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194Y1 - 선재압연용 수냉장치 - Google Patents

선재압연용 수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194Y1
KR200175194Y1 KR2019990020838U KR19990020838U KR200175194Y1 KR 200175194 Y1 KR200175194 Y1 KR 200175194Y1 KR 2019990020838 U KR2019990020838 U KR 2019990020838U KR 19990020838 U KR19990020838 U KR 19990020838U KR 200175194 Y1 KR200175194 Y1 KR 200175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ooling
coolant
cooling water
nozz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곤
박기형
서희찬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08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1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1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24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wire, rods, rounds,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33Spray nozzles, Nozzle headers; Spr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주하는 내측면에 일정크기의 원형설치공을 형성하도록 반원홈(13)(14)을 갖는 상,하부몸체(11)(12)의 합형으로 구성되는 냉각몸체(10);와, 상기 하부몸체(12)의 제 1,3냉각수유입공(12a)(12c)과 대응하는 상기 원형설치공 선,후단에 제 1,3노즐(31)(33)을 갖추어 이를 통과하는 소재의 진행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직선형의 냉각수를 분사하고, 상기 하부몸체(12)의 제 2냉각수유입공(12b)과 대응하는 상기 원형설치공 중간에 제 2노즐(32)을 갖추어 상기 소재의 진행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형 냉각수를 분사하는 노즐부(30); 및, 상기 제 1노즐(31)과 제 2노즐(32)사이에 형성되는 제 1챔버(51)와 상기 제 2노즐(32)과 제 3노즐(33)사이의 제 2챔버(52)에 체류하는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부몸체(12)의 제 1배출공(12d)과 제 2배출공(12e)에 제 1,2드레인밸브(53)(54)를 각각 설치한 배출부(50);를 포함하는 선재압연용 수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재압연용 수냉장치{WATER COOLING DEVICE FOR WIRE-ROD MILL}
본 고안은 내경에 대한 길이비를 크게 하여 관내의 유량증가에 따른 침적형태의 내부와류로 인한 균일냉각 및 같은 냉각몸체내에서의 1차,2차 챔버에 의해 압연선재를 급속히 냉각하는 한편, 냉각수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는 선재압연용 수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압연은 실용화되어 있는 압연밀(mill)설비중에서 최저속에서 최고속까지의 압연속도 범위에 걸쳐 이루어지고, 압연중의 온도변화는 가공발열 때문에 통상 100℃ 이상 상승하는 특유의 온도패턴을 보인다. 이와 같이 사상온도가 비교적 높아 수냉관에서 강 냉각을 수행한 후 조정냉각을 수행하는 것이 통레이다.
선재압연시 실질적으로 사상에서 오히려 압연온도가 상승하므로 열연,후판에서 기대하는 제어압연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선재에서는 사상스탠드에서 동적 재결정이 일어남으로서 압연직후에는 재결정이 완료되고, 연이은 결정립성장이 압연조직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선재는 사상압연시 압연속도가 빨라 사상압연후에는 동적 재결정이 일어나게 되므로 결정립은 아주 미세하게 되며, 재결정이후 결정립은 순간적으로 성장하게 되고 온도의 영향에 따라 성장속도가 크게 차이가 나므로 사상온도를 낮추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현재 선재압연에서 사상온도를 낮추는 방법으로는 사상압연전 중간 사상압연에 냉각대(cooling zone)를 설치하여 강제냉각을 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냉각대에 설치되는 냉각관은 환상슬릿에서 냉각수를 압연재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분사하는 환상슬릿형 냉각관과, 냉각관내역에 설치한 노즐에서 냉각수를 압연재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또는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분사하는 다공 노즐형 냉각관 및 압연재의 진행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관등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슬릿형 냉각관은 내경이 작을수록 관내유속이 커지며, 단위길이당 냉각수 처리량이 같을 때 냉각관의 길이가 길이질수록 냉각관 1본당 냉각수 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소재진행방향으로 냉각수를 분사하여 냉각하도록 복수개 설치된다.
