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504Y1 - Water connection system of fluid transfer pipe - Google Patents

Water connection system of fluid transfer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504Y1
KR200177504Y1 KR2019960033170U KR19960033170U KR200177504Y1 KR 200177504 Y1 KR200177504 Y1 KR 200177504Y1 KR 2019960033170 U KR2019960033170 U KR 2019960033170U KR 19960033170 U KR19960033170 U KR 19960033170U KR 200177504 Y1 KR200177504 Y1 KR 2001775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ipe
fluid
fluid transfer
suppor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17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19967U (en
Inventor
켄이치 아카이
이태재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2019960033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504Y1/en
Publication of KR199800199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96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504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63B27/25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for fluidised bulk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상에서 선박간에 유체를 옮겨 실을 때, 공급측(31)과 수입측(21)에 유체 이송관(5)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하로 신축 가능하고 360도 회전 가능한 세로 지지대(9)와 상기 세로 지지대(9)의 상단부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세로 지지대(9)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가로 지지대(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입측과 공급측 중 어느 한 측의 선상에 설치되는, 유체 이송관 지지대(3); 상기 유체 이송관 지지대(3)가 설치된 수입측(21) 또는 공급측(31)의 유체 저장소(13)에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이송관 지지대(3)를 따라 지지되어 있는 가요성 유체 이송관(5); 및 상기 가로 지지대(11)의 타단에 설치되고 유체 이송관(5)의 타단을 상기 유체 이송관 지지대(3)가 설치되지 않은 공급측(31) 또는 수입측(21)의 이송관 접속구(33) 쪽으로 가압하는 유체 이송관 가압 수단(7)을 포함하는, 유체 이송관의 수상 접속 시스템을 제공하고, 이로써 신속하고 용이한 유체 이송관의 접속이 이루어지고, 선박의 요동에 의해 유체 이송관의 접속이 끊어지지 않으며, 모든 방향으로부터 유체물을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ng the fluid transfer pipe (5) to the supply side (31) and the import side (21) when moving fluid between vessels in a water phase, and can be stretched up and down and rotated 360 degrees.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9 and the vertical support (9) and consists of a horizontal support (11) which rot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support (9), either of the import side and supply side It is installed on the line of the fluid transfer pipe support (3); Flexible fluid transfer pipe 5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luid reservoir 13 of the import side 21 or the supply side 31 provided with the fluid transfer pipe support 3 and supported along the transfer pipe support 3. ); And a feed pipe connection port 33 of the supply side 31 or the import side 21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11 and the other end of the fluid transfer pipe 5 is not provided with the fluid transfer pipe support 3. It provides a water connection system of a fluid transfer pipe, which includes a fluid transfer pipe pressurizing means 7 for pressurizing to the side, whereby a quick and easy conn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is achieved, and the fluid transfer pipe is connected by the shaking of the vessel. This is not broke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transfer the fluid from all directions.

Description

유체 이송관의 수상 접속 시스템Water Connection System of Fluid Transfer Line

본 고안은 유체 이송관의 수상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수상에서 선박간에 유체를 옮겨 실기 위하여 공급측과 수입측(受入側)과의 사이에 유체 이송관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connection system of a fluid delivery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ng a fluid delivery pipe between a supply side and an import side in order to transfer fluid between vessels in a water phase. will be.

물, 오일, 또는 콘크리트 혼합물과 같은 유체물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길 때에 통상적으로 이송관이 널리 사용된다. 육상에서는 공급측의 유체 배출구와 수입측의 유체 유입구 사이에 이송관을 연결하여 유체를 옮겨 싣는 작업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Transfer tubes are commonly used to transfer fluids such as water, oil, or concrete mixtures from one place to another. On land there is no difficulty in transporting the fluid by connecting the transfer pipe between the supply fluid outlet and the import fluid inlet.

그러나, 유체의 공급측과 수입측 중에 적어도 한 쪽이 바다나 강에 정박 중인 선박과 같이 물위에 떠 있는 수상 구조물인 경우에는 물의 움직임에 따라 구조물이 요동되므로 이송관의 접속에 유연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인 육상의 이송관 접속을 그대로 사용할 때에는 경우에 따라 다소의 문제가 따른다.However, if at least one of the supply and import sides of the fluid is a floating structure floating on the water, such as a ship anchored in the sea or river, the structure will sw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ater. There are some problems when using land transport connections as they are.

