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301Y1 - 열 매체의 축열을 이용한 보일러 - Google Patents

열 매체의 축열을 이용한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301Y1
KR200180301Y1 KR2019990025825U KR19990025825U KR200180301Y1 KR 200180301 Y1 KR200180301 Y1 KR 200180301Y1 KR 2019990025825 U KR2019990025825 U KR 2019990025825U KR 19990025825 U KR19990025825 U KR 19990025825U KR 200180301 Y1 KR200180301 Y1 KR 200180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boiler
heating
medium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옥
Original Assignee
정해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옥 filed Critical 정해옥
Priority to KR2019990025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3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3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 F24H7/025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using fluid fuel
    • F24H7/0266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using fluid fuel the transfer fluid be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24H1/52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incorporating heat exchangers for domestic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56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solid heat storag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매체 방식의 보일러로서, 보일러 본체 내부에 필요로 하는 열교환장치를 고정시켜 성형된 용기에 순간열전도성, 축열성, 열안정성이 뛰어난 열매체인 프레온·암모니아·메탄올등의 특수유체, 또는 열매체를 발열장치를 이용하여 적은 비용의 1차 에너지를 소모시켜 발열하여 필요온도의 열로 열매체를 순간 가열하여 열효율을 높인 축열로 전도하여 2차 에너지원으로 활용하여 진공밀폐된 보일러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열교환장치에 열을 전달하여 가정용, 농업용, 공업용, 상업용등의 난방수, 온수, 스팀등을 사용하는 열매체방식의 보일러로서, 기존의 기름·가스·전기 보일러의 방식인 열교환장치의 직접가열방식에서 발생되는 가열시간에 따른 연료의 과다소모, 폐열, 필요온도의 열의 사용후 잔존열의 자연소실, 분진·그을음·소음·산소 소비등의 환경공해의 유발의 개선점을 본 고안인 열매체 방식의 보일러로서 모두 해결되며, 열매체의 특성인 순가열전도성을 이용하여 진공밀폐된 열매체를 발열장치로 순간 가열하므로 폐열이 전혀 없으며 적은 비용의 에너지로 높은 열효율을 얻고, 열매체의 축열성을 이용하여 잔존열의 자연소실도 방지하며, 열매체의 열안정성이 높아 양질의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상업용으로 활용하면 산업환경의 개선과 원가절감의 요인등 생산성 향상의 효과와 보일러의 내부에 열매체를 넣고 진공밀폐시켜 전열 발열장치로 간접가열하여 필요온도의 열을 사용하므로 기존의 보일러와 달리 반영구적으로 사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점을 갖는 열매체방식의 보일러가 본 고안의 특징이다.

Description

열 매체의 축열을 이용한 보일러{A regenerative boiler for heat intermedium}
본 고안은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난방관과 온수관 주위에 열을 축열
할 수 있는 매체를 충진시켜 상기 축열된 열을 이용하여 난방 및 온수등을 공급할 수 있는 열 매체의 축열을 이용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연료(등유)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소정온도로 높혀 난방관을 통하여 외부로 공급함으로서 실내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수관을 통하여 따뜻한 물을 공급 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보일러는 가동을 중단되게 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온수관 및 난방관내의 수온이 점점 떨어지게 되어 더 이상의 실내 난방이나 온수의 공급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즉, 기존의 보일러는 열 에너지원인 기름,가스, 전기를 사용하여 직접 열교환장치인 온수관이나 난방관을 가열하여 필요로 하는 실내온도나 온수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만일 보일러의 가동을 중단하게 되면 원하는 난방이나 온수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대할수가 없었다.
이로인해, 불필요한 연료의 소모량이 많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환경오염을 가중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일러내의 온수관이나 난방관 주위에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열을 축열할 수 있는 열 전달매체를 충진시켜, 보일러의 가동이 중단된 경우에도 상기 열 전달매체에 축열된 열을 이용하여 소정시간 동안 실내난방 및 온수등을 계속해서 공급받을 수 있으며, 불필요한 연료의 소모를 줄임으로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열 전달매체를 이용한 보일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보일러를 가동시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난방 및 온수를 공급하도록 난방관과 온수관이 각각 구비된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난방관과 온수관 주위에 열을 축열할 수 있도록 열 축열매체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열 전달매체를 충진한 보일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도1에 있어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 버너 20: 온수관
30: 난방관 40: 보일러
50: 연통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열 전달매체를 이용한 보일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 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나 있듯이 온구 및 난방을 위한 버너(10)가 구비되어 있으며, 버너(1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받아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관(2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내를 난방시키기 위한 난방관(30)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버너(10)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통(50)이 보일러(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는 별도로, 상기 온수관(20) 및 난방관(30)의 주위에는 열을 흡수하여 축열할 수 있는 매체가 충진되어 있다.
여기서, 축열매체는 비열이 높은 고체로서, 예를 들면 철이나 구입하기가 용이한 돌로서 상기 온수관이나 난방관으로 부터 열을 흡수/축열하여 필요시 방열할수 있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온수 및 난방을 하기 위해 버너(10)를 가동하게 되면, 버너(10)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 난방관(30)이나 온수관(20)내의 물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까지 상승하게 된다.
상승된 온도를 지닌 물이 온수관(20)이나 난방관(30)을 통하여 순환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온수관(20)이나 난방관(30) 주위에 충진된 소정 직경으로된 돌이나 철등에 열이 전달되어 상기 돌이나 철은 열을 상당량의 열에너지를 축열하게 된다.
즉, 상기 축열 매체인 돌이나 철등은 온수관이나 난방관의 온도와 거의 유사한 온도로 축열되어 진다.
이때, 사용자가 보일러의 가동을 중단하게 되면 온수관(20)이나 난방관(30)내의 수온은 하강하게 되는데, 상기 축열매체(돌,철)에 축열되어 있는 열 에너지가서서히 방열하게 된다.
따라서, 온수관(20)이나 난방관(30)내의 수온이나 하강하는 것을 적절히 보상하여 상당기간동안 난방효과를 지속할 수 있고, 온수의 공급도 원활하게 하여 준다.
다시말해, 보일러(40)의 가동을 중단하더라도 소정시간 동안은 난방 및 온수의 공급은 보일러 가동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보일러내의 온수관이나 난방관 주위에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열을 축열할 수 있는 열 전달매체를 충진시켜 사용함으로서 열에너지 교환 효율을 높이고, 또한 보일러의 가동이 중단된 경우에도 상기 열 전달매체에 축열된 열을 이용하여 소정시간 동안 실내난방 및 온수등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연료의 소모를 줄여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대기 오염을 상당량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Claims (2)

