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829Y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829Y1
KR200176829Y1 KR2019990017177U KR19990017177U KR200176829Y1 KR 200176829 Y1 KR200176829 Y1 KR 200176829Y1 KR 2019990017177 U KR2019990017177 U KR 2019990017177U KR 19990017177 U KR19990017177 U KR 19990017177U KR 200176829 Y1 KR200176829 Y1 KR 200176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portion
guide rail
tube
guide groove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영
Original Assignee
정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세영 filed Critical 정세영
Priority to KR2019990017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8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8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유체가 투입 및 저장되는 튜브를 내장하고 투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여, 어린이와 성인 모두가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베개는 상부 하우징의 상부면에 제 1 볼록부, 오목부, 제 2 볼록부, 제 1 어깨 안착부 및 제 2 어깨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부 하우징의 하부면에 제 1 가이드 레일와 제 2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며, 상부 하우징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연결관, 펌프 및 체크밸브, 연결관의 타측에 일체로 부착된 튜브가지는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부 하우징의 제 1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는 제 1 가이드 홈 및 제 2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는 제 2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조절부의 상기 튜브가 수납되는 수납부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와같이 구비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는 공기의 양으로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체형이 각기 다른 사용자의 높이에 알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사람이 누운 형상과 동일하게 제 1 볼록부, 오목부, 제 2 볼록부 및 제 1 어깨 안착부, 제 2 어깨 안착부를 형성하여 머리, 목 및 어깨에 체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한 숙면을 취할수 있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Pillow having a changeable height}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투입 및 저장되는 튜브를 내장하고 투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여, 어린이와 성인 모두가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혀주어 안락한 수면을 취할수 있도록 도와 주는 것이다. 이러한 베개는 직육면체 또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크기는 대략 사용자의 머리 크기보다 약간 크고, 내부에 쿠션재등을 채워넣은 내피와 외관을 돋보이게 하도록 내피를 둘러싼 외피로 구성되어 있다. 쿠션재로는 왕겨, 솜, 톱밥, 플라스틱 조각 또는 오리털 등이 사용되고, 쿠션재의 양에 따라서 베개의 크기와 높이가 한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쿠션재로 내장된 왕겨, 솜, 톱밥, 플라스틱 조각 또는 오리털 등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보충하여야만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체형이 큰 사람이 종래의 베개를 베는 경우에는 머리의 하중에 의해서 베개의 형태가 변화하여 어깨에 체중이 집중될 뿐만아니라 목이 누운쪽으로 꺾어지게 되어 수면을 취하기에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가정에서는 가족 구성원의 연령에 맞게 베개를 크기별로 구입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체가 투입 및 저장되는 튜브를 내장하고 투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여, 어린이와 성인 모두가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의 분해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100 : 베개 110 : 상부 하우징
112 : 제 1 볼록부 116 : 제 2 볼록부114 : 오목부 122 : 제 1 가이드 레일124 : 제 2 가이드 레일 130 : 조절부132 : 연결관 135 : 저장실150 : 하부 하우징 157 : 제 1 가이드 홈158 : 제 2 가이드 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고, 일체로 형성되어 일정 공간의 수납부를 한정하는 제 1 측벽, 제 2 측벽, 제 3 측벽, 제 4 측벽 및 바닥벽을 구비하며, 제 3 측벽과 제 4 측벽 사이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에는 제 1 가이드 홈과 제 2 가이드 홈이 일정 깊이만큼 각각 수직하게 형성되고,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에는 제 1 가이드 홈과 제 2 가이드 홈의 인접위치에서 제 1 가이드 홈과 제 2 가이드 홈에 대하여 수직한 제 1 관통공과 제 2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바닥면 근처 위치에서 제 1 측벽에는 연결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하부 하우징;수납부 내에 삽입되며 필요한 일정량의 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을 한정하는 가요성 있는 튜브, 튜브의 일측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튜브가 수납부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 연결공을 지나서 하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관, 하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연결관의 자유단에 부착되고 튜브내로 공기를 투입시키기 위한 펌프, 연결관의 중간부분에 부착되어 튜브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조절부; 그리고상부면 양측에서 일정한 곡률을 가지면서 윗쪽으로 부드럽게 돌출하여 형성된 제 1 볼록부와 제 2 볼록부, 사람의 목부분이 안착될수 있도록 상기 제 1 볼록부와 제 2 볼록부 사이에서 제 1 볼록부 및 제 2 볼록부와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면서 제공된 오목부, 상부면 중에서 제 1 볼록부, 오목부, 제 2 볼록부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 제 1 어깨 안착부 및 제 2 어깨 안착부를 구비하며, 제 1 볼록부 및 제 2 볼록부의 하부면 상에는 하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하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연장된 제 1 가이드 레일과 제 2 가이드 레일이 장착되고, 제 1 가이드 레일과 제 2 가이드 레일의 내측에는 제 1 장공 및 제 2 장공이 종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튜브가 상기 수납부 내에 삽입된 후, 제 1 가이드 레일과 제 2 가이드 레일이 제 1 가이드 홈과 제 2 가이드 홈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제 1 관통공과 제 1 장공을 관통하여 지나는 제 1 볼트와, 제 2 관통공과 제 2 장공을 관통하여 지나는 제 2 볼트에 의해서 하부 하우징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베개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유체가 투입 및 저장되는 튜브를 내장하고 투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여, 어린이와 성인 모두가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개(100)는 나무를 주재료로하여 제작된 목침으로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상부 하우징(110), 상부 하우징(1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130), 그리고, 상부 하우징(110)에 결합되며 조절부(130)가 수납되는 하부 하우징(150)을 구비한다.
