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277Y1 - 배관 이음매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관 이음매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277Y1
KR200181277Y1 KR2019990027062U KR19990027062U KR200181277Y1 KR 200181277 Y1 KR200181277 Y1 KR 200181277Y1 KR 2019990027062 U KR2019990027062 U KR 2019990027062U KR 19990027062 U KR19990027062 U KR 19990027062U KR 200181277 Y1 KR200181277 Y1 KR 200181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body
inner cylinder
connector
open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창
Original Assignee
이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5453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21919B1/ko
Application filed by 이기창 filed Critical 이기창
Priority to KR2019990027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2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3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at least one of the lift valves being of the sleeve type, i.e. a sleeve is telescoped over an inner cylindric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20Joints tightened by toggle-action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이나 기름 또는 유독 물질 등의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배관의 이음매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유체의 누유 발생을 방지하여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2차적인 피해를 줄이며, 배관의 이음매가 연결된 상태에서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여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대형 베어링의 부품 교체에서 발생되는 비용 손실 등의 2차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배관 이음매 연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관 이음매 연결구{A CONNECTOR OF PIPE ARRANGEMENT-JUNCTURE}
본 고안은 물이나 기름 등의 액체를 이동시키는 배관 이음매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나 기름 또는 유독 물질 등의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배관의 이음매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유체의 누유 발생을 방지하여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2차적인 피해를 줄이며, 배관의 이음매가 연결된 상태에서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여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대형 베어링의 부품 교체에서 발생되는 비용 손실 등의 2차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배관 이음매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흐르는 배관의 이음매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로는 엘보우(Elbow), 유니온(Union), 티(Tee), 니플(Nipple), 플러그(Plug)등의 고정 타입과 셀프 씰 커플링(Self Seal Coupling과 캡 커플러(Cap Coupling)등과 같이 착탈이 가능한 분리 타입으로 나뉘어진다.
전자의 타입은 배관의 이음매를 항상 연결 고정해두는 경우에 사용되나, 후자의 타입은 배관의 이음매를 수시로 분리 또는 연결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러한 분리 타입의 구조를 갖는 배관 이음매 연결구는 암연결구와, 이 암연결구에 연결되는 수연결구로 이루어져 있는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연결구(2)에 수연결구(1)가 삽입되면, 암연결구(2)의 내측 선단에 다수개 형성된 로킹볼(3)이 수연결구(1)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4)에 로킹되고, 이와 동시에 암,수연결구(2,1)의 내부에 각각 구비된 개폐부재(5,6)가 상호 접촉되면서 수연결구의 가압력에 의해 암,수연결구(2,1)에 각각 구비된 압축 스프링(7,8)이 압축되며,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폐쇄상태의 유로가 개폐부재(5,6)에 의해 개방되어 암,수연결구(2,1)내로 유체가 이동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암연결구(2)에 구비된 로킹볼(3)에 의해 수연결구(1)에 구비된 결합홈(4)이 심하게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암연결구(2)와 수연결구(1)가 제대로 결합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연결구(1)에 구비된 개폐부재(6)가 암연결구(2)에 구비된 개폐부재(5)를 충분히 가압하지 못하여 개폐부재(5,6)간에 형성되는 반발력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유로의 개방 정도가 정상 상태에서 비교하여 현저하게 저하되어 유체의 흐름 양이 줄어들거나 유로가 개방되지 않게 되어 전혀 유체가 흐르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유체의 이동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산업 현장에서 고가의 대형 베어링의 작동에 필요한 윤활유를 공급하지 못하여 기계 가동의 정지 및 대형 베어링의 부품의 교체에서 발생되는 비용의 손실 등의 2차적인 피해를 발생시키게 된다.
