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837Y1 -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방범창문 - Google Patents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방범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837Y1
KR200175837Y1 KR2019990022893U KR19990022893U KR200175837Y1 KR 200175837 Y1 KR200175837 Y1 KR 200175837Y1 KR 2019990022893 U KR2019990022893 U KR 2019990022893U KR 19990022893 U KR19990022893 U KR 19990022893U KR 200175837 Y1 KR200175837 Y1 KR 200175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stopper
bracke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신
Original Assignee
김중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신 filed Critical 김중신
Priority to KR2019990022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8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8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05C17/6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by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미닫이형 창문에 일정폭 까지만 개방이 될 수 있도록 개폐간격 조절수단을 부가한 방범창문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미닫이식으로 개폐되는 통상의 창문(1)에 있어서, 창문틀(2)에 결합되는 일측 창틀(3) 프레임(3a)에는 결합공(5)을 형성하여 결합공(10)과 슬라이드공(6)이 연통되게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안내편(7)을 고정하고, 결합공(10)을 통하여 끼움결합되어 슬라이드공(6)상을 슬라이드될 수 있는 단부에 헤드(9a)를 가진 스토퍼(9)를 일측 창틀(3)에 대응하는 창틀(4)에 브라켓(11)으로 결합하되, 상기 스토퍼(9)에는 숫나사(9b)가 형성되어 브라켓(11)에 형성된 암나사(12)에 나사결합되며, 단부에는 각운동되는 손잡이(13)를 부착하며, 브라켓(11)을 창틀(4)에 고정하는 피스(8)의 드라이버결합홈(8a)은 나사고정후 제거하며, 브라켓(11)에 형성되는 암나사공(12) 선측으로는 스토퍼(9)의 헤드(9a)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요부(11a)를 형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염가로 기존의 미닫이 창문(1)에 방범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창문을 환기 등을 위하여 개방한 상태에서도 방범기능이 부여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방범창문{A guarding window hav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a gap for opening and shutting}
본 고안은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방범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일정폭 까지만 개방이 될 수 있도록 개폐간격 조절수단을 가진 창문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에 장착되는 창문은 그 치수에 따라 개폐간격이 정해져 있으며, 이를 별도의 잠금장치로 완전히 잠그지 않는 한 개폐간격 만큼 내외부에서 개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창문은 필요에 따라 환기 등을 위하여 조금만 열어 놓고자 할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런 경우는 부득이 잠금장치를 해제하여야 하고, 방범상태가 해제되어 불의의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것이다.
물론, 개폐간격을 외부에서 침입자가 침입할 수 없는 정도만 개방할 수 있는 상하 각운동 식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개폐되는 여닫이형 창문이 있으나, 이는 가격이 고가인 반면에 창틀을 별도로 분리할 수 없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하로 슬라이드 각운동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창틀이 각운동할 수 있는 공간도 필수적인 등 일반 주택이나 건물 등에 적용하기에는 문제점이 많아 그 보급률이 극히 저조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창문의 잠금장치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코자 기존의 잠금장치와 함께 창문을 일정범위 내에서만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방범효과를 득할 수 있는 개폐제어수단을 가진 창문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요부인 안내편과 스토퍼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창문 2:창문틀
3,4:창틀 3a,4a:프레임
5:결합공 6:슬라이드공
7:안내편 8:피스
8a:드라이버결합홈 9:스토퍼
9a:헤드 9b:숫나사
10:결합공 11:브라켓
11a:진입요부 12:암나사공
13:손잡이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창문(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요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요부인 안내편과 스토퍼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4,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등으로서,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창문(1)은 창문틀(2)과 상기 창문틀(2)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2개 이상의 창틀(3,4)로 구성되는 통상의 창문(1)에 있어서, 상기 창틀(3,4) 중 일측의 창틀(3)을 구성하는 프레임(3a)에는 창틀(3)의 길이방향(즉, 개폐방향)으로 결합공(5)을 형성하여 슬라이드공(6)을 갖는 안내편(7)을 끼움결합하여 피스(8) 등의 고정수단으로 프레임(3a)상에 고정토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공(6)에는 대응하는 창틀(4) 프레임(4a)에 고정되는 스토퍼(9)가 결합되는바, 상기 스토퍼(9)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10)이 슬라이드공(6)과 연통되게 형성되는바, 상기 슬라이드공(6)의 직경은 결합공(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스토퍼(9)의 선단, 즉 헤드(9a) 부분은 결합공(10)으로만 진입할 수 있고 슬라이드공(6) 보다는 크게 하여 스토퍼(9)의 헤드(9a)가 결합공(10)을 통하여 결합된 후 슬라이드공(6)상을 슬라이드 이동할 시는 전후로 이탈이 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9)는 숫나사(9b)를 형성하여 창틀(4)의 프레임(4a)에 피스(8) 및 접착테이프(미도시) 등을 동시에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는 브라켓(11)상의 암나사공(12)에 나사결합식으로 고정토록하며, 암나사공(12)의 일측으로는 스토퍼(9)를 나사분리시에 헤드(9a) 부분이 진입될 수 있는 진입요부(11a)를 형성하고, 스토퍼(9)의 헤드(9a) 타단부에는 각도조절될 수 있는 손잡이(13)가 부착된다.
