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338Y1 - Apparatus for automatic washing and supply of re-usable cup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utomatic washing and supply of re-usable 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338Y1
KR200178338Y1 KR2019990025463U KR19990025463U KR200178338Y1 KR 200178338 Y1 KR200178338 Y1 KR 200178338Y1 KR 2019990025463 U KR2019990025463 U KR 2019990025463U KR 19990025463 U KR19990025463 U KR 19990025463U KR 200178338 Y1 KR200178338 Y1 KR 200178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cup
washing
washing water
drink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4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기창
Original Assignee
최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창 filed Critical 최기창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338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기 본체의 투입구로 투입된 기(旣) 사용 음용컵이 각각 낱개로 눕혀진 상태로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기 사용 음용컵 공급 안내수단과, 상기 기 사용 음용컵 공급수단의 하단부와 통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기 사용 음용컵의 세척 공정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하우징과, 외주연부에 상기 기 사용 음용컵 공급수단으로부터 낙하되는 기 사용 음용컵이 수납되는 복수개의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조 하우징에 세워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음용컵을 이송시키는 음용컵 이송수단과, 상기 음용컵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기 사용 음용컵에 증기 또는 세척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시켜 살균 세척시키는 살균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조 하우징의 타측과 통하도록 설치되고 살균 세척이 완료된 음용컵이 차례로 적층된 상태로 기기 본체의 투출구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세척 음용컵 투출 안내수단과, 상기 세척조 하우징의 하측과 통하도록 설치되고 기 사용 음용컵을 세척한 오염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오염 세척수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shing and feeding device of a drinking cup that can be repeatedly used, and supplies a drinking cup for guiding the drinking cup, which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of the main body, to fall downward in a state of being laid down individually. A washing tank housing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a guide means, a lower end of the drinking cup supply means and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a washing process of the drinking cup is performed; A drinking cup conveying means for forming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in which the drinking cup is used to be dropped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washing tank housing to move the drinking cup according to the rotating operation, and the drinking cup conveying means Sterilization three that sterilize and wash by spraying steam or washing water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a drinking cup dispensing guide means for guiding the drinking cup, which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side of the washing tank housing, and directed toward the outlet of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in which the drinking cups, which have been sterilized and cleaned, are sequentially stacked. Contaminated washing water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the contaminated washing water is installed to clean the drinking cup used.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1회용 종이컵의 사용에 따른 자원 낭비 문제를 해소하고,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하며, 또한 종이컵 처리에 따른 비용 및 인원 추가 문제를 해결하여 운영비 절감에 크게 기여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o solve the problem of resource waste caused by the use of the existing disposable paper cup,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pollu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lso to reduce the operating cost by solving the problem of additional costs and personnel due to the paper cup processing Contributes greatly.

Description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washing and supply of re-usable cup}Apparatus for automatic washing and supply of re-usable cup}

본 고안은 반복 사용이 가능한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회용 종이컵의 사용에 따른 자원 낭비 문제를 해소하고,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하며, 또한 종이컵 처리에 따른 비용 및 인원 추가 문제를 해결하여 운영비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한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shing and feeding device of a metal or plastic drinking cup that can be used repeatedly, and more particularly, to solve the problem of resource waste caused by the use of a disposable paper cup, and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pollu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leaning supply device for a drinking cup that can be used repeatedly, which can contribute to a reduction in operating costs by solving the problem of additional costs and personnel associated with paper cup processing.

일반적인 음용수용 자동판매기는 복수개의 1회용 종이컵을 내장하여 사용자가 특정 음용수를 선택하면, 먼저 종이컵이 배출구로 투출되고, 특정 음용수가 통상적인 기구적 메커니즘에 의해 소정량이 종이컵으로 낙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 general drinking water vending machine has a plurality of disposable paper cups, and when the user selects a particular drinking water, the paper cup is first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and the specific drinking water is configured to drop a predetermined amount into the paper cup by a conventional mechanical mechanism.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음용수용 자동판매기는 1회 사용후에 폐기하는 종이컵을 사용함에 따라 자원의 낭비 문제가 대두되었으며, 폐기 종이컵의 사용으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고, 폐기 종이컵의 처리를 위하여 비용 및 인원이 추가로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As a conventional drinking water vending machine uses a paper cup that is discarded after one use, the waste of resources has been raised, pollu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the use of the waste paper cup, and cost and personnel for the disposal of the waste paper cup. There was a problem such as additionally required.

최근 들어 1회용 종이컵을 대신하여 반복사용이 가능한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 음용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판매기의 제작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a lot of efforts have been made in the manufacture of vending machines that allow the use of metal or plastic drinking cups that can be used repeatedly instead of disposable paper cups.

한편, 자동판매기의 경우 뿐만 아니라 음용컵을 사용하는 냉온수기 및 정수기도 1회용 종이컵의 사용에 따른 여러 폐해가 있으며, 또한 1회용 종이컵을 제공하는 식당의 경우에도 상기한 종이컵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은 심각한 것이었다.On the other hand, not only vending machines but also cold and hot water dispensers and water purifiers that use drinking cups have various disadvantages due to the use of disposable paper cups, and in the case of restaurants providing disposable paper cups, the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the paper cups are serious. Wa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1회용 종이컵의 사용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한 것으로, 반복 사용이 가능한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 음용컵을 보다 위생적으로 살균 세척하고 사용자에게 투출시키도록 한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를 제공함을 그 주된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a disposable paper cup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repeatedly used to disinfect and clean the metal or plastic drinking cup that can be repeatedly used and to be discharged to the user.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self-cleaning supply of drinking cup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1회용 종이컵의 사용에 따른 자원 낭비 문제를 해소하고,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하며, 또한 종이컵 처리에 따른 비용 및 인원 추가 문제를 해결하여 운영비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resource waste caused by the use of the conventional disposable paper cup,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pollu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lso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dditional cost and personnel associated with the paper cup, which greatly reduces the operating cost.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automatic cleaning supply for drinking cups that can be used repeatedly.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가 구비된 기기 본체의1 is an apparatus main body equipped with an automatic cleaning supply device for drinking cu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외관 사시도.Exterior perspective view.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부분 단2 is a partial end of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cleaning supply of the drinking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면하여 보인 배면도.Back view seen from face to face.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의 구동부 구성을 보인Figure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e unit of the automatic cleaning supply of the drinking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종단면도.Longitudinal section view.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의 구동부 구성을 보인Figure 4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e unit of the automatic cleaning supply of the drinking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정면도.Front view.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받침 회전5 is a rotation of the support constituting the automatic washing supply of the drinking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롤러의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Back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roller.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분사 노즐6 is a spray nozzle constituting the automatic cleaning supply of the drinking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의 측면도.Side view.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에 의하여 세척 음용컵7 is a drinking cup by the automatic washing supply of the drinking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투출되는 과정을 보인 측면도.Side view showing the process of this discharge.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실린더 구8 is a cylinder sphere constituting the automatic cleaning supply of the drinking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동부의 실시예를 보인 상세도.Detailed view showing the eastern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 ; 기기 본체 2 ; 투입구One ; Appliance body 2; Slot

