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784Y1 - 송전철탑용 블록행거 - Google Patents

송전철탑용 블록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784Y1
KR200177784Y1 KR2019990024931U KR19990024931U KR200177784Y1 KR 200177784 Y1 KR200177784 Y1 KR 200177784Y1 KR 2019990024931 U KR2019990024931 U KR 2019990024931U KR 19990024931 U KR19990024931 U KR 19990024931U KR 200177784 Y1 KR200177784 Y1 KR 200177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contact
transmission tower
ho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헌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4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7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7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전철탑용 블록행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작업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송전철탑의 연선작업시, 연선용 블록을 송전철탑에 용이하게 고정·설치하고, 송전철탑의 손상을 방지하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송전철탑용 블록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송전철탑 'L'형 앵글의 수직면에 일측면이 접촉되고, 접촉되지 않는 상/하부에 다수개의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된 체결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부중앙에 섀클홀이 형성된 제 1 몸체부와; 상기 'L'형 앵글의 수평면에 가로대의 일측이 접촉되고, 제 1 몸체부에 세로대의 일측이 접촉되며, 상기 세로대의 일측에 제 1 몸체부의 체결홀 및 섀클홀과 동일중심선을 구비하도록 체결홀 및 섀클홀이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앵글의 수평면에 접촉되지 않는 가로대의 끝단 상부에 연결구가 돌출·형성된 'ㄱ'형상의 제 2 몸체부와; 상기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의 일측단에 양측단이 각각 연결되고, 두 개의 고정부가 수직을 구비하며 설치된 제 3 몸체부와; 상기 제 1 몸체부 하부와 제 2 몸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홀에 의해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를 고정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제 2 몸체부의 연결구에 제 3 몸체부의 일측을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축볼트와; 상기 제 1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홀을 이용하여 제 3 몸체부를 체결하는 연결용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연선용 블록을 송전철탑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송전철탑용 블록행거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송전철탑용 블록행거 {Block hanger for steel tower}
본 고안은 송전철탑용 블록행거에 관한 것으로, 국가기본시설인 전력수송용 송전철탑 건설공사시, 전선설치를 위한 연선과정에 필요한 연선용 블록을 송전철탑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송전철탑용 블록행거에 관한 것이다.
중화학 공업을 중심으로 한 수출 주력국가인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경제규모 확데에 따라 신규공단 및 신도시 조성, 대도시 밀집에 의한 배후도시 개발, 소득규모 증대에 따른 1 인당 소비전력 증가 등 갈수록 수요가 늘어나는 전력의 안정된 수급을 위해 송전선로 공사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송전철탑에는 연선작업시 전선을 이동시키는 보조장치인 연선용 블록 부착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없으므로, 시공업체 주관하에 연선용 블록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시공업체는 송전철탑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해야 하지만 현장여건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 최고 전압을 수송하는 765,000V 송전철탑은 규모가 크고 dsutjs용 블록설치 부분도 많으므로 정밀한 블록 고정장치가 필요하지만, 시공 현장에서 사용되는 장치는 작업성과 구조물 안전에 따른 신뢰도가 부족한 현실이다.
또한, 송전압이 낮아지고 소규모 송전공사 일수록 시공업체 규모도 작아지며, 연선용 블록 설치시 와이어로프, 마닐라로프, 고무로프 등을 이용해 주먹구구식으로 시공하는 경우가 많아 송전철탑 암(ARM)부재에 손상을 주거나, 작업시 안전사고가 발생되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작업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송전철탑의 연선작업시, 연선용 블록을 송전철탑에 용이하게 고정·설치하고, 송전철탑의 손상을 방지하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송전철탑용 블록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송전철탑 'L'형 앵글의 수직면에 일측면이 접촉되고, 접촉되지 않는 상/하부에 다수개의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된 체결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부중앙에 섀클홀이 형성된 제 1 몸체부와; 상기 'L'형 앵글의 수평면에 가로대의 일측이 접촉되고, 제 1 몸체부에 세로대의 일측이 접촉되며, 상기 세로대의 일측에 제 1 몸체부의 체결홀 및 섀클홀과 동일중심선을 구비하도록 체결홀 및 섀클홀이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앵글의 수평면에 접촉되지 않는 가로대의 끝단 상부에 연결구가 돌출·형성된 'ㄱ'형상의 제 2 몸체부와; 상기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의 일측단에 양측단이 각각 연결되고, 두 개의 고정부가 수직을 구비하며 설치된 제 3 몸체부와; 상기 제 1 몸체부 하부와 제 2 몸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홀에 의해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를 고정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제 2 몸체부의 연결구에 제 3 몸체부의 일측을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축볼트와; 상기 제 1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홀을 이용하여 제 3 몸체부를 체결하는 연결용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연선용 블록을 송전철탑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송전철탑용 블록행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순서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을 이용한 송전철탑 연선 상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몸체부 (2) : 제 2 몸체부
