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591Y1 - 도계용 케이지 세척설비의 물분사노즐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도계용 케이지 세척설비의 물분사노즐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591Y1
KR200179591Y1 KR2019980004102U KR19980004102U KR200179591Y1 KR 200179591 Y1 KR200179591 Y1 KR 200179591Y1 KR 2019980004102 U KR2019980004102 U KR 2019980004102U KR 19980004102 U KR19980004102 U KR 19980004102U KR 200179591 Y1 KR200179591 Y1 KR 200179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water
driving
water spray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507U (ko
Inventor
진옥림
Original Assignee
진옥림
주식회사대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옥림, 주식회사대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진옥림
Priority to KR2019980004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59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45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5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5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계용 케이지 세척설비의 물분사노즐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물분사노즐이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지가 컨베이어를 타고 상기 물분사노즐 사이를 지나는 식으로 물세척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어 수압상승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시간당 물소비량이 많아 물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수의 물분사노즐이 내향 설치된 급수관의 상부측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전후구동체와; 상기 전후구동체의 양측을 지지하면서 전후구동체의 전후 구동을 안내하는 구동안내부와; 상기 급수관을 전후구동체의 하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전후구동체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전후구동체를 상기 구동안내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를 전후구동체에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함으로써 수압상승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불필요하고, 또한 시간당 물소비량이 적어 물의 낭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계용 케이지 세척설비의 물분사노즐 구동장치
본 고안은 양계장의 닭들을 도살장으로 운반할 때 사용되는 도계용 케이지를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자동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도계용 케이지의 세척 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케이지에 물을 분사시켜 세척하는 물분사노즐을 전후 직선왕복운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도계용 케이지 세척설비의 물분사노즐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계(屠鷄)는 양계장에서 수마리의 닭들을 망으로 엮어진 함체 상의 케이지에 가두어 상기 케이지를 차량으로 도살장까지 운반한 뒤, 케이지의 닭들을 도살장에 모두 쏟아부어 도살하고, 상기 케이지는 도살장에 설치된 도계용 케이지의 세척 설비에 의해서 재사용 가능하게 세척된다. 상기 도계용 케이지의 세척 설비에 의한 공정은 크게 케이지에 물을 분사시켜 세척하는 물세척공정과, 케이지에 잔존하는 물기를 건조시키는 건조공정, 그리고 케이지에 약품을 살포하는 약품처리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각 공정은 함체로 된 케이지세척실 내부에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도계용 케이지 세척 설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케이지세척실(1) 내부에는 물세척장치(2) 및 건조장치(3)와 약품처리장치(4)가 컨베이어(5)에 의해 이송되는 케이지(6)의 진행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케이지(6)가 케이지세척실(1)을 터널식으로 지나면서 자동 세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지(6)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케이지세척실(1)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는 실린더(7)(7A)의 작동에 의해서 개폐되는 도어(8)(8A)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7)(7A)는 케이지(6)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세척장치(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지(6)가 사이로 지나가도록 문형으로 파이프를 벤딩 가공한 급수관(2A)의 상부 및 좌.