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940Y1 - 팽창길이( 굴곡. 신전운동 작용에 따른) 수용부가 형성된고무장갑, - Google Patents

팽창길이( 굴곡. 신전운동 작용에 따른) 수용부가 형성된고무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940Y1
KR200175940Y1 KR2019990021702U KR19990021702U KR200175940Y1 KR 200175940 Y1 KR200175940 Y1 KR 200175940Y1 KR 2019990021702 U KR2019990021702 U KR 2019990021702U KR 19990021702 U KR19990021702 U KR 19990021702U KR 200175940 Y1 KR200175940 Y1 KR 200175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and
rubber
wrinkles
rubber gl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하령
Original Assignee
박하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하령 filed Critical 박하령
Priority to KR2019990021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9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9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무장갑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 재를 원재료로 하여 형성된 고무장갑에 공기주머니날개(11)· 공기통로(12)·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 10-1, 10-2, 10-3)이 ()형태로 형성된 고무장갑에 관한 것으로,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손(Hand)을 움직여 작업을 할 때 여러 형태의 가동범위가 발생한다, 도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과정에서 여러 형태의 굴곡(Flxexion). (신전(Extension)운동 작용이 발생하였을 때 굴곡. 신전운동 작용부분에 따른 착용한 고무장갑 부분의 팽창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무장갑은 손(Hand)의 축이 중지(Middle finger)로 한 평면과 전완의 축과 동일선상에 있을 경우에 설정되어 형성되었던 것으로 손(Hand)의 굴곡(Flxexion).신전(Extension)운동에 따른 고무장갑의 팽창길이를 수용하는 기능의 설치가 없음으로 하여, 일 순간은 그에 따른 장애를 느낄 수 없으나 장기간 오래 사용하는 주부들에게서 손저림.피부질환과 같은 심각한 문제가 제기 되고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목과 손등(Dorsal). 무지(Thumb)와, 시지와중지(Index and middle finger). 약지와 소지(ring and little finger) 각각의 지절간 관절부분에 근접한 고무장갑의 내측면에 굴곡(Flxexion)과 신전(Extension) 운동의 반복작용에 따른 팽창길이가 요구되는 부분에 팽창각도의 길이를 수용할 수 있는 알맞은 크기의 ()형태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 10-1, 10-2, 10-3)을 형성하고, 도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면의 표면에있어서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 10-1, 10-2, 10-3)부분과 공기통로(12) 부분과 공기주머니날개(11) 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손의 세포에 근거하여 깊이와 지름이 1∼2mm 정도의 공기가 내재(內在)하고 공기통로(12)가 상호 연결된 세포주름(33)을 형성하여, 손목. 손. 손가락의 굴곡(Flxexion).신전(Extension)운동에 따른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 10-1, 10-2, 10-3)기능의 보조수단과, 착용시 공기순환의 원활함과, 고무장갑을 벗을 때 자연스럽게 벗겨지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형성하고, 도1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단 부 입구의 단면 길이(가. 나. 다)를 일정하지 않게 형성하여 착용 할 때와 벗을 때 원활하게 하고 착용하였을 때 공기의 통풍을 활발하게 한다, 이와 같은 공기주머니날개(11)· 공기통로(12)·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이 형성되고 장갑 상단부입구면의 길이가 불규칙하게 형성되어진 본 고안은 착용 하였을 때 고무의 특성상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해소하고, 장갑의 표면과 피부와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접촉의 원인으로 발생되는 손의 질환을 감소하고 벗을 때 내부공기의 분산으로 압축력을 최소화 하여 쉽게 벗을 수 있으며, 손가락 끝부분에 감각기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감각돌기부(8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의 섬세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장기간 사용하는 주부들의 손에 따른 질환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용이한 고안인 것이다.
