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203Y1 - Apparatus for preventing seperation of crane main hook and movement of contain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seperation of crane main hook and movement of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203Y1
KR200177203Y1 KR2019990023259U KR19990023259U KR200177203Y1 KR 200177203 Y1 KR200177203 Y1 KR 200177203Y1 KR 2019990023259 U KR2019990023259 U KR 2019990023259U KR 19990023259 U KR19990023259 U KR 19990023259U KR 200177203 Y1 KR200177203 Y1 KR 200177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rane
sovereignty
scrap
sove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2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해원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3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20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203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용기 흔들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강래들, 슬래그포트 및 고철 슈트등의 용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흔늘림 없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sovereignty and container shake prevention device, the purpose of which is to more stably move the container, such as the steel ladle, slag pot and scrap metal chu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은, 상기 주권걸이부(30)의 양측 수직바아(32)를 따라 상,하 이동토록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용기(10) 상부면에 밀착되는 누름블록(42)이 일체로 설치되는 이동블록(40) 및, 상기 주권걸이부(30)의 수직바아(32) 상,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록(42)의 상,하 이동을 조정토록 하는 스토퍼(5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echnical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long both vertical bars 32 of the sovereignty hanger 30,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 The moving block 40 which is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pressing block 42 and the vertical bar 32 of the sovereignty hanger 30 are installed above and below to adjust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42.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as a stopper (50).

이에 따라서, 수강래들, 슬래그 포트 및 고철 스크랩 슈트등이 보다 안정적으로 흔들림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됨으로 인하여, 각 용기내에 장입된 용융물, 슬래그 및 고철등의 외부 유출이 방지되는 동시에, 용기의 전로 장입시 크레인 주권걸이가 용기에서 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시키어 용기 낙하등과 같은 대형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steel ladle, the slag port and the scrap scrap chute are moved more stably in a state where the shaking is minimized, thereby preventing the outflow of the melt, slag and scrap, etc. charged in each container, and at the same time It is effective to prevent large crane accidents such as falling of containers by effectively preventing crane sorrow from falling out of the container when charging the converter.

Description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용기 흔들림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seperation of crane main hook and movement of container}Apparatus for preventing seperation of crane main hook and movement of container}

본 고안은 와이어로프 하측으로 연결된 주권걸이부로서 수강래들 또는 슬래그 포트등과 같은 용기의 주권을 권상하여 이동토록 하는 크레인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래들, 슬래그 포트 및 고철 스크랩 슈트등과 같은 용기의 흔들림이 최소화되어 용기내의 용융물, 슬래그 및, 고철등이 낙하없이 안정적으로 이동되는 한편, 특히 용기의 주권에서 부터 상기 크레인의 주권걸이부가 이탈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어 용기의 낙하사고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용기 흔들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overeign hanger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wire rope and relates to a crane for lifting and moving the sovereignty of a container such as a steel ladle or a slag port. More specifically, a container such as a ladle, a slag port and a scrap scrap chute. The movement of melt, slag and scrap in the container is minimized without falling, and the sovereignty of the crane is prevented from falling from the sovereignty of the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sovereignty and container shakeout of a crane to prevent an accident.

일반적으로 제철산업에서는 용강등의 용융물, 슬래그 및 전로작업을 위한 고철등이 장입되는 수강래들, 슬래그 포트 및 고철 스크랩 슈트등과 같은 용기들은 통상 공장내에 설치된 천정크레인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데, 이와 같은 크레인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다.Generally, in the steel industry, containers such as steel ladles, slag pots, and scrap scrap chutes, which are loaded with molten steel, slag, and scrap metal for converter work, are usually moved using ceiling cranes installed in the factory. The crane is shown in FIG.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100)의 몸체(110)상에 와이어로프(140)가 권선 이동되는 드럼(120)이 설치되고, 상기 드럼(120)은 크레인 몸체(110)상에 설치된 구동모터(130)에 연설되어 구동되며, 상기 와이어로프(140)의 하부에는 하측에 호형의 걸이부(160)가 형성된 주권걸이부 (150)가 연결되는데,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주권걸이부(150)의 일측으로 다른 와이어로프(140')에 연결된 보조걸이(160')가 설치되기도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 on the body 110 of the crane 100 moving along the rail drum 120 is wound around the wire rope 140 is installed, the drum 120 is a crane Speaking to the drive motor 130 is installed on the body 110 is driven,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rope 140 is connected to the sovereign hook portion 150 is formed with a hook portion 160 of the lower side, this is necessary In some cases, the auxiliary hook 160 ′ connected to the other wire rope 140 ′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overeignty hook 150.

