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168Y1 - 화재감지기커버 개폐기구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기커버 개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168Y1
KR200179168Y1 KR2019990024041U KR19990024041U KR200179168Y1 KR 200179168 Y1 KR200179168 Y1 KR 200179168Y1 KR 2019990024041 U KR2019990024041 U KR 2019990024041U KR 19990024041 U KR19990024041 U KR 19990024041U KR 200179168 Y1 KR200179168 Y1 KR 200179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or
opening
support
cov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삼기
Original Assignee
윤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삼기 filed Critical 윤삼기
Priority to KR2019990024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1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1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수단 없이도 용이하게 화재감지기의 뚜껑을 개폐하여 작동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기의 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은, 화재감지기의 커버와 끼워맞춤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의 개폐수단을 가지는 몸체부와, 하단에 손잡이부가 마련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기다란 지지대와, 지지대와 몸체가 착탈될 수 있도록 지지대의 상단과 몸체의 저부에 걸쳐 형성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여러 종류의 화재감지기에 적용하기 위해 몸체의 결합부는 그 형상이 변화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각기 다른 결합부를 가지는 몇 개의 몸체를 특정의 화재감지기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감지기커버 개폐기구{Releasing apparatus for the cover of fire detector}
본 고안은 건물의 천정에 부착되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다리와 같은 보조수단 없이도 용이하게 화재감지기의 뚜껑을 개폐하여 작동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기의 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의 천정에는 화재의 발생시 신속한 진압을 위한 다수의 화재감지기가 설치된다. 일반적인 화재감지기는 천정면에 고정되는 몸체와, 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열을 감지하는 센싱수단과, 몸체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작업자는 화재감지기의 소제 점검을 위하여 사다리와 같은 소정의 받침수단을 이용하여 딛고 올라서서 감지기의 커버를 분리한후, 소제 점검작업에 임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요구되며, 대형건물인 경우에는 사다리를 들고 각 층마다 옮겨 다니며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이 상당하게 된다.
특히, 주차장, 실내 경기장, 또는 공장시설과 같이 그 높이가 예를 들어 10m 이상의 높은 곳에 설치된 화재감지기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를 들어 올릴 수 있는 리프터가 구비된 특장차량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에 소요되는 자원의 낭비가 더욱 심하였다.
이에 본 고안의 주요한 목적은, 화재감지기의 점검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상당한 높이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의 소제 점검을 특수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한 화재감지기의 개폐 내지 점검수단은 용이하게 휴대가 가능하도록 소형 경량일 것이 요구되며; 사용이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널리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여러 형상의 화재감지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a, b, c는 화재감지기커버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화재감지기(1a,1b,1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의 형태를 가진다. 또한 그의 커버에도 단순한 원형홈(2a,2b,2c)인 경우, 돌출편(4)인 경우, 또는 직방형홈
(6)인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는 화재감지기의 개폐를 위해서는 개페수단의 형상변형이 가능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개폐 및 점검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화재감지기 커버의 개폐수단을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
도 3은 화재감지기 커버의 개폐수단인 몸체(10)의 평면도.
도 4는 화재감지기 개폐수단에 의한 사용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a,b,c는 각기 다른 종류의 커버를 가지는 화재감지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10 ; 몸체 30 ; 지지대
40 ; 연결구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은, 화재감지기의 커버와 끼워맞춤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의 개폐수단과; 하단에 손잡이부가 마련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기다란 지지대와, 지지대와 몸체가 착탈될 수 있도록 지지대의 상단과 몸체의 저부에 걸쳐 형성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여러 종류의 화재감지기에 적용하기 위해 몸체의 요철부는 그 형상이 변화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각기 다른 결합부를 가지는 몇 개의 몸체를 특정의 화재감지기에 선택적으로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 99-20208호 및 제 99-20209호에 개시된 사항에 대한 개선을 제시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b는 연결구(4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화재감지기 커버의 개폐수단을 도시하는 일부 확대사시도이다.
