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860Y1 -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 - Google Patents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860Y1
KR200178860Y1 KR2019970007009U KR19970007009U KR200178860Y1 KR 200178860 Y1 KR200178860 Y1 KR 200178860Y1 KR 2019970007009 U KR2019970007009 U KR 2019970007009U KR 19970007009 U KR19970007009 U KR 19970007009U KR 200178860 Y1 KR200178860 Y1 KR 200178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heel
bicycle
drive shaft
whee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2649U (ko
Inventor
이태한
Original Assignee
이태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한 filed Critical 이태한
Priority to KR2019970007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86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26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6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8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unchangeable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구성을 보다 간소화하여 제조 원가의 절감에 크게 기여하고,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자전거 본체의 후방에 페달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구동축이 지지되고, 그 구동축의 양측에 좌우 뒷바퀴가 결합되며, 자전거 본체의 후방 중간부에 보조 바퀴가 설치되어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자전거를 전제로 하여, 상기 좌,우 뒷바퀴 중 하나의 뒷바퀴와 구동축을 결합구조로 결합하여 구동축의 동력이 그대로 전달되도록 하고, 타측 뒷바퀴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구동축과 관계없이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
본 고안은 자전거의 앞부분이 들려진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 묘기를 연출할 수 있는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을 보다 간소화하여 제조 원가의 절감에 크게 기여하고,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어린이용 자전거는 전방에 하나의 앞바퀴가 구비되고 후방 양측에 뒷바퀴가 각각 구비된 3륜 자전거로서, 전방 및 후방으로의 주행과 핸들의 조작에 의한 방향 전환 등, 극히 보편적이고 한정된 기능만 수행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단순한 기능을 갖는 자전거는 어린이들로 하여금 쉽게 흥미를 잃게 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것에 흥미를 느끼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어린이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어린이들이 쉽게 싫증을 느끼지 않고 흥미를 느끼면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단순한 기능 이외에 또 다른 흥미 거리를 제공한 새로운 형태의 자전거가 알려지고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자전거의 앞부분이 들려진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 묘기를 연출할 수 있는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를 보인 것으로, 이는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2018호, 공고번호 94-7028호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바퀴(20)와, 좌,우 뒷바퀴(21)(22) 및 페달(23)로 구동되는 구동치차(24)가 구성되고, 또한 이와 체인(25)으로 연결된 동력전달치차(26) 및 이에 축설된 구동축(27), 그리고 안장(28) 등으로 이루어진 자전거 본체(A)는 기존의 3륜 자전거와 동일하다.
상기한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에 의하면, 안장(28)은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그 저면 후방에는 전후 좌우로 회동자재하는 보조 바퀴(1)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안장(28)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으로는 좌,우 뒷바퀴(21)(22)와 연동되는 클러치구조(B)(B')가 구성되는 바, 이는 양쪽 모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이하에서는 좌측 뒷바퀴(21)의 연동 구조만 설명하기로 한다.
즉, 안장(28)의 측단으로는 클러치 레버(2)를 안내하는 레버 안내구(4)가 형성되어 있으며, 클러치 레버(2)는 안장(28)의 저부에 횡방향으로 장착된 횡대(5)에 지지되면서 전후 좌우로 유동자재하도록 하는 한편, 그 저부는 인장스프링(7)으로 연결하고 그 끝단부에는 구동축(27)에서 슬라이딩되는 클러치 밀착구(8)를 구성한다.
상기 구동축(27)은 좌측 뒷바퀴(21)와는 회동자재하게 베어링 구조(b)로 축설되어 후술하는 클러치의 단속시에는 구동축의 구동력이 좌측 뒷바퀴(21)에는 미치지 않는다.
