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376Y1 -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무선전화기용 이어 마이크 - Google Patents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무선전화기용 이어 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376Y1
KR200180376Y1 KR2019990022586U KR19990022586U KR200180376Y1 KR 200180376 Y1 KR200180376 Y1 KR 200180376Y1 KR 2019990022586 U KR2019990022586 U KR 2019990022586U KR 19990022586 U KR19990022586 U KR 19990022586U KR 200180376 Y1 KR200180376 Y1 KR 200180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terminal
earphone
output terminal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창모
Original Assignee
차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창모 filed Critical 차창모
Priority to KR2019990022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3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3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 무선 전화기용 이어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 라디오(24)의 음성신호출력단과 이어폰(23)사이 및 이동무선전화기의 음성신호출력단에 연결되는 오디오단자(25a)와 이어폰(23) 사이에 각각 접속되어 각각의 제어단자(G1)(G2)로 입력되는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통전이 제어되는 복수개의 아날로그 스위치(SW1)(SW2)와, 마이크(22)와 마이크단자(25b)의 도중에 병렬접속된 폰스위치(SW3)와, 클럭단자(CLK)가 상기 폰스위치(SW3)의 후단에 소정의 전압제어수단에 의하여 접속되고 Q0출력단자와 Q1출력단자는 상기 복수개 아날로그 스위치(SW1)(SW2)의 제어단자(G1)(G2)에 각각 접속되며 Q3출력단자는 리셋단자(RST)에 접속되는 카운터(28)로 구성되어 폰스위치(SW3)를 한번 누르면 Q0출력단자로 하이신호가 출력되어 라디오와 이어폰사이의 유로가 형성되고 다시 폰스위치를 누르면 라디오와 이어폰사이의 유로는 차단되고 이동무선전화기와 이어폰사이의 유로가 형성되어 또다시 폰스위치를 누르면 이어폰으로는 어떠한 음성신호도 출력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무선전화기용 이어 마이크{Ear-mike with radio for portablephone}
본 고안은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무선전화기용 이어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 마이크의 도중에 자체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라디오를 구비시켜 이동무선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올 경우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누르면 이어폰으로 출력되는 라디오 음성신호는 차단되고 이동 무선 전화기의 음성신호가 이어폰을 통하여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 무선 전화기용 이어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에 사용되는 이어 마이크는 이어폰과 마이크가 일체로 구비되어 휴대전화기의 측부에 형성된 이어 마이크 연결잭에 꽂아서 사용하는 것으로, 휴대전화기로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휴대전화기를 들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휴대전화기 사용자의 손이 자유롭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이어 마이크는 전화통화기능말고는 다른 기능이 없어서, 사용자가 이동중 라디오를 듣고자 할 경우에는 라디오용 이어폰을 귀에 꽂아서 라디오를 청취하여야 하며 이와 같이 라디오를 청취하고 있는 도중에 이동무선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오거나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라디오에 연결된 이어폰을 빼고 이동무선전화기에 연결된 이어 마이크의 이어폰을 꽂아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이어 마이크의 도중에 라디오가 구비된 것이 있었으나, 종래의 라디오가 구비된 이어 마이크는 라디오를 듣는 도중에 전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라디오전원을 오프시키고 이어 마이크에 형성된 통화로 설정스위치를 온시켜야 하므로 이중동작을 하게 되는 불편이 있었고, 만약 라디오 전원을 끄지 않을 경우에는 이어폰으로 라디오와 이동무선전화기의 음성신호가 동시에 출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어 마이크의 도중에 자체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라디오를 구비시켜 이동무선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올 경우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누르면 이어폰으로 출력되는 라디오 음성신호는 차단되고 이동 무선 전화기의 음성신호가 이어폰을 통하여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 무선 전화기용 이어 마이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라디오 겸용 이동무선전화기용 이어 마이크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 무선 전화기용 이어 마이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 무선 전화기 20 : 이어 마이크