도 2는 전술한 분리 타입 구조를 갖는 종래 다른예를 나타낸 배관 이음매 연결구를 나타낸 것으로, 암연결구(10)에 구비된 캠형 레버(12)를 회동시킨 후에, 수연결구(11)를 삽입한 다음, 다시 캠형 레버(12)를 다시 원상 복귀시키면, 캠형 레버(12)의 단부가 수연결구(11)에 형성된 결합홈(13)에 로킹됨으로써, 암연결구(10)와 수연결구(11)가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전술한 두 번째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암연결구(10)와 수연결구(11)의 끝단이 외부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상호 분리한 상태에서는 압력에 의해 흘러내리는 유체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해 누유 방지캡(미도시)을 2차적으로 최대한 빨리 암연결구(10)와 수연결구(11)에 각각 씌워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누유 방지캡을 제때 씌우지 않으면, 유체의 누유 발생을 막을 없기 때문에, 이때 사용되는 유체가 유독 물질인 경우라면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2차적인 피해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이나 기름 또는 유독 물질 등의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배관의 이음매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유체의 누유 발생을 방지하여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2차적인 피해를 줄이며, 배관의 이음매가 연결된 상태에서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여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대형 베어링의 부품 교체에서 발생되는 비용 손실 등의 2차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배관 이음매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례를 도시한 일부 절개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예를 도시한 일부 절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암연결구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수연결구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암연결구와 수연결구가 상호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암연결구와 수연결구가 상호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암연결구 21 : 제1 외부몸체
21a : 지지턱 22 : 제2 외부몸체
22a : 걸림턱 22c : 지지부
23 : 제1 내부통체 23b : 유체 이동공
24 : 개폐 슬리이브 24a : 이탈 방지턱
30 : 수연결구 31 : 제3 외부몸체
31a : 지지턱 32 : 제4 외부몸체
32a : 걸림턱 33 : 제2 내부통체
33b : 유체 이동공 50 : 체결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암연결구와, 암연결구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연결구로 이루어져 배관의 이음매를 연결하는 배관 이음매 연결구에 있어서, 암연결구는 양단이 관통 형성된 제1 외부몸체와; 양단이 관통 형성되어 제1 외부몸체의 선단 내면에 나사 결합되는 제2 외부몸체와; 제1 외부몸체에 대응되는 일단부가 개구되고, 타단부의 외주에 유체 이동공이 형성되며, 외면이 제2 외부몸체의 내면과 소정 갭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제1 외부몸체의 내면에 기밀 지지되는 제1 내부통체와; 제1 내부통체와 제2 외부몸체 사이의 갭에 탄성적으로 긴밀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유체 이동공을 개폐하는 개폐 슬리이브;로 이루어지며, 수연결구는 양단이 관통 형성된 제3 외부몸체와; 양단이 관통 형성되어 일단부가 제3 외부 몸체의 선단 내면에 나사 결합되며, 타단부가 갭에 삽입되어 개폐 슬리이브를 가압하는 제4 외부몸체와; 제1 내부통체의 가압력에 의해 제3 외부몸체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긴밀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설치되되, 외면이 제3 외부몸체의 내면과 소정 갭이 유지되도록 형성되고, 외주에 유체 이동공이 형성되며, 제3 외부몸체에 대응되는 단부가 개구되게 형성된 제2 내부통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배관 이음매 연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암연결구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수연결구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암연결구와 수연결구가 상호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암연결구와 수연결구가 상호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암연결구(20)와, 이 암연결구(20)에 체결수단(50)을 매개로 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연결구(30)로 이루어져 배관의 이음매를 연결하는 배관 이음매 연결구에 적용되는 것으로, 암연결구(20)와 수연결구(30) 및 체결수단(50)의 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상기 암연결구(20)는 제1 외부몸체(21)와, 제2 외부몸체(22)와, 제1 내부통체(23)와 개폐 슬리이브(24)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제1 외부몸체(21)는 그 외관이 통상의 육각 또는 팔각 너트 모양으로 양단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그 내벽면에는 단차지게 환형상의 지지턱(21a)이 형성된다.