따라서,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100)을 용기 즉, 수강래들(170)( 도2a)과 슬래그 포트(180)(도 2b) 및 고철 스크랩 슈트(190)(도2c)의 주권부(172)(182)(192)에 주권걸이부(150)의 걸이부(160)를 걸어서 이동시키고, 용강등과 같은 용융물이 장입된 수강래들(170) 및 고철 스크랩 슈트(190)의 경우에는 후방부분을 걸어서 장입작동을 용이토록 하는 보조걸이(160')를 함께 사용한다.Thus, as shown in Fig. 2, the crane 100 is placed in a container, that is, the steel ladles 170 (Fig. 2a) and the slag port 180 (Fig. 2b) and the scrap scrap chute 190 (Fig. 2c). The hanger 160 of the sovereign hanger 150 is moved to the sovereign parts 172, 182, and 192 of the sock ladle 170 and the scrap scrap chute 190 into which a melt such as molten steel is loaded. In the case of), use the auxiliary hook (160 ') to facilitate the charging operation by walking the rear par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크레인(100)에 의한 용기(170)(180)(190)들의 이동작업에 있어서는,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히 크레인 주권걸이부(150)의 걸이부(160) 및 보조설이(160')를 수강래들(170), 슬래그 포트(180) 및 고철 스크랩 슈트(190)의 양측으로 돌출 설치된 각 주권(172)(182)(192)에 걸어서 이동하게 되는데, 크레인(100)의 이동시 작업자의 오작업 특히, 크레인(100)의 급정거 작동시에는 상술한 용기(170)(180)(190)들이 심하게 유동되며, 이는 용기(170)(180)(190)내에 장입된 용융물, 슬래그 및 고철등이 용기외부로 손쉽게 이탈되고, 따라서 용기 하측의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movement of the containers 170, 180, 190 by the conventional crane 100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2, the hook portion 160 of the crane sovereign hook portion 150 simply And the auxiliary snow 160 'is moved to each of the sovereign 172, 182 and 192 installed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receiving ladle 170, the slag port 180 and the scrap scrap 190, the crane The misoperation of the operator during the movement of the 100, in particular during the sudden stop operation of the crane 100, the above-described vessels 170, 180, 190 are severely flown, which is charged into the vessels 170, 180, 190 The melt, slag, scrap metal, and the like that are easily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nd there is a fear of a safety accident, such as a worker under the container burns.

또한, 이동하는 용기(170)(180)(190) 주위의 다른 설비들이 화재등으로 파손되는 것은 물론, 심한 유동이 발생되면 상기 크레인 주권걸이(160) 및 보조걸이(160')가 각 용기의 주권(172)(182)(192)에서 부터 이탈되며, 이와 같은 용기 주권(172)(182)(192)이 크레인 주권걸이부(150) 및 보조걸이(160')에서 부터 이탈되면, 결국 대형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In addition, other facilities around the moving containers 170, 180, 190 are not only damaged by fire, etc., but also when a heavy flow occurs, the crane sovereign hanger 160 and the auxiliary hanger 160 'of each container Sovereignty (172) (182) (192) is separated from, if such container sovereign (172) (182) (192) is separated from the crane sovereign hanger 150 and auxiliary hook (160 '), eventually large There were several problems, such as an acciden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크레인으로서 이동하는 수강래들, 슬래그 포트 및 고철 스크랩 슈트등과 같은 용기가 보다 안정적으로 흔들림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됨으로 인하여, 상기 각 용기내에 장입된 용융물, 슬래그 및 고철등의 외부 유출이 방지되고, 결국 작업자의 화상 및 기타 주변설비의 파손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시키는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용기 흔들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move the vessel such as cranes, slag ports, and scrap scrap chutes that move as cranes more stably while minimizing shaking. As a result, external leakage of melts, slags, and scrap metals charged into the containers is prevented, and thus, the crane's sovereignty and container shake are prevented in advanc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worker's burn and damage to other peripheral equipment. It is to provide a prevention device.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철슈트내의 고철을 전로내에 안전하게 장입토록 함으로써, 용기 이동은 물론, 용기의 전로 장입시 크레인의 주권걸이부가 용기에서 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시키어 용기 낙하등과 같은 대형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전체 고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용기흔들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urely load the scrap metal in the scrap chute into the converter,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container from moving away from the container, as well as the sovereign hook portion of the crane when it is charged into the container. It is to provide a crane sovereignty and container shake prevention device to prevent the same large safety accident and improve the overall blast furnace workability.

