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611Y1 - 독서대 겸용 휴대용 파일 - Google Patents

독서대 겸용 휴대용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611Y1
KR200178611Y1 KR2019990025626U KR19990025626U KR200178611Y1 KR 200178611 Y1 KR200178611 Y1 KR 200178611Y1 KR 2019990025626 U KR2019990025626 U KR 2019990025626U KR 19990025626 U KR19990025626 U KR 19990025626U KR 200178611 Y1 KR200178611 Y1 KR 200178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center
book
portable
reading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6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박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근 filed Critical 박성근
Priority to KR2019990025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6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6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4Book covers loose
    • B42D3/045Protective cases for boo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서대로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시에는 서류 등의 문서를 보관할 수 있는 파일로 사용하고 책상 등에서는 독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독서대 겸용 휴대용 파일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앞면과 뒷면, 그리고 상기 앞면과 뒷면을 연결하는 중앙면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서류나 책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일에 있어서, 상기 뒷면과 중앙면의 연결부는 소정 각도로 고정되게 연결되고, 상기 앞면과 중앙면의 연결부는 자유 접힘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앞면에는 상기 뒷면과 중앙면을 뒤집어 세움으로써 독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접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독서대 겸용 휴대용 파일{File}
본 고안은 독서대로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시에는 서류 등의 문서를 보관할 수 있는 파일로 사용하고 책상 등에서는 독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독서대 겸용 휴대용 파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일(File)은 바인더(Binder)라고도 불리우는 것으로서, 합성 수지 등으로 제작된 두꺼운 판재를 접어서 내부에 서류나 노트 등을 넣고 다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파일은 내부에 체결 밴드나 묶음 띠 등을 구비하여 서류나 책 등을 넣고 휴대하기는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다른 용도로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서류나 책자 등을 넣고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한쪽면을 뒤집어 세우게 되면 독서대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독서대 겸용 휴대용 파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독서대 겸용 휴대용 파일은, 앞면과 뒷면, 그리고 상기 앞면과 뒷면을 연결하는 중앙면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서류나 책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일에 있어서, 상기 뒷면과 중앙면의 연결부는 소정 각도로 고정되게 연결되고, 상기 앞면과 중앙면의 연결부는 자유 접힘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앞면에는 상기 뒷면과 중앙면을 역전시켜 세움으로써 독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접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파일 사용시의 상태를 도시한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파일 펼침시의 상태를 도시한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독서대 사용시의 상태를 도시한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앞면 11 : 접힘부
15 : 연결부 20 : 뒷면
25 : 연결부 30 : 중앙면
35 : 직각 보강재 40, 40', 40' : 책 고정구
45 : 힌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 겸용 휴대용 파일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1은 파일 휴대시의 상태도이고, 도 2는 파일 펼침시의 상태도이며, 도 3은 독서대 사용시의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는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10)과 뒷면(20), 그리고 상기 앞면(10)과 뒷면(20)을 연결하는 중앙면(30)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서류나 책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앞면(10)과 뒷면(20)의 내부에는 서류 등을 철하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통상의 파일과 같이 클립이나 체결 밴드, 묶음 띠 등이 구비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뒷면(20)과 중앙면(30)의 연결부(25)가 소정 각도로 고정되게 연결되고, 상기 앞면(10)과 중앙면(30)의 연결부(15)는 자유 접힘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본 고안의 파일을 펼치고자 할 때 도 2에서와 같이 뒷면(20)과 중앙면(30)의 연결부(25)는 일정 각도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앞면(10)과 중앙면(30)의 연결부(15)를 중심으로 앞면(10)이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뒷면(20)과 중앙면(30)은 직각 모양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직각 모양이 유지될 수 있도록 뒷면(20)과 중앙면(3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직각 보강재(35)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직각 보강재(35)를 설치하지 않고 뒷면(20)과 중앙면(30)이 직각 모양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앞면(1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뒷면(20)과 중앙면(30)을 역전시켜 세움으로써 독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면(30)의 연결부(15)와 나란한 방향으로 접힘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접힘부(11)는 앞면(10)의 두 부분(10a)(10b) 사이에서 자유 접힘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물론, 상기 앞면(10)에서 중앙면(30)쪽 부분(10b)은 앞면(10)의 다른 부분(10a)보다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면(30)의 내측에는 독서대로 활용시에 책의 밑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책 고정구(40)가 설치된다.
상기 책 고정구(40)는 통상의 파일의 중앙면(30) 상단부와 하단부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이용한 것으로, 'ㄴ'자 모양의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되어 중앙면(30)에 힌지(45) 고정되고, 도 3과 같이 독서대로 활용시에 회전시킴으로써 중앙면(30)과 뒷면(20)에 올려진 책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이 제1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류나 책자등을 보관하거나 휴대할 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의 앞면(10)과 뒷면(20) 사이에 서류나 책자 등을 넣고 닫아서 사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파일 내에 서류나 책자 등을 넣거나 뺄 때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앞면(10)을 연결부(15)와 접힘부(11)를 중심으로 펼쳐서 사용한다.
그리고, 독서대로 사용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면(20)과 중앙면(30)을 뒤집어 세움으로써 뒷면(20)과 중앙면(30)의 연결부(25)가 앞면(10)의 외측면쪽에 지지되면서 경사지게 위치되어 독서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뒷면(20)과 중앙면(30)은 직각 구도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앞면(10)과 중앙면(30)의 연결부(15)와 앞면(10)의 접힘부(11)가 뒤쪽으로 접혀지면서 뒷면(20)의 세움이 가능해지게 된다.
따라서, 책의 뒷부분은 뒷면(20)에 올려지고, 책의 하단부는 중앙면(30)에 지지된다. 그리고 책 고정구(40))를 90°회전시키게 되면 책의 하단부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책 고정구(40')의 모양이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이 통상의 지지 플레이트를 이용하지 않고, 탄성력을 갖는 복수 개의 철선을 중앙부(30)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책의 펼침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책 고정구(40')의 모양이 상기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와 같이 중앙부에 설치되지 않고, 뒷면(20)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책 고정구(40')는 자유 굽힘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flexible) 선재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독서대 겸용 휴대용 파일은 내부에 서류나 책자 등을 넣고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한 쪽 면을 뒤집어 세우게 되면 독서대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앞면과 뒷면, 그리고 상기 앞면과 뒷면을 연결하는 중앙면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서류나 책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일에 있어서,
    상기 뒷면과 중앙면의 연결부는 소정 각도로 고정되게 연결되고, 상기 앞면과 중앙면의 연결부는 자유 접힘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앞면에는 상기 뒷면과 중앙면을 뒤집어 세움으로써 독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접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겸용 휴대용 파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뒷면과 중앙면은 직각 모양으로 연결되고, 직각 모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직각 유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겸용 휴대용 파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면의 내측에는 독서대로 활용시에 책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지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겸용 휴대용 파일.
KR2019990025626U 1999-11-20 1999-11-20 독서대 겸용 휴대용 파일 KR200178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626U KR200178611Y1 (ko) 1999-11-20 1999-11-20 독서대 겸용 휴대용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626U KR200178611Y1 (ko) 1999-11-20 1999-11-20 독서대 겸용 휴대용 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8611Y1 true KR200178611Y1 (ko) 2000-04-15