3 ; 투출구 10 ; 기 사용 음용컵 공급수단3; Outlet 10; Drinking cup supply means

20 ; 세척조 하우징 30 ; 음용컵 이송수단20; Cleaning tank housing 30; Drinking Cup Transfer Means

31 ; 수납홈 32 ; 제1 구동모터31; Receiving groove 32; 1st drive motor

33 ; 제1 회전축 34 ; 구동기어33; First rotating shaft 34; Drive gear

35 ; 종동기어 41,42 ; 제2 회전축35; Driven gear 41,42; Second axis of rotation

43,43',44,44' ; 받침 회전 롤러 43a,44a ; 이탈방지턱43,43 ', 44,44'; Support rotary rollers 43a and 44a; Breakaway Jaw

45 ; 구동풀리 46 ; 종동풀리45; Drive pulley 46; Driven pulley

47 ; 벨트 48 ; 제2 구동모터47; Belt 48; 2nd drive motor

49 ; 구동기어 50 ; 종동기어49; Drive gear 50; Driven gear

51 ; 세척수 케이스 52 ; 세척수 공급수단51; Wash water case 52; Washing water supply means

53,53' ; 역류 방지수단 54 ; 가열수단53,53 '; Countercurrent prevention means 54; Heating means

55 ; 분사수단 56 ; 실린더55; Injection means 56; cylinder

57 ; 피스톤 58 ; 구동부57; Piston 58; Driving part

59 ; 제1분사 노즐 59a ; 제2 분사 노즐59; First injection nozzle 59a; Second injection nozzle

60 ; 세척 음용컵 투출 안내수단 71 ; 배수관60; Washing drinking cup dispensing guide 71; drain

72 ; 사용수 케이스 73 ; 배기라인72; Use case 73; Exhaust line

74 ; 열교환수단 81 ; 종동기어74; Heat exchange means 81; Driven gear

82 ; 구동기어 83 ; 제3 구동모터82; Drive gear 83; 3rd drive motor

84 ; 크랭크부재84; Crank member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기 본체의 투입구로 투입된 기 사용 음용컵이 각각 낱개로 눕혀진 상태로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기 사용 음용컵 공급수단과, 상기 기 사용 음용컵 공급수단의 하단부와 통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기 사용 음용컵의 세척 공정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하우징과, 외주연부에 상기 기 사용 음용컵 공급수단으로부터 낙하되는 기 사용 음용컵이 수납되는 복수개의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조 하우징에 세워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음용컵을 이송시키는 음용컵 이송수단과, 상기 음용컵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기 사용 음용컵에 증기 또는 세척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시켜 살균 세척시키는 살균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조 하우징의 타측과 통하도록 설치되고 살균 세척이 완료된 음용컵이 차례로 적층된 상태로 기기 본체의 투출구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세척 음용컵 투출수단과, 상기 세척조 하우징의 하측과 통하도록 설치되고 기 사용 음용컵을 세척한 오염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오염 세척수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rinking cup supplied means for guiding so that the drinking cups put into the inlet of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fall down in the state of being laid down individually, and the drinking cup is supplied. A plurality of housings are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means,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rein, the washing tank housing in which a washing process of the drinking cup is performed, and the drinking cup falling from the using drinking cup supply means at the outer periphery. Two grooves are formed and coupled so as to be rotatable in a standing state in the washing tank housing, the cup feeding means for transferring the drinking cup according to the rotation operation, and the steam cup or washing water in the drinking cup used by the drinking cup transfer means Sterilization washing means for sterilizing and washing by spraying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the other side of the washing tank housing; Washing cup dispensing means which is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and the drinking cups which have been sterilized and washed to be dir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are stacked in order, and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tank housing and wash the drinking cup.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cleaning supply apparatus for a drinking cup which can be used repeatedly, including a contaminated washing water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ntaminated washing water to the outside.

상기 음용컵 이송수단은 원판 형상이며,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력을 받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nking cup conveying means has a disc shap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ceive a rotational force by a separate drive means including a drive motor.

상기 세척조 하우징의 내부 소정 부위에는 음용컵 이송수단의 수납홈에 수납된 기 사용 음용컵의 하부 양측에서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 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 롤러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portions of the washing tank housing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use drinking cup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drinking cup transfer means, and the support rollers are provided in a separate driving means including a drive motor. It is characterized by configured to enable rotation by.