몸체(10)는 제 1 걸림구(20)를 끼워 고정하도록 내주를 따라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트랙 형상의 다수의 걸림구고정홈(12)을 가진다.
걸림구(20)는 T자 형상의 블럭으로서, 제 1 걸림구고정홈(12, 도 3참조)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단(22)과 몸체의 내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돌출단(24)으로 구성된다.
몸체(10)는 외측벽에 원주방향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 2 걸림구고정홈(16)을 가진다. 제 2 걸림구(20')는 제 2 걸림구고정홈(16)을 통해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걸림구(20)과 제 2 걸림구(20')는 동일한 형상의 것이 병용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용특성에 맞도록 다르게 제공될 수도 있다(그러므로, 이하에서는 걸림구(20)라고 통일하여 칭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걸림구(20)는 종방향 즉, 몸체의 상방향을 통해 끼워져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선택적으로 횡방향 즉, 몸체의 측부를 통해 끼워질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걸림구(20)는 몸체의 측벽을 통해 인입되는 경우에, 몸체의 저면을 통해 섭입되는 고정나사(18)에 의해 소정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걸림구의 섭입되는 깊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각각의 걸림구(20)는 일측면에 돌봉(28)이 나사결합되는 나사홈(26)을 가진다. 돌봉(28)은 1개의 걸림구에 고정된 위치에 1개씩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단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걸림구(20)의 일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화재감지기 커버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지지대(30',30')는 연결구(40)에 의해 연결된다.
하단지지대(30')는 원통형상의 연결구(40)의 하부를 통해 끼워져 고정되며, 상단지지대(30')는 그의 상단부를 통해 끼워진다. 압착판(42)은 회전손잡이(44)의 회전에 의해 연결구의 측부를 통해 전후이동된다. 압착판이 연결구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단지지대를 압착하게 되면, 각각의 지지대(30',30')는 펼쳐진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몸체(10)와 지지대(30)의 착탈결합을 위한 결합구(31)는 지지대의 상단에 제공된다. 결합구(31)는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대칭되는 두 개의 탄성편(32)을 가진다. 탄성편(32)은 상단에 몸체(10)의 저면에 대칭형성되는 장방형의 홈(14, 도 3참조)에 끼워져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요철부(33)가 형성된다. 탄성편(32)의 탄성력은 플라스틱 재질의 특성 내지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발생된다. 즉, 작업자는 앙력으로 양 탄성편(32)을 누른 상태에서 요철부(33)를 몸체의 홈(14)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은 몸체(20)와 지지대(3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다. 결합구(31)는 지지대와 일체로 제공되거나, 또는 관통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몸체(10)의 평면도로서, 특히 걸림구(20)가 몸체의 측방으로 통해 인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4는 화재감지기 개폐수단에 의한 사용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걸림구(20)는 요구되는 깊이로 인입된 후, 고정나사(18, 도 1참조)에 의해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즉, 작업자는 걸림구(20)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고정한후, 화재감지기의 커버에 형성되는 홈 또는 돌출편(도 6의 도면부호 4 또는 6 참조) 가운데 2곳 이상에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커버를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화재감지기의 커버(1)와 끼워맞춤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의 내부틀(100)과, 내부틀을 고정하는 몸체(110), 외부틀과 결합되는 기다란 지지대(30)를 포함한다.
내부틀의 상판(102)은 몸체(110)의 상단에 안착되며, 원통부(106)의 측벽에 세로방향으로 고정된 지지판(104)은 몸체(110)의 내측벽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트랙(112)에 각각 끼워진다.
내부틀의 원통부(106) 상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108)이 형성된다. 상기 홈에는 2개 이상의 착탈가능한 돌봉(114)이 직립되도록 결합한다.
원통부(106)와 상판(102)을 연결하는 지지편(104)은 중심부를 향해 경사형성되는 사면에 걸림편(111)을 부가적으로 가진다. 걸림편(111)은 화재감지기의 커버에 형성되는 홈 또는 요철부(도 6 참조)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커버가 열릴 수 있도록 한다.
