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204Y1 -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 Google Patents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204Y1
KR200178204Y1 KR2019980005688U KR19980005688U KR200178204Y1 KR 200178204 Y1 KR200178204 Y1 KR 200178204Y1 KR 2019980005688 U KR2019980005688 U KR 2019980005688U KR 19980005688 U KR19980005688 U KR 19980005688U KR 200178204 Y1 KR200178204 Y1 KR 200178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bar
reinforcing
formwork
inst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451U (ko
Inventor
송유섭
Original Assignee
송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섭 filed Critical 송유섭
Priority to KR2019980005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20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4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4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2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4Spacer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벽체 등과 같은 벽체의 시공시 횡으로 배치되는 두줄의 철근 및 안팎의 거푸집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거푸집의 간격유지구(Separater)에 관한 것으로, 이와같은 간격유지구에는 일반적으로 일정 길이의 막대에 소정의 간격으로 막대방향과는 직각방향 즉, 거푸집에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수직방향의 하측으로 철근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어, 철근 설치시 적어도 몸의 상체 부분은 간격유지구를 설치하는 철근 높이 이상으로 위치되어야 하므로 그 설치 작업이 크게 불편한 결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간격유지구에 형성시키는 철근수납부(2)(3) 중 하나의 철근수납부(2)는 그 개구부(21) 방향을 타측 철근수납부(3) 방향으로 약 45도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시키므로서, 이를 설치할 때에 기울게 형성된 철근수납부(2)의 개구부에 철근(4)을 위치시키고, 타측 철근 수납부(3) 부분을 잡고 당기면 철근수납부(2)에 철근이 수납되게 하고 다른쪽 철근을 철근수납부(3)에 수납시켜 설치할 수 있게 하여 간격유지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 것임.

