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914Y1 - 트랙터 연결용 지게 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 연결용 지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914Y1
KR200176914Y1 KR2019990023809U KR19990023809U KR200176914Y1 KR 200176914 Y1 KR200176914 Y1 KR 200176914Y1 KR 2019990023809 U KR2019990023809 U KR 2019990023809U KR 19990023809 U KR19990023809 U KR 19990023809U KR 200176914 Y1 KR200176914 Y1 KR 200176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or
forklift
chain
boom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상진
김정모
이중백
이기춘
Original Assignee
양상진
김정모
이기춘
이중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상진, 김정모, 이기춘, 이중백 filed Critical 양상진
Priority to KR2019990023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9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9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2Tractors modified to take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촌의 지형에 적합하고 농작물을 간편 용이하게 옮겨 차량에 적재할 수 있도록 트랙터에 부착시켜 사용하도록 된 지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이 개구된 사각관 형태의 붐대 내에 승하강 실린더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체인을 설치하고, 전면에는 분해 조립이 가능한 지게발이 상하 횡봉에 끼워져 체인의 일측과 연결되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며, 붐대 후면에는 다수의 연결편을 갖는 고정판을 설치하여 트랙터의 연결차대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상단에는 트랙터의 유압 실린더와 연결되도록 연결편이 형성된 지게 장치로서, 농촌에서 트랙터에 지게 장치를 부착시켜 볏가마, 쌀가마 등을 간단 용이하게 옮겨 적재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 상하 횡봉에 끼워진 지게발을 거꾸로 설치하여 1,000kg의 가마를 옮길 때 또는 높은 과일나무에서 봉지 씌우기나 과일을 수확할 때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고안 된 것이다.

Description

트랙터 연결용 지게 장치{CARRYING THINGS APPARATUS FOR TRACTOR CONNECTION}
본 고안은 트랙터에 부착하여 농촌에서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지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붐대 내부에는 승하강 실린더에 의하여 상하 이동되는 체인이 설치되고, 붐대 전면에는 상하 횡봉에 끼워진 지게발이 위치되어 체인의 구동에 따라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여 볏가마, 쌀가마 등의 곡물 가마를 적재 및 하역작업과 과수원의 과일 작업시 간편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트랙터 연결용 지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게차는 토목 건축자재 또는 간단한 구조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지게 장치 부분과 구동 차량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어 지게 장치를 분리시켜 다른 농작물 기계에 부착할 수 없는 차량 구조로 이루어진 관계로 건축 토목 현장에서 사용하기에는 편리하나 농촌의 논, 밭 등의 곡물 경작지 또는 과수원 등에서 사용하기에는 매우 불편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농촌에서는 논에서 벼를 베고 난 다음에는 볏가마를 집이나 창고, 정미소까지 운반하여야 하나 농촌의 현실상 농촌 인구의 고령화로 인하여 수십 가마를 일시에 옮기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현재 농촌에서 논에 모를 심는 것에서부터 벼를 베어 탈곡하기까지 기계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논에서 트랙터의 적재함 또는 트럭, 경운기까지 옮기는 수단은 여전히 사람의 힘에 의존하고 있어 나이 많은 농민들에게는 상당한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과수원 농가에서는 과일에 봉지를 씌우거나 과일을 수확할 때는 상품성을 갖도록 사람이 직접 높은 곳까지 올라가 조심스럽게 따야 하기 때문에 이 역시 젊은 사람이 아닌 나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위험하고 어려운 일이나 이러한일들을 쉽게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전면이 개구된 사각관 형태의 붐대 내에 승하강 실린더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체인을 설치하고, 전면에는 분해 조립이 가능한 지게발이 상하 횡봉에 끼워져 체인의 일측과 연결되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며, 붐대 후면에는 다수의 연결편을 갖는 고정판을 설치하여 트랙터의 연결차대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상단에는 트랙터의 유압 실린더와 연결되도록 연결편이 형성된 지게 장치로서, 농촌에서 트랙터에 부착시켜 볏가마 및 쌀가마 등을 간단 용이하게 옮겨 적재 또는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 상하 횡봉에 끼워진 지게발을 거꾸로 설치하여 1,000kg 이상의 마대를 옮길 때 또는 높은 과일나무에서 봉지 씌우기나 과일을 수확할 때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고안 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트랙터 연결용 지게 장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지게 장치 배면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
도4는 본 고안의 지게 장치 지게발 설치 예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지게발과 횡봉의 고정부 단면 예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지게 장치를 트랙터에 설치한 사용 상태도.