도 1은 일반적인 크레인 및 래들용 주권걸이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vereign hanger for a general crane and ladle

도 2의 (a)-(c)는 종래 크레인의 주권걸이의 이탈 및 래들 또는 슬라그 포트와 같은 용기의 흔들림 그리고, 고철 스크랩 슈트의 주권이탈 현상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A)-(c)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chment of the sovereign hanger of a conventional crane and the shaking of a container such as a ladle or slag port, and the sovereign deviation of the scrap metal scrap chut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용기 흔들림 방지장치를 도시한 설치상태도3 is an installation state showing the sovereignty of the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ainer shake prevention device

도 4는 본 고안인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용기 흔들림 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vereignty departure and container shake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ors

도 5는 본 고안인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용기 흔들림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vereignty departure and container shake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ors

도 6의 (a) 및 (b)는 본 고안인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용기 흔들림 방지장치의 래들과 슬래그 포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Figure 6 (a) and (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adle and slag port of the sovereign deviation and container shake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or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흔들림 방지장치1 .... Crane Sovereignty and Anti-shake Device

10.... 용기 12.... 용기 주권10 .... Courage 12 .... Courage Sovereignty

20.... 크레인 30.... 크레인 주권걸이부20 .... Crane 30 .... Crane Sovereign

32.... 주권걸이부 수직바아 34.... 걸이부32 .... Sovereign Hanger Vertical Bar 34 .... Hanger

40.... 이동블록 42.... 누룸블록40 .... Moving Block 42 .... Nurum Block

44.... 고정브라켓트 46.... 실린더44 .. Fixing bracket 46 .... Cylinder

46'.... 유압유니트 48.... 가이드블록46 '.... Hydraulic Unit 48 .... Guide Block

50.... 스토퍼 52.... 리미트 스위치50 .... stopper 52 .... limit switch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수강래들, 슬래그 포트 또는 고철슈트의 용기주권에 걸어서 이동시키는 크레인 주권걸이부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rane sovereign hook portion to move on the container sovereignty of the steel ladle, slag port or scrap metal chute,

상기 주권걸이부의 양측 수직바아를 따라 상,하 이동토록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용기 상부면에 밀착되는 누름블록이 일체로 설치되는 이동블록 및,A moving block which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bars on both sides of the sovereignty hanger, and on one side thereof, a moving block integral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상기 주권걸이부의 수직바아 상,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록의 상,하 이동을 조정토록 하는 스토퍼로서 구성되는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흔들림 방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The sovereignty hanger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bars, so as to provide a sovereign departure and shake prevention device of the crane configured as a stopper to adjust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용기 흔들림 방지장치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흔들림 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인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흔들림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의 (a) 및 (b)는 본 고안인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흔들림 방지장치의 래들과 슬래그 포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로서, 본 고안인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용기 흔들림 방지장치(1)는, 이동블록(40) 및스토퍼(50)로서 구성된다.3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sovereignty departure and container shake prevention device of the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vereignty departure and shake prevention device of the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vereignty departure and shake prevention device of the crane, Figure 6 (a) and (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adle and slag port of the sovereign deviation and shake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ors. , The sovereign detachment and container shake prevention device 1 of the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moving block 40 and a stopper 50.

