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037Y1 - 열교환팩키지유닛 - Google Patents

열교환팩키지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037Y1
KR200178037Y1 KR2019990023898U KR19990023898U KR200178037Y1 KR 200178037 Y1 KR200178037 Y1 KR 200178037Y1 KR 2019990023898 U KR2019990023898 U KR 2019990023898U KR 19990023898 U KR19990023898 U KR 19990023898U KR 200178037 Y1 KR200178037 Y1 KR 200178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frame
heat
separated
pack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8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피에이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피에이치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피에이치이
Priority to KR2019990023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0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0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열교환팩키지유닛에 관한 본 고안은, 건물의 기계실에 시설되어 열병합발전소의 지역난방으로부터 공급받은 열을 건물내 각 필요처로 공급하는 열교환수단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수단은 하나의 프레임에 장착됨으로써 팩키지화된 유닛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은 상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두 개 이상의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져, 프레임부재의 분리시 각각의 프레임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열교환수단도 프레임부재의 분리에 따라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열교환팩키지유닛은, 기계실에 산개되어 있던 종래의 열교환시설을 하나의 프레임에 밀집시켜 팩키지화 함으로써, 운전이 편리하고 장소를 적게 차지하며 효율적인 열관리가 가능하다. 특히 열교환팩키지유닛을 외부공장에서 제작한 후 기계실에 옮겨와 설치할 수 있어,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공사기간이 짧으며 공사비가 저렴하다. 또한 열교환팩키지유닛을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로 분리할 수 있어 용량이 큰 팩키지유닛의 경우 유닛자체를 분리하여 운반하고 재 결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교환팩키지유닛{Packaged heat exchanger unit}
본 고안은 아파트나 상가건물등의 기계실에 설치되어, 각 지역의 열생산시설인 지역난방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을 건물내 필요위치로 전달하는 열교환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실내에 산개되어 있는 여러 장치를 하나의 프레임에 탑재하여 팩키지화한 열교환팩키지유닛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냉난방수단으로 널리 알려지고 있는 지역난방은, 일정지역에 있는 아파트, 상가, 업무용 빌딩 등 각종 건물이 개별 난방 시설을 갖추는 대신 집중된 대규모 열생산시설(열병합발전소, 열전용보일러, 쓰레기 소각로)에서 경제적으로 생산된 열(온수)을 이용하여 지역전체에 냉·난방 및 급탕열을 일괄 공급하는 도시기반 시설이다.
상기 열생산시설로부터 생산된 열은 파이프와 같은 열수송시설을 통해 열사용시설로 공급된다. 즉, 상기 열수송시설은 아파트나 상가 건물 등의 기계실에 구비되어 있는 열교환시설에 연결되어 건물내 각 필요처로 열이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각 건물의 기계실에는 지역난방 열수송시설의 높은 압력과 온도의 열을 건물내 필요처로 적절하게 분배하는 열교환시설이 반드시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열교환시설은 각 구성요소들이 기계실 내부의 이곳 저곳에 널리 산개된 상태로 설치되어, 여러 기계장치가 기계실을 가득 채운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공지의 사실과 같이 열교환시설은 다수의 열교환기와 각종 파이프라인, 밸브, 제어수단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기계실의 천정이나 벽 등을 차지하여 설치됨으로써 기계실 내부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였다.
