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599Y1 - 오디오와 핸드폰 겸용 헤드셋 - Google Patents

오디오와 핸드폰 겸용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599Y1
KR200180599Y1 KR2019990026735U KR19990026735U KR200180599Y1 KR 200180599 Y1 KR200180599 Y1 KR 200180599Y1 KR 2019990026735 U KR2019990026735 U KR 2019990026735U KR 19990026735 U KR19990026735 U KR 19990026735U KR 200180599 Y1 KR200180599 Y1 KR 2001805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audio
headset
speaker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흥준
정현욱
Original Assignee
정흥준
정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흥준, 정현욱 filed Critical 정흥준
Priority to KR2019990026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5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5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5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셋(head set), 특히 오디오와 핸드폰을 휴대하고 다니면서 노래 등을 듣거나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휴대용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오디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1잭, 핸드폰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2잭, 제 2잭에 연결된 마이크로폰 및 제 1잭과 스피커 사이를 필요에 따라 개폐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핸드폰을 후크 온/오프시키는 실렉터 스위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디오를 통해 음악 등을 듣고 있다가 통화상태로 전환하거나 그 반대의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이 매우 간단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Description

오디오와 핸드폰 겸용 헤드셋{A head set for audio and wireless telephone}
본 고안은 헤드셋(head se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와 핸드폰을 휴대하고 다니면서 노래 등을 듣거나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휴대용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용 오디오와 핸드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오디오를 통해 음악이나 뉴스 등을 듣고 있다가 핸드폰을 통해 전화를 해야하는 일이 종종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헤드셋으로 음악 등을 듣고 있다가 전화가 오면 오디오를 끄고, 스피커를 귀에서 이탈시킨 다음 헤드폰으로 통화를 하고, 통화가 끝나면 다시 오디오를 켜고 스피커를 귀에 장착하여 음악 등을 들었다. 즉, 종래에는 오디오를 통해 음악 등을 듣고 있다가 통화를 하려고 하면 매우 번거로웠다. 특히, 손에 필요한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 그 불편함은 더욱 크다.
본 고안의 목적은 오디오와 핸드폰의 이용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와 핸드폰 겸용 헤드셋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헤드셋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오디오 20 : 핸드폰
100 : 헤드셋 110 : 제 1잭
120 : 제 2잭 130 : 스피커
140 : 실렉터 스위치 150 : 후크 스위치
160 : 마이크로폰
본 고안의 목적은 스피커를 구비하는 헤드셋에 있어서, 오디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1잭, 핸드폰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2잭, 제 2잭에 연결된 마이크로폰 및 제 1잭과 스피커 사이를 필요에 따라 개폐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핸드폰을 후크 온/오프시키는 실렉터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와 핸드폰 겸용 헤드셋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제 2잭과 스피커는 항상 연결되어 있도록 하고, 위 실렉터 스위치의 동작상태에 따라 핸드폰을 후크 온/오프 시키는 후크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와 핸드폰 겸용 헤드셋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헤드셋의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드셋(100)은 오디오(10)에 접속하기 위한 제 1잭(110)과 핸드폰(20)에 접속하기 위한 제 2잭(120)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잭(110)과 제 2잭(120)에는 스피커(130)가 연결되어 있다. 스피커(130)는 오디오(10) 또는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핸드폰(20)에 접속되는 제 2잭(120)과는 항상 연결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단지 오디오(10)에 접속되는 제 2잭(120)과의 사이에는 실렉터 스위치(140)를 설치하여 오디오(10)와 스피커(130) 사이를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실렉터스위치(140)의 작동 상태에 따라 후크 스위치(150)가 동시에 온/오프 되도록 하면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잭(120)에는 마이크로폰(160)이 연결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폰(160)은 송화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화자 상대방에게 음성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와 핸드폰 겸용 헤드셋(100)을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헤드셋(100) 사용자가 실렉터 스위치(140)를 오디오(10)에 접속되는 제 1잭(110)에 연결한 상태에서 음악 또는 뉴스 등을 듣고 있는 상태에서 전화가 오면 링신호가 스피커(13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헤드셋(100) 사용자는 실렉터 스위치(140)를 제 1잭(110)에서 이탈시킨다. 실렉터 스위치(140)의 동작은 마이크로폰(160)을 앞쪽으로 회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하면 더욱 좋다. 이 동작에 의해 후크 스위치(150)가 동시에 작동하여 핸드폰(20)을 후크 온 시킨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헤드셋(100) 사용자는 스피커(130)와 마이크로폰(160)을 통해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통화가 끝나면 헤드셋(100) 사용자는 다시 마이크로폰(160)을 뒤쪽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실렉터 스위치(140)가 스피커(130)와 제 1잭(110)을 연결한다. 이와 동시에 후크 스위치(150)는 다시 오프 되어 핸드폰(20)은 후크 오프 상태 즉, 통화 대기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헤드셋(100) 사용자는 다시 오디오(10)를 통해 음악이나 뉴스 등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즉, 실렉터 스위치(140)를 작동시키는, 다시 설명하면 마이크로폰(160)을 앞쪽으로 또는 뒤쪽으로 회동시키는 한 번의 동작만으로 오디오(10) 청취상태 또는 통화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와 핸드폰 겸용 헤드셋을 이용하는 경우 오디오를 통해 음악 등을 듣고 있다가 통화상태로 전환하거나 그 반대의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이 매우 간단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Claims (2)