이 지지턱(21a)에 의해 제1 외부몸체(21)의 내부에는 서로 내경이 상이한 두개의 관통공(21b,21c)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21b,21c)의 내면에는 각각 나사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21b,21c)에는 배관이 나사 결합된다.
상기 제2 외부몸체(22)는 그 외경이 제1 외부몸체(21)의 내경보다 소정치 작게 형성되고, 양단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일단부가 제1 외부몸체(21)의 관통공(21c)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며,이 제2 외부몸체(22)의 중간부의 내면에는 환형성으로된 걸림턱(22a)이 형성된다.
제1 내부통체(23)는 제1 외부몸체(21)에 대응되는 일단부가 개구되고, 반대편의 단부측은 폐쇄벽(23a)이 형성되며, 이 폐쇄벽(23a)에 인접한 그 외주에는 원형이 되게 소정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유체 이동공(23b)이 배열 형성된다.
이 제1 내부통체(23)의 외경은 제2 외부몸체(22)의 내경과 소정치 적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내부통체(23)의 내면과 제2 외부몸체(22)의 내면 사이에 소정의 갭(GAP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내부통체(23)의 일단부에는 제1 외부몸체(21)에 형성된 지지턱(21a)에 기밀부재(25)인 가스켓을 매개로 하여 접촉되도록 환형상의 지지부(23c)가 돌출 형성된다.
부언하면, 지지부(23c)는 제1 외부몸체(21)에 나사 결합된 제2 외부몸체(22)의 단부의 가압력에 의해 제1 외부몸체(21)의 지지턱(21a)에 접촉되기 때문에, 제1 내부통체(23)는 제1 외부몸체(21)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개폐 슬리이브(24)는 제1 내부통체(23)와 제2 외부몸체(22) 사이의 갭(GAP1)에 탄성적으로 긴밀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제1 내부통체(23)에 형성된 유체 이동공(23b)을 개폐하게 된다.
여기서, 개폐 슬리이브(24)를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압축 스프링(26)을 이용하였다.
상기 압축 스프링(26)은 제1 내부통체(23)와 제2 외부몸체(22) 사이의 갭(GAP1)에 배치되며, 일단은 제1 내부통체(23)의 지지부(23c)에 탄력 지지되며, 타단은 개폐 슬리이브(24)의 일단에 지지된다.
이 개폐 슬리이브(24)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제1 외부몸체(21)측에 대응되는 일단부에는 제2 외부몸체(22)에 형성된 걸림턱(22a)에 걸려 개폐 슬리이브(2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턱(24a)이 형성된다.
여기서, 개폐 슬리이브(2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턱(22a)과 이탈 방지턱(24a)의 구조를 형성하였으나, 압축 스프링(26)의 일단에 개폐 슬리이브(24)의 일단을 직접 용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미설명 부호 25, 27은 각각 기밀부재인 가스켓과 오링이다.
한편, 상기 수연결구(30)는 제3 외부몸체(31)와, 제4 외부몸체(32)와, 제2 내부통체(33)로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3 외부몸체(31)는 그 외관이 통상의 육각 또는 팔각 너트 모양으로 양단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그 내면면에는 단차지게 환형상의 지지턱(31a)이 형성된다.
이 지지턱(31a)에 의해 제3 외부몸체(31)의 내부에는 서로 내경이 상이한 두개의 관통공(31b,31c)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31b,31c)의 내면에는 각각 나사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31b,31c)에는 배관이 나사 결합된다.
상기 제4 외부몸체(32)는 양단이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부가 제3 외부몸체(31)의 관통공(31c)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된다.
이 제4 외부몸체(32)의 단부중 제3 외부몸체(31)에 결합된 반대편의 단부의 일부분은 제1 내부통체(23)와 제2 외부몸체(22) 사이의 갭(GAP1)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됨과 아울러 개폐 슬리이브(24)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제2 내부통체(33)는 제3 외부몸체(31)에 대응되는 일단부가 개구되고, 반대편의 단부는 폐쇄벽(33a)이 형성되고, 그 외주에는 원형이 되게 소정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유체 이동공(33b)이 배열 형성되며, 그 외경은 제4 외부몸체(32)의 내경과 소정치 적게 형성되어 갭(GAP2)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내부통체(33)는 제1 내부통체(23)의 가압력에 의해 제4 외부몸체(32)의 내부로 탄성적으로 긴밀하게 슬라이드 이동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내부통체(33)를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압축 스프링(34)을 이용하였다.