우 내측부에 수개의 물분사노즐(2B)을 간격을 두고 내향 설치한 구조로서 케이지세척실(1) 내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급수관(2A)은 케이지세척실(1) 외부에 설치된 펌프(2C)와 호스(2D)로 연결되어 상기 펌프(2C)의 작동에 의해서 케이지세척실(1) 하부측 저수조(9)의 물을 강제순환식으로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지세척실(1)과 저수조(9) 사이에는 세척수를 배수구(10) 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경사면을 이룬 배수유로(11)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10)에는 세척수에 포함된 닭털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10A)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10A)를 통과한 세척수는 다시 케이지세척실(1) 하부측 저수조(9)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건조장치(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지세척실(1) 일측부에 설치된 송풍기(3A)에 케이지세척실(1) 내부 양측으로 송풍덕트(3B)를 연결하여 상기 송풍기(3A)의 송풍력으로 송풍덕트(3B) 사이를 지나는 케이지(6)를 건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송풍덕트(3B)의 단부측에는 바람이 나오는 토출구(3C)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장치(3)의 후방측에 설치된 약품처리장치(4)는 상기 물세척장치(2)와 마찬가지로 파이프에 노즐 또는 구멍을 뚫어 약품을 케이지(6)에 분사시키는 식으로 살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계용 케이지의 세척설비는 급수관에 다수 설치된 물분사노즐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물분사노즐 사이로 케이지가 컨베이어를 타고 지나가면서 물세척이 이루어지므로 순간 세척효율 증대를 위한 수압상승이 요구될 수 밖에 없고,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높은 수압으로 물세척을 하면 시간당 물소비량이 많아 물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고,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비용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압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장치 없이 물의 낭비를 줄이면서 케이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계용 세척설비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도계용 세척설비의 좌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급수관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물분사노즐을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고정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케이지세척실 1A : 상판
2 : 물세척장치 2A : 급수관
2B : 물분사노즐 2C : 펌프
2D : 호스 3 : 건조장치
3A : 송풍기 3B : 송풍덕트
3C : 토출구 4 : 약품처리장치
5 : 컨베이어 6 : 케이지
7,7A,18 : 실린더 8,8A : 도어
9 : 저수조 10 : 배수구
10A : 필터 11 : 배수유로
12 : 전후구동체 13,13A : 고정브라켓트
14 : 수평축 14A : 수직축
15 : 보강대 16 : 고정부
16A : 사각편 16B : 고정편
16C : 관통공 16D : 체결공
17 : 구동안내부 17A,17B : 구동안내레일
17C : 구동안내롤러 17D : 구동롤러
18A : 실린더 로드 19 : 연결부
19A : 연결편 19B : 결합공
19C : 핀 20 : 슬라이드공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물분사노즐이 내향 설치된 급수관의 상부측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전후구동체와; 상기 전후구동체의 양측을 지지하면서 전후구동체의 전후 구동을 안내하는 구동안내부와; 상기 급수관을 전후구동체의 하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전후구동체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전후구동체를 상기 구동안내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를 전후구동체에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도계용 케이지 세척설비의 물분사노즐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구동안내부는 케이지세척실 내의 상부 양측에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구동안내레일을 설치하고, 전후구동체의 양측부 고정브라켓트 외측면 전후방측에는 상기 구동안내레일을 따라 구름접촉되는 구동안내롤러 및 구동롤러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도계용 세척설비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및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급수관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물분사노즐을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고정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 도계용 케이지 세척설비는 통상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지세척실(1) 내부에 물세척장치(2) 및 건조장치(3)와 약품처리장치(4)가 컨베이어(5)에 의해 이송되는 케이지(6)의 진행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지(6)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케이지세척실(1)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는 실린더(7)(7A)의 작동에 의해서 개폐되는 도어(8)(8A)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7)(7A)는 케이지(6)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물세척장치(2)는 케이지(6)가 사이로 지나가도록 문형으로 파이프를 벤딩 가공한 급수관(2A)의 상부 및 좌.