상기 살균 세척수단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케이스와, 상기 세척수 케이스에 저장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수단과,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에 의하여 공급되는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수단과,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에 의하여 공급된 세척수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세척조 하우징의 내부로 연결되어 증기 또는 세척수를 기 사용 음용컵으로 분사시키는 분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rilizing washing means includes a washing water case in which washing water is stored, washing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shing water case, countercurrent prevention means for preventing backflow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by the washing water supply means, and the washing water supply. And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by the means to generate steam, and spraying mean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tank housing for spraying steam or washing water into the drinking cup.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은 세척수의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서 직선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과,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기어와, 상기 기어와 피스톤을 연결하는 크랭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washing water supply means includes a cylinder installed on a supply line of the washing water, a piston reciprocating linearly inside the cylinder, a driving motor, at least one gear rotated by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gear and It comprises a crank member for connecting the piston.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은 상기 오염 세척수 배출수단의 오염 세척수 배출 경로상에 설치되어 배출 증기와 세척수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shing water supply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eat exchange means is installed on the dirty washing water discharge path of the dirty washing water discharge means for heat exchange between the discharge steam and the washing water.

상기 세척 음용컵 투출수단은 적층된 세척 음용컵을 잡아주기 위한 복수개의 탄성 홀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shing drinking cup dispensing means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lurality of elastic holders for holding the stacked drinking drinking cups.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1회용 종이컵의 사용시와는 달리 음용컵을 반복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자원을 낭비하지 않으며, 종이컵의 사용에 따른 주변 환경 오염 문제를 해소하고, 또한 폐기 종이컵의 처리를 위하여 비용 및 인원이 추가로 요구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cleaning supply device for a drinking cup that can be repeatedly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use of the conventional disposable paper cup, by repeatedly using the drinking cup, it does not waste resources, an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aper cup There is an advantage to solve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lso to solve the problem of additional cost and personnel required for disposal of the waste paper cup.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한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는 별도의 독립된 기기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자동판매기 뿐만 아니라 냉온수기 및 정수기, 또한 식당에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외에도 음용컵을 사용하는 모든 기기 및 장소에 적용이 가능하다.The automatic washing and feeding device of the drinking cup that can be used repeated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and used as a separate device, and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vending machine but also to a hot and cold water purifier and a restaurant, as well as drinking Applicable to all devices and places where cups are used.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utomatic washing supply of the drinking cup capable of repeated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가 구비된 기기 본체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부분 단면하여 보인 배면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main body provided with an automatic cleaning supply apparatus for a drinking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view partially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cleaning supply apparatus for a drinking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 세척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이기 위한 참고도면이며, 그 구성 요소 중, 투입구(2)의 위치와, 기 사용 음용컵 공급 안내수단(10), 그리고 세척 음용컵 투출 안내수단(60)의 위치 및 형상은 실제와 다를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For reference, Figure 2 is a reference view for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cleaning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components, the position of the inlet (2), the drinking cup supply guide means 10, and wash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drinking cup dispensing guide means 60 may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state.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는, 기기 본체(1)의 투입구(2)로 투입된 기 사용 음용컵(C1)이 각각 낱개로 눕혀진 상태로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기 사용 음용컵 공급 안내수단(10)과, 상기 기 사용 음용컵 공급수단의 하단부와 통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기 사용 음용컵(C1)의 세척 공정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하우징(20)과, 외주연부에 상기 기 사용 음용컵 공급수단으로부터 낙하되는 기 사용 음용컵(C1)이 수납되는 복수개의 수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조 하우징(20)에 세워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음용컵(C1)을 이송시키는 음용컵 이송수단(30)과, 상기 음용컵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기 사용 음용컵(C1)에 증기 또는 세척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시켜 살균 세척시키는 살균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조 하우징(20)의 타측과 통하도록 설치되고 살균 세척이 완료된 음용컵(C2)이 차례로 적층된 상태로 기기 본체(1)의 투출구(3)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세척 음용컵 투출 안내수단(60)과, 상기 세척조 하우징(20)의 하측과 통하도록 설치되고 기 사용 음용컵(C1)을 세척한 오염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오염 세척수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automatic cleaning supply apparatus for drinking cups that can be repeatedly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drinking cups C1 introduced into the inlet 2 of the apparatus main body 1 are laid down individually. Used drinking cup supply guide means for guiding to fall to the lower side 10 and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use drinking cup supply means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rein to wash the use drinking cup (C1) A washing tank housing 20 in which the process is performed and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grooves 31 in which the drinking cup C1 dropped from the drinking cup supply means ar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the washing tank housing 20 is formed in the washing tank housing 20. Steam or wash water is coupled to the rotatable in a standing state to the drinking cup conveying means 30 for conveying the drinking cup (C1)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tion, and the drinking cup (C1) used by the drinking cup conveying means small Sterilization cleaning means for sterilizing and washing by spraying at a pressure of the outlet,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main unit 1 in a state in which the drinking cup (C2) installed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side of the cleaning tank housing 20 is completed in order 3) the cleaning drinking cup discharge guide means for guiding the (60) and the contamination to discharge the contaminated washing water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tank housing 20, the cleaning drinking cup (C1) to the outs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washing water discharge means.

상기 기 사용 음용컵 공급 안내수단(10)은 기 사용 음용컵(C1)을 기기 본체(1)의 투입구(2)로 투입할 경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낱개로 눕혀진 상태로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안내되도록 소정의 형상을 갖는 구조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 사용 음용컵 공급 안내수단(1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기 사용 음용컵(C1)을 올바른 자세로 공급하기 위한 어떠한 형상을 모두 포함한다.The use drinking cup supply guide means 10 when the use drinking cup (C1)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2) of the main body of the device 1, as shown in the figure, each side down in the state lying down individually It is formed of a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so as to be guided to fall. The shape of the use drinking cup supply guide means 10 nee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and includes all shapes for supplying the use drinking cup C1 in a correct posture.