예를 들면, 식수나 연료를 공급 바지선에서 선박으로 공급할 경우에는 선박의 입수 밸브(또는 입유 밸브)와 공급 바지선의 급수(급유) 호스를 손으로 연결하여 급수(급유)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그 사용 빈도가 많지 않기 때문에 통상적인 육상에서와 같은 이송관 접속 시스템을 사용해도 큰 문제가 없다.For example, when supplying drinking water or fuel from a supply barge to a ship, water supply (lubrication) can be performed by connecting the water supply valve (or intake valve) of the ship and the water supply (lubrication) hose of the supply barge by hand. Since the frequency of use is not high, there is no big problem even when using the transfer pipe connection system as in the general land.

그런데, 수상의 콘크리트 플랜트 바지선(concrete plant barge)으로부터 수상의 애지테이터선(agitator ship)으로 조합 콘크리트(ready mixed concrete)를 이송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플랜트 바지선에 설치된 콘크리트 혼합기로부터 애지테이터선으로 조합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작업이 빈번하게 수행되므로 다소의 문제가 따른다.However, when transferring mixed concrete from the concrete plant barge to the agitator ship, the composite concrete is transferred from the concrete mixer installed in the concrete plant barge to the agitator ship. Since the transfer operation is performed frequently, there are some problems.

상술하면, 수상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는 작업을 행함에 있어서는 작업여건상 건조될 구축물이 있는 지점에서 바로 콘크리트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선인 대형의 바지선에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모래, 자갈, 및 시멘트 등을 비축하고 콘크리트 혼합기를 설치하여 조합 콘크리트를 제조한 후, 소형의 애지테이터선(교반선)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지로 조합 콘크리트를 운반하여 하역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므로, 이를 위해서는 콘크리트 플랜트 바지선의 콘크리트 공급구와 애지테이터선의 콘크리트 유입구를 유체 이송관으로 자주 접속하고 분리하여야 한다.In detail, when constructing a concrete structure in the water phase, since it is often not possible to mix and use concrete directly at the point where the construction to be dried due to the working conditions, sand constituting the concrete on a large barge, which is the main ship, After storing the gravel and cement, and installing a concrete mixer by installing a concrete mixer, a method of transporting the unloaded concrete to a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site using a small agitator wire (stirring line) is widely used. To do this, the concrete supply port of the concrete plant barge and the concrete inlet port of the agitator vessel are frequently connected and separated by a fluid transfer pipe.

따라서, 수면을 가로질러 유체 이송관을 접속하고 분리해야 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위험이 따를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플랜트 바지선과 애지테이터선 중 어느 하나라도 물에 의해 요동되면 이송관과 이송관의 접속 부위에 힘이 가해져 파손될 우려가 있다.Therefore, the task of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the fluid conveying pipes across the surface is very cumbersome and dangerous, and if any one of the concrete plant barges and agitators is rocked by water, There is a risk of being damaged by force.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를 공급측에서 수입측으로 이송함에 있어서 공급측과 수입측 중에 한 쪽 모두가 수상 구조물인 경우에는 구조물의 요동에 의해 이송관의 접속 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 플랜트 바지선과 애지테이터선과의 사이에서 조합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경우에는 유체 이송관을 자주 접속하고 분리하여야 하므로 그 접속작업에 번거로움 및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공급측과 수입측 양자가 모두 수상 구조물인 경우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As described above, when both of the supply side and the import side are in the water structure in transferring the fluid from the supply side to the import side, the connection part of the transfer pipe may be damaged by the swing of the structure, and in particular, the concrete plant barge and agitator In the case of conveying the combined concrete between the line and the fluid transfer pipe should be frequently connected and disconnec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nection work hassle and risk. As described above, the above problems are more prominent when both the supply side and the import side are floating structures.