그러나, 선재의 압연속도 및 냉각관내에서 압연선재의 위치 및 진동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서 냉각능률이 저하되고, 냉각수온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내경에 대한 길이비를 크게하여 냉각수 유량을 증가시키고, 내부와류를 유발시켜 소재의 진동에 의한 냉각능저하를 방지하며, 냉각수의 드레인이 가능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수 있는 선재압연용 수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재압연용 수냉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재압연용 수냉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재압연용 수냉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a)(b)는 본 고안에 따른 선재압연용 수냉장치를 구성하는 배출부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각몸체 11 ...... 상부몸체
12 ...... 하부몸체 13,14 ..... 반원홈
12a,12b.12c .... 제 1,2 및 3냉각수유입공
12d,12e .... 제 1,2배출공 31,32,33 .... 제 1,2 및 3노즐
35 ..... 가스켓 51,52 .... 제 1,2챔버
53,54 ...... 제 1,2드레인밸브 55a ..... 밸브보스
55b ..... 러브패킹 55c ..... 파이롯트밸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고안은,
선재압연된 소재를 냉각하는 장치에 있어서,
마주하는 내측면에 일정크기의 원형설치공을 형성하도록 반원홈을 갖는 상,하부몸체의 합형으로 구성되는 냉각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제 1,3냉각수유입공과 대응하는 상기 원형설치공 선,후단에 제 1,3노즐을 갖추어 이를 통과하는 소재의 진행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직선형의 냉각수를 분사하고, 상기 하부몸체의 제 2냉각수유입공과 대응하는 상기 원형설치공 중간에 제 2노즐을 갖추어 상기 소재의 진행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형 냉각수를 분사하는 노즐부; 및,
상기 제 1노즐과 제 2노즐사이에 형성되는 제 1챔버와 상기 제 2노즐과 제 3노즐사이의 제 2챔버에 체류하는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부몸체의 제 1배출공과 제 2배출공에 제 1,2드레인밸브를 각각 설치한 배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용 수냉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재압연용 수냉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재압연용 수냉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1)의 장치는 압연선재된 소재를 냉각수로서 급속히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1)는 냉각몸체(10), 노즐부(30) 및 배출부(50)등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냉각몸체(10)는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를 다수개의 볼트부재(15)로서 상하 분할형으로 결합하여 구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상,하부몸체(11)(12)의 내측면에는 합형시 일정크기의 원형설치공을 형성할수있도록 반원홈(13)(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30)는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소재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제 1,2 및 3노즐(31)(32)(33)로서 구성되는바, 상기 제 1노즐(31)과 제 3노즐(33)은 소재가 인입되는 인입구(31a)와 냉각된 소재가 인출되는 인출구(33a)가 각각 외부로 향하도록 복수개의 볼트부재(34)로서 상기 냉각몸체(10)의 전면, 후면에 각각 가스켓(35)을 매개로 교체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릿형 노즐부재이다.
이러한 제 1,3노즐(31)(33)의 각 슬릿홈(31b)(33b)은 냉각수가 공급되는 하부몸체(12)의 제 1,3냉각수유입공(12a)(12c)과 대응배치됨으로서 냉각수 공급시 상기 인입구(31a)로 진입하여 인출구(33a)측으로 빠져나가는 소재의 진행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냉각수를 직선형으로 분사한다.
한편, 상기 제 2노즐(32)은 제 1,3노즐(31)(33)사이의 원형설치공 중간에 오링(39)을 매개로 설치되며, 몸체중앙에는 환고리형 공급홈(32a)이 형성되며, 몸체양단에는 나선형으로 슬릿홈(32b)이 형성된 양방향 나산 슬릿형 노즐부재이다.
이러한 제 2노즐(32)의 공급홈(32a)은 상기 제 2냉각수유입공(12b)과 대응배치됨으로서 냉각수 공급시 상기 소재의 진행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냉각수를 와류형으로 분사하여 고온의 소재를 냉각한다.