즉, 상기한 클러치의 단속시 자전거 본체(A)를 밀어주면 구동축(27)과는 관계없이 좌측 뒷바퀴(21)의 회전이 자유로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페달(23)에 의하여 구동축(27)을 구동시켜도 구동축(27)만 회전할 뿐 좌측 뒷바퀴(21)에는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클러치구조(B)는 좌측 뒷바퀴(21)의 휠내측에 고정되는 고정 클러치(9)와, 구동축(27)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클러치(10)로 분리되며, 이 슬라이딩 클러치(10)는 그 내측으로 내향장돌기(11)가 형성되어 구동축(27) 상의 안내장홈(12)으로 끼워지고, 고정 클러치(9)와 슬라이딩 클러치(10)는 구동축(27)에 결합된 스프링(13)으로 각각 탄력 접촉되어 있다.
상기 좌측 뒷바퀴(21)의 클러치구조(B)는 우측 뒷바퀴(22)에도 동일한 클러치구조(B')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9는 브레이크를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는 클러치구조(B)(B')의 각 클러치 레버(2)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페달(23)의 조작으로 구동축(27)이 회전되어도 좌우 뒷바퀴(21)(22)에는 구동력이 미치지 않는다.
한편, 자전거 본체(A)의 회전 묘기를 연출할 경우에는 좌,우 뒷바퀴(21)(22) 중 어느 한쪽의 클러치만 접속시키면 되며, 예를 들어, 좌측 뒷바퀴(21)의 클러치를 접속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클러치(9)와 슬라이딩 클러치(10)가 단속된 상태에서 클러치 레버(2)를 탑승자의 측면 방향으로 당겨주면서 후방으로 약간 이동시키면, 도 2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레버(2)가 레버 안내구(4)의 안내를 받는 동시에 인장 스프링(7)의 인장력에 의하여 임의로 유동되지 않으며, 이 때 클러치 밀착구(8)가 좌측 뒷바퀴(21)의 슬라이딩 클러치(10)를 좌측 뒷바퀴(21)의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서, 슬라이딩 클러치(10)는 구동축(27)의 안내장홈(12)에 내향장돌기(11)가 끼워져 안내되므로 유동없이 진행되면서 스프링(13)을 수축시키게 되고, 이어 좌측 뒷바퀴(21)의 고정 클러치(9)와 결합되면서 접속된다.
이와 같이 좌측 뒷바퀴(21)의 클러치가 접속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안장(28)의 후방쪽으로 몸무게의 중심을 이동하면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자전거 본체(A)의 앞부분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고 뒷부분은 하향으로 이동되며, 이 때 안장(28)의 저부에 설치된 보조 바퀴(1)가 지면에 닿게 되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전거 본체(A)의 앞부분이 상측으로 들려진 상태에서 중심을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우측 뒷바퀴(22)는 그 부분의 클러치 레버(2)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클러치가 단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후, 탑승자가 페달(23)을 작동시키면, 구동축(27)의 회전력이 좌측 뒷바퀴(21)로 전달되어 그 뒷바퀴(21)를 회전시키게 되며,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뒷바퀴(22)를 중심축으로 하여 자전거 본체(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탑승자가 또 다른 흥미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어린이용 자전거는, 자전거 본체(A)가 뒷 바퀴(21),(22)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 또 다른 흥미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으나, 안장(28)의 양측에 좌우 뒷바퀴(21)(22)에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구조(B)(B')를 각각 설치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그 클러치구조(B)(B')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클러치구조(B)(B')의 구성이 복잡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할 때 부품의 손상 및 망실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하여 내구성이 양호하지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구성을 보다 간소화하여 제조 원가의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한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의 사용에도 부품의 손상 및 망실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전거의 주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의 (a) 및 (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전거의 클러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것으로,
(a)는 클러치의 단속 상태를 보인 단면도.
(b)는 클러치의 접속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전거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전거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일측 뒷바퀴와 구동축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은 분해 사시도.