Family

ID=1959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626U KR200178611Y1 (ko) 1999-11-20 1999-11-20 독서대 겸용 휴대용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6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036B1 (ko) 2015-03-02 2016-08-24 오승준 독서대 겸용 파일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036B1 (ko) 2015-03-02 2016-08-24 오승준 독서대 겸용 파일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379B2 (en) Information book with PDA and multiple foldable pieces
US4015813A (en) Bookholder
US4703952A (en) Folder for carrying and displaying sheets of material
KR200178611Y1 (ko) 독서대 겸용 휴대용 파일
KR200410630Y1 (ko) 스탠드 겸용 표지를 구비한 제본물
KR200248877Y1 (ko) 독서대 기능을 갖는 휴대용 화일첩
KR100919993B1 (ko) 책장의 펼침유지수단을 가지는 서적
KR200180055Y1 (ko) 독서대를 구비한 서적
KR200352360Y1 (ko) 받침기능을 갖춘 화일철
KR200398333Y1 (ko) 휴대용 서류 가방
KR200198312Y1 (ko) 독서대 겸용 다이어리
US5895023A (en) Document holder
KR200195930Y1 (ko) 독서대 겸용 다이어리
US20030067156A1 (en) Storage container for paper and other materials
CN216610627U (zh) 一种支撑架及台历
KR200195929Y1 (ko) 독서대 겸용 다이어리
KR200195932Y1 (ko) 독서대 겸용 다이어리
KR200196009Y1 (ko) 독서대와 책꽂이 겸용 노트북
KR200156059Y1 (ko) 바인더
KR200203719Y1 (ko) 독서대 겸용 다이어리
KR200196416Y1 (ko) 화일 케이스
KR200287910Y1 (ko) 절첩식 간이데스크
KR200198313Y1 (ko) 독서대 겸용 다이어리
US20030138287A1 (en) Structure of a file covering board or the like
JPH05214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