(3) : 제 3 몸체부 (4,4`): 고정부
(5) : 고정볼트 (6) : 연결용 볼트
(5`,6`): 너트 (7) : 축볼트
(11,12,221): 체결홀 (13,222): 섀클(shackle)홀
(21) : 제 2 몸체부 가로대 (22) : 제 2 몸체부 세로대
(41) : 접촉대 (42) : 조절볼트
(100): 송전철탑 (110): 'L'형 앵글
(111): 앵글 수직면 (112): 앵글 수평면
(200): 블록 행거(BLOCK HANGER) (300): 연선용 블록(BLOCK)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송전철탑에 일측면이 각각 접촉되는 제 1, 2 몸체부(1,2)와, 상기 제 1,2 몸체부(1,2) 각각의 일측단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제 3 몸체부(3)와, 상기 제 3 몸체부(3)에 설치되는 고정부(4,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몸체부(1)는 송전철탑(100)의 'L'자형 앵글(110)의 수직면(111)에 일측이 접촉되는 것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며, 양측 즉, 'L'자형 앵글의 수직면(111)에 접촉되지 않은 상/하부에 두 개씩의 체결홀(11,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에 형성된 체결홀(12)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부중앙에 새클홀(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몸체부(2)는 송전철탑(100)의 'L'자형 앵글의 수평면(112)에 일측이 접촉되는 것으로, 앵글의 수평면(112)에 접촉되는 가로대(21)와, 제 1 몸체부(1)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세로대(22)가 'ㄱ'자 형상을 구비하며 형성되어 있으며, 가로대(21)의 일측 즉, 앵글의 수평면(112)에 접촉되지 않는 가로대(21)의 일측 상부에는 연결구(211)가 돌출·형성되고, 세로대(22)의 일측에는 두 개의 체결홀(221)이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체결홀(221) 하부에 위치하도록 중앙에 새클홀(22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몸체부(1)와 제 2 몸체부(2)는 고정볼트(5)에 의해 '┫'자 형상으로 서로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5)는 제 1 몸체부(1)의 하부에 형성된 두 개의 체결홀(12)과 제 2 몸체부(2)의 세로대(22)에 형성된 두 개의 체결홀(221)을 통과하여 너트(5`)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 1 몸체부(1)의 하부에 형성된 두 개의 체결홀(12)과 제 2 몸체부(2)의 세로대(22)에 형성된 두 개의 체결홀(221)은 각각 동일중심선을 구비하고, 제 1,2 몸체부(1,2)에 각각 형성된 새클홀(13,222) 역시 동일중심선을 구비한다.
상기 제 3 몸체부(3)는 고정볼트 및 너트(5,5`)에 의해 연결된 제 1,2 몸체부(1,2)의 일측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일측이 연결용 볼트(6)에 의해 제 1 몸체부(1)와 연결되고, 타측이 축볼트(7)에 의해 제 2 몸체(2)에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축볼트(7)는 제 2 몸체부(2)의 연결구(211)와 제 3 몸체부(3)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몸체부(3)는 축볼트(7)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용 볼트(6)는 제 3 몸체부(3)의 일측과 제 1 몸체부(1)를 체결하는 것으로, 제 3 몸체부(3)를 관통하여 제 1 몸체부(1)의 상부에 형성된 두 개의 체결홀(11)내로 끝단부가 각각 삽입되며, 너트(6`)에 의해 체결되어 제 1 몸체부(1)와 제 3 몸체부(3)를 고정되게 체결한다.
상기 고정부(4,4`)는 제 3 몸체부(3)에 설치되는 것으로, 앵글(11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대(41)와, 상기 접촉대(41)를 평행이동시키는 조절볼트(42)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개의 고정부(4,4`)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블록 행거(30)는 'L'형상을 구비하는 송전철탑(100)의 앵글(110)에 체결되는 것으로, 제 1,2 몸체부(1,2)가 앵글의 일측(바깥측)면에 각각 접촉되고, 제 3 몸체부(3)에 설치되는 두 개의 고정부(4)가 앵글(110)의 또다른 일측(내측)면에 각각 접촉되며, 제 1 몸체부(1)와 제 2 몸체부(2)는 고정볼트(5)및 너트(5`)에 의해 체결됨과 동시에, 제 3 몸체부(3)는 축볼트(7)에 의해 제 2 몸체부(2)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 1 몸체부(1)와 제 3 몸체부(3)의 일측 고정부(4)는 앵글의 수직면(11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제 2 몸체부(2)와 제 3 몸체부(3)의 또다른 고정부(4`)는 앵글의 수평면(11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순서를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고안을 이용한 송전철탑 연선 상황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제 1,2 몸체부(1,2)가 고정볼트(5)에 의해 영구고정되고, 제 3 몸체부(3)가 축볼트(7)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제 2 몸체부(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먼저 제 3 몸체부(3)와 제 1 몸체부(1)를 연결하는 연결용 볼트(6)를 풀고 축볼트7(7)를 중심으로 제 3 몸체부(3)를 회전시켜 제 3 몸체부(3)와 제 1 몸체부(1)를 분리한 다음, 연선용 블록(300)을 설치할 위치의 'L'형 앵글(110)에 제 1, 2 몸체부(1,2)의 일측면을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제 1,2 몸체부(1,2)가 앵글의 수직/수평면(111,112)에 