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443Y1 - 광고물 거치대 - Google Patents

광고물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443Y1
KR200177443Y1 KR2019990023394U KR19990023394U KR200177443Y1 KR 200177443 Y1 KR200177443 Y1 KR 200177443Y1 KR 2019990023394 U KR2019990023394 U KR 2019990023394U KR 19990023394 U KR19990023394 U KR 19990023394U KR 200177443 Y1 KR200177443 Y1 KR 200177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otating
fixed
pedes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호
Original Assignee
씨씨엠광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씨엠광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씨엠광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3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4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4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고물용 거치대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면에 일체로 연통되게 보조 받침대가 설치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 양단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대향되게 걸림구와 삽입공이 형성된 제 1회동바와, 상기 제 1회동바 타측 내경에 일측이 삽입 고정된 제 1고정바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 1수직부재; 상기 제 1수직부재의 제 1고정바 타측이 삽입 고정되는 제 1회동편과, 상기 제 1회동편에 회동핀으로써 일측방으로 90°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회동편으로 이루어진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제 2회동편에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제 2고정바와, 상기 제 2고정바 타측 외경에 일측 내경이 삽입 고정되고, 대향되게 걸림구가 형성된 제 2회동바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 2수직부재; 및 상기 보조 받침대 양단에 일측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회동바의 삽입공에 타측이 삽입되어 상기 제 1수직부재 및 상기 제 1수직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바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광고물 거치대를 구성하는 구성품을 상호 접히게 제작하게 됨으로써 한번에 설치가 간편하고,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되었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잇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광고물 거치대{LAYER FOR ADVERTISTING MEDIA}
본 고안은 광고물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철 가능하게 구성하여 보관이 용이하게 되고, 자체가 가벼워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한 광고물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고물 거치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바닥 등에 안착되는 받침대(200)와, 받침대(200) 상부에 입설되어 광고물(400) 등이 설치되는 수직부재(300)로 이루어진다.
받침대(200)는 내부에 자체 중량을 유지하기 위한 물(210)이 채워지게 되고, 상부에는 물(210)을 보충하기 위한 뚜껑(220)이 구비되고, 일측면에는 물(210)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2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수직부재(300)는 받침대(200) 상부에 일체로 입설되는 수직대(310)와, 수직대(310)에 수평을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된 수평대(3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직부재(300)의 수직대(310)와 수평대(320)에는 다수의 연결고리(330)로써 광고물(40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이 받침대(100) 상부의 뚜껑(220)을 개방하고, 받침대(100) 내부에 적정량의 물(210)을 채워 중량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대(100) 상부에 일체로 입설된 수직부재(300)의 수직대(310)와 수평대(320)에 다수의 연결고리(330)로써 광고물(400)을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면, 수직부재(300)의 수직대(310)와 수평대(320)에 광고물(400)이 연결고리(330)로써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광고물 거치대는 바닥에 안착되는 받침대와 광고물이 고정되는 수직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또한 광고 컨셉이나 모델 등이 바뀔때 마다 광고물 거치대을 새로 제작해야 됨으로써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자체 무게가 가볍고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그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광고물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일면에 일체로 연통되게 보조 받침대가 설치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 양단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대향되게 걸림구와 삽입공이 형성된 제 1회동바와, 상기 제 1회동바 타측 내경에 일측이 삽입 고정된 제 1고정바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 1수직부재; 상기 제 1수직부재의 제 1고정바 타측이 삽입 고정되는 제 1회동편과, 상기 제 1회동편에 회동핀으로써 일측방으로 90°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회동편으로 이루어진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제 2회동편에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제 2고정바와, 상기 제 2고정바 타측 외경에 일측 내경이 삽입 고정되고, 대향되게 걸림구가 형성된 제 2회동바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 2수직부재; 및 상기 보조 받침대 양단에 일측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회동바의 삽입공에 타측이 삽입되어 상기 제 1수직부재 및 상기 제 1수직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바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광고물 거치대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광고물 거치대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광고물 거치대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광고물 거치대에 따른 사용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광고물 거치대에 따른 접은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대 13 : 보조 받침대
15 : 지지대 20,30 : 제 1,2수직부재