도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지게발 설치 예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지게 장치, 2:붐대, 3:승하강 실린더, 3':피스톤 로드,
4:롤러, 5:체인, 6:지게발, 7,7':횡봉, 8:연결간,
9:고정크립, 10:부싱, 11:고정볼트, 12:고정판,
13a,13b:연결편, 14:연결편, 15:트랙터, 16:연결차대,
17:유압 실린더,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면이 개구된 사각관 형태의 붐대(2) 내에 설치된 승하강 실린더(3)의 피스톤 로드(3') 상단 롤러(4)에 걸쳐지도록 체인(5)을 설치하되, 체인(5) 일측단은 지게발(6)이 끼워진 하부 횡봉(7') 중앙의 연결간(8)과 연결되고, 체인(5) 타측단은 붐대(2) 내면의 뒷벽 중간부에 용착된 고정크립(9)에 결합되도록 된 구성과;
상기 붐대(2) 전면에 부싱(10)의 고정볼트(11)에 의하여 분해 조립이 가능한 지게발(6)이 상하 횡봉(7)(7')에 끼워지고, 하부 횡봉(7') 중앙에는 연결간(8)이끼워져 체인(5)의 일측단과 연결되어 지게발(6)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며, 붐대(2) 후면에는 상하에 다수의 연결편(13a)(13b)이 형성된 고정판(12)을 설치하여 트랙터(15)의 연결차대(16)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고정판(12) 상부에는 트랙터(15)의 유압 실린더(17)와 연결되도록 연결편(14)이 형성된 지게 장치(1)의 구성이다. 미설명 부호 18은 트랙터의 유압 컨넥터와 연결되어 승하강 실린더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유압 호스이고, 19는 연결편에 형성된 통공으로 연결차대 및 유압 실린더를 연결할 때 고정핀이 끼워지도록 천공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트랙터(15)의 연결차대(16)를 붐대(2) 후면에 용착된 고정판(12)의 연결편(13a)에 끼운 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 때 큰 트랙터(15)일 경우에는 양측의 연결차대(16)를 고정판(12)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상단 연결편(13a)에 끼워 통공(19)을 통하여 고정핀으로 고정하고, 작은 트랙터일 경우에는 고정판(12)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연결편(13b)에 트랙터의 연결차대(16)을 끼워서 고정핀으로 연결편(13a)의 통공(19)에 끼워 지게 장치(1)와 트랙터(15)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게 장치(1)와 트랙터(15)를 연결한 다음 고정판(12) 상부에 용착된 연결편(14)에 유압 실린더(17)를 끼워 역시 고정핀으로 통공(19)에 끼워 고정하고, 붐대(2) 내에 설치된 승하강 실린더(3)의 유압 호스(18)와 트랙터의 유압 컨넥터와 연결하면 트랙터(15)와 지게 장치(1)는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이 지게 장치(1)가 연결된 트랙터로 볏가마를 차량이나 경운기에 적재하기 위해서는 볏가마가 올려진 팔레트에 지게발(6)이 끼워지도록 트랙터를 운전한 다음 붐대(2) 내의 승하강 실린더(3)의 피스톤 로드(3')를 상승시키면 피스톤 로드(3') 상단 롤러(4)에 걸쳐지도록 된 체인(5)이 위로 올라가면 체인(5) 일측에 연결된 연결간(8)이 하부 횡봉(7')을 승강시켜 상하 횡봉(7)(7') 양측에 끼워진 지게발(6)이 팔레트를 들어 올리게 되며, 승하강 실린더(3)를 하강시키면 피스톤 로드(3')가 수축되면서 롤러(4)에 걸처진 체인(5)이 하강하여 지게발(6)을 내릴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때 피스톤 로드(3') 상단 롤러(4)에 걸쳐진 체인(5) 일측단은 하부 횡봉(7')을 끼운 연결간(8)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붐대(2) 