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891Y1 - 직교류형 냉각탑의 성능 향상을 위한 개선된 혼합형 개조냉각탑 - Google Patents

직교류형 냉각탑의 성능 향상을 위한 개선된 혼합형 개조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891Y1
KR200178891Y1 KR2019990020953U KR19990020953U KR200178891Y1 KR 200178891 Y1 KR200178891 Y1 KR 200178891Y1 KR 2019990020953 U KR2019990020953 U KR 2019990020953U KR 19990020953 U KR19990020953 U KR 19990020953U KR 200178891 Y1 KR200178891 Y1 KR 200178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cooling tower
cross
filler
counter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제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경인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경인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경인기계
Priority to KR2019990020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8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8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1/00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 Y10S261/11Cooling towers

Landscapes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직교류형 냉각탑의 성능을 최대한 향상시키기 위해 최적으로 개선한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개조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개조 냉각탑은 상부에 기존의 직교류형 충진재를 유지하고 하부에 항류형 충진재를 설치하며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의 하단에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를 통과한 냉각수를 수집하는 중간 수조를 각각 설치한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냉각탑에 있어서,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를 통과하여 양측의 중간 수조에 수집된 냉각수를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로 공급할 수 있도록 양측의 중간 수조 사이에 노즐을 구비한 냉각수 분배 배관을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개조 냉각탑으로 개조할 때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의 개조 범위를 최대한 줄여 신설해야 하는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냉각탑의 냉각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교류형 냉각탑의 성능 향상을 위한 개선된 혼합형 개조 냉각탑{Complex type cooling tower remodeled to improve performance of the cross type cooling tower}
본 고안은 기존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직교류형 냉각탑의 성능을 최대한 향상시키기 위해 최적으로 개선한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개조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냉각탑 중에는 직교류형 냉각탑이 대종을 이루고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 냉각탑 내에 장착되는 충진재의 형상이 진일보하기 이전의 냉각탑으로서 최근에 개발되어 사용되는 냉각탑에 비해 그 체적이 대단히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 냉각수 사용효율과 냉각용량 등이 크게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대표적인 구조를 갖고 있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도 2에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은 냉각수 조절 밸브(12)를 갖춘 냉각수 분배 배관(10)과, 상기 냉각수 분배 배관(10)의 아래에 배치되며 분배 노즐을 갖춘 상부 분배 수조(20)와, 냉각탑의 외부 측벽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유입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의 루버(30,32)와, 상기 상부 분배 수조(20) 아래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루버(30,32)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52)와, 상기 직교류형 충진재(50,52)의 내측에 배치되어 냉각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상부 및 하부의 비산방지판(40,42)과, 냉각탑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충진재(50,52)를 통과해 흘러 내리는 냉각수를 수집하는 하부 냉각 수조(22)로 구성된다.
그러나, 프로세스의 요구에 따라 냉각용량을 증가시키고 보다 낮은 냉각수온을 통해 냉각수 사용효율을 향상시키는 등 냉각탑의 성능 향상을 위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고, 이를 위해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보수 및 개선하는 방안이 이미 많이 나와 있다.
이러한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개선한 종래의 냉각탑을 도 3과 도 4에 도시하고 있는데, 도 3은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향류형으로 개선한 종래의 일 실시예의 냉각탑을 나타내며, 도 4는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으로 개선한 종래의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냉각탑을 나타낸다.
먼저, 도 3을 참고로 하여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향류형으로 개선한 종래의 일 실시예의 냉각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향류형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 내에 장착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의 비산방지판(40,42)과 상부 및 하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52) 등을 모두 제거하고, 냉각수 분배 배관(10)을 용도 폐기하며, 상부 분배 수조(20)에 덮개(20a)를 덮어 상부 분배 수조(20) 또한 용도 폐기해야 한다.