또한, 상기 소재를 냉각시킨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50)는 상기 제 1노즐(31)과 제 2노즐(32)사이의 원형설치공내에 형성되는 공간인 제 1챔버(51)와 상기 제 2노즐(32)과 제 3노즐(33)사이의 원형설치공내에 형성되는 공간인 제 2챔버(52)에 체류하는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할수 있도록 제 1,2드레인밸브(53)(54)를 갖추고, 상기 제 1,2드레인밸브(53)(54)는 상기 제 1,2챔버(51)(52)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몸체(12)의 제 1배출공(12d)과 제 2배출공(12e)에 각각 장착된다.
이러한 제 1,2드레인 밸브(53)(54)는 상기 제 1,2배출공(12d)(12e)의 하단에 밸브보스(55a)가 밀착되도록 다수개의 볼트부재(55g)로서 조립되는 밸브챔브(55f)와, 수직축(55h)에 승하강가능하게 조립되는 러브패킹,파이롯트밸브(55b)(55c)와, 상기 파이롯트밸브(55c)를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도록 상기 수직축(55h)에 삽입되는 스프링부재(55d)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스(55a)의 상,하부면에는 환고리형 패킹부재(55e)가 각각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몸체(10)와 인입구(31a)사이에 조립되는 가스켓(35)과, 상기 냉각몸체(10)와 인출구(33a)사이에 조립되는 가스켓(35)의 두께를 늘이거나 줄여 상기 원형설치공내에서의 노즐(31)(33)위치를 가변시킴으로서 슬릿홈(31b)(33b)과 원형설치공내주면사이의 갭(gap)을 조정하여 상기 노즐(31)(33)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량을 조정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압연선재된 소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냉각몸체(10)선단에 제공되는 인입구(31a)측으로 유도되어, 상기 냉각몸체(10)의 원형설치공에 장착된 제 1,2 및 3노즐(31)(32)(33)을 거쳐 상기 냉각몸체(10)의 후단에 제공되는 인출구(33a)로 빠져나가는 패스진행으로 항상 통과한다.
이와 같이 냉각몸체(10)내를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소재를 급속히 냉각하기 위해서, 하부몸체(12)의 제 1,2 및 3냉각수유입공(12a)(12b)(12c)에 각각 연결된 냉각수배관(미도시)의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냉각수를 공급하면, 상기 제 1냉각수유입공(12a)과 대응하는 제 1노즐(31)은 냉각수를 소재의 진행방향으로 분사하도록 슬릿홈(31a)이 몸체후단에 수평하게 복수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릿홈(31a)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직선형의 냉각수는 소재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분사흐름을 형성하면서 제 1챔버(51)내로 분사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 3냉각수유입공(12c)과 대응하는 제 3노즐(33)은 냉각수를 소재의 진행의 역방향으로 분사하도록 몸체선단에 슬릿홈(33a)이 수평하게 복수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릿홈(33a)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직선형의 냉각수는 소재진행방향과 반대의 분사흐름을 형성하면서 제 2챔버(52)내로 각각 분사된다.
한편, 상기 제 1,3노즐(31)(33)을 통한 냉각수분사와 동시에, 제 2냉각수유입공(12b)과 대응하는 제 2노즐(32)은 양방향으로 냉각수를 회전형으로 분사시킬수 있도록 몸체양단에 슬릿홈(32b)이 나선형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형홈(32a)으로 공급된 냉각수는 양측 슬릿홈(32b)을 빠져나오면서 소재의 진행방향, 그 역방향의 분사흐름을 형성하면서 제 1,2챔버(51)(52)내로 각각 분산된다.
상기와 같이 제 1,2 및 제 3노즐(31)(32)(33)로부터 냉각수가 동시에 분사되면서, 상기 제 1,2챔버(51)(52)에서는 제 1,3노즐(31)(33)의 직선형 냉각수흐름과 제 2노즐(32)의 선,후단측으로부터의 회전형 냉각수흐름이 서로 부딛히면서 내부와류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제 1,2챔버(51)(52)를 통과하는 소재를 속도진동에 따른 냉각저하의 염려없이 균일하게 냉각함과 동시에 소재를 균일하게 냉각한다.