내부 중간부 뒷벽에 용착된 고정크립(9)에 연결 고정되어 있어 승하강 실린더(3)의 피스톤 로드(3')가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서 체인(5)을 올렸다 내렸다 하게 되며, 하강시에는 체인(5) 일측에 연결된 연결간(8)과 상하 횡봉(7)(7') 및 지게발(6)의 무게에 의하여 체인(5)을 팽팽하게 당기는 상태가 됨으로써 피스톤 로드(3')가 하강하더라도 체인이 흔들리거나 이탈될 염려가 없으며, 지게발(6)을 팔레트에 끼울 때 상하 위치가 약간씩 차이가 발생할 경우에는 고정판(12) 상부의 연결편(13a)에 고정된 유압 실린더(17)를 조작하여 붐대(2)를 전후방으로 약간 밀거나 당겨서 지게발이 팔레트에 끼워지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500kg 이하의 볏가마 및 쌀가마(마대)일 경우에는 도1 내지 도6과 같이 지게발(6)을 아래로 향하도록 상하 횡봉(7)(7')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며, 볏가마 및 쌀가마(마대)의 무게가 500kg∼1,000kg 이상일 경우에는 상부 횡봉(7)이 끼워진 지게발(6)의 상단 배면 부싱(10)의 고정볼트(11)를 푼 후지게발(6)을 양측으로 당겨 빼내면 상하 횡봉(7)(7')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지게발(6) 하단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거꾸로 하여 상하 횡봉(7)(7') 양측에 끼운 다음 상부 횡봉(7) 배면 부싱(10)의 고정볼트(11)를 조이면 지게발(6)을 도7과 같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추수 후 벼, 쌀 등의 곡물이 담긴 마대 및 가마를 운반할 수도 있지만 과일나무의 봉지 씌우기 또는 과일을 수확할 때 지게 장치(1)의 지게발(6)에 팔레트 또는 판자 등을 올려 놓고 사람이 올라가 안전하게 과일을 따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지게 장치를 농촌에서 사용하는 트랙터에 부착시켜 사용함으로써, 논, 밭, 과수원 등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으며 농작물 추수시 볏가마, 보리가마, 밀가마, 콩가마 등을 간단 용이하게 트럭이나 경운기에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벼농사의 경우 모내기부터 탈곡하여 볏가마를 집으로 운반하기까지의 농사일을 기계화시킬 수 있으며, 농촌 인구의 고령화로 인하여 무거운 농작물을 옮길 때, 높은 과일나무에 올라가 작업을 하게 될 때 일이 지연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농민들이 농사일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된 효과를 갖게 되었다.

Claims (1)

  1. 전면이 개구된 사각관 형태의 붐대(2) 내에 설치된 승하강 실린더(3)의 피스톤 로드(3') 상단 롤러(4)에 걸쳐지도록 체인(5)을 설치하되, 체인(5) 일측단은 지게발(6)이 끼워진 하부 횡봉(7') 중앙의 연결간(8)과 연결되고, 체인(5) 타측단은 붐대(2) 내면의 뒷벽 중간부에 용착된 고정크립(9)에 결합되도록 된 구성과;
    상기 붐대(2) 전면에 부싱(10)의 고정볼트(11)에 의하여 분해 조립이 가능한 지게발(6)이 상하 횡봉(7)(7')에 끼워지고, 하부 횡봉(7') 중앙에는 연결간(8)이 끼워져 체인(5)의 일측단과 연결되어 지게발(6)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며, 붐대(2) 후면에는 상하에 다수의 연결편(13a)(13b)이 형성된 고정판(12)을 설치하여 트랙터(15)의 연결차대(16)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고정판(12) 상부에는 트랙터(15)의 유압 실린더(17)와 연결되도록 연결편(14)이 형성된 지게 장치(1)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연결용 지게 장치.