22 : 마이크 23 : 이어폰
24 : 라디오 28 : 카운터
SW1, SW2 : 아날로그 스위치 SW3 : 폰스위치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하기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 무선 전화기용 이어 마이크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 무선 전화기용 이어 마이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 무선 전화기용 이어 마이크는 이동무선전화기에 연결되어 통화자의 음성신호를 취득하여 이동무선전화기로 입력하는 마이크(22)와 이동무선전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통화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23)으로 구성된 이어 마이크(20)의 도중에 음성신호가 이어 마이크(20)의 이어폰(23)으로 출력되는 라디오가 구비된 이어 마이크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24)의 음성신호출력단과 이어폰(23)사이 및 이동무선전화기의 음성신호출력단에 연결되는 오디오단자(25a)와 이어폰(23) 사이에 각각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통전이 제어되는 복수개의 스위치(SW1)(SW2)와, 상기 마이크(22)와 마이크단자(25b)의 도중에 병렬접속되어 사용자가 온/오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된 폰스위치(SW3)와, 클럭단자(CLK)가 상기 폰스위치(SW3)의 후단에 소정의 전압제어수단에 의하여 접속되고 Q0출력단자와 Q1출력단자는 상기 복수개 아날로그 스위치(SW1)(SW2)의 제어단자(G1)(G2)에 각각 접속되며 Q3출력단자는 리셋단자(RST)에 접속되는 카운터(28)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스위치(SW1)(SW2)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제어단자(G1)(G2)로 입력되는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통전이 제어되는 복수개의 아날로그 스위치(SW1)(SW2)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중 미설명부호 SW4는 라디오 전원스위치이고, SW5는 튜닝용 스위치이며, SW6은 라디오를 초기화시키는 스위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 무선 전화기용 이어 마이크의 실시 예를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우선,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 무선 전화기용 이어 마이크를 이동무선전화기에 접속시킨 후, 사용자가 폰스위치(SW3)를 한번 누르면 마이크(22)와 폰스위치 사이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1)가 통전되어 카운터(28)의 클럭단자(CLK) 전단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2)가 통전됨으로써, 카운터(28)의 클럭단자(CLK)로 하이신호가 입력되어 Q0출력단자로 하이신호가 출력됨으로써 라디오(24)와 이어폰(23)사이에 접속된 아날로그 스위치(SW1)의 제어단자(G1)로 하이신호가 입력되면서 라디오(24)와 이어폰(23) 사이의 유로가 형성되어 라디오(24)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이어 마이크(20)의 이어폰(23)으로 출력되며 이때 카운터(28)의 Q1출력단자와 Q2출력단자로는 로우신호가 출력되어 이동 무선전화기와 이어폰(23)사이에는 전류의 유로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폰스위치(SW3)를 한번 눌러서 라디오(24)를 청취하는 도중에 이동무선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올 경우 혹은 전화를 걸고자 할 경우 상기 폰스위치(SW3)를 한번 더 누르게 되면 카운터(28)의 클럭단자(CLK)로 다시 하이신호가 입력되어 Q0출력단자와 Q2출력단자로 로우신호가 출력되고 Q1출력단자로는 하이신호가 출력되므로, 라디오(24)와 이어폰(23)을 연결하는 아날로그 스위치(SW1)는 차단되고 이동무선전화기와 이어폰(23)을 연결하는 아날로그 스위치(SW2)는 통전되어 이동무선전화기의 음성신호만 이어폰(23)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통화를 하다가 통화가 종료되어 폰스위치(SW3)를 한번 더 누르면 복수개의 트랜지스터(Tr1)(Tr2)가 통전되어 클럭단자(CLK)로 하이신호가 입력되어 Q0출력단자와 Q1출력단자로는 로우신호가 출력되어 복수개의 아날로그 스위치(SW1)(SW2)는 모두 차단되고 Q2출력단자로 하이신호가 출력되므로 카운터(28)의 리셋단자(RST)로 하이신호가 입력되어 카운터(28)는 초기화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라디오청취에서 전화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라디오와 전화통화를 