상기 음용컵 이송수단(30)은 원판 형상이며, 제1 구동모터(32)를 포함하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력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drinking cup conveying means 30 has a disc shape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rotational force by a separate driving means including a first driving motor 32.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조 하우징(20)의 중앙부에는 제1 구동모터(32)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제1 회전축(33)이 베어링 등의 통상적인 회전 지지수단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회전축(33)에, 외주면에 음용컵(C1)(C2)이 수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음용컵 수납홈(31)이 형성된 회전 원판(30)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 상기 구동모터(32)의 동력으로 회전 원판(30)의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first rotating shaft 33 that is rotated by the power of the first drive motor 32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washing tank housing 20 is a conventional bearing or the like. Rotating disc is rotatably coupled by the rotation support means, a plurality of drinking cup receiving groove 31 is formed on the first rotating shaft 33, the drinking cup (C1) (C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30 is integrally fixed, and the rotation disc 30 can be rotated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32.

상기 구동모터(32)의 동력을 회전 원판(30)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수단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조 하우징(20)의 배면 일측에 제1 구동모터(32)를 고정하고, 상기 제1 구동모터(32)에 구동기어(34)를 직결하고, 상기 제1 회전축(33)의 단부에 종동기어(35)를 직결하여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회전 원판(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1 구동모터(32)의 동력을 제1 회전축(33)으로 전달하여 회전 원판(30)을 회전시키는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다른 여러 가지 수단 및 구성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Referr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32 to the rotating disk 30,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drive motor on one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cleaning tank housing 20 Rotating disc 30 by fixing 32, directly connecting the drive gear 34 to the first drive motor 32, and directly connecting the driven gear 35 to the end of the first rotation shaft 33 to engage each other.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rotation of).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first drive motor 32 to the first rotation shaft 33 to rotate the rotation disc 30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and by applying various other means and configurations It is okay.

한편, 상기 세척조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증기 또는 세척수로 기 사용 음용컵(C1)의 세척 공정이 이루어지는 바, 기 사용 음용컵(C1)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 사용 음용컵(C1)을 눕혀진 상태에서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process of the drinking cup (C1) using the steam or the washing water is made in the interior of the washing tank housing 20, the drinking cup (C1) used to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drinking cup (C1) It is preferable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speed in the lying state.

즉,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조 하우징(20)의 하부 양측에 기 사용 음용컵(C1)의 받침 역할을 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2 회전축(41)(42)이 각각 베어링 등의 통상적인 회전 지지수단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회전축(41)(42)의 전,후방에는 받침 회전 롤러 (43)(43')(44)(44')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회전축(41)(42)의 단부에는 구동풀리(45) 및 종동풀리(46)가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구동풀리(45) 및 종동풀리(46)에는 벨트(47)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척조 하우징(20)의 배면 타측에는 제2 구동모터(48)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 구동모터(48) 및 상기 일측 제2 회전축(41)에는 구동기어(49) 및 종동기어(50)가 각각 고정되어 서로 맞물려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2 to 5, the second rotary shaft 41 (42)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serve as a support for the drinking cup (C1) used on the lower both sides of the washing tank housing 20, Each is rotatably coupled by a conventional rotation support means such as a bearing, and the support rotary rollers 43, 43 ', 44, 44' before and after the second rotary shafts 41 and 42, respectively.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driving pulley 45 and the driven pulley 46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second rotation shafts 41 and 42, and the drive pulley 45 and the driven pulley 46 are belts. 47 are respectively connected. In addition, a second driving motor 48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washing tank housing 20, and a driving gear 49 and a driven gear ar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otor 48 and the one side second rotating shaft 41. Each 50 is fixed and meshed with each other.

상기 회전 롤러(43)(44)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모터(48)의 동력 전달수단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음이 물론이다.Of course,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of the second drive motor 48 for rotating the rotary roller 43, 44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상기 전방측 회전 롤러(43)(44)는 기 사용 음용컵(C1)의 선단 테두리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비교적 큰 직경으로 이탈방지턱(43a)(44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side rotating rollers 43 and 44 are each formed with a separation prevention jaw 43a and 44a with a relatively large diameter so as to guide the leading edge of the drinking cup C1.

한편, 상기 살균 세척수단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케이스(51)와, 상기 세척수 케이스(51)에 저장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수단(52)과,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52)에 의하여 공급되는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수단 (53)(53')과,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52)에 의하여 공급된 세척수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수단(54)과, 상기 세척조 하우징(20)의 내부로 연결되어 증기 또는 세척수를 기 사용 음용컵(C1)으로 분사시키는 분사수단(55)을 포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rilization washing means is supplied by the washing water case 51 for storing the washing water, the washing water supply means 52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shing water case 51, and the washing water supply means 52 A backflow preventing means (53) (53 ') for preventing backflow of the wash water, a heating means (54) for heating the wash water supplied by the wash water supply means (52) to generate steam, and the washing tank housing (20). Is connected to the interior of the injection means 55 for spraying steam or wash water into the drinking cup (C1) for use.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52)은 세척수 공급라인(L)의 소정 부위에 통하도록 연결되는 실린더(56)와, 상기 실린더(56)에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피스 톤 (57)과, 상기 피스톤(57)에 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구동부(58)를 포함하고 있다.The washing water supply means 52 is a cylinder 56 connected to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washing water supply line (L), a piston 57 is coupled to the cylinder 56 so as to reciprocate movement, and the piston A driving unit 58 for applying power to the 57 is included.

상기 구동부(58)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57)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하여 동일선상에 종동기어(81) 및 구동기어(82)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서로 맞물려 있으며, 상기 구동기어(82)에 제3 구동모터(83)가 직결되거나 또는 별도의 동력중계수단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57)과 종동기어(81)가 크랭크부재(84)로 연결 설치되어 있어, 제3 구동모터(83)의 회전에 따른 종동기어(81)의 회전 동작으로 피스톤(57)이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면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An embodiment of the drive unit 58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shown in FIG. 8, the driven gear 81 and the drive gear 82 are arrang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piston 57. Rotatingly coupled and engaged with each other, the third drive motor 83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gear 82 or connected by a separate power repeater, and the piston 57 and the driven gear 8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connected to the crank member 84, and the piston 57 is supplied to the washing water while perform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y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driven gear 8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hird drive motor (83).