한편, 수상에서의 이송관 접속 장치로서 유조선의 원유를 원유 탱크에서 육상의 시설로 이송하는 장치가 현존하기는 하나, 이 접속 장치는 각종 조인트가 사용되며 그 설비가 대형이기 때문에 소형 선박에서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유체의 이송에는 적합하지 않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a device for transferring crude oil of an oil tanker from a crude oil tank to an onshore facility exists as a transfer pipe connection device in the water, this connection device is frequently used in small vessels because various joints are used and its facilities are large. It is not suitable for the transfer of fluids.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서, 수상에 떠 있는 구조물간에 유체를 이송함에 있어서 이송관의 접속 및 분리 빈도가 높은 경우에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송관을 접속하고 분리할 수 있는 유체 이송관의 수상 접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connect and disconnect the transfer pipe even in the case of the high frequency of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transfer pipe in the transfer of fluid between the floating structure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water connection system of a fluid transfer pipe.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급측인 콘크리트 플랜트 바지선으로부터 수입측인 애지테이터선으로 유체물인 조합 콘크리트를 이송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유체 이송관 수상 접속 시스템이 애지테이터선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luid transfer pipe water conn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gitator ship in transferring a combination concrete of fluid from a supply concrete barge of a supply side to an agitator ship of an import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hematic diagram show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 : 유체 이송관의 수상 접속 시스템 3 : 유체 이송관 지지대1: Water Connection System of Fluid Transfer Pipe 3: Fluid Transfer Pipe Support

5 : 유체 이송관 7 : 유체 이송관 가압 수단5 fluid transfer pipe 7 fluid transfer pipe pressurizing means

9 : 세로 지지대 11 : 가로 지지대9: vertical support 11: horizontal support

13 : 유체 저장소 15 : 유체 이송관 홀더13: fluid reservoir 15: fluid transfer tube holder

21 : 애지테이터선 31 : 콘크리트 플랜트 바지선21: agitator ship 31: concrete plant barge

33 : 유체 이송관 접속구33: fluid transfer pipe connec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체 이송관의 수상 접속 시스템은, 수상에서 콘크리트 플랜트 바지선으로부터 애지테이터선으로 유체를 이송하는 유체 이송관의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상하로 신축 가능하고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한 세로 지지대와, 상기 세로 지지대의 상단부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가로 지지대로 이루어진 유체 이송관 지지대; 상기 유체 이송관 지지대가 설치된 유체 저장소에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유체 이송관 지지대를 따라 지지되어 있는 가요성 유체 이송관; 및 상기 가로 지지대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 이송관의 타단을 이송관 접속구 쪽으로 가압하는 유체 이송관 가압 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ater connection system of a fluid transf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uid transfer pipe connection system for transferring fluid from a concrete plant barge to an agitator vessel in a water phase; A fluid support tube support including a vertical support that is vertically expandable and rotatable in place, and a horizontal support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A flexible fluid transfer tub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luid reservoir in which the fluid transfer tube support is installed and supported along the fluid transfer tube support; And a fluid transfer pipe pressurizing mean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and pressurizing the other end of the fluid transfer pipe toward the transfer pipe connection port.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체 이송관의 수상 접속 시스템을 콘크리트 플랜트 바지선과 애지테이터선으로 구성된 수상 콘크리트 플랜트 시스템에 적용한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유체 이송관의 수상 접속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an example of applying the water connection system of the fluid transf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water concrete plant system consisting of a concrete plant barge and agitator vessel.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water connection system of the fluid transf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급측인 콘크리트 플랜트 바지선으로부터 수입측인 애지테이터선으로 유체물인 조합 콘크리트를 이송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유체 이송관 수상 접속 시스템이 애지테이터선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luid transfer pipe water conn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gitator ship in transferring a concrete mixture from a supply concrete plant barge to an importer agitator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n.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에 떠 있는 콘크리트 플랜트 바지선(31)의 콘크리트 공급구인 유체 이송관 접속구(33)에는 애지테이터선(21)에 설치된 유체 이송관의 접속 시스템(1)을 통해 유체 이송관(5)이 접속되어 있다. 유체 이송관의 접속 시스템(1)은 유체 이송관 지지대(3)와 가요성 유체 이송관(5) 및 유체 이송관 가압 수단(7)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the fluid transfer pipe connector 33, which is a concrete supply port of the concrete plant barge 31 floating in the water, is connected to the fluid transfer pipe (1) through a connection system 1 of the fluid transfer pipe installed in the agitator line 21. 5) is connected. The connection system 1 of the fluid conveying tube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luid conveying tube support 3, a flexible fluid conveying tube 5, and a fluid conveying tube pressurizing means 7.