상기 크레인(20)의 주권걸이부(30)상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는 상기 이동블록(40)은, 수강래들, 슬래그 포트 또는 고철 스크랩 슈트등과 같은 용기(10) 주권(12)에 걸어서 고정되는 링형상의 걸이부(34)가 하측으로 형성된 크레인(20) 주권걸이부(30)의 양측 수직바아(32)를 따라 상,하 이동토록 설치되며, 상기 이동블록(40)의 일측면에는 상기 용기(10)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누름블록(42)이 일체로 설치된다.The movable block 40 which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sovereign hanger 30 of the crane 20 is hanged on the sovereign 12 of the container 10 such as a steel ladle, a slag pot or a scrap scrap chute. The ring-shaped hook portion 34 to be fixed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long both vertical bars 32 of the crane 20 and the sovereign hook portion 30 formed downward, and one side surface of the movable block 40. In the press block 42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 is integrally installed.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40)은 상기 주권걸이부 수직바아(32)에 나사 결합된 고정브라켓트(44)로서 수직 고정되는 실린더(46)의 로드(46a)가 상기 이동블록(40)의 누름블록(42) 타측으로 이동블록(30)상에 형성된 일체로 설치된 가이드블록(48)내에 안착되어 상기 실린더(46)의 작동시 주권걸이부 수직바아(32)를 따라 상,하 이동토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movable block 40 is a rod 46a of the cylinder 46 which is vertically fixed as a fixing bracket 44 screwed to the sovereignty hanger vertical bar 32, the pressing block of the movable block 40. (42) It is seated in the integrally installed guide block 48 formed on the moving block 30 to the other side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sovereign hook portion vertical bar 32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46.

또한, 상기 이동블록(40)의 상하 이동을 조정토록 하는 상기 스토퍼(50)는 , 상기 주권걸이부(30)의 수직바아(32) 상,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록(42)의 상,하 이동을 조정토록 하며, 그리고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이동블록(40)의 상하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하부 스토퍼(50a)(50b)로서 이루어 지고, 상기 상,하부 스트퍼(50a)(50b)에는 상기 상,하 이동하는 이동블록(40)과의 접촉시 작동되어 상기 실린더(46)의 작동을 제어토록 하는 상,하부 리미트스위치(52a)(52b)가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In addition, the stopper 50 for adjust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vable block 40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bar 32, the lower side of the sovereign hook portion 30, the upper, To adjust the lower movement, and the stopper 50 is made of upper and lower stoppers 50a and 50b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ving block 40, and the upper and lower strippers 50a. 50b, the upper and lower limit switches 52a and 52b which are operated when the upper and lower moving blocks 4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46 are installed. Is don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강과 같은 용융물을 담는 수강래들(10a), 용강 표면에 발생되는 슬래그를 담는 슬래그 포트(10b) 및 전로에 장입되는 고철을 담는 고철 스크랩 슈트(미도시)와 같은 용기(10)들의 크레인 이동시 상기 용기(10)의 주권(12a)(12b)에 걸어서 고정되는 주권걸이부(30)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크레인(20)의 용기(10) 이동시 용기내의 내용물들의 외부 유출 또는 용기주권(12)과 크레인 주권걸이부(30)의 걸이부(34) 이탈을 방지토록 한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흔들림 방지장치(1)는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ures 3 to 6, the steel ladle 10a containing the melt, such as molten steel, the slag port 10b containing the slag generated on the molten steel surface and the scrap metal scrap chute containing the scrap metal charged into the converter (not shown) When moving the crane 10 of the container 10, such as when moving the container 10 of the crane 20 is more stable fixed sovereign hook portion 30 is fixed to the sovereign 12a (12b) of the container 10 The sovereignty departure and shaking prevention device 1 of the crane to prevent the outflow of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or detachment of the container sovereignty 12 and the hanger 34 of the crane sovereignty hanger 30 is as follows.

먼저,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 몸체(22)상에 설치된 구동모터 (26)를 구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26)와 연설된 드럼(24)이 회전 작동하며, 따라서 상기 드럼(24)에 권선된 와이어로프(28)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First, as shown in FIG. 3, when the driving motor 26 installed on the crane body 22 is driven, the driving motor 26 and the drum 24 protruded are rotated and thus the drum 24 is rotated. The wire rope 28 wound in) moves up and down.

이때, 상기 와이어로프(28)의 하단에는 상술된 용기(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권걸이부(30)가 연결되어 있어 일체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wire rope 28 is connected to the sovereign hook portion 30 for moving the above-mentioned container 10 is integrally moved up and down.

