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799B1 -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799B1
KR102661799B1 KR1020220189722A KR20220189722A KR102661799B1 KR 102661799 B1 KR102661799 B1 KR 102661799B1 KR 1020220189722 A KR1020220189722 A KR 1020220189722A KR 20220189722 A KR20220189722 A KR 20220189722A KR 102661799 B1 KR102661799 B1 KR 102661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llow
insert
nozzl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9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이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영 filed Critical 이지영
Priority to KR1020220189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3/00Pumps actuated by muscle power, e.g. for inf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20Check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inflatable bodies, e.g.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식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에어셀 베개의 내부에 위치한 에어셀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에어셀 내부의 에어를 원활하게 배출시킴과 아울러 에어셀의 에어량을 가감하여 에어셀 베개의 경추지지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지지부가 구비된 베개본체; 경추지지부를 지지하도록 베개본체의 내부에 수납되고 선단부에 니플이 형성된 연결구가 구비된 에어셀; 에어를 에어셀에 주입하거나 에어셀의 에어를 배출할 수 있도록 에어셀의 연결구에 결합되어 베개본체에 설치되는 에어조절밸브; 및 에어 배출을 위한 배기밸브를 구비하며 에어조절밸브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에어셀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에어셀의 에어를 배출시키는 수동식 에어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AIR SUPPLY AND EXHAUST SYSTEM FOR AIR CELL PILLOW}
본 발명은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식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에어셀 베개의 내부에 위치한 에어셀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에어셀 내부의 에어를 원활하게 배출시킴과 아울러 에어셀의 에어량을 가감하여 에어셀 베개의 경추지지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쾌적한 수면을 위한 도구 중 하나로서, 주로 머리를 받쳐주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베개가 사용자의 머리와 목 부위를 동시에 적절하게 받쳐주어야만 숙면을 취할 수 있다.
특히, 베개에 의해 받쳐지는 목 부위의 높이는 경추 형상의 유지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부적절한 베개의 사용은 숙면 후에도 피로가 남아 있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장기간 사용시 경추의 이상과 경부 근육의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성장기의 아동들의 골격발달에 나쁜 영향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적절한 베개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지만, 대부분의 베개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 개개인에게는 적절한 형상이 될 수 없다. 즉, 사람마다 각각 체형이 상이함에도 사용자 개개인이 맞춤형 베개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형 베개를 사용함에 따라 숙면 후에도 피로가 남아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형태의 베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베개가 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베개는 형상이 고정되어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형상이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베개에 에어셀 등을 내장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베개의 형상이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신개념의 베개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베개는 사용자의 체압 등을 측정하는 센서 등이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높이 소비자가 선호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베개의 형상 및 높이 조절을 위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수단이 대부분 전동식이어서 전기 등의 에너지가 필요한 문제점도 있다.
한편, 공개특허 제10-2008-0075263호에는, 베개의 내부에 공간지를 이용한 에어 셀을 내설하고, 베개의 외표면에는 복수개의 체압측정 센서를 부착하여, 베개에 받쳐지는 사용자들의 각기 다른 두상 및 목 부위의 형상 그리고 그 가압력에 따라 에어 셀의 공기압을 자동 조절함으로써, 베개의 높이가 사용자에 맞는 높이로 자동 조절되어 양질의 수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에어 셀을 이용한 베개의 자동 높이 조절 장치 및, 베개의 내부에 공간지를 이용한 에어 셀을 내설하고, 이 에어 셀에 에어를 공급 또는 빼내어주는 펌핑식 에어 셀 손잡이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펌핑식 에어 셀 손잡이를 조작하여 에어 셀의 공기압을 수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저렴한 제작비로 개개인이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간단히 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에어 셀을 이용한 베개의 수동 높이 조절 장치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10-2010-0066824호에는, 베개의 본체가 되고 내부가 비워져 높이조절을 위한 장치가 내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를 따라 결합되는 탑플레이트와, 상기 탑플레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동되어 상기 탑플레이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가동자와, 상기 탑플레이트 상에 가해지는 무게 하중값을 검출하는 하중검출수단과, 상기 하중검출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무게 하중 