  1. 보일러를 가동시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난방 및 온수를 공급하도록 난방관과 온수관이 각각 구비된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난방관과 온수관 주위에 열을 축열 할 수 있도록 열 축열매체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매체의 축열을 이용한 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축열매체는 비열이 높은 소정 직경의 돌이나 철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매체의 축열을 이용한 보일러.
KR2019990025825U 1999-11-23 1999-11-23 열 매체의 축열을 이용한 보일러 KR200180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825U KR200180301Y1 (ko) 1999-11-23 1999-11-23 열 매체의 축열을 이용한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825U KR200180301Y1 (ko) 1999-11-23 1999-11-23 열 매체의 축열을 이용한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301Y1 true KR200180301Y1 (ko) 2000-05-01

Family

ID=1959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825U KR200180301Y1 (ko) 1999-11-23 1999-11-23 열 매체의 축열을 이용한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3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245A (ko) * 2002-05-29 2003-12-06 친 쿠앙 루오 물 히터 및 물 가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245A (ko) * 2002-05-29 2003-12-06 친 쿠앙 루오 물 히터 및 물 가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6867B2 (en) Coil tube heat exchanger for a tankless hot water system
CN203626907U (zh) 发电站
CN104747244A (zh) 基于有机朗肯循环的烟气余热发电系统
CN104791895A (zh) 一种熔盐蓄能的供热装置
CN103512080A (zh) 一种烟囱锅炉余热半导体温差发电取暖热水器系统
KR200180301Y1 (ko) 열 매체의 축열을 이용한 보일러
CN103410580B (zh) 利用太阳能和灰渣余热辅助燃煤锅炉发电的系统
CN200975781Y (zh) 间接加热二次管程换热式蓄能供热装置
CN209587670U (zh) 一种太阳能光热油田原油加热伴热系统
CN103411459A (zh) 多能源高温蓄热节能装置
CN203586363U (zh) 一种烟囱锅炉余热半导体温差发电取暖热水器系统
KR20010000461A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식 전기 보일러
CN202203928U (zh) 油田注气锅炉烟气换热装置
CN207214223U (zh) 一种可实现快速取暖的蓄热式电暖器
CN201285162Y (zh) 真空相变加热炉
KR200224427Y1 (ko) 열매체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CN205655503U (zh) 一种利用燃气及太阳能的自发电热水系统
KR100435904B1 (ko) 전자 보일러
KR100422411B1 (ko) 히팅유 화석에너지를 이용한 온수난방겸용 저탕식심야전기보일러
CN211650423U (zh) 一种多能互补供热装置
CN204063259U (zh) 一种节能热风炉
CN2445217Y (zh) 高效介质传热超导管半气化家用炉
CN2844735Y (zh) 真空超导集热式电采暖器(壁挂炉)
CN209978077U (zh) 一种锅炉热能回收利用装置
KR200221437Y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식 전기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