이와 같이 열교환시설이 집중되어 설치되지 않으므로, 기계실 내부가 복잡하고 시설의 운전은 물론 관리가 불편하였으며 그만큼 열의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계실에 열교환시설을 최초로 설치할 때에도 공사기간이 길며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열교환시설을 하나의 프레임에 탑재하여 팩키지화 함으로써 효율적인 열관리가 가능하며 운전이 편리함은 물론 장소를 적게 차지하고, 열교환시설을 외부공장에서 제작한 후 기계실에 옮겨와 설치할 수 있어 공사가 간단하며 공사기간이 매우 짧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열교환팩키지유닛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팩키지유닛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적용하여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팩키지유닛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프레임 13:열교환수단
15,17:프레임부재 19:난방용열교환기
21:급탕용열교환기 23:순환펌프
25:공급라인 27:리턴라인
29:외부공급라인 31:외부리턴라인
33:급탕라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물의 기계실에 시설되어 열병합발전소의 지역난방으로부터 공급받은 열을 건물내 각 필요처로 공급하는 열교환수단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수단은 하나의 프레임에 장착됨으로써 팩키지화된 유닛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은 상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두 개 이상의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져, 프레임부재의 분리시 각각의 프레임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열교환수단도 프레임부재의 분리에 따라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물내 열부하의 증가에 따라 열교환팩키지유닛을 두 개 이상 연결하여 구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팩키지유닛에 포함 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적용하여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에 표시되어 있는 TE는 온도엘레멘트(TEMPERATURE ELEMENT)이고, PI는 압력인디케이터(PRESSURE INDICATOR), TI는 온도인디케이터(TEMPERATURE INDICATOR), DPV는 압력조정밸브(DIFFERINTIAL PRESSURE REGULATOR VALVE), SV는 안전밸브(SAFETY VALVE), FM은 플로우미터(FLOW METER)로서, 각각의 기능 및 작용은 공지의 사실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팩키지유닛에는 하나의 프레임(도 2의 11)위에 난방용열교환기(19)와 급탕용열교환기(21)와 순환펌프(23)를 포함하는 공지의 열교환수단(13)이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난방용열교환기(19)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레임(11)의 일측에 지지되어 외부의 열생산시설로부터 공급된 뜨거운물과 건물내의 난방파이프내를 순환하는 저온의 물과의 열교환을 수행한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열생산시설로부터 공급된 열은 외부공급라인(29)을 통해 일부가 난방용열교환기(19)를 거쳐 외부리턴라인(31)을 통해 유동하는 동안 건물내의 난방파이프를 순환하는 저온의 물로 전달되어 난방이 수행되는 것이다.
건물내를 순환하는 저온수는 공급라인(25)을 통해 난방용열교환기(19)를 거쳐 가열되고, 가열된 상태로 리턴라인(27)을 통해 난방필요처로 유동하면서 난방을 수행한다.
기계실내에 설치된 열교환팩키지유닛에 있어서, 상기 외부공급라인(29)과 외부리턴라인(31)은 기계실내로 인입되는 열수송파이프와 연결되며, 공급라인(25)과 리턴라인(27)은 건물내의 난방용 순환파이프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외부공급라인(29)를 통해 열교환팩키지유닛으로 공급되는 뜨거운 물의 일부는 급탕용열교환기(21)측으로 공급되어 급탕라인(33)내를 흐르는 차거운물을 가열한다. 상기 급탕용열교환기(21)도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있으며 건물내에 설치되어 있는 급탕라인(33)과 연결됨은 물론이다.
상기 열교환기(19,21)와 함께 설치된 상기 TE, PI, TI, DPV, SV, FM 등을 포함한 다른 요소는 공지의 요소이며 모두 프레임(도 2의 11)에 설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팩키지유닛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본 고안의 열교환팩키지유닛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어 결합함으로써 팩키지를 이루는 열교환수단으로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1)은 열교환수단(13)을 지지하며 기계실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11)의 형상은 열교환수단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11)은 두 개의 프레임부재(15,17)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필요시 두 개로 분리할 수 있다. 도면상 좌측의 프레임부재(15)에는 급탕용열교환기(21)가 설치되어 있고, 우측의 프레임부재(17)에는 난방용열교환기(19)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1)을 두 개의 프레임부재(15,17)로 제작하여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한 것은 운반과 설치의 편리성을 위한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열교환팩키지유닛은 외부의 공장에서 제작한 후, 기계실로 운반하여 설치가 가능한데, 열교환팩키지유닛의 용량이 클 경우 한번에 운반하기가 곤란할 수 가 있다. 이와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열교환팩키지유닛을 분리하여 운반 할 수 있도록 프레임을 분리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프레임(11)위에 설치된 열교환수단(13)은 다수의 이음부를 갖는 파이프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프레임(11)의 분리에 따라 열교환수단(13)도 임시분리한다. 상기 프레임부재(15,17)를 재결합 할 때 분리되었던 열교환수단도 다시 연결함은 물론이다.