상부 하우징(110)은 상부 하우징(110)의 상부면 양측에서 일정한 곡률을 가지면서 윗쪽으로 부드럽게 돌출하여 형성된 제 1 볼록부(112)와 제 2 볼록부(116)를 구비한다. 제 1 볼록부(112)와 제 2 볼록부(116) 사이에는 오목부(114)가 형성된다. 오목부(114)는 사람의 목부분이 안착되는 영역으로서, 사람의 목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오목부(114)는 제 1 볼록부(112) 및 제 2 볼록부(116)와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면서 만난다.
상부 하우징(110)의 상부면에서 제 1 볼록부(112), 오목부(114), 제 2 볼록부(116)를 제외한 영역에서는 제 1 어깨 안착부(118) 및 제 2 어깨 안착부(120)가 형성된다.
제 1 어깨 안착부(118)는 상대적으로 체격이 큰 사람이 베개(100)를 베는 경우에 어깨부분이 안착되는 영역으로서, 제 1 볼록부(112), 오목부(114), 제 2 볼록부(116)와 상부 하우징(110)의 일측 주변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체격이 큰 사람의 어깨 폭에 대응하는 일정 크기의 폭(W1)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 2 어깨 안착부(120)는 상대적으로 체격이 작은 사람이 베개(100)를 베는 경우에 어깨부분이 안착되는 영역으로서, 제 1 어깨 안착부(118)에 대향하도록 제 1 볼록부(112), 오목부(114), 제 2 볼록부(116)와 상부 하우징 (110)의 타측 주변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체격이 작은 사람의 어깨 폭에 대응하는 일정 크기의 폭(W2)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어깨 안착부(118)는 제 2 어깨 안착부(12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다.
제 1 볼록부(112) 및 제 2 볼록부(116)의 아랫쪽에서 상부 하우징(110)의 하부면 상에는 제 1 가이드 레일(122) 및 제 2 가이드 레일(124)이 부착된다. 제 1 가이드 레일(122) 및 제 2 가이드 레일(124)은 상부 하우징(110)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하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연장된다. 제 1 가이드 레일(122) 및 제 2 가이드 레일 (124)의 내측에는 제 1 장공(123) 및 제 2 장공(125)이 각각의 가이드 레일(122, 124)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한편, 조절부(130)는 가요성 있는 형상의 튜브(134) 및 튜브(134)의 일측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연결관(132)을 구비한다. 튜브(134)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된다. 튜브(134)는 일정량의 공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135)을 한정한다.
연결관(132)의 자유단에는 튜브(134)내로 공기를 투입시키기 위해서 펌프(P)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연결관(132)의 중간에는 튜브(134)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 체크밸브(133)가 부착된다.
한편, 하부 하우징(150)은 상부가 개방되고,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 1 측벽(153)과 제 2 측벽(154),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연장된 제 3 측벽(155)과 제 4 측벽(156) 및 바닥벽(157)을 구비한다. 측벽(153, 154, 155, 156)들은 조절부(130)의 튜브(134)를 수납하기 위한 일정 공간의 수납부(152)를 한정한다.