상기 압축 스프링(34)은 제4 외부몸체(32)와 제2 내부통체(33) 사이의 갭(GAP2)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제3 외부몸체(31)에 형성된 지지턱(31a)에 탄지되고, 타단은 제2 내부통체(33)의 외주면에 별도로 형성한 환형상의 지지턱(33c)에 탄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내부통체(33)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턱(33c)은 상기와 같이 압축 스프링(34)을 지지함과 아울러 제2 내부통체(33)가 제4 외부몸체(3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2 내부통체(33)의 지지턱(33c)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4 외부몸체(32)의 일단부 내면에 지지턱(33c)이 걸려지는 걸림턱(32a)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내부통체(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턱(32a)과 지지턱(33c)의 구조를 형성하였으나, 압축 스프링(34)의 일단에 제2 내부통체(33)를 직접 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미설명 부호 35, 36은 각각 기밀부재인 가스켓과 오링이고, 37은 제3 외부몸체(31) 내부에 나사 결합된 제4 외부몸체(32)의 단부와 지지턱(33c) 사이에 고정되는 링부재이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50)은 제4 외부몸체(32)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체결링(51)을 매개로 하여 그 상면에 서로 방향이 반대가 되게 고정 설치되는 걸림구(52)와, 제2 외부몸체(22)의 외주면에 서로 방향이 반대가 되게 설치되어 걸림구(52)에 걸림 고리(53)를 록킹함으로써, 수연결구(30)와 암연결구(20)를 상호 연결시키는 통상의 래치 타입의 토글 클램프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시건장치의 일종으로 래치 타입의 토글 글램프 이외의 다른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배관 이음매 연결구의 작용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는 본 고안의 암연결구와 수연결구가 상호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암연결구(20)의 개폐 슬리이브(24)는 압축 스프링(26)의 복원력(팽창 상태)으로 인해 제1 내부통체(23)에 형성된 유체 이동공(23b)을 폐쇄하고 있다.
그리고, 수연결구(30)의 제2 내부통체(33)는 압축 스프링(34)의 복원력(팽창 상태)으로 인해 제2 내부통체(33)의 지지턱(33c)은 제4 외부몸체(32)의 걸림턱(32a)에 걸려지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도면상에는 압축 스프링(34)의 탄성 계수에 따라 제2 내부통체(33)의 지지턱(33c)이 제4 외부몸체(32)의 걸림턱(32a)에 걸려져 있지 않은 상태로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암연결구(20)와 수연결구(30)가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유체는 누유가 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암연결구(20)에서 보면, 유체는 제1 외부몸체(21)를 통과하여 제1 내부통체(23)를 폐쇄벽(23a)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제1 내부통체(23)(23)에 형성된 유체 이동공(23a)이 개폐 슬리이브(24)에 의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는 암연결구(20)의 외부로 누유가 되지 않게 된다.
더욱이, 개폐 슬리이브(24)와 제1 내부통체(23)(23)간에 기밀 유지로 설치된 오링(27) 등에 의해 유체의 누유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된다.
다음으로, 수연결구(30)에서 보면, 유체는 제3 외부몸체(31)를 통과하여 제4 외부몸체(32)를 통과하여 제2 내부통체(33)의 폐쇄벽(33a)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제2 내부통체(33)와 제4 외부몸체(32)간에 기밀 유지로 설치된 오링(36)에 의해 제2 내부통체(33)에 형성된 유체 이동공(33b)을 통해 유체가 배출되기는 하나, 수연결구(30)의 외부로는 누유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암연결구와 수연결구가 상호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5의 상태에서 암연결구(20)와 수연결구(30)를 각각 취부한 상태에서 수연결구(30)의 제4 외부몸체(32)의 단부측을 제2 외부몸체(22)와 제1 내부통체(23) 사이의 갭(GAP1)에 삽입한다.