이어서 기존의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가 위치하는 부분의 냉각탑 상측면 외부에 상부 루버(30) 대신 케이싱(30a)을 설치하여 냉각탑 상부 측면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고, 상기 케이싱(30a)의 안쪽으로 노즐을 갖춘 냉각수 압력 분배 배관(10a)을 설치하여 상기 용도 폐기된 냉각수 분배 배관(10)을 대신하여 냉각수의 공급을 담당하게 하고 있으며, 상기 냉각수 압력 분배 배관(10a)의 상부에 소정 거리 이격시켜 비산방지판(40a)을 설치하여 냉각수의 비산을 방지하고 있다. 이때, 상기 냉각수 압력 분배 배관(10a)으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냉각수 공급 라인이 냉각탑 외부로부터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30a)의 하단부 안쪽으로 충진재 받침대(54)를 설치하고 이 충진재 받침대(54) 위에 성능이 개선된 향류형 충진재(50a)를 설치하여 상기 제거한 상부 및 하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52)의 기능을 담당하게 하고 있고, 상부로부터 향류형 충진재(50a)를 통과한 냉각수가 하부 냉각 수조(22)로 수집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향류형 냉각탑으로 개조하면 팬의 작동에 따라 외부 공기는 냉각탑 측면의 하부 루버(32)를 통해 유입되어 상부로 흐르고 팬에 의하여 강제 통풍되어 대기로 배출된다. 이때, 유입공기가 향류형 충진재(50a)를 따라 흘러 내리는 냉각수와 향류형으로 접촉되므로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은 향류형 냉각탑으로서 작동하게 되고, 향상된 냉각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향류형으로 개선한 종래의 일 실시예의 냉각탑은 비록 그 성능에 있어 다소간의 향상을 기대할 수는 있어도, 기존에 사용하던 비산방지판(40,42)과 직교류형 충진재(50,52)와 냉각수 분배 배관(10) 및 상부 분배 수조(20) 등을 용도 폐기하고 새로운 냉각수 압력 분배 배관(10a)과 냉각수 공급 라인과 케이싱(30a)과 비산방지판(40a)과 향류형 충진재(50a) 등 많은 부품을 설치해야 하는 등 경제성이 크게 떨어지고, 또한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이 높을 경우에는 상하 공간의 낭비가 커서 개선 효과가 떨어진다.
한편, 도 4를 참고로 하여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으로 개선한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냉각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 내에 장착되어 있는 상부의 비산방지판(40)과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와 상부 루버(30)와 냉각수 분배 배관(10) 및 상부 분배 수조(20) 등은 그대로 사용하지만, 하부의 비산방지판(42)과 하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2) 등을 제거해야 한다.
이어서 기존의 하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2)가 위치하던 부분의 냉각탑 하측면 외부, 그리고 하부 루버(32)의 상단부에 케이싱(30b)을 설치하여 냉각탑 하부의 상단부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고, 상기 케이싱(30b)의 상단부 안쪽의 중앙에 그리고 좌우의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의 사이 아래쪽으로 비산방지판(40b)을 설치하여 냉각수의 비산을 방지하고 있으며, 상기 비산방지판(40b)의 아래쪽으로 소정 거리 이격시켜 성능이 개선된 향류형 충진재(50b)를 설치하여 상기 제거된 하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2)의 기능을 담당하게 하고 있고, 상기 비산방지판(40b)과 상기 향류형 충진재(50b)의 사이에 노즐을 갖춘 냉각수 압력 분배 배관(10b)을 설치하여 상기 향류형 충진재(50b)로 냉각수를 공급하고 있다. 이때, 상기 냉각수 압력 분배 배관(10b)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 라인이 냉각탑 외부로부터 연결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의 아래에는 중간 수조(26)를 설치하여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를 통해 흘러 내리는 냉각수를 수집하도록 하고 있고, 상기 중간 수조(26)에는 냉각수 바이패스 라인(28)을 설치하여 중간 수조(26)에 수집된 냉각수를 하부 냉각 수조(22)로 바이패스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냉각탑으로 개조하면 팬의 작동에 따라 냉각탑의 상부에서는 외부 공기가 냉각탑 측면의 상부 루버(30)를 통해 유입되어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를 통해 흘러 내리는 냉각수와 직교류형으로 접촉되고, 냉각탑의 하부에서는 외부 공기가 상기 케이싱(30b) 아래쪽에 위치한 하부 루버(32)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항류형 충진재(50b)를 따라 흘러 내리는 냉각수와 향류형으로 접촉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개조한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냉각탑은 그 상부는 직교류형 냉각탑으로서 작동하게 되고 그 하부는 향류형 냉각탑으로서 작동하게 되는 등 직교류 및 향류형 혼합형으로 작동하게 되어 향상된 냉각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으로 개선한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냉각탑은 비록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은 물론,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향류형으로 