우 내측부에 수개의 물분사노즐(2B)을 간격을 두고 내향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급수관(2A)은 케이지세척실(1) 외부에 설치된 펌프(2C)와 호스(2D)로 연결되어 상기 펌프(2C)의 작동에 의해서 케이지세척실(1) 하부측 저수조(9)의 물을 강제순환식으로 공급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케이지세척실(1)과 저수조(9) 사이에는 세척수를 배수구(10) 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경사면을 이룬 배수유로(1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10)에는 세척수에 포함된 닭털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10A)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10A)를 통과한 세척수는 다시 케이지세척실(1) 하부측 저수조(9)로 유입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도계용 케이지의 세척설비에 있어,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급수관(2A)의 직상부에 전후구동체(12)가 설치된다. 상기 전후구동체(12)는 케이지세척실(1)의 폭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사각함체 형상으로 양측에 사각판체 형상의 고정브라켓트(13)(13A)가 구비되고, 전후구동체(12)는 상기 고정브라켓트(13)(13A) 사이의 중간부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전후구동체(12)와 고정브라켓트(13)(13A)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지지하는 보강대(15)가 설치된다. 그리고 다수의 물분사노즐(2B)이 간격을 두고 내향 설치된 급수관(2A)은 고정부(16)에 의해서 상기 전후구동체(12)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1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구동체(12)의 하부면에 스크류 체결되는 사각편(16A)에 대해서 중앙부에 관통공(16C)을 갖는 고정편(16B)이 직각을 이루게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6)의 사각편(16A) 모서리부분 4개소에는 체결공(16D)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6C)은 급수관(2A)이 삽입 및 관통될 수 있도록 동일 내지는 다소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와함께 전후구동체(12)의 양측부에는 상기 전후구동체(12)의 전후 구동을 안내하는 구동안내부(17)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안내부(17)는 케이지세척실(1) 내의 상부 양측에 한 쌍의 구동안내레일(17A)(17B)을 상호 대향되게 설치하고, 전후구동체(12)의 양측 고정브라켓트(13)(13A)의 외측면에는 상기 구동안내레일(17A)(17B)을 따라 구름접촉되는 구동안내롤러(17C) 및 구동롤러(17D)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안내롤러(17C)는 구동안내레일(17A)(17B)의 위.아래쪽 면을 따라 구름접촉하도록 고정브라켓트(13)(13A)의 수평축(14)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17D)는 구동안내레일(17A)(17B)의 측면부를 따라 구름접촉하도록 고정브라켓트(13)(13A)의 수직축(14A)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전후구동체(12)의 후방측 케이지세척실(1) 상판 위의 중간부에는 상기 전후구동체(12)를 직선왕복운동으로 구동안내레일(17A)(17B)을 따라 구동시키는 실린더(18)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18)는 연결부(19)에 의해서 전후구동체(12)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9)는 전후구동체(12)의 상면 중간부에 핀공(도시되지 않음)을 갖는 연결편(19A)을 전후구동체(12)의 상면에 대해서 직각방향으로 일체로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18)의 로드(18A) 단부측에는 상기 연결편(19A)의 핀공과 일치되는 결합공(19B)을 형성하여 상호 핀(19C)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8)와 전후구동체(12) 사이의 상판(1A)에는 상기 전후구동체(12)의 직선왕복운동시 전후구동체(12)의 연결편(19A)이 상판(1A)에 대해서 간섭받지 않도록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슬라이드공(20)이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양계장에서 닭을 가둔 상태로 도계장으로 운반되어 온 케이지(6)는 닭들을 도계장에 쏟아 부은 뒤, 컨베이어를 타고 케이지세척실(1)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지(6)가 케이지세척실(1)의 전면부 도어(8) 측에 도달하면 상기 케이지세척실(1)에 설치된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이를 감지하여 실린더(7)에 작동신호를 보내게 되고, 케이지세척실(1)의 전면부 도어(8)는 상기 실린더(7)의 작동에 의해서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지(6)는 케이지세척실(1) 내부로 컨베이어(5)를 타고 이송되면서 물세척공정 및 건조공정과 약품처리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본 고안의 가장 특징적인 것은 물세척공정시 케이지(6)가 일시적으로 멈춘 상태에서 물을 분사시키는 물분사노즐(2B)이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케이지(6)를 물세척하는데 있는 것으로, 참고로 종래에는 물분사노즐(2B)이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지(6)가 컨베이어(5)를 타고 상기 물분사노즐(2B) 사이를 지나가면서 물세척되도록 하였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베이어(5)를 타고 케이지세척실(1) 내부로 이송된 케이지(6)는 다수의 물분사노즐(2B)이 간격을 두고 내향 설치된 급수관(2A) 측에서 일시적으로 멈추게 된다. 그리고 케이지세척실(1) 상판 위에 설치된 실린더(18)가 작동하면서 로드(18A)를 직선왕복으로 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연결부(19)에 의해서 상기 실린더(18)의 로드(18A)와 연결된 전후구동체(12) 및 상기 전후구동체(12)의 하부면에 고정부(16)로 고정된 급수관(2A)도 함께 직선왕복운동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급수관(2A)에 다수 설치된 물분사노즐(2B)도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일시적으로 멈춘 케이지(6)에 물을 분사시켜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함께 상기 전후구동체(12)의 양측부 고정브라켓트(13)(13A) 외측면에 설치된 구동안내부(17)의 구동안내롤러(17C) 및 구동롤러(17D)는 케이지세척실(1) 내의 상부 양측에 대향 설치된 한 쌍의 구동안내레일(17A)(17B)을 따라 구름접촉되면서 전후구동체(12)의 전후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전후구동체(12)를 보다 원활하게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일정시간 동안 물분사노즐(2B)에 의한 물세척공정을 마친 후에는 컨베이어(5)가 다시 작동되어 케이지(6)를 계속해서 다음 공정, 즉 건조공정을 위해서 건조장치(3) 측으로 이송시키게 되고, 상기 건조장치(3)를 지나는 동안 케이지(6)에 잔존하는 물기는 제거되는 것이다. 