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258Y1 -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 - Google Patents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258Y1
KR200180258Y1 KR2019990023777U KR19990023777U KR200180258Y1 KR 200180258 Y1 KR200180258 Y1 KR 200180258Y1 KR 2019990023777 U KR2019990023777 U KR 2019990023777U KR 19990023777 U KR19990023777 U KR 19990023777U KR 200180258 Y1 KR200180258 Y1 KR 200180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receiving portion
head receiving
window
gl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훈
Original Assignee
오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훈 filed Critical 오성훈
Priority to KR2019990023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2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2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Landscapes

  • Glov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크라운형상의 두부수용부(1) 및 그에 고정되는 창부(10)를 가지고, 소정의 폭(T)을 가지고 창부(10)와 두부수용부(1)의 접합부에서 고정되어 출발하여 창부(10)의 반대측단부에서 고정되는 개략 역 V형상의 한쌍의 글로브밴드(20,30), 상기 두부수용부(1)의 내방측 단부연에 고정되는 합성수지재의 밴드체인 보강스트립(40)를 더 포함하는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는 창부(10)와 두부수용부(1)의 결합부 사이에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창부(10)와 두부수용부(1) 사이에 박음질되는 절첩된 보강륜(50)으로서, 상기 보강륜(50)은, 가죽, 합성수지재연피등을 절첩하여 구성한 것등을 특징으로 하여;
본고안의 모자는 보강된 결합강도를 가지는 구성으로서 통상적인 착용상태에서 글로브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함으로서 휴대성및 편의성을 증대하고 각종의 홍보물로서도 그 효과가 높다.