도 7은 결합 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타측 뒷바퀴와 구동축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사용된부호의설명>
30 ; 보조 바퀴50,60 ; 좌우 뒷바퀴
51,52 ; 커버52,62 ; 축공
53,63 ; 볼트부54,64 ; 와셔
55,65 ; 체결 너트70 ; 페달
80 ; 구동축81 ; 종동 스프로킷
90 ; 체인 91 ; 통공
92 ; 체결부재93 ; 걸림홈
94 ; 결합부재95 ; 결합홈
97,97' ; 회전 지지부재98 ; 안장
99 ; 핸들100 ; 자전거 본체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전거 본체의 후방에 페달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구동축이 지지되고, 그 구동축의 양측에 좌우 뒷바퀴가 결합되며, 자전거 본체의 후방 중간부에 보조 바퀴가 설치되어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좌,우 뒷바퀴 중 하나의 뒷바퀴는 구동축과 결합구조으로 결합되어 구동축의 동력이 그대로 전달되도록 하고, 타측 뒷바퀴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구동축과 관계없이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가 제공된다.
상기 결합구조은 구동축의 일측 소정 부위에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그 통공으로 구동축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갖는 체결부재가 결합되고, 양측에 체결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이 각각 형성된 다각형의 결합부재가 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뒷바퀴의 내측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다각형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뒷바퀴의 결합홈으로 구동축에 결합된 결합부재가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홈의 다각형은 동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일측 뒷바퀴와 구동축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은 분해 사시도, 도 7은 결합 상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타측 뒷바퀴와 구동축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의 기본적으로 기존의 3륜 자전거에 보조 바퀴(30)를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자전거 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는 앞바퀴(40) 및 좌우 뒷바퀴(50)(60)가 결합되어 있으며, 자전거 본체(100)의 후방 중간부에는 보조 바퀴(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 바퀴(30)는 좌우 뒷바퀴(50)(60)보다 후방 상측에 위치하고 있어, 기존의 3륜 자전거처럼 전방 및 후방으로의 주행과 핸들의 조작에 의한 방향 전환을 할 경우에는 지면으로부터 보조 바퀴(30)가 소정의 높이로 들려진 상태를 유지하며, 자전거 본체(100)의 회전 묘기 연출을 위하여 앞부분을 들어 올릴 경우에는 앞바퀴(40)는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고 좌우 뒷바퀴(50)(60)와 보조 바퀴(30)가 지면에 접촉되어 균형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조 바퀴(30)는 기존의 경우와 같이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으로 지지되어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전거 본체(100)의 전방 소정 부위에는 페달(70)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후방에는 좌우 뒷바퀴(50)(60)를 연결하는 구동축(80)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그 페달(70)의 중간부 및 구동축(80)의 중간부에는 구동 스프로킷(도시하지 않음) 및 종동 스프로킷(81)이 각각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그 구동 스프로킷(71) 및 종동 스프로킷(81)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체인(90)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탑승자가 페달(70)을 밟으면, 그 동력이 구동 스프로킷 → 체인(90) → 종동 스프로킷(81)을 통해 구동축(80)으로 전달되어 구동축(80)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는, 구동축(80)의 양측에 결합되는 좌우 뒷바퀴(50)(60) 중 일측 뒷바퀴에는 구동축(80)의 동력이 그대로 전달되어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고, 타측 뒷바퀴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구동축(80)과는 관계없이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좌측 뒷바퀴(50)에 구동축(80)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우측 뒷바퀴(60)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의 특징적인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전거 본체(100)의 후방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구동축(80)의 양측단부에는 외측면에 커버(51)(61)가 결합되는 좌측 뒷바퀴(50) 및 우측 뒷바퀴(60)가 각각 삽입되어 있고, 상기 좌측 뒷바퀴(50) 및 우측 뒷바퀴(60)의 축공(52)(62)을 통하여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볼트부(53)(63)에는 와셔(54)(64)를 개재하여 체결 너트(55)(65)가 각각 체결되어 있다.