그리고 건조된 케이지(6)는 컨베이어(5)를 타고 계속 이송되면서 약품처리장치(4)를 거치는 동안 살포된 약품에 의해서 약품처리되고, 이와동시에 케이지세척실(1)에 설치된 감지센서의 작동신호에 따른 실린더(7A)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케이지세척실(1)의 후면부 도어(8A)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지(6)는 세척완료된 상태로 케이지세척실(1) 외부로 방출되고, 이 방출된 케이지(6)는 다시 대기중인 차량에 탑재되어 양계장으로 운반되어짐으로써 일련의 세척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지가 일시적으로 멈춘 상태에서 물분사노즐을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켜 물세척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물분사노즐은 고정되고 케이지가 컨베이어를 타고 상기 물분사노즐 사이를 지나면서 물세척되도록 한 방식에 비해 보다 낮은 수압으로도 케이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당 물소비량이 적어 물낭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기존의 수압상승을 위한 목적으로 별도로 설치되는 장치가 불필요함으로써 설비의 단순화 및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다수의 물분사노즐(2B)이 내향 설치된 급수관(2A)의 상부측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전후구동체(12)와; 상기 전후구동체(12)의 양측을 지지하면서 전후구동체의 전후 구동을 안내하는 구동안내부(17)와; 상기 급수관(2A)을 전후구동체(12)의 하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6)와; 상기 전후구동체(12)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전후구동체(12)를 상기 구동안내부(17)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실린더(18)와; 상기 실린더(18)의 로드(18A)를 전후구동체(12)에 연결하는 연결부(1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도계용 케이지 세척설비의 물분사노즐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안내부(17)는 케이지세척실(1) 내의 상부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한 쌍의 구동안내레일(17A)(17B)을 설치하고, 전후구동체(12)의 양측부 고정브라켓트(13)(13A) 외측면 전후방측에는 상기 구동안내레일(17A)(17B)을 따라 구름접촉되는 구동안내롤러(17C) 및 구동롤러(17D)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도계용 케이지 세척설비의 물분사노즐 구동장치.
KR2019980004102U 1998-03-19 1998-03-19 도계용 케이지 세척설비의 물분사노즐 구동장치 KR200179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102U KR200179591Y1 (ko) 1998-03-19 1998-03-19 도계용 케이지 세척설비의 물분사노즐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102U KR200179591Y1 (ko) 1998-03-19 1998-03-19 도계용 케이지 세척설비의 물분사노즐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507U KR19980014507U (ko) 1998-06-05
KR200179591Y1 true KR200179591Y1 (ko) 2000-05-01

Family

ID=19532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102U KR200179591Y1 (ko) 1998-03-19 1998-03-19 도계용 케이지 세척설비의 물분사노즐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5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507U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2961B (zh) 增进清洗效率的通道式洗涤机系统
ITMI20100443A1 (it) Macchina di lavaggio
KR200179591Y1 (ko) 도계용 케이지 세척설비의 물분사노즐 구동장치
KR100192127B1 (ko) 돈육의 세척,살균 시스템
KR100813604B1 (ko) 자동세척장치
KR200428189Y1 (ko) 오일 세척장치
KR101134484B1 (ko) 팔레트 자동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JP3175858B2 (ja) 産業用クリーニング装置
EP1094146A1 (de) Reinigungsmaschine für Auslegeware
KR100382318B1 (ko) 스프레이노즐 청소를 겸한 스트립 솔트용액 세척장치
CN211969385U (zh) 一种水泥运输车辆全方位清洗风干设备
CN108144903A (zh) 一种医疗器械批量清洗消毒及干燥设备
KR101588437B1 (ko) 압축공기 혼합식 에어필터 세정장치
CN105921461A (zh) 一种玻璃清洗设备
CN106140685A (zh) 一种往复式自动除污装置
KR19980014508U (ko) 도계용 케이지 세척 설비의 필터링장치
DE3729608C1 (en) Continuous-flow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for mattresses
KR20000014399A (ko) 부품 자동세척기
JP3683955B2 (ja) ケージ洗浄機
CN219877161U (zh) 一种畜牧兽医清洗装置
CN219785912U (zh) 一种牧场用犊牛饲喂奶桶自动清洗机
JP2005144430A (ja) 洗浄装置
CN220295329U (zh) 一种双柜式自动洗鼠笼机
CA2052465C (en) Washing system for long fabric strip
JP3175855B2 (ja) 産業用クリー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