Description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Wearable cap usable for the globe}
본고안은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운동경기용이나 햇빛차단, 모발보호등의 목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모자중에서, 통상적으로 전방에 창을 가지고 크라운형태의 두부수용부를 가지는 소위 캡에 적용되어 다양한 구기운동에서의 글로브로서 사용하게 하는 구성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야구경기등의 구기경기등에서 캡 형상의 모자가 널리 애용되고 있으며 본고안은 그러한 모자에 적용하여 글로브로서 사용할 수있게 한다.
통상적인 구기경기의 애호가중, 공원이나 휴양지등에서 아이들과 함께 가벼운 캐치볼등을 즐기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 정식의 가죽제의 글로브를 휴대하게 되지만 그 무게 및 부피가 상당하여 사용효과에 대한 휴대의 효용성이 낮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고안의 모자는 이러한 종래로부터의 필요성 및 정식적인 글로브의 휴대의 불편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캡 형상의 모자에 구현하여 휴대 및 사용이 극히 간편하게 하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캡에 글로브를 구현한 것은 기히 미국특허4,768,232호, 4,829,600호, 4,628,543호등에 유사한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대부분 크라운부에 글로브를 형성하여 수용하는 것으로서 실제적인 사용과 미관이 양호하지 않고 그 제작의 경비가 높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고안의 모자는 상기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서 그 작용효과가 높은 구성의 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고안인은 기히 1997 년 7 월 15 일자로 실용신안 출원 제 19117 호로서 글럽겸용 창모자를 안출하여 출원한 바있고 본고안은 그러한 고안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의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는 통상적인 모자의 구성에 부가하여 글로브로서 사용하게 하는 구성적인 내용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고안이 적용된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 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 은 도 1 의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4 는 본고안이 적용된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의 사용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 는 본고안이 적용된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의 구성변형의 일실시예의 파절사시도.
도 6 은 본고안이 적용된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의 구성변형의 다른 실시예의 파절사시도.
도 7 은 본고안이 적용된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의 구성변형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파절사시도.
도 8 은 본고안이 적용된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의 구성변형의 타 실시예의 파절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두부수용부
10: 창부
20,30: 글로브밴
40: 강도보강재
상기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의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는 종래 구성에 부가하여 강도를 개선한 구성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의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는;
크라운형상의 두부수용부및 그에 고정되는 창부를 가지고, 소정의 폭을 가지고 창부와 두부수용부의 접합부에서 고정되어 출발하여 창부의 반대측단부에서 고정되는 개략 역 V형상의 한쌍의 글로브밴드, 상기 두부수용부의 내방측 단부연에 고정되는 합성수지재의 밴드체인 강도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는 창부와 두부수용부의 결합부 사이에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창부와 두부수용부 사이에 박음질되는 절첩된 보강륜으로서,
상기 보강륜(50)은, 가죽, 합성수지재연피등을 절첩하여 구성한 것등을 특징으로 한다.
본고안의 모자는 보강된 결합강도를 가지는 구성으로서 통상적인 착용상태에서 글로브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함으로서 휴대성및 편의성을 증대하고 각종의 홍보물로서도 그 효과가 높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고안의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의 구성과 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고안이 적용된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 은 도 1 의 A-A 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 은 도 1 의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4 는 본고안이 적용된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의 사용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내지 8 은 본고안이 적용된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의 구성변형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파절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우선 상기 선출원의 내용을 간략하게 개시한다.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캡에 구현된 본고안의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G)는 크라운(Crown)형상의 두부수용부(1)와 이 두부수용부(1)에 통상적인 봉직 또는 재봉질에 의하여 연결되는 창부(10)를 가진다.
창부(10)는 내방에 판상강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보강판재(11)를 더 구비하고 외방으로 직물이 피복된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구성의 캡에 있어서 본고안은 글로브를 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글로브밴드(20,30)를 더 가진다.
글로브밴드(20,30)는 도시하는 바와같이 창부(10)와 두부수용부(1)의 접합부의 중앙에서 함께 출발하여 창부(10)의 단부로 감에 따라서 벌어져 그 형상이 개략 역 V 자를 구성하게 된다.
글로브밴드(20,30)의 창부(10)와 두부수용부(1)의 출발단부는 창부(10)와 두부수용부(1)를 구성하는 피복재 사이에서 함께 재봉질되어 고정되고 글로브밴드(20,30)의 타단부는 창부(10)의 단부에서 꺽여져 창부(10)의 반대단측에서 역시 재봉박음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글로브밴드(20,30)는 상당한 정도의 폭을 가지게 함으로서 강도를 부여하고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등으로 구성하거나 내방의 고무밴드를 혼합하여 직조함으로서 약간의 탄성을 부여한 소재로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고안의 모자의 각부재를 재봉함에 사용되는 실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2중연사대신 3중이상의 연사를 사용하는 것이 강도보강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의 글로브밴드(20,30)의 중간부에 조절선부(20',30')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이는 모자의 크기 또는 사용연령에 따라서 글로브밴드(20,30)와 창부(10) 사이에 삽입되는 손가락(F,F')의 크기를 감안하여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두부수용부(1)의 내방 단부측을 따라서 개략 원형상으로 단부를 마감함에 있어서 강도보강부재(40)를 더 수용하여 박음질을 행하는 것이 좋고 이 강도보강부재(40)는 어느정도 두께를 가지는 합성수지 사출체의 밴드로서 구성하게 된다.
또 다른 구성으로서는 3 도에서와 같이, 글로브밴드(20,30)의 단부(20',30')에 벨크로테이프(40,40')등을 부착하고 이에 대응하는 창부(10)의 저면부에도 벨크로테이프(41')를 부착하여 착탈가능한 방식으로 하여 길이를 임의 조절하여도 좋다.
상기하는 구성의 본고안이 적용되는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의 사용방법이 도 4 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원의 구성과 작용은 대부분이 만족할 만한 것이지만 반복적인 사용과 실험결과 상당한 속도의 공을 받을 경우, 상기의 창부(10)와 두부수용부(1)의 결합선부(G)에서의 파단이 발생하거나 재봉사가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어 수명이 단축되는 결함이 발견되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고안에서는 상기하는 창부(10)와 두부수용부(1)의 결합상태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출된 제안은 창부(10)와 두부수용부(1)를 재봉사(S)로서 박음질하여 결합함에 있어서, 절첩된 띠형상의 보강륜(50)을 덧대어 박음질함으로서 결합강도를 대폭 증대할 수있다. 상기의 보강륜(50)은 통상적인 가죽, 합성수지재연피등을 절첩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창부(10)와 두부수용부(1)의 결합부분 뿐만아니라 두부수용부(1)의 내륜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 6 에 또 다른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창부(10)와 두부수용부(1)를 결합하는 재봉사(S)로서 박음질함에 있어서 두부수용부(1)의 창부(10)의 결합부분에 두부수용부(1)의 전면을 수용하는 보강판재(60)를 함께 박음질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의 보강판재(60)는 역시 가죽, 합성수지연피등을 복층으로 구성한 것을 사용할 수있고 판상의 부재로서 재단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서 본고안의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로서 공을 받을 경우, 대부분의 충격이 보강판재(60)에 가해지고 따라서 접합부에서의 결합강도는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7 에 도시되는 또 다른 구성은 두부수용부(1)와 창부(10)의 결합선부를 걸쳐 연장하는 두부수용부(1)의 내방양측에 역시 보강스트립(70)을 스트립형상으로 재단하여 리벳(71)으로서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두부수용부(1)와 창부(10)는 보강된 결합강도를 가질 수있다.
도 8 에서는 도 5 와 유사하지만 두부수용부(1)의 내방내륜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원형상으로 형성된 보강스트립(80)을 리벳(81) 또는 재봉사로서 박음질하여 강도를 보강한 것이다.
상기하는 구성에 의하여 창부(10)와 두부수용부(1)의 결합선부는 보강되는 강도를 가지게 되고 반복적인 캐치볼시의 충격을 상당히 흡수 또는 완충할 수있게 됨으로서 종래와 같이 창부(10)와 두부수용부(1)의 단순한 박음질연결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게 한다.
이상과 같은 본고안의 모자는 보강된 결합강도를 가지는 구성으로서 통상적인 착용상태에서 글로브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함으로서 휴대성 및 편의성을 증대하고 각종의 홍보물로서도 그 효과가 높다