한편, 도 4 및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권걸이부(30)의 양측으로 일체로 설치된 수직바아(32)의 하단에는 링 형상의 걸이부(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34)는 용기(10)의 주권(12)에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면서 고정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4 and 5,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32 integr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overeignty hook portion 30, a ring-shaped hook portion 34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hook portion 34 is fixed to the sovereignty 12 of the container 10 while moving from bottom to top.

더하여, 상기 주권걸이부(30)의 수직바아(32)에는 상,하측에는 스토퍼 (50a)(50b)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50a)(50b) 사이에는 상기 수직바아(32)가 내측으로 관통되는 사각틀형상의 이동블록(40)이 위치되며, 상기 이동블록(40)의 일측에는 가이드블록(48)이 일체로 나사 결합된다.In addition, upper and lower stoppers 50a and 50b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vertical bars 32 of the sovereignty hanger 30, and the vertical bars 32 are disposed between the stoppers 50a and 50b. The moving block 40 of the rectangular frame shape is passed through, and the guide block 48 is integrally screwed to one side of the moving block 40.

이때,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블록(48)의 내측으로 상기 수직바아(32)의 상측에 나사 결합된 고정브라켓트(44)로서 수직바아(32)를 따라 수직하게 결합된 실린더(46)의 로드(46a)가 안착됨으로써, 상기 실린더(46)가 전진 및 후진하면, 즉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면, 상기 이동블록(40)은 상기 수직바아(32)를 따라 일체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4, as the fixing bracket 44 screwed to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bar 32 to the inside of the guide block 48 vertically coupled along the vertical bar 32 ( When the rod 46a of the 46 is seated, the cylinder 46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at is, when it is oper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movable block 40 is integrally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bar 32. Will be moved to.

따라서, 도 3 및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20)이 용기(10)의 위치상에 이동하여 하강 및 상승하는 와이어로프(28)에 의하여 그 하단에 결합된 주권걸이부(30)가 상승하면, 상기 주권걸이부(30)의 걸이부(34)가 용기(10)의 양측 주권(12)에 아래에서 위로 걸려서 고정된 다음, 상기 실린더(46)를 작동시키면, 그 하측의 이동블록(40)이 하강하면서, 상기 이동블록(40)의 타측으로 즉, 용기의 주면 양측으로 향하여 결합된 누름블록(42)이 하강한다.Thus,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crane hanger 3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by the wire rope 28 which moves on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10 to descend and rise. Is raised, the hook portion 34 of the sovereignty hook portion 30 is fixed to both sides sovereignty 12 of the container 10 from the bottom up, and then the cylinder 46 is operated to move the lower portion thereof. As the block 40 descends, the push block 42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block 40, that is, to both sides of the main surface of the container, descends.

결국, 상기 누름블록(42)은 하강하여 용기(10)의 상부 주면을 누르고, 상기 주권걸이부(30)의 걸이부(34)는 용기(10)의 주권(12)부분에 아래에서 위로 당겨지게되는 것이다.Eventually, the pressing block 42 is lowered to press the upper main surface of the container 10, the hook portion 34 of the sovereignty hanger 30 is pulled up from the bottom of the sovereign 12 of the container 10 from below Will lose.

즉, 도 6a 및, 도 6b에서 도시한 수강래들(10a) 과 슬래그포트(10b)의 이동시에는 상기 이동블록(40)의 하강으로 이레로 하강하는 누름블록(42)이 상기 수강래들(10a)과 슬래그 포트(10b)의 주권(12a)(12b)에 크레인(30)의 걸이부(34)가 고정된 상태에서 용기(10)의 상부면을 양측에서 누름으로써, 상기 용기(10)들은 흔들림없이 이동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철 스크랩 슈트의 경우에는 고철의 전로 장입시 크레인(30)의 주권걸이(34)와 용기 주권(12)간의 이탈을 견고하게 방지시키고, 이는 용기(10) 낙하에 따른 대형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water ladles 10a and the slag port 10b shown in FIGS. 6A and 6B are moved, the pushing block 42 descending by the lowering of the moving block 40 in advance is the water ladle ( The container 10 is pressed by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 from both sides in a state in which the hook portion 34 of the crane 30 is fixed to the sovereigns 12a and 12b of the slag port 10b. They can move without shaking, and in particula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case of scrap scrap chute when firmly prevents the separation between the sovereign hanger 34 and the container sovereign 12 of the crane 30 when charging the converter. This is to prevent a large accident due to the container 10 falls.