먼저, 제 1 측벽(153) 및 제 2 측벽(154)에는 제 1 가이드 레일(122) 및 제 2 가이드 레일(124)이 수납될 수 있는 제 1 가이드 홈(157)과 제 2 가이드 홈(158)이 각각 수직하게 형성되고, 또한 제 1 가이드 홈(157)과 제 2 가이드 홈(158)에 대하여 수직한 관통공(159, 160)이 각각 형성된다. 제 1 관통공(159)은 제 1 가이드 홈(157)을 지나도록 제 1 측벽(153)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 2 관통공(160)은 제 2 가이드 홈(158)을 지나도록 제 2 측벽(154)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한편, 바닥벽(157) 근처위치에서 제 1 측벽(153)에는 연결공(162)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공(162)은 튜브(134)가 수납부(152)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 연결관(132)이 하부 하우징(150)의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베개의 결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베개(10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조절부(130)를 하부 하우징 (150)의 수납부(152)에 수납시킨다. 이때, 조절부(130)의 연결관(132)은 하부 하우징(150)의 제 1 측벽(153)에 형성된 연결공(162)을 관통하여 하부 하우징(150)의 외부로 돌출되게한다. 외부로 돌출된 연결관(132)의 자유단부에는 펌프(P)가 끼워진다.
이와같이 조절부(130)가 하부 하우징(150)의 수납부(152)에 수납되면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50)을 결합한다. 이를 위해서, 상부 하우징(110)의 제 1 가이드 레일(122)을 하부 하우징(150)의 제 1 가이드 홈(157)에 삽입시킨다. 마찬가지로, 상부 하우징(110)의 제 2 가이드 레일(124)을 하부 하우징(150)의 제 2 가이드 홈(158)에 삽입시킨다. 이렇게 각각의 가이드 레일(122, 124)이 각각의 가이드 홈(157, 158)에 삽입되면, 각각의 가이드 레일(122, 124)이 각각의 가이드 홈(157, 158)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볼트(170, 174)를 사용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제 1 볼트(170)는 제 1 측벽(153)의 외측면에서 제 1 관통공(159)에 끼워지고 제 1 가이드 홈(157) 및 제 1 가이드 레일(122)의 제 1 장공(123)을 지나 제 1 측벽(153)의 내측면까지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볼트(174)는 제 2 측벽(154)의 외측면에서 제 2 관통공(160)에 끼워지고 제 2 가이드 홈(158) 및 제 2 가이드 레일(124)의 제 2 장공(125)을 지나 제 2 측벽(154)의 내측면까지 연장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개(1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베개(100)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까지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펌프(P)를 손으로 반복적으로 눌러서 연결관(132)을 통해 공기를 튜브(134)내의 저장실(135)로 공급한다. 저장실(135)내로 공급되는 공기는 튜브(134)를 부풀어오르게하고, 이렇게 부풀어오른 튜브(134)는 상부 하우징(110)을 상측으로 밀어올린다. 그 결과로 상부 하우징(110)이 상승함에 따라서 제 1 가이드 레일(122)과 제 2 가이드 레일(124)은 제 1 가이드 홈(157) 및 제 2 가이드 홈(158)을 따라서 상부 하우징(110)과 함께 상승하게된다. 이때, 제 1 볼트(170)와 제 2 볼트(174)는 제 1 가이드 레일(122) 및 제 2 가이드 레일(124)이 제 1 가이드 홈(157) 및 제 2 가이드 홈(158)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베개(100)의 높이를 낮게하기 위해서는, 연결관(132)에 부착된 체크밸브(133)를 서서히 열어서 저장실(135)내의 공기중 일부를 원하는 만큼 외부로 배출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베개(100)는 신축성을 가지는 튜브(134)에 투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베개(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110)의 상부면을 사람이 베개(100)를 베고 누웠을 때 머리, 목 및 어깨에 체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정정) 나무를 주재료로하여 제작된 베개(100)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일체로 형성되어 일정 공간의 수납부(152)를 한정하는 제 1 측벽(153), 제 2 측벽(154), 제 3 측벽(155), 제 4 측벽(156) 및 바닥벽(157)을 구비하며, 상기 제 3 측벽(155)과 상기 제 4 측벽(156) 사이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상기 제 1 측벽(153)과 상기 제 2 측벽(154)에는 제 1 가이드 홈(157)과 제 2 가이드 홈(158)이 일정 깊이만큼 각각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벽(153) 및 상기 제 2 측벽(154)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홈(157)과 상기 제 2 가이드 홈(158)의 인접위치에서 상기 제 1 가이드 홈(157)과 상기 제 2 가이드 홈(158)에 대하여 수직한 제 1 관통공(159)과 제 2 관통공(16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바닥벽(157) 근처 위치에서 상기 제 1 측벽(153)에는 연결공(162)이 관통하여 형성된 하부 하우징(150);
    상기 수납부(152) 내에 삽입되며 필요한 일정량의 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135)을 한정하는 가요성 있는 튜브(134), 상기 튜브(134)의 일측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튜브(134)가 상기 수납부(152)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공(162)을 지나서 상기 하부 하우징(150)의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관(132), 상기 하부 하우징(15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연결관(132)의 자유단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튜브(134)내로 공기를 투입시키기 위한 펌프(P), 상기 연결관(132)의 중간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튜브(134)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체크밸브(133)를 구비하는 조절부(130); 그리고