이렇게 되면, 제4 외부몸체(32)의 전진력은 개폐 슬리이브(24)를 밀어주는 가압력으로 전환되어, 결국에는 압축 스프링(34)이 소정치 압축되면서 개폐 슬리이브(24)가 제1 외부몸체(21)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폐 슬리이브(24)가 이동하게 되면, 제1 내부통체(23)에 형성된 유체 이동공(23b)이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제4 외부몸체(32)의 단부측을 제2 외부몸체(22)와 제1 내부통체(23) 사이의 갭(GAP1)에 삽입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제1 내부통체(23)는 제2 내부통체(33)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내부통체(23)와 제2 내부통체(33)가 상호 접촉됨에 따라, 제4 외부몸체(32)가 제2 외부몸체(22)와 제1 내부통체(23) 사이의 갭(GAP1)에서 이동하는 거리만큼 제1 내부통체(23)는 제2 내부통체(33)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제1 내부통체(23)의 가압력이 제2 내부통체(33)를 가압하게 되면, 압축 스프링(34)이 소정치 압축되어 제2 내부통체(33)는 제3 외부몸체(31)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압축 스프링(34)이 소정치 압축되어 제2 내부통체(33)가 제3 외부몸체(31)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제1 내부통체(23)의 일부분은 제4 외부몸체(32)의 내부까지 삽입되어, 제1 내부통체(23)와 제2 내부통체(33)에 형성된 유체 이동공(23b,33b)은 제4 외부몸체(32)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상호 연통되는 상태가 된다.
이후, 작업자는 암연결구(20)와 수연결구(30)의 연결 작업을 1차 수행한 다음, 최종적으로 체결수단(50)을 이용하여 체결한다.
체결수단(50)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법은 걸림 고리(53)를 제4 외부몸체(32)에 설치된 걸림구(52)에 우선 걸고나서, 손잡이(54)를 걸림구(52)와 반대 방향으로 젖히면, 걸림 고리(53)가 후진하면서 걸림구(52)에 완전히 걸리게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수단(50)에 의해 암연결구(20)와 수연결구(30)가 최종적으로 연결되면, 도 6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배관(60)을 통해 이동된 유체는 제3 외부몸체(31)와 제2 내부통체(33)를 거쳐 제2 내부통체(33)에 형성된 유체 이동공(33b)을 통해 제4 외부몸체(32)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한 후, 제1 내부통체(23)에 형성된 유체 이동공(23b)으로 유입되며, 이후 제1 내부통체(23)와 제1 외부몸체(21)를 거쳐 배관(60a)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부분에서 본 고안을 구성하는 제2 외부몸체, 제1 내부통체(23), 개폐 슬리이브로 이루어진 암연결구와 제4 외부몸체, 제2 내부통체로 이루어진 수연결구의 구조를 편의상 원형의 종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각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고안은 산업 전반에 걸쳐 유체를 이동시키는 배관, 파이프 등에 충분히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관 이음매 연결구에 따르면, 물이나 기름 또는 유독 물질 등의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배관의 이음매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유체의 누유 발생을 방지하여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2차적인 피해를 줄이며, 배관의 이음매가 연결된 상태에서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여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대형 베어링의 부품 교체에서 발생되는 비용 손실 등의 2차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암연결구와, 상기 암연결구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연결구로 이루어져 배관의 이음매를 연결하는 배관 이음매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암연결구는 양단이 관통 형성된 제1 외부몸체와; 양단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 외부몸체의 선단 내면에 나사 결합되는 제2 외부몸체와; 상기 제1 외부몸체에 대응되는 일단부가 개구되고, 타단부의 외주에 유체 이동공이 형성되며, 외면이 상기 제2 외부몸체의 내면과 소정 갭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 외부몸체의 내면에 기밀 지지되는 제1 내부통체와; 상기 제1 내부통체와 상기 제2 외부몸체 사이의 갭에 탄성적으로 긴밀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체 이동공을 개폐하는 개폐 슬리이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연결구는 양단이 관통 형성된 제3 외부몸체와; 양단이 관통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3 외부 몸체의 선단 내면에 나사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갭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 슬리이브를 가압하는 제4 외부몸체와; 상기 제1 내부통체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3 외부몸체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긴밀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설치되되, 외면이 상기 제3 외부몸체의 