21,33 : 제 1,2회동바 22,32 : 걸림구
23 : 삽입공 24,31 : 제 1,2고정바
40 : 회동부재 41,43 : 제 1,2회동편
42 : 회동핀 50 : 광고물
51 : 통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 광고물 거치대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광고물 거치대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광고물 거치대에 따른 사용 상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광고물 거치대에 따른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광고물 거치대(1)는 크게 바닥에 안착되는 받침대(10)와, 한쌍으로 각각 이루어진 제 1,2수직부재(20)(30)와, 제 1,2수직부재(20)(30)를 회동시키는 회동부재(40)로 이루어진다.
받침대(10)는 내부에 자체 무게를 유지하기 위한 물(11)이 채워지게 되고, 일면에는 일체로 연통되게 보조 받침대(13)가 설치된다.
그리고, 받침대(10)의 상부에는 물(11)을 보충하는 뚜껑(12)이 구비되고, 보조 받침대(13)에는 내부의 물(11)을 배출하는 배출구(14)가 구비되며, 양단에는 한쌍의 지지바(1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수직부재(20)를 지지하게 된다.
제 1수직부재(20)는 받침대(10)의 양단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대향되게 걸림구(22)가 형성되며, 지지바(15)가 삽입되는 삽입공(23)이 형성된 제 1회동바(21)와, 제 1회동바(21) 타측 내경에 일측이 삽입되고 회동부재(40)에 타측이 고정된 제 1고정바(24)로 이루어진다.
제 2수직부재(30)는 회동부재(40)에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제 2고정바(31)와, 제 2고정바(31) 타측 외경에 일측 내경이 삽입 고정되고, 대향되게 걸림구(32)가 형성된 제 2회동바(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동부재(40)는 제 1수직부재(20)의 제 1고정바(24) 타측이 삽입 고정되는 제 1회동편(41)과, 제 1회동편(41)에 회동핀(42)으로써 일측방으로 90°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수직부재(30)의 제 2고정바(31)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제 2회동편(4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한쌍으로 이루어진 제 1수직부재(20)는 받침대(10)와 회동부재(40)의 제 1회동편(41)에 사다리꼴 형상을 유지하여 설치되고, 또한 제 2수직부재(30)는 회동부재(40)의 제 2회동편(41)에 역사다리꼴 형상을 유지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한쌍으로 이루어진 제 1,2수직부재(20)(30)의 제 1,2회동바(21)(33)에 각각 형성된 걸림구(22)(32)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광고물(50)의 각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통공(51)을 삽입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광고물(50)은 자체가 탄성력이 유지되어 제 1,2수직부재(20)(30)의 걸림구(22)(32)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제 2회동편(42)이 제 1회동편(41)의 타측방향으로 회동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지지바(15)는 보조 받침대(13) 양단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제 1수직부재(20)의 제 1회동바(21)에 형성된 삽입공(23)에 삽입되어 제 1수직부재(20)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제 1,2수직부재(20)(30)는 그 재질이 가벼운 알루미늄 및 스텐레이스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받침대(10) 상부의 뚜껑(12)을 개방하고, 받침대(10)와 보조 받침대(13) 내부에 적정량의 물(11)을 채워 중량을 유지하게 한 다음, 한쌍의 제 2수직부재(30)를 상방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수직부재(20)가 삽입 고정된 제 1회동편(41)에 회동핀(42)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회동편(43)이 회동핀(42)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제 2회동핀(43)이 제 1회동핀(41)에 걸리게 되어 90°이상을 회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 2회동편(43)에 일측이 삽입 고정된 제 2수직부재(30)의 제 2고정바(31) 및 제 2회동바(33)가 상방으로 회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한쌍의 제 1수직부재(20)를 상방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수직부재(20)의 제 1회동바(21)가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어 사다리꼴 형상을 유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 2수직부재(30)는 역사다리꼴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보조 받침대(1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바(15)를 내측방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지지바(15)의 일측이 내측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타측이 제 1회동바(21) 양측의 삽입공(23)에 삽입되어 제 1수직부재(10)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에서와 같이 제 1,2수직부재(20)(30)의 제 1,2회동바(21)(33)에 대향되게 형성된 걸림구(22)(32)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광고물(50)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통공(51)을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2수직부재(20)(30)의 제 1,2회동바(21)(33)에 대향되게 형성된 걸림구(22)(32)에 광고물(50)의 통공(51)이 삽입되어 광고물(50)이 장력을 유지한 채로 고정된다.
이때, 자체의 탄성력이 구비된 광고물(50)이 제 1,2수직부재(20)(30)의 걸림구(22)(32)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제 2회동편(42)이 제 1회동편(41)의 타측방향으로 회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이 완료된 광고물 거치대(1)은 지지바(15)를 제 1회동바(21)의 삽입공(23)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제 1,2수직부재(20)(30)의 제 1,2회동바(21)(33)에 대향되게 형성된 걸림구(22)(32)로부터 광고물(50)의 통공(51)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회동편(43)을 제 1회동편(42)으로부터 90°로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2회동편(43)이 회동핀(42)을 중심으로 완전히 접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2수직부재(20)(30)가 완전히 접히게 된다.
그리고, 받침대(10)와 연통되게 형성된 보조 받침대(13)의 배출구(14)를 개방시켜 내부의 물(11)을 완전히 배수시킨 상태에서 광고물 거치대(1)을 보관하게 됨으로써 보관 및 이용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의 광고물 거치대에 의하면, 광고물 거치대를 구성하는 구성품을 상호 접철 가능하게 제작하게 됨으로써 한번에 설치가 간편하고,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되었으며, 광고 컨셉이나 모델 등이 바뀔때 마다 광고물 거치대을 새로 제작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잇점이 제공된다.