검출정보를 통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베개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가 자동적으로 조절되거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원하는 높이로 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베개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 제10-2017-0074611호에는, 사용자의 머리부위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와, 사용자의 목부위를 지지하는 목 지지부와, 상기 머리 지지부와 목 지지부의 양 옆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목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측면 지지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복수의 에어챔버와, 상기 복수의 에어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에어챔버로 공기를 각각 공급하는 복수의 에어펌프 및 상기 복수의 에어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챔버의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기하는 복수의 배기밸브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신체에 맞춰 인체공학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베개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10-2044813호에는, 사용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전방 내부에 경추지지용 에어셀이 구비되고, 경추지지용 에어셀의 좌우 양측에 각각 측면 에어셀이 구비된 베개 본체와; 경추지지용 에어셀과 측면 에어셀로 에어를 공급하는 수동식 에어펌프와; 경추지지용 에어셀 및 측면 에어셀에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수동식 에어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를 경추지지용 에어셀과 측면 에어셀 중 어느 일측으로만 공급되도록 함과 아울러 경추지지용 에어셀 또는 측면 에어셀의 에어를 배출시키는 에어 분배기;를 포함하며, 수동식 에어펌프를 통해 베개 본체에 내장된 경추지지용 에어셀과 측면 에어셀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배출시킴으로써 써 그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에너지의 소비가 필요없고 에어 분배기의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에어셀 베개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 제10-2012-0063700호에는, 에어호스와 에어펌프가 연결되는 부분에 에어조절밸브를 장착함으로써, 베개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베개 밖으로 공기를 배출시키기가 용이함은 물론 베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고 쿠션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에어호스와 에어펌프가 연결되는 부분에 에어조절밸브를 장착함으로써, 누운 자세에서도 베개에 높낮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여 누운 자세와 관계없이 목이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에어조절밸브 몸체의 내부 통로에 장착되는 볼 또는 핀에 오링을 넣어 줌으로써, 평상시에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공기를 차단할 수 있게 함은 물론 베게에 공기를 주입할 때 에어조절밸브를 열어주며, 누름 버튼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베개 내부의 공기를 베개의 밖으로 원하는 만큼 배출할 수 있는 베개용 에어 조절밸브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5263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6824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4611호 등록특허공보 제10-2044813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370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수동식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에어셀 베개의 내부에 위치한 에어셀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에어셀 내부의 에어를 원활하게 배출시킴과 아울러 에어셀의 에어량을 가감하여 에어셀 베개의 경추지지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동식 에어펌프를 분리한 상태에서도 에어셀의 에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추지지부의 크기를 미세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는, 전방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지지부가 구비된 베개본체; 경추지지부를 지지하도록 베개본체의 내부에 수납되고 선단부에 니플이 형성된 연결구가 구비된 에어셀; 에어를 에어셀에 주입하거나 에어셀의 에어를 배출할 수 있도록 에어셀의 연결구에 결합되어 베개본체에 설치되는 에어조절밸브; 및 에어 배출을 위한 배기밸브를 구비하며 에어조절밸브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에어셀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에어셀의 에어를 배출시키는 수동식 에어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에어조절밸브는 일측 단부가 베개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게 베개본체에 설치되어 에어펌프가 연결되는 인서트노즐과, 에어의 주입 및 배출을 단속하도록 인서트노즐의 에어 통로 내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서트샤프트와, 인서트노즐에 구비되어 인서트샤프트가 인서트노즐의 에어 통로를 차단하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스프링부재와, 수동으로 인서트샤프트를 눌러주도록 인서트샤프트의 외측 끝단에 결합되는 압력조절캡과, 에어셀의 연결구에 연결된 연결튜브와 인서트노즐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튜브를 연결하며 베개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튜브니플과, 인서트노즐과 인서트샤프트 사이의 에어누설이 방지되도록 인서트샤프트에 구비된 내측오링과, 에어의 주입 및 배기시 에어펌프와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어누설이 방지되도록 인서트노즐에 구비된 외측오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인서트노즐은 내부튜브가 삽입되는 튜브삽입홈과 인서트샤프트가 밀착되도록 튜브삽입홈의 내측 끝단에 형성된 밀착경사면이 구비된 튜브삽입부와, 수동식 에어펌프의 에어노즐이 결합되도록 튜브삽입부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노즐삽입부와, 튜브삽입부와 노즐삽입부를 연결하며 인서트샤프트가 삽입되고 