상기 피스톤(57)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58)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공압 또는 솔레노이드 등의 통상적인 동력발생수단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The driving unit 58 for driving the piston 57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applied with conventional power generating means such as pneumatic or solenoid.

상기 역류 방지수단(53)(53')은 실린더(56)를 중심으로 그 양측의 세척수 공급라인(L)에 각각 설치되는 체크 밸브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피스톤(57)의 이동에 따른 세척수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역류 방지수단 (53)(53')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reverse flow prevention means 53 and 53 ′ refer to check valves or the like installed on the washing water supply lines L on both sides of the cylinder 56, and the washing wat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iston 57. It is to prevent backflow. The reverse flow prevention means 53 and 53 'are also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상기 가열수단(54)은 세척수를 가열하여 증기 또는 고온의 세척수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세척수의 가열 온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수단(54)은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세척수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것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The heating means 54 serves to generate steam or high temperature washing water by heating the washing water, and preferably includes a function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Although the heating means 54 is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any form may be applied as long as the heating means 54 generates steam by heating the washing water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상기 분사수단(55)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 사용 음용컵(C1)의 외주면을 세척하기 위한 제1 분사 노즐(59)과, 상기 기 사용 음용컵 (C1)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제2 분사 노즐(59a)을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the injection means 55, as shown in Figure 6, the first injection nozzle 59 for wash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nking cup (C1) for use, and the drinking cup (C1) And a second spray nozzle (59a) for cleaning the inside.

또한, 상기 세척 음용컵 투출 안내수단(60)은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조 하우징(20)의 타측과 통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소정의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살균 세척수단에 의하여 세척이 완료된 음용컵(C2)이 회전 원판 (3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 때, 회전 원판(30)의 음용컵 수납홈(31)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순서대로 낙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세척 음용컵 투출 안내수단(6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으며, 세척 음용컵(C2)을 올바른 자세로 적층되도록 하는 어떠한 형상을 모두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shing drinking cup dispensing guide means 6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side of the washing tank housing 20, as shown in Figures 2 and 8 an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by the sterilizing washing means When the washing cup C2, which has been washed,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ting disc 30, the drinking cup C2 falls in order from the drinking cup receiving groove 31 of the rotating disc 30 in order. To do so, the shape of the drinking drinking cup dispensing guide means 60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and includes all shapes to be laminated to the washing drinking cup (C2) in the correct position.

상기 세척 음용컵(C2)이 낙하되는 동작에 있어서, 회전 원판(30)의 회전에 의해 눕혀진 상태로 낙하되면서 세척 음용컵 투출 안내수단(60)의 경사 부분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개방된 부분이 상측을 향하면서 순차대로 적층되는 것이다.In the operation in which the washing drinking cup C2 falls, the portion naturally opened by the inclined portion of the washing drinking cup dispensing guide means 60 while falling in a lying state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disc 30 is upward. It will be stacked in order while facing.

상기 세척 음용컵 투출 안내수단(60)의 내주면 하단부위에는 낙하되는 세척 음용컵(C2)을 잡아주기 위한 탄성 홀더(61)가 적어도 3개 이상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세척 음용컵(C2)이 임의로 투출구(3)로 낙하되는 경우는 없으며, 사용자가 투출구(3)로 손을 집어 넣고 세척 음용컵(C2)을 가볍게 잡아 당겨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At least three or more elastic holders 61 ar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shing drinking cup dispensing guide means 60 to hold the falling washing drinking cup C2. Therefore, the washing drinking cup (C2) does not fall arbitrarily to the discharge port (3), the user puts his hand into the discharge hole (3) is to use a lightly pull the washing drinking cup (C2).

한편, 상기 오염 세척수 배출수단은 상기 세척조 하우징(20)의 하측과 통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배수관(71)과, 상기 배수관(71)으로 배출되는 오염 세척수를 수거하는 사용수 케이스(72)와, 상기 사용수 케이스(72)와 통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라인(73)을 포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llutant washing water discharge means is a drain pipe 71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tank housing 20, the use case 72 for collecting the polluted wash water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71, and the It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casing 72, and includes an exhaust line 73 to allow the steam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배수관(71)의 내부에는 세척수 공급라인(L)과 통하도록 연결되는 응축기 등의 열교환수단(74)이 설치되어 있어, 세척 공정에 따른 고온의 증기가 상기 열교환수단(74)을 통과하면서 응축되어 사용수 케이스(72)로 낙하되도록 하는 동시에, 세척수 케이스(51)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열교환수단(74)을 통과하면서 열교환됨으로써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는 효과를 얻는다. 이는 가열수단(54)의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는 또 다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Heat exchange means 74, such as a condenser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wash water supply line L, is installed in the drain pipe 71 so that hot steam conden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means 74 is condensed. And the water is dropped into the use water case 72, and at the same time,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shing water case 51 is heat-exchan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means 74, thereby obtaining the effect of being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is can be expected another effect that contributes to energy savings by playing a secondary role of the heating means (54).

상기 배기라인(73)은 사용수 케이스(72)에 잔존하는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exhaust line 73 serves to discharge steam remaining in the use case 72 to the outside.

상기 세척수 케이스(51) 및 사용수 케이스(72)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부에서 세척수 케이스(5)로 세척수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수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lthough the washing water case 51 and the use water case 72 are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s, the washing water case 51 is configured to smoothly supply th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case 5 and to smoothly discharge the used water to the outside. Consists of.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와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washing supply of the drinking cup can be repeatedly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에 의한 기기 본체(1)의 투입구(2)로 기 사용 음용컵(C1)을 투입하면, 기 사용 음용컵 공급 안내수단(10)의 안내를 받으며 하강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낱개로 눕혀진 상태로 세척조 하우징(20)의 내부로 공급된다.When the use drinking cup C1 is inserted into the inlet 2 of the apparatus main bod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the drinking cup supply guide means 10 is lowered to receive the guide. As shown in, each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tank housing 20 in a state of lying down individually.

