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524Y1 - 생수통 운반구 - Google Patents

생수통 운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524Y1
KR200176524Y1 KR2019990023224U KR19990023224U KR200176524Y1 KR 200176524 Y1 KR200176524 Y1 KR 200176524Y1 KR 2019990023224 U KR2019990023224 U KR 2019990023224U KR 19990023224 U KR19990023224 U KR 19990023224U KR 200176524 Y1 KR200176524 Y1 KR 200176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d water
bottle
inlet
transpo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김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filed Critical 김정호
Priority to KR2019990023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5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5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12Load carriers, e.g. hooks, slings, harness, gloves, modified for load car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수통의 입구부에 손쉽게 장착하고, 이를 파지한 상태로 생수통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생수통 운반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생수통의 입구부에 용이하게 착탈하게 함은 물론 견고한 상태로 장착되어 운반과정에서 그 이탈이 방지되고, 또한, 생수통의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파지하게 되므로 생수통의 운반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게 제공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생수통(5)의 입구부(7)를 장착하는 장착부(10)와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20)로 형성하되, 상기 장착부(10)는 'C'형 몸체(11)의 양측단에 상부로 돌출된 지지돌기(15)를 형성하여 생수통(5)의 입구부(7)가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파지부(20)는 장착부(10)의 중앙상부로 돌출되게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생수통(5)을 수평으로 운반하하여 운반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게 제공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생수통 운반구{WATER BURKET TRANSFER INSTRUMENT}
본 고안은 생수통의 입구부에 손쉽게 장착하고, 이를 파지한 상태로 생수통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생수통 운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통은 일정한 규격으로 통일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생수통은 그 입구부를 직경이 작게 형성하여 손으로 손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입구부를 파지한 상태로 그 운반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생수통은 내부의 소제를 위해 상기 입구부로 세척수단을 삽입하여 세척하는 작업이 불편하였고, 이로 인해 상기 입구부의 직경이 비교적 크게 제작된 생수통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기한 직경이 큰 생수통의 경우에는 이를 손으로 파지하여 운반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218402호에서는 상기한 생수통의 운반을 용이하게 제공하는 손잡이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단순히 'C'자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벌어진 양측단을 벌린 상태로 생수통의 입구부에 장착하고, 이를 파지한 상태로 생수통을 운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손잡이는 벌어진 양측단을 강제로 벌린 상태로 생수통에 착탈하게 되므로 그에 따른 작업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생수통과 수평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생수통 운반시에 생수통의 무게중심과 어긋나는 위치로 기울어지게 파지되어 그 운반에 따른 작업이 불편하게 된다.
더우기 생수통의 운반시 생수통의 유동이나 기울어짐, 생수통의 자체무게로 인해 그 입구부가 'C'자 형태의 벌어진 부위로 빠져나가면서 용이하게 이탈되어 그 기능을 충분히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생수통의 입구부에 용이하게 착탈하게 함은 물론 견고한 상태로 장착되어 운반 과정에서 그 이탈이 방지되므로 사용상의 신뢰도가 극대화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생수통의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파지하게 되므로 생수통의 운반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게 제공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생수통의 입구부를 장착하는 장착부와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로 형성하되, 상기 장착부는 'C'형 몸체의 양측단에 상부로 돌출된 지지돌기를 형성하여 생수통의 입구부가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파지부는 장착부의 중앙상부로 돌출되게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생수통을 수평으로 운반하도록한 운반구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이 생수통에 장착된 사용상태도로서,
도 3은 측면도이고,
도 4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장착부 11: 몸체 12: 개구부
13: 경사면 14: 지지단턱 15: 지지돌기
16: 삽입안내면 20: 파지부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생수통(5)의 입구부(7)에 형성된 홈부(8)에 지지되게 장착한 상태로 파지하여 운반하는 운반구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7)의 홈부(8)가 삽입되는 개구부(12)를 형성하는 'C'형몸체(11)의 내주연을 따라 경사면(13)을 형성하여 그 단부에 지지단턱(14)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2)의 양측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지지돌기(15)를 형성한 장착부(10)와,
상기 개구부(12)의 양측단에서 장착부(10)의 중앙상부로 돌출되게 연장된 파지부(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장착부의 지지돌기(15)는 저면이 내측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는 삽입안내면(16)을 형성하고 있다.
미설명부호로서, 22는 보강횡간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C'형 몸체(11)의 개구부(12)를 생수통(5)의 입구부(7)의 홈부(7)로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개구부(12)의 양측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지지돌기(1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몸체(11)를 약간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기울인 상태에서 생수통(5)의 홈부(7)로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돌기()의 저면은 내측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는 삽입안내면()에 의해 상기 입구부(7)의 홈부(7)로 용이하게 삽입안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생수통(5)의 홈부(8)로 상부로 돌출된 지지돌기(15)가 통과되면, 상기 'C'형 몸체(11)를 다시 수평으로 유지하게 내측으로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C'형 몸체(11)의 내주연을 따라서는 경사면(13)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몸체(11)가 생수통(5)의 홈부(8)에 간섭되지않으며 용이하게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생수통(5)의 홈부(8)에 삽입된 몸체(11)는 그 지지단턱(14)이 상기 홈부(8)를 지지하며 장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C'형 몸체(11)가 생수통(5)의 입구부(7)에 장착되면, 상기 몸체(11)의 중앙 상부에 위치하는 파지부(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손쉽게 생수통(5)을 운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파지부(20)는 생수통(5)의 중앙 상부에 위치하므로 생수통(5)의 무게 중심과 수직선상에서 파지하게 되므로 생수통(5)이 운반시 수평을 유지하면서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더우기, 상기한 운반과정에서 생수통(5)의 입구부(7)를 상기 'C'형 몸체(11)의 개구부(12)양측단 상부로 돌출된 지지돌기(15)가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생수통(5)의 입구부(7)가 개구부(12)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된 본 고안의 운반구는 이를 생수통(5)에서 다시 분리할 경우 전술한 장착과정의 역순으로 분리하되, 상기 개구부(12)의 양측단으로 형성된 지지돌기(15)를 하향경사지게 기울인 상태로 하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삽입안내면과 몸체내부연의 경사면에 의해 생수통의 홈부에 용이하게 착탈할수 있고, 상기 'C'형 몸체의 양측단에 상부로 돌출된 지지돌출부를 형성하여 생수통 운반시 흔들림에도 상기 생수통의 입구부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그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므로 사용상의 신뢰도가 극대화되며,
또한, 생수통의 중앙 상부위치에서 파지하도록 하므로 생수통의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운반하게 되어 그 운반작업이 용이하게 제공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2)