에어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샤프트삽입홈과, 압력조절캡이 결합되며 노즐삽입부와의 사이에 노즐삽입홈이 형성되도록 샤프트삽입홈의 끝단 부분을 형성하고 외측오링이 결합되는 캡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인서트샤프트는 외측에 에어가이드홈이 형성된 샤프트바디와, 인서트노즐의 튜브삽입부측에서 샤프트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샤프트바디가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샤프트삽입홈의 일측 단부에 밀착되어 에어의 주입 및 배출을 막아주는 에어차단부와, 인서트노즐의 밀착경사면에 밀착되어 에어를 차단하도록 에어차단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밀착경사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튜브니플은 양단이 각각 연결튜브와 내부튜브에 삽입되는 중공 형태의 니플본체와, 베개본체에 고정되도록 니플본체의 중간 부분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부와, 연결튜브와 내부튜브의 내벽에 밀착되어 에어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니플본체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테이퍼 형상의 누설방지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수동식 에어펌프는 에어조절밸브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하여 수동식 에어펌프에 연결되는한 에어관과, 배기버튼이 구비되며 에어관에 설치되는 배기밸브와, 에어조절밸브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에어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에어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에어노즐은 에어조절밸브의 인서트노즐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에어관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와, 에어조절밸브의 압력조절캡을 밀어주도록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에 구비된 격벽에 형성되어 에어가 유동되도록 하는 관통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관통공은 격벽의 중심에 형성되거나 격벽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는 착탈식 구조의 수동식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에어셀로 에어를 주입하거나 배출시켜 에어셀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에어셀 베개에 구비된 경추지지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조절밸브의 인서트노즐 내에서 인서트샤프트를 전후 이동시켜 에어가 유동되는 통로를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에어주입시 및 에어배출시키에는 수동식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에어 통로를 개방하고 에어셀 베개를 사용할 때에는 수동식 에어펌프를 분리하여 에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압력조절캡을 통해 에어셀의 에어를 배출함으로써 미세한 압력조절이 가능해지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서트노즐의 튜브삽입부에 인서트샤프트의 밀착경사면에 밀착되는 밀착경사면이 구비되어 에어 차단 효과가 향상되고 캡결합부에 결합된 외측오링을 이용하여 에어 주입시 또는 배출시 에어펌프와의 결합부를 통한 에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서트샤프트의 샤프트바디에 에어가이드홈이 구비되어 에어가 원활하게 유동함과 아울러 에어차단부에 인서트노즐의 밀착경사면에 밀착되는 밀착경사면이 구비되어 에어 차단 효과가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셀의 연결구에 결합되는 연결튜브와 인서트노즐의 내부튜브가 베개본체에 고정되는 튜브니플로 연결되므로 인서트노즐과 인서트샤프트를 분리하여 정비할 수 있음은 물론 튜브니플에 누설방지돌기가 구비되어 에어의 누설이 방지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식 에어펌프에 배기밸브와 에어노즐이 구비됨에 따라 에어셀의 에어를 쉽게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에어노즐을 통해 에어조절밸브의 압력조절캡을 가압하여 인서트노즐의 에어 통로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식 펌프의 에어노즐에 구비된 격벽을 이용하여 에어조절밸브의 압력조절캡을 가압하여 인서트노즐의 에어 통로를 개방할 수 있음은 물론 격벽의 중앙 또는 격벽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에어의 이동 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베개 및 에어펌프가 도시된 외관사시도이다.
도 2본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베개의 내부와 에어펌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에서 에어셀과 에어조절밸브 및 에어펌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에서 에어조절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의 에어펌프에 구비된 에어노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에서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에어셀에 에어를 주입할 때의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에서 에어조절밸브로부터 에어펌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에서 에어조절밸브를 이용하여 에어를 배출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에서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에어셀의 에어를 배출시킬 때의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를 이용하여 에어셀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에어셀의 에어를 배출시킬 때 에어조절밸브의 단면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의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를 이용하여 에어셀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에어셀의 에어를 배출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는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본체(10)와, 에어셀(20), 에어조절밸브(30) 및 수동식 에어펌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개본체(10)는 전방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지지부(15)가 구비된 것으로, 메모리폼 등으로 형성되고 경추지지부(15)가 형성된 바디(11)와, 에어셀(20)이 수납됨과 동시에 에어조절밸브(30)가 설치되고 바디(11)의 하측에 결합되는 경질의 하부커버(12)를 한다.