유체 이송관 지지대(3)는 조합 콘크리트를 저장하는 유체 저장소(13)의 상단과 같은 애지테이터선(21)의 적당한 위치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신축적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세로 지지대(9)와, 세로 지지대(9)의 상단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결합된 가로 지지대(11)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세로 지지대(9)가 상하로 이동하면 상기 가로 지지대(11)도 함께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가로 지지대(11)는 상기 세로 지지대(9)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로써, 애지테이터선(21)이 물결에 의해 요동될 때에 유체 이송관 지지대(3)는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하고 회전하여 유체 이송관 지지대(3)에 가해지는 힘을 흡수하여 감소시킨다. 그리고, 유체 이송관(5)을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The fluid transfer pipe support 3 is 360 degrees in position while being elastically mov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s indicated by the arrow at an appropriate position on the agitator line 21, such as the top of the fluid reservoir 13 storing the combined concrete. It consists of the vertical support 9 provided so that rotation was possible, and the horizontal support 11 by which the one end was rotatably fixed a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9. Therefore, when the vertical support 9 moves up and down, the horizontal support 11 also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horizontal support 11, and the horizontal support 11 may be rotated about the vertical support 9. Thereby, when the agitator line 21 is rocked by the wave, the fluid transfer pipe support 3 elastically moves and rotates up and down to absorb and reduce the force applied to the fluid transfer pipe support 3. Then, the fluid transfer pipe 5 can be directed in a desired direction.

상기 세로 지지대(9)를 상기 애지테이터선(21)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은, 신축 이음이나 베어링 등의 공지 기술을 사용하여 당해 기술분야에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술이므로, 여기에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vertical support 9 is installed on the agitator line 21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rotates, it is a technique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by using known techniques such as expansion joints and bear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콘크리트 플랜트 바지선(31)으로부터 애지테이터선(21)으로 조합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유체 이송관(5)은, 상기 유체 이송관 지지대(3)가 설치된 애지테이터선(21)의 유체 저장소(13)에 그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이송관 지지대(3)를 따라 유동성 있게 지지되어서 상기 가로 지지대(11)의 타단(말단)에 설치된 후술하는 유체 이송관 가압 수단(7)까지 뻗어 있다. 유체 이송관(5)은 애지테이터선(21)의 요동을 흡수하고 그 움직임이 자유로우면서 조합 콘크리트의 이송에 적합하도록 예컨대 고무 재질의 주름 호스와 같은 가요성 호스(flexible hose)로 되어 있다.The fluid transfer pipe 5 for transferring the combined concrete from the concrete plant barge 31 to the agitator line 21 is connected to the fluid reservoir 13 of the agitator line 21 provided with the fluid transfer pipe support 3.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and is fluidly supported along the transfer pipe support 3 and extends to a fluid transfer pipe pressurizing means 7 described later provided at the other end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11. The fluid conveying pipe 5 is made of a flexible hose, such as a corrugated hose made of rubber, so as to absorb the fluctuation of the agitator line 21 and its movement is free and suitable for conveying the combined concrete.

상기 가로 지지대(11)의 타단(말단)에는 여기에 지지된 유체 이송관(5)의 말단을 인접한 콘크리트 플랜트 바지선(31)의 이송관 접속구(33)에 가압하는 유체 이송관 가압 수단(7)이 설치되어 있다. 유체 이송관 가압 수단(7)은 유압이나 공기압을 이용하여 유체 이송관(5)의 말단을 콘크리트 플랜트 바지선(31)의 이송관 접속구(33)에 가압하여 밀착·접속시키므로써, 콘크리트 이송시 콘크리트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유체 이송관 가압 수단(7)으로서는 유압 또는 공기압 실린더로 된 액추에이터(actuat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other end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11, the fluid transfer pipe pressurizing means (7) for pressing the end of the fluid transfer pipe (5) supported therein to the feed pipe connection port 33 of the adjacent concrete plant barge 31 Is installed. The fluid conveying tube pressurizing means 7 presses the ends of the fluid conveying tube 5 to the conveying pipe connecting portion 33 of the concrete plant barge 31 by using hydraulic pressure or air pressure to close and connect the concrete. Is to prevent leakage to the outside. As the fluid conveying tube pressurizing means 7, an actuator or the like made of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may be used.