개선한 종래의 일 실시예의 냉각탑 보다는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는 있어도, 기존에 사용하던 하부의 비산방지판(42)과 하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2) 등을 제거하고 새로운 냉각수 압력 분배 배관(10b)과 냉각수 공급 라인과 케이싱(30b)과 중간 수조(26)와 비산방지판(40b)과 향류형 충진재(50b) 등 많은 부품을 설치해야 하는 등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기 중간 수조(26)에서 냉각수를 바이패스하면 낮은 냉각수온을 얻기가 어렵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개선된 냉각탑에서 발생하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상부에는 직교류형 충진재를 그대로 유지하고 하부에는 향류형 충진재를 설치하여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으로 개선할 때, 직교류형 충진재와 향류형 충진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양측 중간 수조에 냉각수 분배 배관을 형성하므로써, 보다 낮은 냉각수온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냉각탑 외부로부터 새로운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냉각수 공급 라인을 설치할 필요성을 제거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신설되는 향류형 충진재를 가능한 넓은 폭으로 설치하고, 향류형 충진재의 하부 및 측면에서 동시에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최대의 냉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성능 향상을 위해 개선된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개조 냉각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향류형으로 개선한 종래의 일 실시예의 냉각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으로 개선한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냉각탑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a, 10b, 90 : 냉각수 압력 분배 배관,
20 : 상부 분배 수조, 22 : 하부 냉각 수조,
26, 80 : 중간 수조,
30, 32 : 상부 및 하부 루버,
30a, 30b : 케이싱,
40, 42, 40a, 40b, 60 : 비산방지판,
50, 52 : 직교류형 충진재,
50a, 50b, 70 : 향류형 충진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개조 냉각탑은 상부에 기존의 직교류형 충진재를 유지하고 하부에 항류형 충진재를 설치한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냉각탑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의 하단에 상기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를 통과한 냉각수를 수집하는 중간 수조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양측의 중간 수조에 수집된 냉각수를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양측의 중간 수조 사이에 노즐을 구비한 냉각수 분배 배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의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개조 냉각탑은 하부 루버를 통해 유입된 외부 유입 공기의 냉각탑 상부를 향한 유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간 수조를 냉각탑 중앙쪽은 얕게 하고 바깥쪽은 깊게 하여 그 바닥면이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중간 수조에 수집된 냉각수를 상기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로 폭넓게 분배하기 위해 상기 냉각수 분배 배관을 상기 중간 수조의 가장 바깥쪽 바닥면 사이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의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개조 냉각탑은 상기 중간 수조의 하부에 형성되는 외부 유입 공기의 유동 통로를 따라 유동하는 외부 유입 공기의 유동폭과 상기 냉각수 분배 배관의 냉각수 분배폭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를 최대한 폭넓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개조 냉각탑은 냉각탑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유입 공기가 상기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동시에 측면으로부터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에서 외부 유입 공기와 냉각수가 직교류형으로 접촉하는 동시에 향류형으로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으로 개선하여 성능을 향상시킨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고로 하여 개선된 냉각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으로 개선할 때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 내에 장착되어 있는 상부의 비산방지판(40)과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와 상부 루버(30)와 냉각수 분배 배관(10) 및 상부 분배 수조(20) 등은 그대로 사용하지만, 하부의 비산방지판(42)과 하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2) 등은 제거한다.