한편 상기 일측 창틀(4) 프레임(4a)에 피스(8) 및 접착테이프 등을 동시에 사용하여 고정되는 브라켓(11)은 만일을 대비하여 브라켓(11)을 프레임(4a)에 고정한 후에는 피스(8)에 형성된 드라이버결합홈(8a)을 드릴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중의 부호 14는 창문의 유리, 15는 창문에 부착된 기존의 잠금수단, 16은 창틀의 무단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창문(1)은 도 4, 5의 가상선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창틀(4)을 일부만 개방시켜 환기 등을 할 시에 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창문(1)을 잠금상태로 사용코자 할 시는 창틀(4)을 닫은 후 기존의 잠금수단(15)을 잠금상태로 전환시키면 되고, 창문(1)을 일부만 개방시켜 방범 기능을 갖는 상태, 즉 외부에서 침입자가 창문(1)을 통하여 실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창문(1)의 일부만 개방하여 환기 등을 행하여야 하는 바, 이러한 경우 본 고안의 창문(1)은 그 특유의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일측 창틀(4)을 도 4와 같이 좌측으로 개방하게 되면 상기 창틀(4)에 고정된 브라켓(11)에는 스토퍼(9)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9)의 헤드(9a) 부분이 타측 대응 창틀(3)에 고정된 안내편(7)에 형성된 결합공(10)에 상으로 진입하여 슬라이드공(6)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스토퍼(9)의 헤드(9a)는 결합공(10)을 지나 슬라이드공(6)상으로 진입하게 되면 전후로는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창틀(3,4)을 내외부에서 분리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우측 창틀(4)을 계속하여 개방하면 스토퍼(9)는 슬라이드공(6)의 좌측단부까지만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어 결국 우측의 창틀(4)은 사용자가 슬라이드공(6)의 좌측단부까지만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창틀(4)의 개방상태에서 창문(1)의 개방폭은 외부에서 침입자가 내부로 들어올 수 없는 폭 정도로만 개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 고안의 창문(1)은 방범창으로서의 그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창문(1)이 상하로 개폐되는 창문(1)에 적용한 경우로서 이의 작용은 개폐방향만 도 4와 상이할 뿐 전기와 동일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창문(1)은 외부 침입자 등이 창문(1)의 개방된 틈으로 손을 들여밀어 드라이버 등의 공구나 접착테이프, 고무줄 등을 사용하여 본 고안의 창틀(4)에 부착된 브라켓(11)과 스토퍼(9)를 제거하여 방범창으로서의 기능을 해제시킬 것을 대비하여 브라켓(11)을 고정하는 피스(8)상의 드라이버결합홈(8a)을 브라켓(11) 장착 후에는 제거해버리고, 스토퍼(9)의 손잡이를 고무줄이나 접착테이프 등을 부착하지 못하도록 각도조절되는 손잡이(13)로 구성함으로서 이러한 문제는 깨끗이 일소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이 적용된 창문(1)을 완전히 개방코자 하거나 또는 창틀(3,4)을 청소 등을 위하여 창문틀(2)에서 분리코자 할 시는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스토퍼(9)의 단부에 부착된 손잡이(13)를 잡고 나사풀림 방향으로 돌리면 브라켓(11)의 암나사공(12)에 나사결합된 스토퍼(9)의 숫나사(9b)가 브라켓(11)의 암나사공(12)으로부터 나사풀림되고 동시에 스토퍼(9)의 헤드(9a)가 결합공(10)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브라켓(11)의 진입요부(11a) 상으로 진입되어 스토퍼(9)가 대응 창틀(3)로부터 분리되므로 창문(1)을 완전개방 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각각의 창틀(3,4)을 창문틀(2)로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좌우, 또는 상하로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는 통상의 미닫이형 창문(1)에 선택적으로 방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측 창틀(4)에는 스토퍼(9)를 부착하고, 이에 대응하는 창틀(3)에는 상기 스토퍼(9)가 끼움결합 상태에서 안내될 수 있는 슬라이드공(6)을 가진 안내편(7)을 형성하여 창문의 개방폭을 제한된 범위, 즉 외부에서 침입자가 침입할 수 없는 범위내에서만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절기 등에 환기를 위하여 창문을 개방한 상태에서도 방범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며, 기존의 미닫이 창문에도 간단히 적용할 수 있고, 염가로 창문에 방범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그 보급률이 크게 기대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미닫이식으로 개폐되는 통상의 창문(1)에 있어서;
    상기 창문(1)의 창문틀(2)에 결합되는 일측 창틀(3) 프레임(3a)에는 결합공(5)을 형성하여 결합공(10)과 슬라이드공(6)이 연통되게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안내편(7)을 고정하고;