그외의 사항은 상기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모든 실시예에 의한 개폐기구는 여러가지 형태로 조합 또는 조정이 가능하여, 단일제품으로 수종류의 화재감지기커버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작업자는 소정의 기구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어 여러 곳에 설치되는 화재감지기의 점검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제작상의 편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된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들이 취사선택될 수 있다. 본 기구는 사용이 편리하며, 플라스틱류의 재질이 금형에 의해 제작되므로 가격이 저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널리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재감지기와의 결합부를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변경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이다.

Claims (3)

  1. 화재감지기의 커버와 끼워맞춤방식으로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함에 의해 상기 화재감지기의 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가지는 원통형 몸체와;
    하단에 손잡이부가 마련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상기 몸체의 탈착을 위해 상기 지지대의 상단과 몸체의 저부에 걸쳐 형성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커버 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몸체의 측벽 외주를 따라 관통되는 다수의 홈과; 상기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몸체의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를 고정하도록 상기 몸체의 저면을 관통해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걸림구를 압착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커버 개폐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의 상면에 형성되는 홈과; 하부가 상기 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부는 상방향을 향하여 직립되는 돌봉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커버 개폐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몸체의 내측벽에 세로방향으로 2곳 이상에 형성되는 트랙과; 상기 트랙에 끼워져 결합되며, 하부가 상기 원통형 내부틀의 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부는 상방향을 향하여 착탈가능하게 직립정될 수 있는 돌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커버 개폐기구.
KR2019990024041U 1999-11-04 1999-11-04 화재감지기커버 개폐기구 KR200179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041U KR200179168Y1 (ko) 1999-11-04 1999-11-04 화재감지기커버 개폐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041U KR200179168Y1 (ko) 1999-11-04 1999-11-04 화재감지기커버 개폐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168Y1 true KR200179168Y1 (ko) 2000-04-15

Family

ID=1959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041U KR200179168Y1 (ko) 1999-11-04 1999-11-04 화재감지기커버 개폐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1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117B1 (ko) 2006-11-10 2008-10-09 우영석 연기식 화재감지기
KR101098326B1 (ko) 2009-07-10 2011-12-26 주식회사 세원하이텍 화재 감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117B1 (ko) 2006-11-10 2008-10-09 우영석 연기식 화재감지기
KR101098326B1 (ko) 2009-07-10 2011-12-26 주식회사 세원하이텍 화재 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3766A (en) Mounting assembly for a smoke alarm
US9205953B2 (en) Container and lid for sawhorse application
US7766728B2 (en) Collapsible enclosure for a machine tool
AU2010246542B2 (en) Adjustable Attachment for the Applicator Box
KR200179168Y1 (ko) 화재감지기커버 개폐기구
ITMO990034A0 (it) Dispositivo per il bloccaggio e lo sbloccaggio rapidi di attrezzi a br acci operatori.
KR200203728Y1 (ko) 화재감지기의 개폐기구
CN214492967U (zh) 一种装配式内装用移动工具
CN112550401A (zh) 一种装配式内装用移动工具及其使用方法
JP3548426B2 (ja) スタンションポールの取付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KR200182908Y1 (ko)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US6662522B2 (en) Gypsum board hanging tool
KR200220958Y1 (ko) 고무판재를 이용한 화재감지기 커버 개폐기구
JPS58748Y2 (ja) 枠組足場開閉手摺
KR100753475B1 (ko) 전도방지장치
KR200177159Y1 (ko) 호이스트 안전출입문의 고정장치
AU8951798A (en) Floor panel
KR200189895Y1 (ko) 조립 구조물용 로커장치
CN218845527U (zh) 一种便于安装监控设备的装置
JP3039047U (ja) 送電線等の敷設工事用支持具
KR200172378Y1 (ko) 건축용 천정판 고정구의 높낮이 조절장치
JP3045667B2 (ja) 枠組足場用敷板
JPS5920431Y2 (ja) マンホ−ル作業枠
JP2931222B2 (ja) ハンドレール装置
AU732368B3 (en) A mounting mechanism for ceiling fan bla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