즉, 하부커버(12)에 에어셀(20)을 수납하고 에어셀(20)에 연결된 에어조절밸브(30)를 하부커버(12)에 결합 고정한 후, 바디(11)를 하부커버(12)에 결합시킴으로써 베개본체(10)를 완성하는 것이다.
에어셀(20)은 베개본체(10)의 경추지지부(15)를 지지하도록 베개본체(10)의 내부에 수납되는 것으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에어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연결구(25)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연결구(25)의 선단부에는 튜브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니플(2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조절밸브(30)는 에어를 에어셀(20)에 주입하거나 에어셀(20)의 에어를 배출할 수 있도록 에어셀(20)의 연결구(25)에 결합되는 것으로, 베개본체(1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에어조절밸브(3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가 베개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게 베개본체(10)에 설치되어 수동식 에어펌프(50)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인서트노즐(31)과, 에어의 주입 및 배출을 단속하도록 인서트노즐(31)의 에어 통로 내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서트샤프트(32)와, 인서트노즐(31)에 구비되어 인서트샤프트(32)가 인서트노즐(31)의 에어 통로를 차단하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스프링부재(33)와, 수동으로 인서트샤프트(32)를 눌러주도록 인서트샤프트(32)의 외측 끝단에 결합되는 압력조절캡(34)과, 에어셀(20)의 연결구(25)에 연결된 연결튜브(36)와 인서트노즐(31)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튜브(37)를 연결하며 베개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되는 튜브니플(35)과, 인서트노즐(31)과 인서트샤프트(32) 사이의 에어누설이 방지되도록 인서트샤프트(32)에 구비된 내측오링(38)과, 에어의 주입 및 배기시 에어펌프(50)와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어누설이 방지되도록 인서트노즐(31)에 구비된 외측오링(3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스프링부재(33)는 적당히 인장된 상태로 인서트노즐(31)과 인서트샤프트(32)에 고정됨으로써, 탄성력을 이용하여 인서트샤프트(22)를 잡아당겨 인서트노즐(31)의 에어 통로를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스프링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인서트샤프트(32)가 인서트노즐(31)의 에어 통로를 차단함으로써 에어의 유출입을 방지할 수 있고, 수동식 에어펌프(50)를 이용하거나 수동으로 압력조절캡(34)을 가압할 경우에만 인서트샤프트(32)가 이동되어 인서트 노즐(31)의 에어 통로를 개방하게 되므로 에어를 주입하거나 에어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수동식 에어펌프(50)가 분리된 상태에서 압력조절캡(33)을 통해 에어셀(20)의 에어를 배출함으로써 미세한 압력조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때, 인서트노즐(31)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튜브(37)가 삽입되는 튜브삽입홈(31b)과 인서트샤프트(32)가 밀착되도록 튜브삽입홈(31b)의 내측 끝단에 형성된 밀착경사면(31c)이 구비된 튜브삽입부(31a)와, 수동식 에어펌프의 에어노즐(55)이 결합되도록 튜브삽입부(31a)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노즐삽입부(31f)와, 튜브삽입부(31a)와 노즐삽입부(31f)를 연결하며 인서트샤프트(32)가 삽입되고 에어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샤프트삽입홈(31e)과, 압력조절캡(34)이 결합되며 노즐삽입부(31f)와의 사이에 노즐삽입홈(31g)이 형성되도록 샤프트삽입홈(31e)의 끝단 부분을 형성하고 외측오링(39)이 결합되는 캡결합부(31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캡결합부(31d)에 결합된 외측오링(39)을 이용하여 에어 주입시 또는 배출시 수동식 에어펌프(50)와의 결합부를 통한 에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인서트샤프트(32)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에어가이드홈(32b)이 형성된 샤프트바디(32a)와, 인서트노즐(31)의 튜브삽입부측에서 샤프트바디(32a)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샤프트바디(32a)가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샤프트삽입홈(31e)의 일측 단부에 밀착되어 에어의 주입 및 배출을 막아주는 에어차단부(32c)와, 인서트노즐(31)의 밀착경사면(31c)에 밀착되어 에어를 차단하도록 에어차단부(32c)의 일면에 형성되는 밀착경사면(32d)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에어차단부(32c)가 이동되어 인서트노즐(31)의 에어 통로가 개방될 경우 샤프트바디(32a)에 형성된 에어가이드홈(32b)를 통해 에어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게 되고, 스프링부재(33)에 의해 에어차단부(32c)의 밀착경사면(32d)이 인서트노즐(31)의 밀착경사면(31c)에 밀착될 경우 에어 차단 효과가 향상된다.