[색인어]
굴곡(Flxexion), 신전(Extension), 굴곡각도수용부주름, 무지(Thumb), 시지와중지(Index and middle finger), 약지와소지(ring and little finger), 수근중수지절궁, 공기통로, 공기주머니날개, (

Description

팽창길이( 굴곡. 신전운동 작용에 따른) 수용부가 형성된 고무장갑,{ The rubber gloves have form by expansion devece and movement of the flxexion and extension take action.}
본 고안은 고무장갑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 재를 원재료로 하여 형성된 고무장갑에 공기주머니날개(11)· 공기통로(12)·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 10-1, 10-2, 10-3)이 ()형태로 형성된 고무장갑에 관한 것으로.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손(Hand)을 움직여 작업을 할 때 여러 형태의 가동범위가 발생한다, 도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과정에서 여러 형태의 굴곡(Flxexion). (신전(Extension)운동 작용이 발생하였을 때 굴곡. 신전운동 작용부분에 따른 착용한 고무장갑 부분의 팽창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무장갑은 손(Hand)의 축이 중지(Middle finger)로 표준 하여 평면과 전완의 축과 동일선상에 있을 경우에 설정되어 형성되었던 것으로 손(Hand)의 굴곡. 신전운동에 따른 고무장갑의 팽창길이를 수용하는 기능의 설치가 없어 순간. 순간은 그에 따른 장애를 느낄 수 없으나 장기간 오래 사용하는 주부들에게서 손저림.피부질환과 같은 심각한 문제가 제기 되고 있다. 고무장갑을 착용 하였을 때나 착용하고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재질(才質)의 특성상 피부와의 밀착 면적과 밀착시간이 많을수록 피부자체의 부작용과 손의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에 부담을 주게되고 이에 따른 피부에 대한 감각기관의 지배로 스트레스를 받게되어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원인이 된다. 고무장갑을 장기간 사용 하였을 때에 이에 따른 피부질환이나 손 저림의 원인을 살펴보면 피부질환: 작업과정의 굴곡과 신전운동의 반복에서 고무장갑표면과 피부의 밀착시간이 많은데 따른 공기의 원활한 통기부족이며,손저림:굴곡(Flxexion), (신전(Extension)운동의 반복에서 고무장갑이 피부의 밀착 .압박에 따른 말초신경과 혈액순환의 활동 장애에 따른것이다.굴곡(Flxexion), (신전(Extension)운동 작용에서 발생되는 피부조직의 밀착과 압박에 따른 강도를 작업 과정에서는 쉽게 인식할 수 없겠으나 인체구조를 보면 통증 및 가려움증은 진피유두부위의 불수초신경말단에서 받아 드리며 염증에 의해 야기된 낮은 강도의 자극은 소양증을 일으키고 반면에 높은강도의 자극은 통증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무장갑을 오랜기간 동안 사용한 사람들에게서 피부질환과 손저림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평소에는 미세하게 느끼게 되므로서 방치하는 고무장갑 사용에따른 피부의 밀착. 압박의 문제점이 검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1 에 도시한 바와같이, 손목과 손등 .무지(Thumb)와 시지와중지(Index and middle finger).약지와소지(ring and little finger) 각각의 지절간 관절부분에 근접한 고무장갑내측 면에 굴곡(Flxexion)과 신전(Extension)운동의 반복작용에 따른 고무장갑의 팽창각도 길이를 수용할 수 있는 알맞은 크기의 공기주머니 형태의 굴곡각도수용부(10, 10-1, 10-2, 10-3)를 형성하고 도3 에 도시한바와 같이,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 10-1, 10-2, 10-3)부분과 공기통로(12) 부분과 공기주머니날개(11) 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손의 세포에 근거하여 깊이와 지름이 1∼2mm 정도의 공기가 내재(內在)하고 공기통로(12)가 상호 연결된 세포주름(33)을 형성하여 손목. 손. 손가락의 굴곡(Flxexion).신전(Extension)운동에 따른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 10-1, 10-2, 10-3)기능의 보조수단과, 도 1 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단부 입구의 길이(가. 나. 다)를 일정하지 않게 형성하여 착용시 공기순환의 원활함과 고무장갑을 벗을 때 자연스럽게 벗겨지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제공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굴곡(Flxexion).(신전(Extension)운동 예시도,
도 3 은 고무장갑의 내부표면상세도,
도 4 는 손목의 횡축 굴곡(Flxexion).(신전(Extension)운동 예시도,
도 5 는 손목의 굴곡각도수용부주름 의 상세도,
도 6 은 손의 굴곡(Flxexion).신전(Extension)운동에 따른 손등의 근육작용부위(部位) 의 상세도,
도 7 은 손가락 굴곡(Flxexion) 예시도,
도 8 은 돌기부,감각돌기부 부위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1, 10-2, 10-3) 굴곡각도수용부주름,