Description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본 고안은 아파트 벽체 등과 같은 벽체의 시공시 횡으로 배치되는 철근과 철근 사이의 간격 및 각개의 철근과 안팎 거푸집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거푸집의 간격유지구(Separater)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간격유지구에는 일반적으로 일정 길이의 막대에 소정의 간격으로 막대방향과는 직각방향 즉, 거푸집에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수직방향의 하측으로 철근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철근 설치시에는 적어도 몸의 상체 부분이 간격유지구를 설치하는 철근 높이 이상으로 위치되어야 하므로 그 설치 작업이 크게 불편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더우기 이와 같은 철근과 거푸집의 간격유지구는 이를 설치한 후, 작업자가 설치된 철근을 밟고 올라 타 이동하는 등 철근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설치된 간격유지구가 이탈되지 아니하여야 하므로 그 결합 정도가 비교적 강건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따라서 간격유지구에는 위와 같은 자의적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늘 등이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미늘과 같은 이탈방지수단은 철근을 삽입하는 경우 그 삽입 또한 곤란하게 한다. 따라서 간격유지구의 수납홈에 철근을 삽입함에 있어서는 비교적 큰 힘을 가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그런데 아파트의 벽체 시공의 경우에 있어서는 설치되는 철근의 높이가 약 3m 높이 정도에 이르며, 이러한 벽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철근을 배근하고 이에 위의 간격유지구를 설치하려면 한손으로는 철근을 잡아 몸이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하고 다른 한손으로는 간격유지구를 설치하여야 하는 데다가, 이러한 철근에 간격유지구를 설치하려 한다면 적어도 상체가 간격유지구의 설치 위치 이상으로 높이 올라가야 하므로 간격 유지구의 설치작업이 크게 불편한 결점이 있으며, 더우기 이러한 벽체에는 배근되는 철근의 간격이 좁은 것이 보통이어서 간격유지구의 설치작업이 더욱 불편하므로 이러한 불편을 이기기 위하여는 상체를 더욱 높이 위치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간격유지구에 형성시키는 철근수납부 중 하나의 철근수납부는 그 개구부 방향을 타측 철근수납부 방향으로 약 45도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시키므로서, 이를 설치할 때에 기울게 형성된 철근수납부의 개구부에 철근을 위치시키고, 타측 철근수납부 부분을 잡고 당기어 철근수납부에 철근이 수납되게 한 후, 다른쪽 철근을 타측 철근수납부에 수납시켜 설치할 수 있게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벽체의 배설된 철근을 타고 올라가야 하는 높이를 현저히 낮추어 결국 간격유지구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정밀시공을 할수있게 하고, 건축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고안의 사용상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2, 3..........철근수납부
11............이탈방지구
21............개구부
본체(1)의 양측에, 거푸집(가)과 철근(나)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20, 30)을 두고 철근수납부(2, 3)을 형성시키되, 각개의 수납부(2, 3)에 철근(나)의 자의적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구(11)를 형성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본 고안은 간격유지구에 형성시키는 철근수납부(2)(3) 중 하나의 철근수납부(2)는 그 개구부(21) 방향(D)을 타측 철근수납부(3) 방향으로 약 45도의 기울기(A)를 가지도록 형성시킨다. 그리하여, 벽체를 구성하는 철근과 철근 사이의 간격 및 철근과 거푸집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도록 간격유지구를 설치할 때에, 기울게 형성된 철근수납부(2)의 개구부에 철근(나)을 위치시키고, 타측 철근 수납부(3) 부분을 잡고 당기면 철근수납부(2)에 철근이 수납되게 하고, 이어서 다른쪽 철근을 철근수납부(3)에 수납시켜 설치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한손으로는 철근을 잡아 몸이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하고 다른 한손으로 간격유지구를 설치하여야 하는 간격유지구 설치 작업시, 기울게 형성된 철근수납부의 개구부에 철근을 위치시키고, 타측 철근수납부 부분을 잡고 당기면 경사진 철근수납부에 철근이 수납되게 한 후, 다른쪽 철근을 타측 철근수납부에 수납시켜 설치할 수 있게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벽체의 배근된 철근을 타고 올라가야 하는 높이를 현저히 낮추어 결국 간격유지구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건축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1)의 양측에 철근수납부(2, 3)를 형성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간격유지구에 형성시키는 철근수납부(2)(3) 중 하나의 철근수납부(2)는 그 개구부(21) 방향을 타측 철근수납부(3) 방향으로 약 45도의 기울기(A)를 가지도록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간격 유지구.
KR2019980005688U 1998-04-11 1998-04-11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KR200178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688U KR200178204Y1 (ko) 1998-04-11 1998-04-11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688U KR200178204Y1 (ko) 1998-04-11 1998-04-11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451U KR19990039451U (ko) 1999-11-15
KR200178204Y1 true KR200178204Y1 (ko) 2000-05-01

Family

ID=1953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688U KR200178204Y1 (ko) 1998-04-11 1998-04-11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20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833A (ko) * 2000-10-19 2001-01-05 이상진 철근 간격유지구
KR100749051B1 (ko) * 2006-01-24 2007-08-13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외 단열재 선 시공 시 외부 옹벽 철근의 피복 두께 유지스페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451U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6963C (en) Brick tie
BR0011855A (pt) Sistema de muro de contenção em segmentos
CA2002953A1 (en) Retrofittable receptor device
US6457189B1 (en) Pool liner retainer with cap
KR200178204Y1 (ko)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KR101119556B1 (ko) 케이블 거치대
EP1029482A3 (en) Apparatus for securely retaining a plurality of garment hangers
GB2483894A (en) A cable security device for use in a catchpit
US9963916B2 (en) Security anchor
EP0067965B1 (en) Fastening arrangement including a wedge
AU732948B2 (en) Cable support device
KR200329208Y1 (ko) 국기함
KR200201749Y1 (ko) 케이블 트로프
CN210104933U (zh) 地漏封堵装置
KR200234871Y1 (ko) 철근간격유지구
KR200145013Y1 (ko) 거푸집의 간격 유지구
JPH0533536Y2 (ko)
KR0119217Y1 (ko) 금형 다이의 리프팅용 걸쇠이탈장지구조
US5784906A (en) Locking bolt for overhead support of weighted articles
KR200443653Y1 (ko) 영사스크린 브래킷
KR200216339Y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JPH0739984Y2 (ja) U字溝の浮上防止装置
JPS6328341A (ja) 釣竿用竿先保護カバ−
JPH0219435Y2 (ko)
JPH11294634A (ja) 長尺体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