  1. 생수통(5)의 입구부(7)에 형성된 홈부(8)에 지지되게 장착한 상태로 파지하여 운반하는 운반구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7)의 홈부(8)가 삽입되는 개구부(12)를 형성하는 'C'형몸체(11)의 내주연을 따라 경사면(13)을 형성하여 그 단부에 지지단턱(14)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2)의 양측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지지돌기(15)를 형성한 장착부(10)와,
    상기 개구부(12)의 양측단에서 장착부(10)의 중앙상부로 돌출되게 연장된 파지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운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지지돌기(15)는 저면이 내측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는 삽입안내면(16)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운반구.
KR2019990023224U 1999-10-26 1999-10-26 생수통 운반구 KR200176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224U KR200176524Y1 (ko) 1999-10-26 1999-10-26 생수통 운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224U KR200176524Y1 (ko) 1999-10-26 1999-10-26 생수통 운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524Y1 true KR200176524Y1 (ko) 2000-04-15

Family

ID=1959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224U KR200176524Y1 (ko) 1999-10-26 1999-10-26 생수통 운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5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9031B2 (en) Portable device for holding a liquid container
US4898297A (en) Detachable handle and coaster for a beverage container
US4728001A (en) Beverage container and packaging method
US4334661A (en) Drink container mounting ground stake
AU1551292A (en) Receptacle, e.g. bottle and co-operative carrier and mount therefore, e.g. for bicycles
ZA200408745B (en) Welding wire package with lifting strap
KR200176524Y1 (ko) 생수통 운반구
CN211839446U (zh) 杯体安装支架以及杯体清洗装置
US20040232714A1 (en) Portable device for holding a liquid container and method therefor
US4995342A (en) Holder for bird food packed in portion containers
KR200201197Y1 (ko) 음료수병용홀더
KR920005686Y1 (ko) 용기용 운반손잡이
JPS633943Y2 (ko)
JP2005255208A (ja) パッケージおよび物品運搬体
CN213009566U (zh) 一种监测饮酒量的白酒易拉罐
KR200186645Y1 (ko) 탄력 밴드가 부착된 고리
JPH059322Y2 (ko)
KR200275601Y1 (ko) 다용도 용기
KR950006723Y1 (ko) 음료수용 스트로
KR100588311B1 (ko) 물병걸이
KR200221798Y1 (ko) 종이컵 회수용기
KR200179880Y1 (ko) 착탈식 페트병
RU30719U1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бутылки
KR200201643Y1 (ko) 음료수병이동구
JPH035266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