내면과 소정 갭이 유지되도록 형성되고, 외주에 유체 이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외부몸체에 대응되는 단부가 개구되게 형성된 제2 내부통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이음매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외부몸체의 중간부 내면에는 단차지게 지지턱이 환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내부통체의 일단부에는 기밀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지지턱에 지지되도록 환형상의 지지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이음매 연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몸체의 중간부 내면에는 걸림턱이 환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 슬리이브의 일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개폐 슬리이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이음매 연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외부몸체의 중간부 내면에는 단차지게 지지턱이 환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내부통체의 일단부에는 기밀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지지턱에 지지되도록 환형상의 지지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이음매 연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외부몸체의 일단부 내면에는 단차지게 걸림턱이 환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내부통체의 외주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제2 내부통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이음매 연결구.
KR2019990027062U 1999-12-02 1999-12-03 배관 이음매 연결구 KR200181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062U KR200181277Y1 (ko) 1999-12-02 1999-12-03 배관 이음매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538A KR100321919B1 (ko) 1999-12-02 1999-12-02 배관 이음매 연결구
KR2019990027062U KR200181277Y1 (ko) 1999-12-02 1999-12-03 배관 이음매 연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538A Division KR100321919B1 (ko) 1999-12-02 1999-12-02 배관 이음매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277Y1 true KR200181277Y1 (ko) 2000-05-15

Family

ID=2663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062U KR200181277Y1 (ko) 1999-12-02 1999-12-03 배관 이음매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2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8241A (zh) * 2019-10-10 2019-12-13 苏州猴皇动物实验设备科技有限公司 饮水嘴的进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8241A (zh) * 2019-10-10 2019-12-13 苏州猴皇动物实验设备科技有限公司 饮水嘴的进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8875A (en) Connector interposed between small-diameter metallic pipe and flexible hose
CA2978738C (en) Union
RU2369799C2 (ru) Кольцо для визуальн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состояния обжима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JPH0328623B2 (ko)
GB2274693A (en) Pipe connector
US4691944A (en) Tubing connector
US20010052366A1 (en) Connector
BR0304249B1 (pt) Conjunto, aparelho e dispositivo de vedação para um componente de acoplamento hidráulico submarino
NO304618B1 (no) Anordning for en hurtig frikobling
KR100321919B1 (ko) 배관 이음매 연결구
KR200181277Y1 (ko) 배관 이음매 연결구
JPS58200889A (ja) 流体システムでの、測定装置等を接続するための逆止弁を内蔵した弁座装置
JP4112371B2 (ja) プラグ・イン式安全連結装置
EP0890053B1 (en) Quick coupling for hoses or pipes for pressure media
KR20030050647A (ko) 배관 클램프
US5131694A (en) Joint seal between valve body and removable port
EP0553296A1 (en) Sealing system for connecting vcr-type and flat coupling hardware
US3471175A (en) Coupling device
JP3354933B2 (ja) 圧力配管用の差込み継手
US2434426A (en) Coupling
KR102263217B1 (ko) 스마트 니플
KR200334647Y1 (ko) 세그먼트 플러그형 메탈시트 볼밸브
KR200338623Y1 (ko) 더블 사이드 세그먼트 플러그형 메탈시트 볼밸브
KR200254120Y1 (ko) 관체 연결용 니플
JPH0522982U (ja) 配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