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과 만족도가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이동무선전화기에 연결되어 통화자의 음성신호를 취득하여 이동무선전화기로 입력하는 마이크(22)와 이동무선전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통화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하는 이어폰(23)으로 구성된 이어 마이크(20)의 도중에 음성신호가 이어 마이크(20)의 이어폰(23)으로 출력되는 라디오가 구비된 이어 마이크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24)의 음성신호출력단과 이어폰(23)사이 및 이동무선전화기의 음성신호출력단에 연결되는 오디오단자(25a)와 이어폰(23) 사이에 각각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통전이 제어되는 복수개의 스위치(SW1)(SW2)와;
    상기 마이크(22)와 마이크단자(25b)의 도중에 병렬 접속되어 사용자가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폰스위치(SW3)와;
    클럭단자(CLK)가 상기 폰스위치(SW3)의 후단에 소정의 전압제어수단에 의하여 접속되고 Q0출력단자와 Q1출력단자는 상기 복수개 아날로그 스위치(SW1)(SW2)의 제어단자(G1)(G2)에 각각 접속되며 Q3출력단자는 리셋단자(RST)에 접속되는 카운터(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 무선 전화기용 이어 마이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SW1)(SW2)는 각각의 제어단자(G1)(G2)로 입력되는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통전이 제어되는 복수개의 아날로그 스위치(SW1)(SW2)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 무선 전화기용 이어 마이크.
KR2019990022586U 1999-10-20 1999-10-20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무선전화기용 이어 마이크 KR200180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586U KR200180376Y1 (ko) 1999-10-20 1999-10-20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무선전화기용 이어 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586U KR200180376Y1 (ko) 1999-10-20 1999-10-20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무선전화기용 이어 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376Y1 true KR200180376Y1 (ko) 2000-05-01

Family

ID=1959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586U KR200180376Y1 (ko) 1999-10-20 1999-10-20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무선전화기용 이어 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3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341B1 (ko) 라디오 겸용 이어폰-마이크 및 그 이어폰-마이크를 이용한전화 통화/라디오 청취 제어 방법
JPH06216978A (ja) 送受信機
CN108012220B (zh) 音频处理器
EP22847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ype of accessory in a portable terminal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KR200180376Y1 (ko)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무선전화기용 이어 마이크
CN209748649U (zh) 一种双通道音频通话电路
KR200180262Y1 (ko) 이어폰 3극짹을 통한 전원 공급 기능을 가진 무선통신단말기
KR200293071Y1 (ko) 캐릭터가 움직이는 핸드폰 케이스
JPH04306944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100289366B1 (ko) 휴대폰 및 라디오 수신기간 통화전환회로
KR100306487B1 (ko) 핸드프리용 스피커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0475466B1 (ko) 이어마이크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KR200255393Y1 (ko) 다기능 헤드셋
KR200209082Y1 (ko) 인터넷폰의 입출력 스위칭장치
KR200184595Y1 (ko) 알람기능이 부가된 휴대폰용 이어마이크
KR200217915Y1 (ko) 마이크로폰 겸용 이어폰
JPH03776Y2 (ko)
JP2638153B2 (ja) コードレステレオホンのハンドセット
KR20000065596A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 및 휴대용 카세트 공유 이어 마이크 장치
KR200183246Y1 (ko) 이여폰에 컴퓨터 스피커 연결 단자를 내장한 이여폰
KR100392063B1 (ko) 전자신호에 의한 음성다이얼 기능을 가진 휴대폰용 리모콘
JP2001197180A (ja) 巻き取りコード式イヤホンを有する可搬型無線電話機
KR200300096Y1 (ko) 이동형 음향기기 및 휴대전화 공용 이어폰 세트
JPH0377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