그리고 튜브니플(35)은 양단이 각각 연결튜브(36)와 내부튜브(37)에 삽입되는 중공 형태의 니플본체(35a)와, 베개본체(10)에 고정되도록 니플본체(35a)의 중간 부분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부(35b)와, 연결튜브(36)와 내부튜브(37)의 내벽에 밀착되어 에어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니플본체(35a)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테이퍼 형상의 누설방지돌기(35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베개본체(10)에 고정된 튜브니플(35)로부터 인서트노즐(31)의 내부튜브(37)를 분리하여 인서트노즐(31)과 인서트샤프트(32)를 정비할 수 있게 되고, 튜브니플(35)에 누설방지돌기(35c)가 구비됨에 따라 연결튜브(36) 및 내부튜브(37)로부터 에어가 누설되지 않게 된다.
수동식 에어펌프(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배출을 위한 배기밸브(52)를 구비하며 에어조절밸브(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에어셀(20)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에어셀(20)의 에어를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수동식 에어펌프(50)는 에어조절밸브(30)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하여 수동식 에어펌프에 연결되는한 에어관(51)과, 배기버튼(53)이 구비되며 에어관(51)에 설치되는 배기밸브(52)와, 에어조절밸브(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에어관(51)의 단부에 연결되는 에어노즐(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에어노즐(5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조절밸브(30)의 인서트노즐(31)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55a)와, 에어관(51)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55b)와, 제1결합부(55a)와 제2결합부(55b)를 구획함과 동시에 에어조절밸브(30)의 압력조절캡(34)을 밀어주도록 제1결합부(55a)와 제2결합부(55b) 사이에 구비된 격벽에 형성되어 에어가 유동되도록 하는 관통공(55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통공(55c)은 도 6의 (a)와 같이 격벽의 중심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의 (b)와 같이 격벽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4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관통공(55c)이 도 6의 (a)와 같이 격벽의 중심에 형성되더라도 에어노즐(55)의 격벽이 압력조절캡(34)을 밀어낼 때 압력조절캡(34)과 관통공(55c) 사이의 틈새로 에어가 유동하여 에어를 원활하게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를 이용하여 에어셀 베개에 구비된 경추지지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목을 지지하는 베개본체(10)의 경추지지부(15)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에어셀(20)에 연결된 에어조절밸브(30)에 수동식 에어펌프(50)를 결합시켜 에어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킨다.
에어조절밸브(30)에 수동식 에어펌프(50)를 결합시키면 에어노즐(55)이 에어조절밸브(30)의 압력조절캡(34)을 가압하게 되므로, 압력조절캡(34)이 결합된 인서트샤프트(32)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여 인서트샤프트(32)의 밀착경사면(32d)과 인서트노즐(31)의 밀착경사면(31c)이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인서트노즐(311)의 에어 통로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수동식 에어펌프(50)를 반복적으로 가압하면 도 7 및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식 에어펌프(50)에 펌핑된 에어가 에어관(51)과 에어노즐(55)을 통해 에어조절밸브(30)로 공급되고, 인서트노즐(31)의 에어 통로와 내부튜브(37) 및 연결튜브(36)를 거쳐 에어셀(20)의 연결구(25)로 주입된다.
따라서, 베개본체(10)의 경추지지부(15) 안쪽에 위치한 에어셀(20)이 팽창하면서 경추지지부(15)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에어셀(20)에 대한 에어의 주입이 완료되어 수동식 에어펌프(50)를 에어조절밸브(30)로부터 분리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인서트샤프트(32)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인서트노즐(31)의 에어 통로가 차단된다.
따라서, 에어셀(20)의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어 베개본체(10)의 경추지지부(15)는 조절된 크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에어조절밸브(30)의 압력조절캡(34)을 반복적으로 눌러줌으로써 경추지지부(15)의 크기를 미세하게 줄일 수도 있다.
즉, 수동식 에어펌프(50)가 분리된 상태에서 압력조절캡(34)을 누르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샤프트(32)가 이동하면서 인서트노즐(31)의 에어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셀(20)의 에어가 인서트노즐(31)의 에어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경추지지부(15)의 크기가 감소하게 된다.
이후, 경추지지부(15)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에어셀(20)의 에어를 배출시키는 경우에도 에어조절밸브(30)에 수동식 에어펌프(50)를 결합시킨다.