이 때, 세척조 하우징(20)의 내부에는 회전 원판(30)이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90°의 각도로 회전되면서 기 사용 음용컵(C1)을 이송시키게 되는 바, 투입된 기 사용 음용컵(C1)은 회전 원판(30)의 음용컵 수납홈(31)으로 수납되어 세척 공정을 대기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washing tank housing 2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an angle of 90 ° inside the washing tank housing 20 to transfer the drinking cup (C1) for use, the used drinking cup ( C1) is accommodated in the drinking cup receiving groove 31 of the rotating disc 30 to wait for the washing process.

이 후, 회전 원판(30)이 제1 구동모터(32)의 동력으로 90°회전하게 되면, 기 사용 음용컵(C1)은 하강하여 받침 회전 롤러(43)(43')(44)(44')의 상측에 얹혀지게 된다.After that, when the rotating disc 30 is rotated 90 ° by the power of the first drive motor 32, the drinking cup C1 for use is lowered to support the rotating rollers 43, 43 '(44) (44). It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

이 때, 상기 받침 회전 롤러(43)(43')(44)(44')는 제2 구동모터(48)의 동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있으므로 기 사용 음용컵(C1)을 마찰력으로 롤링시키게 된다. 상기 기 사용 음용컵(C1)은 하측에서는 받침 회전롤러 (43)(43')(44) (44') 가 지지하고 있고, 상측에서는 회전 원판(30)의 수납홈(31)이 가이드하고 있으므로, 다른 곳으로 벗어나는 경우는 없다.At this time, since the supporting rotary rollers 43, 43 ', 44 and 44'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by the power of the second driving motor 48, the drinking cup C1 to be used is rolled by the frictional force. do. Since the supporting drinking cup C1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rotary rollers 43, 43 ', 44, 44' at the lower side, and the receiving groove 31 of the rotating disc 30 is guided at the upper side thereof. In other words, it doesn't go anywhere else.

이와 같이, 기 사용 음용컵(C1)이 받침 회전 롤러(43)(43')(44)(44')에 얹혀져 롤링되고 있는 상태에서 분사수단(55)에 의해 증기 또는 세척수로 살균 세척 공정이 진행된다.As such, the sterilization washing process with steam or washing water is performed by the spraying means 55 while the drinking cup C1 is placed on the supporting rotary rollers 43, 43 ', 44, 44' and is being rolled. Proceed.

즉, 세척수 케이스(51)에 소정량의 세척수가 저장된 상태에서 유압장치 또는 솔레노이드 등의 통상적인 구동부(58)의 구동으로 피스톤(57)이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면, 세척수 케이스(51)의 세척수가 세척수 공급라인(L)의 안내를 받으며 펌핑되는데, 실린더(56)를 중심으로 하여 세척수 공급라인(L)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역류 방지수단(53)(53')이 동작을 함으로써 세척수가 세척수 케이스(51)로 역류되지 않고 분사수단(55)을 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piston 57 linearly reciprocates by the driving of the conventional drive unit 58 such as a hydraulic device or a solenoid whil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hing water is stored in the washing water case 51, the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water case 51 The pump is pumped under the guidance of the washing water supply line (L), and the washing water case (53, 53 ')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washing water supply line (L) around the cylinder (56) operates to wash water. It does not flow back to 51 and is directed toward the injection means (55).

이와 같이, 세척수 공급라인(L)을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는 열교환수단(74)을 지나 가열수단(54)을 통과하게 되는 바, 상기 가열수단(54)에 의하여 증기 또는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고온의 세척수가 분사수단(55)의 제1분사 노즐(59) 및 제2 분사 노즐(59a)로부터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되면서 기 사용 음용컵(C1)의 외주면 및 내부를 살균 세척하게 된다.As such,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shing water supply line L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 means 74 and passes through the heating means 54. The high temperature heated to steam o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the heating means 54.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from the first spray nozzle 59 and the second spray nozzle 59a of the spraying means 55 to sterilize and cle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drinking cup C1.

이 후, 회전 원판(30)이 90°회전하게 되면, 기 사용 음용컵 공급 안내수 단 (10)로부터 세척조 하우징(20)의 내부로 공급되어 대기하고 있던 기 사용 음용컵 (C1)이 세척 공정을 위하여 하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세척 공정이 완료된 음용 컵 (C2)은 세척 음용컵 투출 안내수단(60)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낙하되어 적층된다.Thereafter, when the rotating disc 30 is rotated by 90 °, the drinking cup C1, which has been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tank housing 20 from the drinking cup supply guide stage 10, is waiting for the washing process. At the same time moving to the lower side, the drinking cup (C2) of the washing process is completed is sequentially dropped through the washing drinking cup discharge guide means 60 is laminated.

이 때, 상기 세척 음용컵 투출 안내수단(60)의 출구 부위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탄성 홀더(6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척 음용컵(C2)을 안정하게 잡아준다. 따라서, 세척 음용컵(C2)이 임의로 낙하되는 경우는 없으며, 사용자가 투출구(3)로 손을 밀어 넣어 세척 음용컵(C2)을 1개씩 취출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at least three or more elastic holders 61 are installed at the outlet portion of the washing drinking cup dispensing guide means 60, the drinking drinking cup C2 is stably held. Therefore, the washing drinking cup (C2) does not fall arbitrarily, the user pushes his hand into the discharge hole (3) is to take out the washing drinking cup (C2) one by one.

한편, 상기 세척조 하우징(20)의 내부에서 기 사용 음용컵(C1)을 세척한 세척수는 배수관(71)을 통하여 사용수 케이스(72)로 저장되며, 증기는 배수관(71)의 내부에 장착된 응축기 등의 열교환수단(74)에 의하여 응축되어 사용수 케이스(72)로 저장된다.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water to wash the use drinking cup (C1) in the interior of the washing tank housing 20 is stored in the use water case 72 through the drain pipe 71, the steam is mounted inside the drain pipe 71 It is condensed by heat exchange means 74 such as a condenser and stored in the use case 72.