11. 공기주머니날개, 101. 손목 상단 부분
12. 공기통로, 102. 손목 하단 부,
103. 장무지외전근건 부분
33. 세포주름 (abductor pollicis longus tendon),
55. 주름골 104. 두상골 부분,
61. 근육의 운동 가동부위,
70. 시지 (제2지),
71. 제3지(중지), 201. 오목 부분
72. 제4지(약지), 202. 볼록 부분
73. 제5지(소지),
81. 돌 기부, 가. 상단부 입구면 의 최대 길이,
82. 감각 돌 기부,
도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목과 손동(Dorsal). 무지(Thumb)와 시지와중지(Index and middle finger).약지와소지(ring and little finger) 각각의 지절간 관절부분에 근접한 고무장갑내측 면에 굴곡(Flxexion)과 신전(Extension) 운동의 반복작용에 따른 고무장갑의 팽창각도 길이를 수용할 수 있는 알맞은 크기의 공기주머니 형태의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 10-1, 10-2, 10-3)을 형성함에 있어서,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부의 끝에서부터 손가락 끝부분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통기 가능한 공기통로(12)와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 10-1, 10-2, 10-3)과 공기주머니날개(11)가 상호 연결되어 착용하였을 때 공기가 원활하게 상통할 수 있게 상호 연결하여 형성한다. 이때 공기통로(12)의 형태와 모양은 손(Hand)의 해부학적신경의 위치에 근거하여 해당되는 부분에 신경의 위치와 운동각도를 비례하여 크고 작은 오목(201). 볼록(202) 형태 ()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다음의 아래에서 부분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장갑 손목상단부(101)의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2)은 고무장갑을 착용하였을 때 전면적의 공기통로(12) 문 역할과 손목의 횡단 축으로 굴곡(Flxexion). 신전(Extension)했을 때의 이에 따른 팽창길이를 동시에 수용해야하므로 공기통로(12)역할수단으로: 손목의 굴곡(Flxexion). 신전(Extension) 운동에서 굴곡(Flxexion)의 최대 가동범위와 회전반경에 따른 밀착과 압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름 골의 높이를 3∼5mm.주름 골의 지름은 7∼9mm 정도를 전후하여 손목상단부(101)는 크고 손목하단부(102)는 1∼2mm 정도 작게 형성하여 손목 하단 부(102)에 형성된 손목굴곡각도수용부주름(10-1)과 공기가 상통하게 연결 형성한다. 또한 도 1 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단 부 입구의 단면 길이(가. 나. 다)를 불규칙하게 형성하여 착용시 공기순환의 원활함과 고무장갑을 벗을 때 자연스럽게 벗겨지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유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단 부 입구면 길이의 비례를 가: 나: 다=2:3:4 로 형성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두면 (Frontal plane.수직선의 그림으로 나타냈다)안에 있는 횡단축(Transverse axis) A A'는 굴곡과 신전 운동을 하며, 시상면(sagittal plane)방향으로 움직이므로 도 1 에 도시한바와 같이 축회전 가동 범위를 수용하기 위하여, 즉'좌. 우로 원활한 팽창길이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해부학적 관절과 근육에 근거하여 손목 근의 위치와 크기에 비례하여 곡선횡단축형태로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2)을 형성한다. 도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목의 수동신전(Passive extension)은 아주 느슨한 인대를 갖고 있는 사람에게는 80∼90°도 될 수 있음으로 밀착과 압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름골(55)의 높이를 3∼5mm.주름골(55)의 지름은 7∼9mm 정도를 전후하여 손목의 해당부위와 운동각도 크기에 비례하여 가로 형태로 형성한다. 도 6 에 도시한바와 같이,손 관절의 굴곡(flxexion)과 신전(extension) 운동이 발생되는 근육의 운동 가동부위(61)를 근거하여 그 부분의 각도에 따른 팽창길이 만큼 수용할 수 있는 팽창길이 만큼의 굴곡각도수용부주름( 10, 10-3,)을 형성한다. (예.인체손의 경우 손 관절의 굴곡(Flxexion)과 신전(Extension) 운동이 발생되는 피부 부분에 관절운동을 감당할 수 있는 크기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중수골(Metacarpals)과 손가락 뼈(Phalanges)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 내측면에 통기 가능한 공기주머니 형태의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을 형성하여 중수골(Metacarpals)과 각 손가락 (Phalanges)의 굴곡(Flxexion) 운동으로 고무장갑이 늘어나는 것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게 유도하여 굴곡(Flxexion) 운동시에 장갑의 표면이 피부에 강하게 밀착. 