에어조절밸브(30)에 수동식 에어펌프(50)를 결합시키면 에어노즐(55)이 에어조절밸브(30)의 압력조절캡(34)을 가압하게 되므로, 압력조절캡(34)이 결합된 인서트샤프트(32)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여 인서트샤프트(32)의 밀착경사면(32d)과 인서트노즐(31)의 밀착경사면(31c)이 떨어지게 되어 인서트노즐(31)의 에어통로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수동식 에어펌프(50)에 구비된 배기밸브(52)의 배기버튼(53)을 누르게 되면, 도 10 및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셀(20)의 에어가 연결구(25)에 결합된 연결튜브(36)와 내부튜브(37) 및 인서트노즐(31)의 에어 통로를 거쳐 에어노즐(55)이 연결된 에어관(51)의 배기밸브(52)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베개본체(10)의 경추지지부(15) 안쪽에 위치한 에어셀(20)이 수축되면서 경추지지부(15)의 크기가 감소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베개본체 11 : 바디
12 : 하부커버 20 : 에어셀
25 : 연결구 26 : 니플
30 : 에어조절밸브 31 : 인서트노즐
31a : 튜브삽입부 31b : 튜브삽입홈
31c : 밀착경사면 31d: 캡결합부
31e : 샤프트삽입홈 31f : 노즐삽입부
31g : 노즐삽입홈 32 : 인서트샤프트
32a : 샤프트바디 32b : 에어가이드홈
32c : 에어차단부 32d : 밀착경사면
33 : 스프링부재 34 : 압력조절캡
35 : 튜브니플 35a : 니플본체
35b : 고정부 35c : 누설방지돌기
36 : 연결튜브 37 : 내부튜브
38 : 내측오링 39 : 외측오링
50 : 에어펌프 51 : 에어관
52 : 배기밸브 53 : 배기버튼
55 : 에어노즐 55a : 제1결합부
55b : 제2결합부 55c : 관통공

Claims (8)

  1. 전방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지지부가 구비된 베개본체;
    경추지지부를 지지하도록 베개본체의 내부에 수납되고 선단부에 니플이 형성된 연결구가 구비된 에어셀;
    에어를 에어셀에 주입하거나 에어셀의 에어를 배출할 수 있도록 에어셀의 연결구에 결합되어 베개본체에 설치되는 에어조절밸브; 및
    에어 배출을 위한 배기밸브를 구비하며 에어조절밸브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에어셀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에어셀의 에어를 배출시키는 수동식 에어펌프;를 포함하되,
    에어조절밸브는 일측 단부가 베개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게 베개본체에 설치되어 에어펌프가 연결되는 인서트노즐과, 에어의 주입 및 배출을 단속하도록 인서트노즐의 에어 통로 내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서트샤프트와, 인서트노즐에 구비되어 인서트샤프트가 인서트노즐의 에어 통로를 차단하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스프링부재와, 수동으로 인서트샤프트를 눌러주도록 인서트샤프트의 외측 끝단에 결합되는 압력조절캡과, 에어셀의 연결구에 연결된 연결튜브와 인서트노즐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튜브를 연결하며 베개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튜브니플과, 인서트노즐과 인서트샤프트 사이의 에어누설이 방지되도록 인서트샤프트에 구비된 내측오링과, 에어의 주입 및 배기시 에어펌프와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어누설이 방지되도록 인서트노즐에 구비된 외측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서트노즐은 내부튜브가 삽입되는 튜브삽입홈과 인서트샤프트가 밀착되도록 튜브삽입홈의 내측 끝단에 형성된 밀착경사면이 구비된 튜브삽입부와, 수동식 에어펌프의 에어노즐이 결합되도록 튜브삽입부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노즐삽입부와, 튜브삽입부와 노즐삽입부를 연결하며 인서트샤프트가 삽입되고 에어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샤프트삽입홈과, 압력조절캡이 결합되며 노즐삽입부와의 사이에 노즐삽입홈이 형성되도록 샤프트삽입홈의 끝단 부분을 형성하고 외측오링이 결합되는 캡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서트샤프트는 외측에 에어가이드홈이 형성된 샤프트바디와, 인서트노즐의 튜브삽입부측에서 샤프트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샤프트바디가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샤프트삽입홈의 일측 단부에 밀착되어 에어의 주입 및 배출을 막아주는 에어차단부와, 인서트노즐의 밀착경사면에 밀착되어 에어를 차단하도록 에어차단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밀착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튜브니플은 양단이 각각 연결튜브와 내부튜브에 삽입되는 중공 형태의 니플본체와, 베개본체에 고정되도록 니플본체의 중간 부분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부와, 연결튜브와 내부튜브의 내벽에 밀착되어 에어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니플본체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테이퍼 형상의 누설방지돌기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동식 에어펌프는 에어조절밸브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하여 수동식 에어펌프에 연결되는 에어관과, 