    상기 결합공(10)을 통하여 끼움결합되어 슬라이드공(6)상을 슬라이드 될 수 있는 단부에 헤드(9a)를 가진 스토퍼(9)를 일측 창틀(3)에 대응하는 창틀(4)에 브라켓(11)으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방범창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9)에는 숫나사(9b)가 형성되어 브라켓(11)에 형성된 암나사(12)에 나사결합되며, 단부에는 각운동되는 손잡이(13)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방범창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1)을 창틀(4)에 고정하는 피스(8)의 드라이버결합홈(8a)은 나사고정 후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방범창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1)에 형성되는 암나사공(12) 선측으로는 스토퍼(9)의 헤드(9a)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요부(1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방범창문.
KR2019990022893U 1999-10-22 1999-10-22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방범창문 KR200175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893U KR200175837Y1 (ko) 1999-10-22 1999-10-22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방범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893U KR200175837Y1 (ko) 1999-10-22 1999-10-22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방범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837Y1 true KR200175837Y1 (ko) 2000-03-15

Family

ID=19593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893U KR200175837Y1 (ko) 1999-10-22 1999-10-22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방범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8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208B1 (ko) 2012-09-03 2013-11-13 김성문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102047518B1 (ko) * 2018-07-25 2019-11-21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 개폐용 보조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208B1 (ko) 2012-09-03 2013-11-13 김성문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102047518B1 (ko) * 2018-07-25 2019-11-21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 개폐용 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102007A8 (en) Arrangement for guiding the deadlocking of a latch bolt in a door lock
CA2507647A1 (en) Lockable pet door
WO2006068945A3 (en) Hinged door safety device
KR200175837Y1 (ko)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방범창문
EP1520955B1 (de) Klemmträger für Sonnen- und Blickschutzeinrichtungen
CN212507935U (zh) 安全铝合金门窗
AT513699B1 (de) Einbruchsicherungssystem
KR200399182Y1 (ko) 창문 개방각도 조절장치
WO1997017519A3 (de) Verriegelungsvorrichtung
KR100677937B1 (ko) 탈출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전방범창
JP2012520403A (ja) 引き違い窓に取り付けられる施錠可能ハンドル/グリップシステム
GB2154654A (en) Security fittings
KR200453987Y1 (ko) 창문 고정장치
KR200346760Y1 (ko) 창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CN111719998A (zh) 一种防儿童开启的平开窗
EP1256680A3 (de) Fenster, Tür oder dergleichen mit Treibstangenbeschlag
KR200182699Y1 (ko)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방범창문
CN211598379U (zh) 一种具有防盗结构的防火窗
EP1116845A3 (de) Fehlbedienungssicherung
KR200186956Y1 (ko) 환기창
KR200175852Y1 (ko)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방범창문
CN212249633U (zh) 一种遥控折叠门用可调节式轮组
CN211874158U (zh) 一种简易式安全纱窗锁
CA1153573A (en) Lock for patio doors
EP1036904A2 (en) Securi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