이어서, 냉각탑 내부의 중앙에 그리고 양측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 사이의 아래쪽에 비산방지판(60)을 신설하여 냉각수의 비산을 방지하며, 상기 비산방지판(60)의 아래쪽으로 소정 거리 이격시켜 성능이 개선된 향류형 충진재(70)를 신설하여 상기 제거된 하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2)의 기능을 담당하게 한다.
또한, 상기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의 바로 아래쪽에는 각각 중간 수조(80)를 신설하여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를 통해 흘러 내리는 냉각수를 수집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중간 수조(80)는 냉각탑 중앙쪽의 바닥면은 얕게 형성하고 바깥쪽의 바닥면은 깊게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중간 수조(80)의 바닥면이 바깥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하므로써, 냉각탑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유입 공기가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70)를 통과한 후 냉각탑 상부를 향해 유동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또한, 노즐을 구비한 냉각수 분배 배관(90)을 상기 비산방지판(60)과 상기 향류형 충진재(70)의 사이에 배치하는데, 이 냉각수 분배 배관(90)을 상기 좌우 양쪽의 중간 수조(80)의 바깥쪽 바닥면 사이에 연결하여 상기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를 통과하여 중간 수조(80)에 수집된 냉각수를 상기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70)로 폭넓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냉각수 분배 배관(90)을 신설하더라도 상기 중간 수조(80) 사이에 연결하여 중간 수조(80)에 수집된 냉각수를 공급하므로 냉각탑 외부로부터 별도의 냉각수 공급 배관이 불필요하도록 할 수 있어 신설해야 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간 수조(80)가 그 바닥면이 바깥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외부 유입 공기의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중간 수조(80)의 바깥쪽 바닥면 사이에 냉각수 분배 배관(90)이 연결되어 냉각수를 폭넓게 분배할 수 있도록 하면, 상기 외부 유입 공기의 유동폭과 냉각수 분배폭에 대응하여 향류형 충진재(70)를 최대한 폭넓게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낮은 냉각수온을 얻을 수 있어 전체적으로 냉각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향류형 냉각탑으로 개선하던 종래의 경우나 또는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냉각탑으로 개선하던 종래의 경우에서 냉각탑의 외부 측면에 케이싱(30a,30b)을 설치하던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의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냉각탑에서는 냉각탑 외부 측면에 어떠한 케이싱도 설치하지 않아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과 마찬가지로 외부 공기를 냉각탑 측면의 루버(30,32)를 통해 유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냉각탑은 그 상부는 종래와 동일하게 직교류형 냉각탑으로서 작동하고, 그 하부는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냉각탑으로서 작동한다.
즉, 본 고안의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냉각탑에서 그 상부에서는 상부 루버(30)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를 타고 흘러 내리는 냉각수와 직교류형으로 접촉하도록 하여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과 동일한 작동을 하도록 하는 한편, 그 하부에서는 하부 루버(32)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70)를 타고 흘러 내리는 냉각수와 직교류형으로 접촉하도록 하는 동시에 향류형으로 접촉하도록 하여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냉각탑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개선된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냉각탑은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향류형 냉각탑으로 개선한 종래의 경우나 또는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을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냉각탑으로 개선한 종래의 다른 경우와 비교할 때, 기존에 사용하던 하부의 비산방지판(42)과 하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2) 등을 제거하고 새로운 냉각수 압력 분배 배관(90)과 중간 수조(80)와 향류형 충진재(70)와 비산방지판(60) 등의 부품을 신설해야 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종래 보다 많은 부품들을 기존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70)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분배 배관(90)을 신설하더라도 냉각탑 외부로부터 별도의 냉각수 공급 배관을 할 필요가 없으며, 냉각탑의 측면 외부에 어떠한 케이싱도 설치하지 않는 등 신설해야 하는 부품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경제성이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중간 수조(80)를 그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하여 외부 유입 공기의 유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통로가 형성되므로 중간 수조(80) 아래에 신설되는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70)을 최대한 폭넓게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중간 수조(80) 사이에 냉각수 분배 배관(90)가 설치되므로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를 통과한 냉각수를 다시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70)를 통해 흘러 내리도록 할 수 있으며, 냉각탑 외부에 어떠한 케이싱도 설치하지 않으므로 외부 공기를 상기 향류형 충진재(70)의 측면에서도 유입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 유입 공기와 냉각수를 상기 향류형 충진재(70)에서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으로 접촉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직교류 및 향류형 혼합형으로 개조된 냉각탑은 최대한의 냉각 능력을 발휘한다.