배기버튼이 구비되며 에어관에 설치되는 배기밸브와, 에어조절밸브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에어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에어노즐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에어노즐은 에어조절밸브의 인서트노즐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에어관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와, 에어조절밸브의 압력조절캡을 밀어주도록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에 구비된 격벽에 형성되어 에어가 유동되도록 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관통공은 격벽의 중심에 형성되거나 격벽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4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
KR1020220189722A 2022-12-29 2022-12-29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 KR102661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722A KR102661799B1 (ko) 2022-12-29 2022-12-29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722A KR102661799B1 (ko) 2022-12-29 2022-12-29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799B1 true KR102661799B1 (ko) 2024-04-30

Family

ID=9088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9722A KR102661799B1 (ko) 2022-12-29 2022-12-29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79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159Y1 (ko) * 1999-07-15 2000-02-15 신인준 공기펌프식높이조절베개
KR20060102817A (ko) * 2005-03-25 2006-09-28 양대주 부피조절장치를 갖는 공기주머니
KR20080075263A (ko) 2007-02-12 2008-08-1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에어 셀을 이용한 베개의 높이 조절 장치
KR20100066824A (ko) 2008-12-10 2010-06-18 이기오 높이 조절 베개
KR20120063700A (ko) 2010-12-08 2012-06-18 최상화 베개용 에어조절밸브
KR20170074611A (ko) 2015-12-22 2017-06-30 원철호 개인 맞춤형 베개
KR102044813B1 (ko) 2019-06-07 2019-11-15 김규호 에어셀 베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159Y1 (ko) * 1999-07-15 2000-02-15 신인준 공기펌프식높이조절베개
KR20060102817A (ko) * 2005-03-25 2006-09-28 양대주 부피조절장치를 갖는 공기주머니
KR20080075263A (ko) 2007-02-12 2008-08-1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에어 셀을 이용한 베개의 높이 조절 장치
KR20100066824A (ko) 2008-12-10 2010-06-18 이기오 높이 조절 베개
KR20120063700A (ko) 2010-12-08 2012-06-18 최상화 베개용 에어조절밸브
KR20170074611A (ko) 2015-12-22 2017-06-30 원철호 개인 맞춤형 베개
KR102044813B1 (ko) 2019-06-07 2019-11-15 김규호 에어셀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8963A (en) Adjustable support cervical pillow
JP6251397B2 (ja) 自動充填式エアチューブが内蔵された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作方法
US10588413B2 (en) Camp air chair
CA2144903A1 (en) Adjustable cushion
CN109480536A (zh) 气袋模块及包括其的空气床垫
KR20170127115A (ko) 압력 조절식 에어 매트리스
RU2193857C2 (ru) Самонаполняющаяся воздушная подушка (варианты)
KR102661799B1 (ko) 에어셀 베개의 급배기장치
KR100718886B1 (ko) 높낮이 조절 맞춤형 베개
KR101165349B1 (ko) 높이조절형 베개
US20060123548A1 (en) Automatically configured hydraulic support pillow
KR10113341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100705539B1 (ko) 부피조절장치를 갖는 공기주머니
US20020092097A1 (en) Orthotic pillow
KR200387400Y1 (ko) 부피조절장치를 갖는 공기주머니
KR20050029191A (ko) 에어쿠션 내장 의자
KR102562195B1 (ko) 블록형 침구 매트리스
KR100827852B1 (ko) 에어공급시스템을 적용한 기능성 의자
KR101312256B1 (ko) 높이 조절 베개
KR200176829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120063700A (ko) 베개용 에어조절밸브
KR200375176Y1 (ko) 다리 받침대
KR101040048B1 (ko) 좌석용 쿠션장치
CN201273014Y (zh) 恒流恒压阀
KR200421491Y1 (ko) 침대매트 높이 조절용 공기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