콘크리트의 누설을 가능한 한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체 이송관(5)의 말단부를 깔때기 형상으로 하고 상기 접속구(33)의 말단부가 상기 깔때기 안으로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leakage of concrete as much as possibl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distal end of the fluid transfer pipe 5 into a funnel shape and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or 33 is inserted into the funnel to be in close contact.

미설명 도면 부호 15는 유체 이송관(5)을 유체 이송관 지지대(3)와 유체 이송관 가압 수단(7)에 유지하기 위한 홀더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15 denotes a holder for holding the fluid delivery pipe 5 to the fluid delivery pipe support 3 and the fluid delivery pipe pressurizing means 7.

이와 같은 유체 이송관의 수상 접속 시스템에 의해 콘크리트 플랜트 바지선(31)으로부터 애지테이터선(21)에 이송된 조합 콘크리트는 필요한 장소로 운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는 데 사용된다. 이때, 애지테이터선(21) 측에 콘크리트 펌프(도시되지 않음)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콘크리트 배출관을 통하지 않고서도 유체 저장소(13) 내의 콘크리트를 유체 이송관(5)을 통해 모든 방향으로 배출하여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bined concrete transported from the concrete plant barge 31 to the agitator line 21 by the water connection system of the fluid transfer pipe is transported to the required place and used to build the concrete structure. At this time, when the concrete pump (not shown) is mounted on the agitator line 21 side, the concrete in the fluid reservoir 13 is discharged in all directions through the fluid transfer pipe 5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concrete discharge pipe. Concrete can be pour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유체 이송관의 수상 접속 시스템에 의하면, 유체 이송관(5)의 자유단(말단)과 이송관 접속구(33)를 조인트로 접속하지 않고 압력에 의해 접속하므로 안전하고 신속하며 용이하게 유체 이송관의 접속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유체 이송관 지지대(3)가 상하 방향으로 신축 이동되고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수상의 선박 등이 요동하여도 압력에 의해 이루어진 유체 이송관(5)과 이송관 접속구(33)의 접속이 끊어지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water connection system of the fluid transf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ree end (end) of the fluid transfer pipe 5 and the transfer pipe connection port 33 are connected by pressure without being connected by a joint, so that it is safe and quick. And the fluid transfer pipe 5 can be easily connected, and since the fluid transfer pipe support 3 is telescopically movable and rotat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fluid transfer pipe 5 is formed by pressure even when the water vessel and the like are swung. And the feed pipe connecting port 33 are not disconnected.

또한, 유체 이송관 지지대(3)가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애지테이터선(21)의 모든 방향으로부터 조합 콘크리트를 공급받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luid transfer pipe support 3 can be rotated 360 degrees in place, the combination concrete can be supplied from all directions of the agitator line 21.

아울러, 애지테이터선에 콘크리트 펌프를 장착하면 유체 저장소(13) 내의 콘크리트를 유체 이송관을 통해 모든 방향으로 배출하여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crete pump is mounted on the agitator line, the concrete in the fluid reservoir 13 may be discharged in all directions through the fluid transfer pipe to perform the concrete pouring operation.

이상에서는 유체 이송관의 수상 접속 시스템이 콘크리트(유체)의 수입측인 애지테이터선(21)에 설치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유체 이송관의 수상 접속 시스템이 콘크리트의 공급측인 콘크리트 플랜트 바지선(31)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한 콘크리트 이외의 다른 유체(예, 급수)의 이송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the above, the water connection system of the fluid delivery pipe was installed in the agitator line 21 which is the import side of concrete (fluid), but the water connection system of the fluid delivery pipe was attached to the concrete plant barge 31 which is a supply side of concrete. It is natural that it could be installed and also applied to the transfer of fluids other than concrete (eg water supply).