KR2019990023809U 1999-11-02 1999-11-02 트랙터 연결용 지게 장치 KR200176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809U KR200176914Y1 (ko) 1999-11-02 1999-11-02 트랙터 연결용 지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809U KR200176914Y1 (ko) 1999-11-02 1999-11-02 트랙터 연결용 지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914Y1 true KR200176914Y1 (ko) 2000-04-15

Family

ID=1959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809U KR200176914Y1 (ko) 1999-11-02 1999-11-02 트랙터 연결용 지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91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785B1 (ko) * 2017-01-16 2017-10-18 (주)씨앤씨테크 트랙터용 포크 어태치먼트
KR102297032B1 (ko) * 2020-12-30 2021-09-02 대호 (주) 회전 가능한 포크리프터를 갖는 텔레스코픽 마스터 장치
KR20220001949A (ko) * 2020-06-30 2022-01-06 대호 (주) 텔레스코픽 마스터를 갖는 작업 차량
KR20230000501U (ko) * 2021-09-02 2023-03-09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천장 구조물 설치용 리프팅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785B1 (ko) * 2017-01-16 2017-10-18 (주)씨앤씨테크 트랙터용 포크 어태치먼트
KR20220001949A (ko) * 2020-06-30 2022-01-06 대호 (주) 텔레스코픽 마스터를 갖는 작업 차량
KR102367687B1 (ko) * 2020-06-30 2022-02-28 대호 (주) 텔레스코픽 마스터를 갖는 작업 차량
KR102297032B1 (ko) * 2020-12-30 2021-09-02 대호 (주) 회전 가능한 포크리프터를 갖는 텔레스코픽 마스터 장치
KR20230000501U (ko) * 2021-09-02 2023-03-09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천장 구조물 설치용 리프팅 장치
KR200497469Y1 (ko) 2021-09-02 2023-11-20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천장 구조물 설치용 리프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55477A (en) Material handling device
US7963734B2 (en) Bale handling implement
US20090074542A1 (en) Tree Moving Device
US5807053A (en) Multiple hay bale transporter and loader
US20080152469A1 (en) Utility carryall for utility, skid steer and industrial tractors
US5094581A (en) Bale handling apparatus
US6099234A (en) Tractor-mounted forklift
KR200176914Y1 (ko) 트랙터 연결용 지게 장치
US6282878B1 (en) Produce catcher
AU2004220484B2 (en) Trailer with hoist for container and the like
US6364596B1 (en) Hay bale cart
US6971696B1 (en) Hay bale spike assembly
US2593796A (en) Load-supporting attachment for tractors
US4182593A (en) Bale loading and handling device
US4796941A (en) Tree transport trailer
US7950895B2 (en) Bucket bale spear
KR200182632Y1 (ko) 트랙터용 지게차 겸용 페이로더 작업기
KR20010058406A (ko) 트랙터용 지게차 겸용 페이로더 작업기
JP2019201577A (ja) メッシュパレット運搬車
KR200265745Y1 (ko) 동력 손수레의 적재함 승강장치
KR200164928Y1 (ko) 트랙터 부착용 이송 컨테이너
KR200291116Y1 (ko) 농업용 지게차
AU2022202095A1 (en) Transport system for transporting a baling press
GB2395935A (en) Apparatus for lifting and handling bales
CA2589201C (en) Utility carryall for utility farm, skid steer and industrial tra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