이에따라, 상기 주권걸이부(30)의 걸이부(34)와 용기(10)는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결국 크레인(20)의 이동으로 상기 용기(10)가 일체로 이동되어도 즉, 크레인의 급정지와 같은 외부충격요인인 발생되어도 상기 용기(10)는 안정적으로 이동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hook portion 34 and the container 10 of the sovereignty hanger 30 maintains a more stable state, even if the container 10 is moved integrally by the movement of the crane 20 Even if an external impact factor such as a sudden stop of a crane is generated, the container 10 is stably moved.

계속해서,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46)의 전진 및 후진작동으로 일체로 수직바아(32)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블록(40)은 그 상,하 이동거리가 조정되는데, 즉 상기 수직바아(32)의 이동블록(40) 상,하측에 결합 고정된 스토퍼(50a)(50b)가 상기 이동블록(40)의 이동을 조정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 the moving block 40 moving along the vertical bar 32 integrally by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s of the cylinder 46 is adjusted in its up and down moving distances, that is, Stoppers 50a and 50b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moving blocks 40 of the vertical bar 32 adjust the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40.

이때, 상기 상,하부 스토퍼(50a)(50b)에는 상,하부 리미트 스위치(52a)(52b)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상기 이동블록ㄷ(40)이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스토퍼(50)에 접촉하면서 동시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52)를 각각 작동시키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52)가 작동되면, 상기 크레인(2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유압우니트(46')의 작동을 중지시키어 상기 이동브록(40)과 연설되는 실린더(46)의 작동을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stoppers 50a and 50b are provided with upper and lower limit switches 52a and 52b, respectively, so that the stopper 50 moves when the moving block 40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At the same time, the limit switch 52 is operated, and when the limit switch 52 is operated,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unit 46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rane 20 is stopped and the movement is performed. It controls the operation of cylinder 46 that is spoken with block 40.

이에 따라서, 이동블록(40)의 누름블록(42)으로서 용기(10)의 주권걸이부 (30) 고정상태를 보다 견고토록 함으로써, 상기 크레인 주권걸이부(30)에 의한 용기(10) 이동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Accordingly, by holding the fixed state of the sovereignty hanger 30 of the container 10 as the pressing block 42 of the moving block 40, the movement of the vessel 10 by the crane sovereign hanger 30 It is more stable.

이와 같이 본 고안인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흔들림 방지장치에 의하면, 크레인으로서 이동하는 수강래들, 슬래그 포트 및 고절슈트등이 보다 안정적으로 흔들림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됨으로 인하여, 상기 각 용기내에 장입된 용융물, 슬래그 및 고철등의 외부 유출이 방지되고, 결국 작업자의 화상 및 기타 주변설비의 파손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Thus, according to the sovereignty departure and shake prevention device of the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ing ladle, the slag port and the chute chute, etc. to move as a crane is moved more stably in a state where the shaking is minimized, it is charged in each container External spills such as melted, slag and scrap metals are prevented, which in turn prevents accidents such as worker burns and damage to other peripheral equipment.

더하여, 고철슈트내의 고철을 전로내에 안전하게 장입토록 함으로써, 용기 이동은 물론, 용기의 전로 장입시 크레인의 주권걸이부가 용기에서 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시키어 용기 낙하등과 같은 대형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전체 고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safely loading the scrap in the scrap chute into the convert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movement of the container and the sovereignty of the crane from falling out of the container when charging the converter, thereby preventing large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of the container.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whole blast furnace.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subject innova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subject innovation a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 would like to clarify that knowledge is easy to know.