이 때, 상기 열교환수단(74)은 증기의 응축 작용을 돕는 역할 외에도 세척수 공급라인(L)을 따라 공급되는 세척수를 열교환시켜 소정의 온도로 가열시킨 후, 가열수단(54)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가열수단(54)의 전기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t exchange means 74 heats the washing water supplied along the washing water supply line L in addition to helping condensation of the steam to be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n is supplied to the heating means 54. The electricity consumption of the means 54 can be reduced.

상기와 같은 회전 원판(30)의 반복적인 회전 동작에 따라 기 사용 음용컵 (C1)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증기 또는 세척수로 살균 세척 공정을 실시하며, 세척 공정이 완료된 음용컵(C2)을 투출구(3)를 향하여 배출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In accordance with the repetitive rotation of the rotary disk 30 as described above, the drinking cup (C1) to be used is sequentially supplied, the sterilization washing process is performed with steam or washing water, and the drinking cup (C2) has been cleaned. It is to repeatedly perform the operation discharged toward the outlet (3).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는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청구항 및 그 종속항의 창작적 개념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음용컵 이외에 다른 용기의 세척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utomatic cleaning supply device for a drinking cup that can be repeatedly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ccordingly,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ve concept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dependent claims, and of course, they may be used for cleaning other containers besides drinking cup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는, 기기 본체의 투입구로 투입된 기 사용 음용컵이 각각 낱개로 눕혀진 상태로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기 사용 음용컵 공급 안내수단과, 상기 기 사용 음용컵 공급수단의 하단부와 통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기 사용 음용컵의 세척 공정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하우징과, 외주연부에 상기 기 사용 음용컵 공급수단으로부터 낙하되는 기 사용 음용컵이 수납되는 복수개의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조 하우징에 세워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음용컵을 이송시키는 음용컵 이송수단과, 상기 음용컵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기 사용 음용컵에 증기 또는 세척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시켜 살균 세척시키는 살균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조 하우징의 타측과 통하도록 설치되고 살균 세척이 완료된 음용컵이 차례로 적층된 상태로 기기 본체의 투출구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세척 음용컵 투출 안내수단과, 상기 세척조 하우징의 하측과 통하도록 설치되고 기 사용 음용컵을 세척한 오염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오염 세척수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1회용 종이컵의 사용에 따른 자원 낭비 문제를 해소하고,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하며, 또한 종이컵 처리에 따른 비용 및 인원 추가 문제를 해결하여 운영비 절감에 크게 기여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cleaning supply apparatus for drinking cups that can be repeatedly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guiding the drinking cups introduced into the inlet of the main body of the appliance to fall downward in the state of being laid down individually. A cup supply guide means, a washing tank housing which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drinking cup supply means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rein to perform a washing process of the drinking cup, and the drinking cup is supplied to the outer periphery. A drinking cup conveying means for forming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grooves into which the drinking cups falling from the means are accommodated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washing tank housing to convey the drinking cups according to a rotational motion, and the drinking cup conveying means Sterilization by spraying steam or washing wate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into the drinking cup Sterilization washing means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washing tank housing, and the drinking cup cup discharge guide means for guiding the sterilized washing cup is completed in order to be directed to the outlet of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and the washing tank housing Contaminated wash water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ntaminated washing wate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installed drinking cups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side to solve the waste of resources caused by the use of conventional disposable paper cups, It prevents contamination and also contributes to the reduction of operating costs by solving the problem of additional costs and personnel associated with paper cup processing.

Claims (7)

기기 본체의 투입구로 투입된 기 사용 음용컵이 각각 낱개로 눕혀진 상태로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기 사용 음용컵 공급 안내수단과,The drinking cup supply guide means for guiding the drinking cups put into the inlet of the main body to fall to the lower side in a state of lying down individually, and 상기 기 사용 음용컵 공급수단의 하단부와 통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기 사용 음용컵의 세척 공정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하우징과,A washing tank housing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drinking cup supply means and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to perform a washing process of the drinking cup; 외주연부에 상기 기 사용 음용컵 공급수단으로부터 낙하되는 기 사용 음용컵이 수납되는 복수개의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조 하우징에 세워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음용컵을 이송시키는 음용컵 이송수단과,A drinking cup for transporting the drinking cup according to the rotation operation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for receiving the drinking cup falling from the using drinking cup supply means to the rotatable state standing in the washing tank housing Transport means, 상기 음용컵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기 사용 음용컵에 증기 또는 세척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시켜 살균 세척시키는 살균 세척수단과,Sterilization washing means for sterilizing and washing by spraying steam or washing water to a predetermined pressure on the drinking cup used by the drinking cup transfer means; 상기 세척조 하우징의 타측과 통하도록 설치되고 살균 세척이 완료된 음용컵이 차례로 적층된 상태로 기기 본체의 투출구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세척 음용컵 투출 안내수단과,Washing cup dispensing guide means for guiding the drinking cup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side of the washing tank housing and directed toward the outlet of the main body of the applianc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sterilized washing cups are stacked in sequence; 상기 세척조 하우징의 하측과 통하도록 설치되고 기 사용 음용컵을 세척한 오염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오염 세척수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It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tank housing, the automatic cleaning supply apparatus for a repeatable use of the drinking cu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aminated washing water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ntaminated washing water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컵 이송수단은 원판 형상이며,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력을 받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rinking cup transfer means has a disc shape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rotational force by a separate driving means including a driving mo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하우징의 내부 소정 부위에는 음용컵 이송수단의 수납홈에 수납된 기 사용 음용컵의 하부 양측에서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 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 롤러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washing tank hous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rinking cup us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drinking cup transfer means, the support roller comprises a drive motor Automatic washing supply of drinking cups that can be used repeatedl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rotated by a separate drive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세척수단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케이스와, 상기 세척수 케이스에 저장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수단과,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에 의하여 공급되는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수단과,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에 의하여 공급된 세척수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세척조 하우징의 내부로 연결되어 증기 또는 세척수를 기 사용 음용컵으로 분사시키는 분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rilizing washing means comprises a washing water case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stored, washing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shing water case, and a backflow prevention to prevent backflow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by the washing water supply means. And means for heat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by the washing water supply means to generate steam, and spraying mean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tank housing for spraying steam or washing water into a drinking cup.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drinking cups that can be used repeatedl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은 세척수의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서 직선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과,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기어와, 상기 기어와 피스톤을 연결하는 크랭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washing water supply means is a cylinder installed on the supply line of the washing water, the piston reciprocating linearly in the inside of the cylinder, the drive motor, at least one or more rotated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And a crank member for connecting the gear and the piston to the automatic cleaning supply apparatus for a drinking cup which can be used repeatedl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은 상기 오염 세척수 배출수단의 오염 세척수 배출 경로상에 설치되어 배출 증기와 세척수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5. The drinking cup of claim 4, wherein the washing water supplying means further comprises heat exchange means installed on the contaminated washing water discharge path of the contaminating washing water discharge means to heat-exchange the discharge steam and the washing water. Self-cleaning fee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음용컵 투출 안내수단은 적층된 세척 음용컵을 잡아주기 위한 복수개의 탄성 홀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사용이 가능한 음용컵의 자동 세척 공급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washing and drinking cup dispensing guide means comprises a plurality of elastic holders for holding the stacked washing drinking cups.
KR2019990025463U 1999-11-19 1999-11-19 Apparatus for automatic washing and supply of re-usable cup KR200178338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444A KR100347563B1 (en) 1999-11-19 1999-11-19 Apparatus for automatic washing and supply of re-usable cup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444A Division KR100347563B1 (en) 1999-11-19 1999-11-19 Apparatus for automatic washing and supply of re-usable cu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8338Y1 true KR200178338Y1 (en) 2000-04-15