한편, 소재의 냉각이 이루어지는 상기 제 1,2챔버(51)(52)내에서 냉각수온도가 상승하고, 유량증가로 인하여 압력이 상승하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승된 내부압력이 하부몸체(12)의 제 1,2배출공(12d)(12e)에 장착된 제 1,2드레인밸브(53)(54)측으로 전달되어 외부로 부터의 기계적, 전기적 에너지의 필요없이 상기 제 1,2드레인밸브(53)(54)를 개방작동시켜 제 1,2챔버(51)(52)내에서의 내부압력이 낮아질 때 까지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제 1,2챔버(51)(52)내에서의 내부압력이 수직축(55h)에 승하강가능하게 조립된 러브패킹(55b), 파이롯트밸브(55c)에 전달되면, 밸브보스(55a)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유로를 차단하고 있던 상기 러브패킹(55b), 파이롯트밸브(55c)가 스프링부재(55d)를 직하방으로 가압하여 수축시키면서 하강되기 때문에, 상기 제 1,2챔버(51)(52)내의 냉각수는 밸브보스(55a), 밸브챔브(55f)를 통하여 하부로 드레인배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냉각수의 드레인배출로 인하여 소재냉각작용으로 상승된 냉각수의 온도를 저하시켜 제 1,2챔버(51)(52)에서의 냉각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증가된 냉각수 유량을 감소시켜 제 1,2챔버(51)(52)의 내부압력을 저하시킬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냉각수의 드레인배출로 인하여 냉각수 온도가 저하되고, 냉각수 유량이 낮아져 제 1,2챔버(51)(52)의 내부압력이 저하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 냉각수배출시 축되었던 스프링부재(55d)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밸브보스(55a)로부터 이격되었던 러브패킹(55b),파이롯트밸브(55c)는 상방으로 탄력지지되어 재밀착되면서 냉각수의 배출유로를 초기상태로 차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냉장치에 의하면, 소재가 통과하는 냉각몸체내에 설치되는 한쌍의 슬릿형 노즐사이에 양방향 나선슬릿형 노즐을 장착하고, 노즐사이에 제 1,2챔버를 구성함으로서, 냉각수 공급시 각 챔버내에서 직선형 냉각수분사흐름과 회전형 냉각수분사흐름이 서로 부딪히면서 급격한 와류흐름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통과하는 소재의 진동,속도에 관계없이 유량증가에 따른 침적형태의 냉각수로 균일하고 급속하게 소재를 냉각시켜 냉각능률을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향상시킬수 있다.
그리고, 각 챔버내에서의 내부압력 및 유량을 균일하게 유지하고, 냉각수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서 냉각처리되는 소재의 조직미세화로 소재의 인장강도, 압연압조성을 향상시켜 양호한 소재의 가공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3)

  1. 선재압연된 소재를 냉각하는 장치에 있어서,
    마주하는 내측면에 일정크기의 원형설치공을 형성하도록 반원홈(13)(14)을 갖는 상,하부몸체(11)(12)의 합형으로 구성되는 냉각몸체(10);와,
    상기 하부몸체(12)의 제 1,3냉각수유입공(12a)(12c)과 대응하는 상기 원형설치공 선,후단에 제 1,3노즐(31)(33)을 갖추어 이를 통과하는 소재의 진행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직선형의 냉각수를 분사하고, 상기 하부몸체(12)의 제 2냉각수유입공(12b)과 대응하는 상기 원형설치공 중간에 제 2노즐(32)을 갖추어 상기 소재의 진행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형 냉각수를 분사하는 노즐부(30); 및,
    상기 제 1노즐(31)과 제 2노즐(32)사이에 형성되는 제 1챔버(51)와 상기 제 2노즐(32)과 제 3노즐(33)사이의 제 2챔버(52)에 체류하는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부몸체(12)의 제 1배출공(12d)과 제 2배출공(12e)에 제 1,2드레인밸브(53)(54)를 각각 설치한 배출부(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용 수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드레인 밸브(53)(54)는 상기 제 1,2배출공(12d)(12e)의 하단에 밸브보스(55a)가 밀착되도록 다수개의 볼트부재(55g)로서 조립되는 밸브챔브(55f)와, 수직축(55h)에 승하강가능하게 조립되는 러브패킹,파이롯트밸브(55b)(55c)와, 상기 파이롯트밸브(55c)를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도록 상기 수직축(55h)에 삽입되는 스프링부재(55d)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스(55a)의 상,하부면에는 환고리형 패킹부재(55e)가 각각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용 수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몸체(10)와 인입구(31a)사이에 조립되는 가스켓(35)과, 상기 냉각몸체(10)와 인출구(33a)사이에 조립되는 가스켓(35)의 두께를 늘이거나 줄여 상기 원형설치공내에서의 노즐(31)(33)위치를 가변시킴으로서 슬릿홈(31b)(33b)과 원형설치공내주면사이의 갭(gap)을 조정하여 상기 노즐(31)(33)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량을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용 수냉장치.