Claims (3)

수강래들, 슬래그 포트 또는 고철 스크랩 슈트등의 용기(10) 주권(12)에 걸어서 이동되는 크레인(20)의 주권걸이부(30)에 있어서,In the sovereign hanger part 30 of the crane 20 which is moved by walking to the container 10 sovereignty 12, such as a steel ladle, a slag port, or a scrap scrap chute, 상기 주권걸이부(30)의 양측 수직바아(32)를 따라 상,하 이동토록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용기(10) 상부면에 밀착되는 누름블록(42)이 일체로 설치되는 이동블록(40) 및,Moving block which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bar 32 on both sides of the sovereign hook portion 30, the pressing block 4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 is integrally installed ( 40) and, 상기 주권걸이부(30)의 수직바아(32) 상,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록(40)의 상,하 이동을 조정토록 하는 스토퍼(5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흔들림 방지장치Sovereign departure of the cra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bar 32, the lower side of the sovereignty hanger 30 is configured as a stopper 50 to adjust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40 and Anti-shak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40)은, 상기 주권걸이부 수직바아(34)에 나사 결합된 고정브라켓트(44)로서 수직 고정되는 실린더(46)의 로드(46a)가 상기 이동블록(40)의 누름블록(42) 타측으로 일체로 설치된 가이드블록(48)내에 안착되어 상기 실린더(46)의 작동시 주권걸이부 수직바아(32)를 따라 상,하 이동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흔들림 방지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able block 40, the rod 46a of the cylinder 46 which is vertically fixed as a fixing bracket 44 screwed to the sovereignty hanger vertical bar 34 is the movable block ( The push block 42 of the 40 is seated in the guide block 48 which is integral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is installed so as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sovereign hanger vertical bar 32 when the cylinder 46 is operated. Crane sovereignty and anti-shak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이동블록(40)의 상하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하부 스토퍼(50a)(50b)로서 이루어 지며, 상기 상,하부 스트퍼 (50a)(50b)에는 상기 상,하 이동하는 이동블록(40)과의 접촉시 작동되어 상기 실린더(46)의 작동을 제어토록 하는 상,하부 리미트스위치(52a)(52b)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주권 이탈 및 흔들림 방지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er 50 is made of upper and lower stoppers (50a) (50b) spac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ving block 40, the upper and lower strippers (50a) ( 50b), the upper and lower limit switches 52a and 52b which are operated when the upper and lower moving blocks 4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46 are installed. Crane sovereignty and anti-shake device
KR2019990023259U 1999-10-27 1999-10-27 Apparatus for preventing seperation of crane main hook and movement of container KR20017720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259U KR200177203Y1 (en) 1999-10-27 1999-10-27 Apparatus for preventing seperation of crane main hook and movement of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259U KR200177203Y1 (en) 1999-10-27 1999-10-27 Apparatus for preventing seperation of crane main hook and movement of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203Y1 true KR200177203Y1 (en) 2000-04-15

Family

ID=1959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259U KR200177203Y1 (en) 1999-10-27 1999-10-27 Apparatus for preventing seperation of crane main hook and movement of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20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7203Y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eperation of crane main hook and movement of container
KR100424807B1 (en) A transfer car for removing slag and anti-leak type of molten steel
KR101568725B1 (en) Apparatus of laddle
KR20180020732A (en) Protecive device and truck having the same
US2881488A (en) Tilting ladle
KR100951763B1 (en) Hook shifting equipments for hot metal charging crane in an iron works
KR100797820B1 (en) Device for detaching boom of slag skimmer
CN210280657U (en) Molten iron watering device convenient to empty
KR20060076671A (en) Steel scrap charge chute
KR101243130B1 (en) Tilting ring for preventing separation
CN218611663U (en) Lifting type capping and uncapping machine with upward overturning and avoiding interdigital mechanism
US4561638A (en) Installation with a refractorily lined metallurgical vessel
CN219861430U (en) Steelmaking furnace platform with safeguard function
KR20040087752A (en) An apparatus for removing the top scum of ladle
JPH0331493Y2 (en)
KR19990026242U (en) Slag breaker of ladle for electric furnace
KR200278686Y1 (en) Operating device of trolley for moving slag port
JPH0942851A (en) Equipment for preventing accident of breakage of electrode in electric furnace
CN217627087U (en) Automatic unhooking hanger
JPH02104609A (en) Steel-making installation provided with metallurgical furnace and post-working facility
JP2013049065A (en) Detachable truck of opening/closing device for molten steel outflow gate
KR102307680B1 (en) Locking Apparatus
US5219515A (en) Support ejection device for a stream-protector tube in a continuous-casting installation
KR100682793B1 (en) Draw out device of slag skimmer
KR19990038096U (en) Sovereignty 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