Claims (1)

  1. 일면에 일체로 연통되게 보조 받침대(13)가 설치된 받침대(10);
    상기 받침대(10) 양단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대향되게 걸림구(22)와 삽입공(23)이 형성된 제 1회동바(21)와, 상기 제 1회동바(21) 타측 내경에 일측이 삽입 고정된 제 1고정바(24)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 1수직부재(20);
    상기 제 1수직부재(20)의 제 1고정바(24) 타측이 삽입 고정되는 제 1회동편(41)과, 상기 제 1회동편(41)에 회동핀(42)으로써 일측방으로 90°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회동편(43)으로 이루어진 회동부재(40);
    상기 회동부재(40)의 제 2회동편(43)에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제 2고정바(31)와, 상기 제 2고정바(31) 타측 외경에 일측 내경이 삽입 고정되고, 대향되게 걸림구(32)가 형성된 제 2회동바(33)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 2수직부재(30); 및
    상기 보조 받침대(13) 양단에 일측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회동바(21)의 삽입공(23)에 타측이 삽입되어 상기 제 1수직부재(20) 및 상기 제 1수직부재(30)를 지지하는 지지바(1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물 거치대.
KR2019990023394U 1999-10-28 1999-10-28 광고물 거치대 KR200177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394U KR200177443Y1 (ko) 1999-10-28 1999-10-28 광고물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394U KR200177443Y1 (ko) 1999-10-28 1999-10-28 광고물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443Y1 true KR200177443Y1 (ko) 2000-04-15

Family

ID=1959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394U KR200177443Y1 (ko) 1999-10-28 1999-10-28 광고물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44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200B1 (ko) * 2001-11-15 2004-02-26 최도식 현수막 설치대
KR200447337Y1 (ko) 2008-05-29 2010-01-19 이태숙 현수막 거치대
KR101130042B1 (ko) * 2010-06-04 2012-03-28 김현기 접히는 조인트를 갖는 배너 스탠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200B1 (ko) * 2001-11-15 2004-02-26 최도식 현수막 설치대
KR200447337Y1 (ko) 2008-05-29 2010-01-19 이태숙 현수막 거치대
KR101130042B1 (ko) * 2010-06-04 2012-03-28 김현기 접히는 조인트를 갖는 배너 스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7309A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Material From A Roll
KR200177443Y1 (ko) 광고물 거치대
CN201290505Y (zh) 转动式球形相框
CN107103844A (zh) 显示屏护角机构及显示屏
KR20190001208U (ko) 화분겸용 무게중심체를 갖춘 현수막 거치대
KR200427487Y1 (ko) 배너광고대
CN211511147U (zh) 一种便携式折叠椅
CN106381649B (zh) 一种落地式智能晾衣设备以及晾衣系统
CN210515955U (zh) 一种便携式支架及具有该支架的提示装置
CN215533882U (zh) 一种洗护用品放置架
KR200396834Y1 (ko) 접철식 배너현수장치
KR101130042B1 (ko) 접히는 조인트를 갖는 배너 스탠드
KR20100001129U (ko) 중량체를 구비한 실내용 광고 현수막 게시대
KR200190034Y1 (ko) 병 운반구
US5593047A (en) Display assembly
JP4362838B1 (ja) メッセージスタンド
CN215770430U (zh) 一种工程施工服务用宣传展架
CN210311516U (zh) 一种供应链管理资料多角度储存装置
CN206376121U (zh) 一种落地式智能晾衣设备以及晾衣系统
KR200348134Y1 (ko) 휴대용 스크린 장치
CN210472022U (zh) 一种简易卷纸架
KR200348250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핸드폰 진열대
KR200426935Y1 (ko) 광고물 거치대
CN214670874U (zh) 啤酒售酒终端
KR100745462B1 (ko) 현수막 거치대의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