Claims (5)

  1. 크라운형상의 두부수용부(1) 및 그에 고정되는 창부(10)를 가지고, 소정의 폭(T)을 가지고 창부(10)와 두부수용부(1)의 접합부에서 고정되어 출발하여 창부(10)의 반대측단부에서 고정되는 개략 역 V형상의 한쌍의 글로브밴드(20,30), 상기 두부수용부(1)의 내방측 단부연에 고정되는 합성수지재의 밴드체인 보강스트립(40)를 더 포함하는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는 창부(10)와 두부수용부(1)의 결합부 사이에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창부(10)와 두부수용부(1) 사이에 박음질되는 절첩된 보강륜(50)으로서, 상기 보강륜(50)은, 가죽, 합성수지재연피등을 절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창부(10)와 두부수용부(1) 의 결합부분에 두부수용부(1)의 전면을 수용하는 면적이며 가죽, 합성수지연피등의 보강판재(60)를 함께 박음질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창부(10)와 두부수용부(1);
    상기 두부수용부(1)와 창부(10)의 결합선부를 걸쳐 연장하는 가죽, 합성수지연피등의 보강스트립(70)을 스트립형상으로 재단하여 리벳(71)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창부(10)와 두부수용부(1)의 결합부를 따라 상기 두부수용부(1)의 내방내륜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형성된 보강스트립(80)을 리벳(81) 내지 재봉사로서 박음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
KR2019990023777U 1999-11-02 1999-11-02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 KR200180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777U KR200180258Y1 (ko) 1999-11-02 1999-11-02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777U KR200180258Y1 (ko) 1999-11-02 1999-11-02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258Y1 true KR200180258Y1 (ko) 2000-05-01

Family

ID=1959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777U KR200180258Y1 (ko) 1999-11-02 1999-11-02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2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8188B2 (en) Headband with a 360-degree elastic outside portion joined with a 360-degree velvet inside lining
US5826277A (en) Sweat band
US5594956A (en) Head bandanna having a headband with closure tabs
US5845339A (en) Collapsible visor or cap
US5038412A (en) Headband with earmuffs
US4549316A (en) Foldable hat
US7020900B2 (en) Elastically retained hat and band
US4556993A (en) Convertible sunvisor cap
US7716750B2 (en) Necktie
US4850053A (en) Glove
US7882713B2 (en) Length-ways stretchable elastic band
US7117542B2 (en) Headwear and sweatband with stretch stitch line
KR200180258Y1 (ko) 구기 글로브겸용 모자
US20050132469A1 (en) Cap
US20060010567A1 (en) Headwear
ITVE990024U1 (it) Tuta elastica, particolarmente per motociclista.
JPH08252341A (ja) 球技用ボール
US20090260130A1 (en) Stretchable sweatband with seaming portion and stretchable cap using the same
JPH0435388Y2 (ko)
KR200459935Y1 (ko) 소프트 캐치볼
US20050235395A1 (en) Cap having a visor with soft inner edge
KR102528551B1 (ko) 쉽게 벗겨지지 않는 모자 및 그 제조방법
JPH1088410A (ja) 手 袋
JP5406066B2 (ja) 帽子
KR200192310Y1 (ko) 분리형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