밀착되면, 축볼트(7)를 중심으로 제 3 몸체부(3)를 회전시킨 다음, 고정부(4,4`)의 조절볼트(42)를 이용하여 접촉대(41)를 앵글의 수직/수평면(111,112)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연결용 볼트(6)를 이용하여 제 3 몸체부(3)와 제 1 몸체부(1)를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송전철탑(100)의 'L'자형 앵글(110)에 본 고안의 블록행거(200)가 체결되면, 제 1,2 몸체부(1,2)에 형성된 섀클홀(13,222)을 이용하여 연선용 블록(30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탈/부착이 용이한 블록 행거를 이용하여 연선용 블록을 안전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송전철탑 암(ARM)부재에 불필요한 충격 및 긁힘등의 손상을 주지 않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송전철탑 'L'형 앵글의 수직면에 일측면이 접촉되고, 접촉되지 않는 상/하부에 다수개의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된 체결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부중앙에 섀클홀이 형성된 제 1 몸체부와,
    상기 'L'형 앵글의 수평면에 가로대의 일측이 접촉되고, 제 1 몸체부에 세로대의 일측이 접촉되며, 상기 세로대의 일측에 제 1 몸체부의 체결홀 및 섀클홀과 동일중심선을 구비하도록 체결홀 및 섀클홀이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앵글의 수평면에 접촉되지 않는 가로대의 끝단 상부에 연결구가 돌출·형성된 'ㄱ'형상의 제 2 몸체부와,
    상기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의 일측단에 양측단이 각각 연결되고, 두 개의 고정부가 수직을 구비하며 설치된 제 3 몸체부와,
    상기 제 1 몸체부 하부와 제 2 몸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홀에 의해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를 고정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제 2 몸체부의 연결구에 제 3 몸체부의 일측을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축볼트와,
    상기 제 1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홀을 이용하여 제 3 몸체부를 체결하는 연결용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용 블록행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송전철탑의 'L'형 앵글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대와, 상기 접촉대를 평행이동시키는 조절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용 블록행거.
KR2019990024931U 1999-11-15 1999-11-15 송전철탑용 블록행거 KR200177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931U KR200177784Y1 (ko) 1999-11-15 1999-11-15 송전철탑용 블록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931U KR200177784Y1 (ko) 1999-11-15 1999-11-15 송전철탑용 블록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784Y1 true KR200177784Y1 (ko) 2000-04-15

Family

ID=1959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931U KR200177784Y1 (ko) 1999-11-15 1999-11-15 송전철탑용 블록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78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559B1 (ko) 2008-09-26 2010-11-08 한국전력공사 압축좌굴내력 보강기구 및 이의 체결 방법
KR101479229B1 (ko) * 2013-08-21 2015-01-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공 송전선로의 인터록방식 접지용구
CN109538903A (zh) * 2019-01-04 2019-03-29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输电塔上监测设备的固定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559B1 (ko) 2008-09-26 2010-11-08 한국전력공사 압축좌굴내력 보강기구 및 이의 체결 방법
KR101479229B1 (ko) * 2013-08-21 2015-01-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공 송전선로의 인터록방식 접지용구
CN109538903A (zh) * 2019-01-04 2019-03-29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输电塔上监测设备的固定装置
CN109538903B (zh) * 2019-01-04 2024-01-26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输电塔上监测设备的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40675A (zh) 提高工效的地电位作业非承力接续线夹
US11855423B2 (en) Apparatus for dismounting and mounting high-voltage line T-connector in hot-line operation
CN116345370B (zh) 一种用于机电工程的电缆架设桥架结构
KR200177784Y1 (ko) 송전철탑용 블록행거
WO200511149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ing a utility pole
CN215185762U (zh) 一种悬垂线夹
CN203347322U (zh) 电杆拉线卡具
CN205355749U (zh) 隔空支架街码
CN112952708B (zh) 带电作业三角形夹板式间隔棒
KR200431183Y1 (ko) 송배전의 연선용 블록행거
CN209145387U (zh) 通信铁塔连接件
CN217444977U (zh) 一种建筑施工用临时电缆吊钩
CN214534826U (zh) 水利水电工程用安全防护装置
CN111564788B (zh) 一种多分裂导线过轮临锚绳专用托架
CN217072257U (zh) 接触网锥套式承力索接头线夹快速安装工具
CN219875014U (zh) 一种电力线路保护金具
CN215377715U (zh) 一种接地型混凝土杆装置
CN219794844U (zh) 一种防爬器固定结构
CN215052175U (zh) 一种悬索桥的缆索吊装装置
CN213596887U (zh) 一种工业钢结构防护栏
CN219800370U (zh) 一种可实现地电位装拆作业的标示牌装置
CN216530220U (zh) 一种用于出入瓷瓶串作业的连接杆
CN212318026U (zh) 滑坡地段隧道加固装置
KR200193189Y1 (ko) 현수애자 인장기
CN215558307U (zh) 一种组塔集中转向固定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