본 고안의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냉각탑은 기존의 직교류형 냉각탑에서 사용하던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하부에만 향류형 충진재를 신설하고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와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양측의 중간 수조 사이에 노즐을 구비한 냉각수 분배 배관을 형성하므로 냉각탑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별도의 냉각수 공급 라인을 설치할 필요성이 없다.
또한, 신설되는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를 가능한 넓은 폭으로 설치하므로 충진재의 냉각 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냉각탑 측면 외부에 어떠한 케이싱도 설치하지 않아 향류형 충진재의 측면에서도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에서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으로 외부 유입 공기와 냉각수가 접촉하여 향류형 충진재가 최대의 냉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Claims (5)

  1. 상부에 기존의 직교류형 충진재를 유지하고 하부에 항류형 충진재를 설치한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냉각탑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의 하단에 상기 상부의 직교류형 충진재(50)를 통과한 냉각수를 수집하는 중간 수조(80)를 양측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양측의 중간 수조(80)에 수집된 냉각수를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7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양측의 중간 수조(80) 사이에 노즐을 구비한 냉각수 분배 배관(9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개조 냉각탑.
  2. 제 1항에 있어서,
    냉각탑 하부 루버(32)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70)를 통과하는 외부 유입 공기가 냉각탑 상부를 향해 유동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유동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간 수조(80)를 냉각탑 중앙쪽은 얕게 하고 바깥쪽은 깊게 하여 그 바닥면이 바깥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개조 냉각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중간 수조(80)에 수집된 냉각수를 상기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70)로 폭넓게 분배하기 위해 상기 냉각수 분배 배관(90)을 상기 양측의 각 중간 수조(80)의 경사진 바닥면 최하부 사이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개조 냉각탑.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수조(80)의 하부에 형성되는 외부 유입 공기의 유동 통로를 따라 유동하는 외부 유입 공기의 유동폭과 상기 냉각수 분배 배관(90)의 냉각수 분배폭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70)를 최대한 폭넓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개조 냉각탑.
  5. 제 1항에 있어서,
    냉각탑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유입 공기가 상기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70)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동시에 측면으로부터도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의 향류형 충진재(70)에서 외부 유입 공기와 냉각수가 직교류형으로 접촉하는 동시에 향류형으로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류 및 향류 혼합형 개조 냉각탑.