상기 좌측 뒷바퀴(5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축(80)과 일체로 결합되어 구동축(80)과 함께 회전되는 바, 상기 좌측 뒷바퀴(50)와 구동축(80)을 일체로 구성하기 위한 결합구조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구동축(80)의 좌측부 소정 부위에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91)을 형성하여, 그 통공(91)으로 구동축(80)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갖는 핀 등의 체결부재(92)를 결합하고, 양측에 체결부재(92)가 걸리는 걸림홈(93)이 각각 형성된 다각형의 결합부재(94)를 구동축(80)에 결합하며, 상기 좌측 뒷바퀴(50)의 내측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다각형의 결합홈(95)을 형성하여, 상기 좌측 뒷바퀴(50)의 결합홈(95)으로 구동축(80)에 결합된 결합부재(94)를 끼워 결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94) 및 결합홈(95)의 다각형 구조는 동일한 형태로 각각 형성하여 구동축(80)과 좌측 뒷바퀴(50)가 슬립 현상없이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 뒷바퀴(50)와 구동축(80)의 결합구조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좌측 뒷바퀴(50)와 구동축(80)을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결합구조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7, 97'는 자전거 본체(100)의 내부에 고정되어 구동축(80)의 회전 동작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 지지부재를 보인 것이며, 98은 안장, 99는 핸들을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에 있어서, 주요부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축(80)의 좌측부에 형성된 통공(33)에 체결부재(92)를 결합하여, 그 체결부재(92)가 구동축(80)의 양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축(80)의 좌측으로부터 결합부재(94)를 결합한 후, 상기 체결부재(92)의 양측단부에 결합부재(94)의 양측 걸림홈(93)을 결합하여 구동축(80)에 결합부재(94)를 일체로 조립하고, 상기 구동축(80)의 좌측으로부터 커버(51) 및 좌측 뒷바퀴(50)를 결합하여, 구동축(80)의 결합부재(94)와 좌측 뒷바퀴(50)의 결합홈(95)을 형합시킨 다음, 상기 좌측 뒷바퀴(50) 및 커버(5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동축(80)의 단부에 형성된 볼트부(53)에 와셔(54)를 개재함과 아울러 체결 너트(55)를 체결하여 좌측 뒷바퀴(50)를 조립한다.
한편, 구동축(80)의 우측에는 커버(61) 및 우측 뒷바퀴(60)를 결합하고, 그 우측 뒷바퀴(6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트부(63)에 와셔(64)를 개재하여 체결 너트(65)를 체결함으로써 우측 뒷바퀴(60)를 조립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동축(80)의 양측에 좌우 뒷바퀴(50)(60)를 결합한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는 기존의 3륜 자전거처럼 전방 및 후방으로의 주행과 핸들(99)의 조작에 의한 방향 전환을 할 경우, 지면으로부터 보조 바퀴(30)가 소정의 높이로 들려진 상태를 유지하며, 자전거 본체(100)의 회전 묘기 연출을 위하여 앞부분을 들어 올릴 경우에는 앞바퀴(40)는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고 좌우 뒷바퀴(50)(60)와 보조 바퀴(30)가 지면에 접촉되어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즉, 자전거 본체(100)의 회전 묘기를 연출할 경우에는 탑승자가 안장(98)의 후방쪽으로 이동하여 무게 중심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자전거 본체(100)의 앞부분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고, 이에 따라서 좌우 뒷바퀴(50)(60)와 보조 바퀴(30)가 지면에 닿아 자전거 본체(100)의 앞부분이 상측으로 들려진 상태에서 중심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탑승자가 페달(70)을 작동시키면, 좌측 뒷바퀴(50)는 결합구조에 의하여 구동축(8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우측 뒷바퀴(60)는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자전거 본체(100)가 우측 뒷바퀴(60)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묘기를 보이게 된다.(도 4 참조)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좌측 뒷바퀴(50)가 구동축(80)에 일체로 고정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우측 뒷바퀴(60)가 구동축(80)에 결합구조로 결합되고 좌측 뒷바퀴(50)가 구동축(80)과는 관계없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자전거 본체(100)가 좌측 뒷바퀴(50)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묘기를 보이게 되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실시예와 동일한 원리로서 진행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는, 자전거 본체의 후방에 페달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구동축이 지지되고, 그 구동축의 양측에 좌우 뒷바퀴가 결합되며, 자전거 본체의 후방 중간부에 보조 바퀴가 설치되어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자전거를 전제로 하여, 상기 좌,우 