)와,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50)와,
    인가된 신호를 고속으로 스위칭하는 고속 릴레이(52)와,
    교류전원을 제곱 평균값의 제곱근(RMS; 실효값)으로 변환시키는 AC/RMS 컨버터(56-58)와,
    모터의 역상이나 결상상태를 검출하는 역상/결상 검출용 파형 정형부(60)와,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릴레이부(61-65)와,
    외부의 자동 접점을 병렬로 처리하는 외부 자동 접점 병렬 처리부(66)와,
    콘트롤러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콘트롤러 전원공급기(67)와,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연결되는 터미널 블록(68)과,
    콘트롤러를 제어하거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제어패널(10)과,
    인가되는 과전압에 의한 돌입전류를 차단하는 퓨즈(26)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10)에는
    원격제어 또는 감시에 필요한 지정번호가 콘트롤러의 모니터에 입력되어 있다는 표시램프(11)와,
    콘트롤러의 작동에 관한 설정을 위한 다기능 세트버튼(12)과,
    콘트롤러의 작동 및 설정에 관하여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와,
    설정값을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증감버튼(17-20)이 구성된 증감버튼부(16)와,
    모터의 Y-Δ 절환을 표시하는 Y-Δ결선상태 표시램프(22)(23)와,
    모터의 작동시간을 소정의 시간설정이 되어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시간 설정표시램프(24)(25)와,
    모터의 작동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수동/자동모드 설정스위치(27)와,
    모터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를 표시하기 위한 수동/자동모드 표시램프(28, 29)와,
    콘트롤러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온버튼(32)과,
    콘트롤러의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오프버튼(30)과,
    온 또는 오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온/오프상태 표시램프(31, 33)와,
    모터의 결상, 역상, 과전류 또는 지락전류가 인가되었을 때에 이를 표시하는 복수의 폴트상태 표시램프(34-37)와,
    운전전의 정상상태로 유지시키거나 설정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리세트 버튼(38)과,
    상기 폴트상태 표시램프(34-37)를 점등시키고, 마그네틱 스위치를 차단하는 테스트 버튼(39)과, 급수 또는 배수펌프 모터를 자동운전 할 수 있는 부가설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다기능 모터 콘트롤러.
KR2019990024006U 1999-11-03 1999-11-04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 KR200181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006U KR200181418Y1 (ko) 1999-11-03 1999-11-04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396A KR100314375B1 (ko) 1999-11-03 1999-11-03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
KR2019990024006U KR200181418Y1 (ko) 1999-11-03 1999-11-04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396A Division KR100314375B1 (ko) 1999-11-03 1999-11-03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418Y1 true KR200181418Y1 (ko) 2000-05-15

Family

ID=26635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006U KR200181418Y1 (ko) 1999-11-03 1999-11-04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4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2432B1 (en) Automatic transfer switch
EP07748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gramming and reviewing a plurality of parameters of a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AU2017203610A1 (en) Starter apparatus, system, and/or method for a separable-winding motor
KR100944232B1 (ko) 선박용 비상배전반
KR101777902B1 (ko) 회로 차단 장치 및 전력 분배 유니트
KR20210020574A (ko) 화재 사전 차단이 가능한 콘센트 모듈 및 이를 적용한 생산설비
KR100314375B1 (ko)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
KR200181418Y1 (ko) 다기능 모터 콘트롤러
KR101041574B1 (ko) 3상 유도전동기용 구동 제어장치
KR100824051B1 (ko)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가 구비된 엠씨씨
KR100586104B1 (ko) 디지털 모터제어장치
CN107370120B (zh) 三相电源保护装置及电力系统
KR200350363Y1 (ko) 디지털 모터제어장치
KR101343447B1 (ko) 모터 스타터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RU18464U1 (ru) Станция управления погружным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ми
KR100665960B1 (ko) 복합식 전자개폐기 및 그 제어방법
CN210608521U (zh) 三相电源相序保护器
KR100492758B1 (ko) 하이브리드 모터 스타터의 정지 제어회로
KR200272900Y1 (ko) 일체형 디지털모터 제어장치
KR102669339B1 (ko) Gis dc모터용 과부하 트립장치
CN107689620B (zh) 三相电源保护装置及方法
JP5857268B2 (ja) 回路遮断装置
KR20120011674A (ko) Eocr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101505703B1 (ko)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968017B2 (ja) 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