KR2019990020953U 1999-09-30 1999-09-30 직교류형 냉각탑의 성능 향상을 위한 개선된 혼합형 개조냉각탑 KR200178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953U KR200178891Y1 (ko) 1999-09-30 1999-09-30 직교류형 냉각탑의 성능 향상을 위한 개선된 혼합형 개조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953U KR200178891Y1 (ko) 1999-09-30 1999-09-30 직교류형 냉각탑의 성능 향상을 위한 개선된 혼합형 개조냉각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8891Y1 true KR200178891Y1 (ko) 2000-04-15

Family

ID=19590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953U KR200178891Y1 (ko) 1999-09-30 1999-09-30 직교류형 냉각탑의 성능 향상을 위한 개선된 혼합형 개조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891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163B1 (ko) 2007-10-05 2009-02-03 주식회사 원방테크 백연 저감용 공기분배기가 구비된 냉각탑
KR20150018669A (ko) 2013-08-08 2015-02-24 서종대 다단직교류형냉각탑
KR20170009426A (ko) 2015-07-17 2017-01-25 현성씨티(주) 백연 발생을 억제하는 냉각탑 시스템
KR20190107460A (ko) 2018-03-12 2019-09-20 현성씨티(주) 외기를 이용한 자가응축 수단을 구비한 용수절감 냉각탑
KR102077521B1 (ko) * 2019-02-18 2020-02-19 주식회사 오티티 충전재가 다단으로 형성되며 충전재 사이에 냉각수 혼합부가 설치된 냉각탑
KR102521341B1 (ko) 2022-07-11 2023-04-13 이대식 수증기 포집 용수 절감 냉각탑
KR102521340B1 (ko) 2022-07-11 2023-04-13 이대식 냉각탑의 혼합부 구조
KR102521339B1 (ko) 2022-07-11 2023-04-13 이대식 백연 저감 냉각탑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163B1 (ko) 2007-10-05 2009-02-03 주식회사 원방테크 백연 저감용 공기분배기가 구비된 냉각탑
KR20150018669A (ko) 2013-08-08 2015-02-24 서종대 다단직교류형냉각탑
KR20170009426A (ko) 2015-07-17 2017-01-25 현성씨티(주) 백연 발생을 억제하는 냉각탑 시스템
KR20190107460A (ko) 2018-03-12 2019-09-20 현성씨티(주) 외기를 이용한 자가응축 수단을 구비한 용수절감 냉각탑
KR102077521B1 (ko) * 2019-02-18 2020-02-19 주식회사 오티티 충전재가 다단으로 형성되며 충전재 사이에 냉각수 혼합부가 설치된 냉각탑
KR102521341B1 (ko) 2022-07-11 2023-04-13 이대식 수증기 포집 용수 절감 냉각탑
KR102521340B1 (ko) 2022-07-11 2023-04-13 이대식 냉각탑의 혼합부 구조
KR102521339B1 (ko) 2022-07-11 2023-04-13 이대식 백연 저감 냉각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6771A (en) Bottom vented wet-dry water cooling tower
CA2263484C (en) Dry-air-surface heat exchanger
US3290025A (en) Trough system for evaporative heat exchangers
US4119140A (en) Air cooled atmospheric heat exchanger
US6070860A (en) Crossflow water cooling tower having structure allowing air flow through water distribution system
EP1409120B1 (en) Evaporative cooler
EP1818640B1 (en) Cooling tower with direct and indirect cooling sections
US4252752A (en) Heat exchange unit in particular for an atmospheric heat exchanger
US4521350A (en) Drainage collection system
CN102052858A (zh) 防白烟冷却塔
KR200178891Y1 (ko) 직교류형 냉각탑의 성능 향상을 위한 개선된 혼합형 개조냉각탑
KR101121174B1 (ko) 향류형 냉각탑
US2512271A (en) Water-cooling tower
KR20110072825A (ko) 3면 흡입식 냉각탑
CN101162100B (zh) 交叉流复合间接蒸发冷却空气处理机
US4826636A (en) Multi-level film fill industrial cross flow water cooling tower
CA1286597C (en) Multi-level film fill assembly cooling tower
CN1059200A (zh) 喷水凝汽器
US3782453A (en) Siphon breaking vent manifold for multiple pass heat exchanger
CN114234169A (zh) 一种筛板塔盘式定期排污扩容器
KR100730295B1 (ko) 냉각탑
KR200169542Y1 (ko) 대향류형과 직교류형의 조합유동형 냉각탑
CN217636874U (zh) 一种逆流式通风冷却塔
CN116907237A (zh) 一种横流逆流组合式机械通风冷却塔及运行方法
CN210453641U (zh) 一种塑料加工生产用冷却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