뒷바퀴 중 하나의 뒷바퀴와 구동축을 결합구조로 결합함으로써 구동축의 동력이 그대로 전달되도록 하고, 타측 뒷바퀴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구동축과 관계없이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구성을 보다 간소화하여 제조 원가의 절감에 크게 기여하며,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건거 본체의 전방에는 핸들과 결합되는 앞바퀴가 설치되며, 본체의 후방에는 페달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구동축이 지지되고, 그 구동축의 양측에 좌우 뒷바퀴가 결합되며, 자전거 본체의 후방 중간부에 보조 바퀴가 설치되어,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어린이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좌, 우 뒷바퀴 중 어느 일측의 뒷바퀴는 상기 구동축과 항상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며, 타측 뒷바퀴는 상기 구동축과 관계없이 항상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앞바퀴가 지면에 닿아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바퀴가 지면으로부터 들린 상태에서 상기 일측 뒷바퀴의 구동력 및 상기 앞바퀴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직진 및 방향전환이 가능하며, 상기 보조 바퀴가 지면에 닿아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앞바퀴가 지면으로부터 들린 상태에서 상기 일측 뒷바퀴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타측 뒷바퀴를 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일측 소정 부위에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그 통공으로 구동축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갖는 체결부재가 결합되고, 양측에 체결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이 각각 형성된 다각형의 결합부재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일측 뒷바퀴의 내측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다각형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일측 뒷바퀴의 결합홈으로 구동축에 결합된 결합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홈의 다각형은 동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
KR2019970007009U 1997-04-04 1997-04-04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 KR200178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009U KR200178860Y1 (ko) 1997-04-04 1997-04-04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009U KR200178860Y1 (ko) 1997-04-04 1997-04-04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649U KR19980062649U (ko) 1998-11-16
KR200178860Y1 true KR200178860Y1 (ko) 2000-05-01

Family

ID=1949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009U KR200178860Y1 (ko) 1997-04-04 1997-04-04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8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649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3981B1 (en) Pedal-operated vehicle
US5971884A (en) Power changing apparatus of bicycle hub
WO2011028861A2 (en) Improved scooter and pedal drive assembly
US20030034627A1 (en) Bi-directional pedaling system
US6578861B2 (en) Reciprocating type driving mechanism
JPS6328838B2 (ko)
KR200178802Y1 (ko) 정신기어 자전거
KR100649051B1 (ko) 자전거
EP1396419A2 (en) Bicycle derailleur
CA2396733A1 (en) Ride-on vehicle with direction responsive mechanism
KR200178860Y1 (ko)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
US4592563A (en) Recreational vehicle
EP1849695B1 (en) Pedal scooter
JP2005126046A (ja) 回転ギヤシフトを行う自転車の変速ハブ構造
KR860002136B1 (ko) 펀심허브를 이용한 승강 구동 주행식 자전거
US6347803B1 (en) Bicycle with two chain driven differentials
KR940007824Y1 (ko) 뒷바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어린이용 자전거
KR0145826B1 (ko) 자전거 구동장치
KR101190567B1 (ko) 후륜 페달 유닛이 구비된 자전거
KR200226194Y1 (ko) 자전거의 페달을 이용한 추진장치
WO2000050297A1 (ko) Forward driving gear for bicycle
GB2320069A (en) Bicycle rear-axle change-speed layshaft gearing
JP7188829B1 (ja) 後二輪車両
KR20080000213U (ko) 페달 스쿠터
KR200162332Y1 (ko) 어린이용 자전거의 크랭크 샤프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