결국, 본 고안의 열교환팩키지유닛은, 기계실 전체를 차지하고 있던 열교환시설을 하나의 프레임(11)에 장착하여 팩키지화한 유닛으로서, 열교환수단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가 프레임(11)내에 모여있으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열교환팩키지유닛은, 기계실에 산개되어 있던 종래의 열교환시설을 하나의 프레임에 밀집시켜 팩키지화 함으로써, 운전이 편리하고 장소를 적게 차지하며 효율적인 열관리가 가능하다. 특히 열교환팩키지유닛을 외부공장에서 제작한 후 기계실에 옮겨와 설치할 수 있어,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공사기간이 짧으며 공사비가 저렴하다. 또한 열교환팩키지유닛을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로 분리할 수 있어 용량이 큰 팩키지유닛의 경우 유닛자체를 분리하여 운반하고 재 결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건물의 기계실에 시설되어 열병합발전소의 지역난방으로부터 공급받은 열을 건물내 각 필요처로 공급하는 열교환수단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수단은 하나의 프레임에 장착됨으로써 팩키지화된 유닛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은 상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두 개 이상의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져, 프레임부재의 분리시 각각의 프레임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열교환수단도 프레임부재의 분리에 따라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팩키지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건물내 열부하의 증가에 따라 열교환팩키지유닛을 두 개 이상 연결하여 구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팩키지유닛.
KR2019990023898U 1999-11-03 1999-11-03 열교환팩키지유닛 KR200178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898U KR200178037Y1 (ko) 1999-11-03 1999-11-03 열교환팩키지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898U KR200178037Y1 (ko) 1999-11-03 1999-11-03 열교환팩키지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8037Y1 true KR200178037Y1 (ko) 2000-04-15

Family

ID=1959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898U KR200178037Y1 (ko) 1999-11-03 1999-11-03 열교환팩키지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0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79431A (zh) 节能型中央集中式供暖及热水供给系统
KR101222119B1 (ko) 직렬식 난방 및 급탕시스템
LT2010018A (lt) Centralizuota šilumos ir karšto vandens tiekimo sistema
EP3726146B1 (en) Combined heating and cooling system
US6889520B2 (en) Inter-region thermal complementary system by distributed cryogenic and thermal devices
EP4288709A1 (en) Methods and systems and apparatus to support reduced energy and water usage
KR20200001249A (ko) 패시브 하우스용 난방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설비시스템
JP2012042105A (ja) ヒートポンプ給湯機及びヒートポンプ給湯機システム
KR200178037Y1 (ko) 열교환팩키지유닛
KR19980018617A (ko) 온수·위생수겸용설비용 수압식 어셈블리
CN204115295U (zh) 一种区域地源热泵集成式三联供能源站
JP2707362B2 (ja) 地域冷暖房システム
EP1066493B1 (en) Heat exchanger installation
KR200244716Y1 (ko) 지역난방용 패키지 열 교환기
JP5372662B2 (ja) 熱リサイクルシステム
JP3053698B2 (ja) 地域冷暖房システム
KR200370859Y1 (ko) 난방 및 급탕 온수 공급 시스템
JPS5895154A (ja) 太陽熱集熱装置
KR100603962B1 (ko) 난방 및 급탕 온수 공급 시스템
US6581383B2 (en) Power station, in particular industrial power station
CN218179266U (zh) 一种保持油温恒定的循环管路结构
SU1183790A1 (ru) Система солнечного теплоснабжени здани
KR101350941B1 (ko) 계절별 열 부하 변동에 따른 가변 유량 지역난방용 이중보온관 시스템
JPS623608Y2 (ko)
CN208349406U (zh) 一种模块组合锅炉对称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