  1. 스피커를 구비하는 헤드셋에 있어서,
    오디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1잭;
    핸드폰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2잭;
    상기 제 2잭에 연결된 마이크로폰; 및
    상기 제 1잭과 상기 스피커 사이를 필요에 따라 개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핸드폰을 후크 온/오프시키는 실렉터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와 핸드폰 겸용 헤드셋.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잭과 상기 스피커는 항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실렉터 스위치의 동작상태에 따라 상기 핸드폰을 후크 온/오프 시키는 후크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와 핸드폰 겸용 헤드셋.
KR2019990026735U 1999-12-01 1999-12-01 오디오와 핸드폰 겸용 헤드셋 KR2001805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735U KR200180599Y1 (ko) 1999-12-01 1999-12-01 오디오와 핸드폰 겸용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735U KR200180599Y1 (ko) 1999-12-01 1999-12-01 오디오와 핸드폰 겸용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599Y1 true KR200180599Y1 (ko) 2000-05-01

Family

ID=1959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735U KR200180599Y1 (ko) 1999-12-01 1999-12-01 오디오와 핸드폰 겸용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5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018078A (ja) 無線携帯端末装置、受話拡声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30026429A (ko) 이어잭에 접속되는 스피커모듈과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JP2001339485A (ja) 携帯電話と共同使用可能な固定ネットワーク電話機
KR200180599Y1 (ko) 오디오와 핸드폰 겸용 헤드셋
KR20020014143A (ko) 외장 액세서리가 착탈가능한 휴대폰
WO2001019054A8 (en) Integrated headphones for audio programm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a biased microphone boom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WO2008141526A1 (fr) Équipement téléphonique de réseau sans fil doté d'une oreillette mains libres
KR200293071Y1 (ko) 캐릭터가 움직이는 핸드폰 케이스
KR1005590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355379Y1 (ko) 음악감상 하면서 휴대폰을 수신할 수 있는 스테레오 핸즈프리 장치
CN2831637Y (zh) 移动电话的外接扩音系统
KR200228496Y1 (ko) 목걸이형 핸즈프리장치
JPH09167975A (ja) 携帯無線機
KR20010019785A (ko)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KR200225435Y1 (ko) 핸드프리 이어마이크 겸용 헤드폰
KR200252094Y1 (ko) 유선전화기의 핸즈프리장치
KR100392063B1 (ko) 전자신호에 의한 음성다이얼 기능을 가진 휴대폰용 리모콘
KR200262874Y1 (ko) 수화기 겸용 이어폰
KR100413537B1 (ko) 유선전화기의 핸즈프리장치
JP3072131U (ja) 携帯電話対応のポータブルオーディオプレーヤー
KR200295605Y1 (ko) 통화수단이 구비된 이어마이크
KR200218625Y1 (ko) 휴대전화와 카세트통합이어폰
KR100581287B1 (ko) 핸즈프리 자동 모드전환 장치
KR20030076498A (ko) 휴대용전화기와일반음향기기를함께사용하도록음향장치연결용플러그를갖는음향기기 겸용 스테레오 핸즈프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