Family

ID=196207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444A KR100347563B1 (en) 1999-11-19 1999-11-19 Apparatus for automatic washing and supply of re-usable cup
KR2019990025463U KR200178338Y1 (en) 1999-11-19 1999-11-19 Apparatus for automatic washing and supply of re-usable cup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444A KR100347563B1 (en) 1999-11-19 1999-11-19 Apparatus for automatic washing and supply of re-usable c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4756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1524A1 (en) * 2007-07-13 2009-01-22 Gi-Chang Choi Cup washer
KR101512016B1 (en) 2014-11-28 2015-04-14 박종주 Cup washing device
CN107938226A (en) * 2017-12-25 2018-04-20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Dyeing cup unpicks and washes device automatical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676B1 (en) * 2001-12-15 2004-07-02 최기창 Automatic Cup Washing Machine
KR100602566B1 (en) * 2004-01-30 2006-07-25 핫크린주식회사 Automatic Washer for Cups
KR101270660B1 (en) * 2011-11-22 2013-06-03 아바전자 주식회사 A cup washer and a cup-holder for Sterilizer and dryer
KR101245801B1 (en) 2011-11-22 2013-03-20 아바전자 주식회사 A cup washer for disinfection
KR101280925B1 (en) * 2011-11-22 2013-07-01 아바전자 주식회사 A cup washer and a cup supplying apparatus for Sterilizer and dryer
KR101436491B1 (en) * 2013-05-13 2014-09-01 김응진 Cup automatic washing apparatus
WO2021011604A1 (en) * 2019-07-18 2021-01-21 Illinois Tool Works Inc. Conveyor dishwasher for cleaning washware
IT201900016853A1 (en) * 2019-09-20 2021-03-20 Idm Packaging S R L EQUIPMENT AND WASHING METHOD FOR CONTAINERS
KR102443023B1 (en) * 2021-12-21 2022-09-14 성상일 Container supply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1524A1 (en) * 2007-07-13 2009-01-22 Gi-Chang Choi Cup washer
KR101512016B1 (en) 2014-11-28 2015-04-14 박종주 Cup washing device
CN107938226A (en) * 2017-12-25 2018-04-20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Dyeing cup unpicks and washes device automatically
CN107938226B (en) * 2017-12-25 2023-10-13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Automatic disassembling and washing device for dyeing c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7563B1 (en) 2002-09-10
KR20010047291A (en)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8338Y1 (en) Apparatus for automatic washing and supply of re-usable cup
US8240460B1 (en) Apparatus for cleaning a conveyor belt
KR1008367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cup
CN210884867U (en) Sterilizing device for escalator handrail
KR20110055324A (en) Auto cleaning system of the a heat exchanger
CN209139406U (en) A kind of pair of teat glass cleaning and sterilizing equipment decontaminating apparatus
CN111759487A (en) Cleaning and sterilizing equipment for surgical medical instruments
CN113877829A (en) Rotary logistics disinfection sorting device for intelligent logistics and using method thereof
CN216324039U (en) Cosmetic glass bottle belt cleaning device
CN108273818B (en) Method for cleaning coiled test tube based on corrosive cleaning solution
CN109365452A (en) A kind of pair of teat glass cleaning and sterilizing equipment decontaminating apparatus and application method
KR101512016B1 (en) Cup washing device
CN111150859B (en) Small medical metal instrumen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cabinet
KR199900682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washing supply of re-usable cup
KR101032626B1 (en) Method of collecting wire
EP1765527A1 (en) Gaming chip washing machine
KR101987951B1 (en) Cup input and output system of automatic cup washer
KR100837222B1 (en) A cup automatic washer
KR101987950B1 (en) Automatic cup washer
CN1616325B (en) Container handling machine comprising pockets
KR20030017203A (en) Automatic Cup Washing Machine
CN114543480A (en) Medical instrument cleaning and drying device
CN215031422U (en) Stainless steel plate cleaning mechanism
CN211324382U (en) Drinking water supply system and automatic cleaning and sterilizing machine
CN114345862A (en) Cabinet type multi-model test tube rins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