압박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등(Dorsal)의 중수골(Metacarpals)과 손가락뼈(Phalanges) 사이는 손(Hand)의 관절 중에서 굴곡(flxexion) 운동이 가장 활발하게 발생하는 부분임과 동시에 장갑을 착용하고 작업을 할 때 손목 이하의 부분중 작업기능의 영향을 되도록 적게 받는 곳이기도 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부분에 접하는 면에 굴곡운동에 따른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을 형성함과 동시에 각 부위에 공기를 원활하게 상통시킬 수 있게 할 수단으로, 각각의 손가락과 손목의 공기통로(12)를 연결하는 공기주머니의 중앙모태(10)로 형성한다.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수골(Metacarpals)과 손가락뼈(Phalanges) 사이의 굴곡(flxexion)은 약 90°이나 시지(Index)(70)의 가동범위는90°에 미치지 못하고 제3지(71),제4지(72),제5지(73),쪽으로 갈수록 가동범위가 넓어진 것을 대비 감안하여 시지(Index)부분(70)의 꼭지점부터 시작하여 골의 높이 1.5mm. 지름 3mm로 제5지(73)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제5지(73)에 이르러서는 골의 높이 2mm.지름10mm 정도가 되게 형성하여 제5지(73)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주머니날개(11)와 공기가 상통되게 형성한다, 도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Hand) 장무지외전근건(abductor pollicis longus tendon)부분(103)과 그 대칭면(104) 즉' 손(Hand)의 두상골(Pisiform bone)부분(104)에 해당되는 내측면에 통기 가능한 공기주머니날개(11)를 형성하여 착용하였을 때는 피부에 통기를 원활케 하여 피부의 저해요소를 감소하고 벗을 때에는 공기의 압축을 분산하는 작용으로 약간의 잡아당김으로도 쉽게 벗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내부표면의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 10-1, 10-2, 10-3) 부분과 공기통로(12) 부분과 공기주머니날개(11) 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의 세포에 근거하여 1∼2mm 정도의 세포주름(33)을 굴곡각도수용부주름 (10, 10-1, 10-2, 10-3)부분과 공기통로 (12)부분과 공기주머니날개(11) 부분에 상호 연결되게 형성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표면의 손의 체모가 유난히 많은 부분과 접하는 면에 땀구멍의 원활한 기능을 위한 수단으로 지름과 길이가 2mm 정도의 돌기부(81)를 일부분 형성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끝 바닥면 쪽의 외부와 내부표면에 지름2mm. 길이 1mm 정도의 감각돌기부(82)를 2∼3개정도 형성하여 작업과정에서 감각신경의 원활한 전달을 구현한다,
이와 같은 공기주머니날개(11)· 공기통로(12)·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이 형성되고 장갑 상단부입구면의 길이가 불규칙하게 형성되어진 본 고안은 착용 하였을 때 고무의 특성상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해소하고, 장갑의 표면과 피부와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접촉의 원인으로 발생되는 손의질환을 감소하고 , 벗을 때 내부공기의 분산으로 압축력을 최소화 하여 쉽게 벗을 수 있으며, 손가락 끝부분에 감각기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감각돌기부(8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의 섬세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장기간 사용하는 주부들의 손 질환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용이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고무를 재질로 하여 형성된 장갑에 있어서, 내부의 일 측면에 공기주머니날개(11)가 형성되고, 손목의 입구에서부터 손가락 끝부분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공기주머니날개(11)와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 10-1, 10-2, 10-3)과 공기통로(12)가 손(Hand)의 해부학적 근육. 관절. 신경의 가동범위( 손 관절의 굴곡(flxexion)과 신전(extension)운동 ) 에 근거하여 손의가동범위에 따른 장갑의 팽창길이가 요구되는 해당 부분에 가동 범위의 각도 크기를 비례하여 크고 작은 오목. 