    상부면 양측에서 일정한 곡률을 가지면서 윗쪽으로 부드럽게 돌출하여 형성된 제 1 볼록부(112)와 제 2 볼록부(116), 사람의 목부분이 안착될수 있도록 상기 제 1 볼록부(112)와 상기 제 2 볼록부(116) 사이에서 상기 제 1 볼록부(112) 및 상기 제 2 볼록부(116)와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면서 제공된 오목부(114), 상기 상부면 중에서 상기 제 1 볼록부(112), 상기 오목부(114), 상기 제 2 볼록부(116)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 제 1 어깨 안착부(118) 및 제 2 어깨 안착부(120)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볼록부(112) 및 상기 제 2 볼록부(116)의 하부면 상에는 상기 하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하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연장된 제 1 가이드 레일(122)과 제 2 가이드 레일(124)이 장착되고,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122)과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124)의 내측에는 제 1 장공(123) 및 제 2 장공(125)이 종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튜브(134)가 상기 수납부(152) 내에 삽입된 후,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122)과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124)이 상기 제 1 가이드 홈(157)과 상기 제 2 가이드 홈(158)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159)과 상기 제 1 장공(123)을 관통하여 지나는 제 1 볼트(170)와, 상기 제 2 관통공(160)과 상기 제 2 장공(125)을 관통하여 지나는 제 2 볼트(174)에 의해서 상기 하부 하우징(150)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2.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깨 안착부(118)는 상기 제 1 볼록부(112), 상기 오목부(114), 상기 제 2 볼록부(116)와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일측 주변부 사이에서 일정 크기의 폭(W1)을 가지고 연장되며, 상기 제 2 어깨 안착부(120)는 상기 제 1 어깨 안착부(118)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 1 볼록부(112), 상기 오목부(114), 상기 제 2 볼록부(116)와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타측 주변부 사이에서 상기 폭(W1)보다 작은 폭(W2)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19990017177U 1999-08-19 1999-08-19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0176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177U KR200176829Y1 (ko) 1999-08-19 1999-08-19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177U KR200176829Y1 (ko) 1999-08-19 1999-08-19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829Y1 true KR200176829Y1 (ko) 2000-04-15

Family

ID=1958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177U KR200176829Y1 (ko) 1999-08-19 1999-08-19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8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497U (ko) * 2015-06-19 2016-12-28 박춘서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KR20180126821A (ko) * 2017-05-18 2018-11-28 노근호 베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497U (ko) * 2015-06-19 2016-12-28 박춘서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KR200483101Y1 (ko) * 2015-06-19 2017-04-05 박춘서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KR20180126821A (ko) * 2017-05-18 2018-11-28 노근호 베개
KR101969094B1 (ko) * 2017-05-18 2019-04-15 노근호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32020C (en) Therapeutic sleeping pillow
US6618884B1 (en) Inflatable mattress with integrated upper and lower inflatable bodies
WO2010130003A1 (en) Pillow
KR200474184Y1 (ko) 쿠션 조절용 메모리폼 베개
KR200176829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0718886B1 (ko) 높낮이 조절 맞춤형 베개
US7322064B2 (en) Inflatable bed
KR100939081B1 (ko) 베개
KR100935799B1 (ko) 건강베개
KR200477586Y1 (ko) 기능성 베개
TWI740211B (zh) 組裝式沙發
KR200423004Y1 (ko) 자석이 내장된 기능성 메모리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성형 몰드
KR101312256B1 (ko) 높이 조절 베개
KR200337702Y1 (ko) 베개
KR200313925Y1 (ko) 쿠션
KR200421491Y1 (ko) 침대매트 높이 조절용 공기매트
KR102339565B1 (ko) 경추 보호 베개
KR200337242Y1 (ko) 방석
KR200342247Y1 (ko) 베개
KR200337243Y1 (ko) 매트리스
KR200388938Y1 (ko) 방석의 구조
KR102661799B1 (ko)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
KR101838733B1 (ko) 침대 매트리스
CN220735056U (zh) 一种软硬可选的枕头
CN215604719U (zh) 一种具有高度调节功能的枕芯及枕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