Claims (3)

수상에서 콘크리트 플랜트 바지선(31)으로부터 애지테이터선(21)으로 유체를 이송하는 유체 이송관의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상하로 신축 가능하고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한 세로 지지대(9)와, 상기 세로 지지대(9)의 상단부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가로 지지대(11)로 이루어진 유체 이송관 지지대(3); 상기 유체 이송관 지지대(3)가 설치된 유체 저장소(13)에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유체 이송관 지지대(3)를 따라 지지되어 있는 가요성 유체 이송관(5); 및 상기 가로 지지대(11)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 이송관(5)의 타단을 이송관 접속구(33) 쪽으로 가압하는 유체 이송관 가압 수단(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관의 수상 접속 시스템.In a connection system of a fluid transfer pipe for transferring fluid from a concrete plant barge 31 to an agitator line 21 in the water phase, the vertical support 9 which is vertically expandable and rotatable in place, and the longitudinal support 9 A fluid transfer pipe support (3) consisting of a horizontal support (11) rotatably coupled at one end thereof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A flexible fluid delivery tube (5)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luid reservoir (13) provided with the fluid delivery tube support (3) and supported along the fluid delivery tube support (3); And a fluid transfer pipe pressurizing means (7)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11) and pressurizing the other end of the fluid transfer pipe (5) toward the transfer pipe connector (33). Water access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지테이터선(21)에는 상기 유체 이송관 지지대(3)와 상기 가요성 유체 이송관(5) 및 상기 유체 이송관 가압 수단(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관의 수상 접속 시스템.The fluid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gitator line (21) is provided with the fluid conveying tube support (3), the flexible fluid conveying tube (5) and the fluid conveying tube pressurizing means (7). Pavilion's water access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지테이터선(21)에는 상기 유체 저장소(13)에 저장된 콘크리트를 상기 가용성 유체 이송관(5)을 통해 배출시키는 콘크리트 펌프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관의 수상 접속 시스템.The water phase of the fluid transfer pip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gitator line (21)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crete pump for discharging the concrete stored in the fluid reservoir (13) through the soluble fluid transfer pipe (5). Connection system.
KR2019960033170U 1996-10-09 1996-10-09 Water connection system of fluid transfer pipe KR2001775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170U KR200177504Y1 (en) 1996-10-09 1996-10-09 Water connection system of fluid transfer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170U KR200177504Y1 (en) 1996-10-09 1996-10-09 Water connection system of fluid transfer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967U KR19980019967U (en) 1998-07-15
KR200177504Y1 true KR200177504Y1 (en) 2000-04-15

Family

ID=1946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170U KR200177504Y1 (en) 1996-10-09 1996-10-09 Water connection system of fluid transfer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50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420B1 (en) * 2014-05-12 2015-1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Bunkering equipment of shi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90Y1 (en) * 2010-12-30 2015-04-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Manifold having multi-tier structure of lng bunkering vessel
FR3012411B1 (en) * 2013-10-31 2016-08-05 Gaztransport Et Technigaz SYSTEM FOR TRANSFERRING FLUID BETWEEN A SHIP AND A FACILITY, SUCH AS A CLIENT SHI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420B1 (en) * 2014-05-12 2015-1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Bunkering equipment of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967U (en)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2336B1 (en) Hydro-blender
MXPA04005689A (en) Weathervaning lng offloading system.
WO2007083238A3 (en) Submerged loading system
US3894567A (en) Offshore vessel mooring
US3409055A (en) Apparatus for handling liquid cargo
KR200177504Y1 (en) Water connection system of fluid transfer pipe
CN112135721A (en) Production of ready-mixed concrete with carbon capture and related systems
RU2133687C1 (en) Method of single-point mooring of ships and systems for realization of this method (versions)
GB2328196A (en) Fluid transfer system
JPS59220483A (en) Underwater one-point mooring system
US3409046A (en) Fluid transfer apparatus
US20220339818A1 (en) Off-shore preparation system
CN217148567U (en) Emergency rapid transportation system for shipborne liquid medium
CN113526448A (en) Extensible shipborne liquid chemical beach emergency storage system
US3964423A (en) Offshore terminal
NO345782B1 (en) Tie-in system and fluid transfer system comprising such a tie-in system
JPH03213490A (en) Crude oil storing and shipping equipment
CN213653373U (en) Novel spread sand ship
CN213296249U (en) Folding sand paving groove
US6651903B1 (en) Anti-consolidation spray ring
KR200243755Y1 (en) Sludge pipe connecting apparatus whose angle can be changed
US3721207A (en) Collection and disposal of ship{40 s sewage
JPH11222918A (en) Transfer device for fluid intermixed with solid or the like
JPH0446020Y2 (en)
GB2025247A (en) Removal of oil from the surface of a body of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