볼록 형태 ()의 굴곡각도수용부주름(61)을 고무장갑의 팽창이 발생되는 각도와 팽창길이 만큼 수용할 수 있게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고, 장무지외전근건(abductor pollicis longus tendon)부분(101)과 그 대칭면(102) 즉' 손(Hand)의 두상골(Pisiform bone)부분에 해당되는 내측면에 착용하였을때 피부에 통기를 원활케 하여 피부의 저해요소를 감소하고 벗을 때에는 공기의 압축을 분산하는 작용의 수단과 쉽게 벗을 수 있는 효과의 기능 수단을 갖는 공기주머니날개(11)가 형성되고,손의 체모가 유난히 많은 부분과 접하는 면에 땀구멍의 원활한 기능을 위한 수단으로 지름과 길이가 2mm 정도의 돌 기부(81)를 일부분 형성하고, 손가락 끝 바닥면쪽의 외부와 내부표면에 지름2mm. 길이 1mm 정도의 감각돌기부(82)를 2∼3개정도 형성하여 작업과정에서 감각신경의 원활한 전달을 구현할 수 있게 형성하고,상단 부 입구의 단면길이(가. 나. 다)를 불규칙하게 형성하여 착용시 공기순환의 원활함과 고무장갑을 벗을 때 자연스럽게 벗겨지도록 유도하는 기능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2. 제1 항의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 10-1, 10-2, 10-3),에 있어서, 곡선 횡단축으로 상단부 입구 단면에서 부터 손목의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에 이르기 까지 착용하였을 때 상호 통기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면에서 외면으로 불규칙볼록형태 (10-2)로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3. 제 1 항의 내부표면에 있어서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 10-1, 10-2, 10-3)부분과 공기통로(12) 부분과 공기주머니날개(11) 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손(Hand)의 세포에 근거하여 1∼2mm 정도의 세포주름(33)을 굴곡각도수용부주름(10, 10-1, 10-2, 10-3) 부분과 공기통로(12) 부분과 공기주머니날개(11) 부분에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KR2019990021702U 1999-10-06 1999-10-06 팽창길이( 굴곡. 신전운동 작용에 따른) 수용부가 형성된고무장갑, KR200175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702U KR200175940Y1 (ko) 1999-10-06 1999-10-06 팽창길이( 굴곡. 신전운동 작용에 따른) 수용부가 형성된고무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702U KR200175940Y1 (ko) 1999-10-06 1999-10-06 팽창길이( 굴곡. 신전운동 작용에 따른) 수용부가 형성된고무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940Y1 true KR200175940Y1 (ko) 2000-03-15

Family

ID=1959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702U KR200175940Y1 (ko) 1999-10-06 1999-10-06 팽창길이( 굴곡. 신전운동 작용에 따른) 수용부가 형성된고무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9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7654B1 (en) Massage glove
AU2004257658B2 (en) Orthotic protective device
US20200085670A1 (en) Soft Tissue Mobilization Instrument
US6773410B2 (en) Dorsal carpal tunnel splint
US4732142A (en) Deep friction massage orthosis
CA2289298C (en) Digit splint device and method of use
EP0916325A1 (en) Orthesis for the carpal tunnel syndrome
US20060005296A1 (en) Human motor control device and methods
KR200175940Y1 (ko) 팽창길이( 굴곡. 신전운동 작용에 따른) 수용부가 형성된고무장갑,
US10799417B1 (en) Massage device and method of use
CA23890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quantified hand analysis
US6547752B2 (en) Orthotic device for treating contractures of either hand
KR20030021104A (ko) 팽창길이( 굴곡. 신전운동 작용에 따른) 수용부가 형성된고무장갑의 제조 방법
US4829988A (en) Tendon depressor
US7252645B2 (en) Massage thumb tool
US20200138664A1 (en) Soft Tissue Treatment Instrument
CN202060935U (zh) 一种手指活动量控制板
US20230149250A1 (en) Soft Tissue Treatment Instrument
WO2020247401A1 (en) Medical/dental/utility glove with anti-fatigue and air channel improvements
EP3554447B1 (en) Massaging device
CN201008596Y (zh) 多用关节护带
CN201030169Y (zh) 一种手套式健身按摩器
CN2476983Y (zh) 保健按摩手套
CN110652699B (zh) 一种手部运动理疗握具
JPH09122187A (ja) 食事用自助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