KR2019990020838U 1999-09-29 1999-09-29 선재압연용 수냉장치 KR200175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838U KR200175194Y1 (ko) 1999-09-29 1999-09-29 선재압연용 수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838U KR200175194Y1 (ko) 1999-09-29 1999-09-29 선재압연용 수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194Y1 true KR200175194Y1 (ko) 2000-03-15

Family

ID=1959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838U KR200175194Y1 (ko) 1999-09-29 1999-09-29 선재압연용 수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19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317B1 (ko) * 2003-07-31 2010-06-04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냉각용 가이드
KR101105106B1 (ko) 2004-10-28 2012-01-17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선재 냉각장치
CN109378131A (zh) * 2018-12-24 2019-02-22 中山泛亚电业有限公司 冷却水流量可控的线缆水冷装置
CN112474837A (zh) * 2020-11-16 2021-03-12 云南玉溪仙福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炼钢生产用线材控冷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317B1 (ko) * 2003-07-31 2010-06-04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냉각용 가이드
KR101105106B1 (ko) 2004-10-28 2012-01-17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선재 냉각장치
CN109378131A (zh) * 2018-12-24 2019-02-22 中山泛亚电业有限公司 冷却水流量可控的线缆水冷装置
CN112474837A (zh) * 2020-11-16 2021-03-12 云南玉溪仙福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炼钢生产用线材控冷装置
CN112474837B (zh) * 2020-11-16 2024-04-05 云南玉溪仙福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轧钢用线材控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94946B (zh) 热轧钢带的冷却装置及冷却方法
RU2424327C2 (ru) Системы закалки распылением термически обработанных металл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US8349247B2 (en) Controlled cooling apparatus and cooling method of steel plate
CN101838724B (zh) 一种可调水凸度的板带淬火控冷集管
KR200175194Y1 (ko) 선재압연용 수냉장치
CN109843458A (zh) 轧机机座的轧辊的冷却
KR101105106B1 (ko) 압연선재 냉각장치
KR100311782B1 (ko) 폭방향균일냉각이가능한라미나플로우냉각장치
US20200261929A1 (en) Water-saving nozzle
KR100960317B1 (ko) 선재 냉각용 가이드
JP2006212688A (ja) 鋼板の冷却設備及び鋼板の冷却方法
US3360202A (en) Uniform thin fluid sheet type spray device
US6419210B1 (en) Reversed-jet contacting of a gas stream having variable heat/mass content
CN102433419A (zh) 采用狭缝喷水实现快速冷却的穿水淬火冷却装置及方法
KR101086324B1 (ko) 선재 냉각대의 양방향 회전 수냉장치
CN202415632U (zh) 一种热处理用汽雾冷却装置
CN202224452U (zh) 一种产生扁平射流的冷却装置
JPH0437875Y2 (ko)
RU225418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труб в многоклетьевом прокатном стане
JP2001198656A (ja) 鋳造ストランドのエッジ領域の不都合な過冷却を阻止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SU172611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хлаждени чугуноразливочной конвейерной машины
CA2405390C (en) Steam pressure reducing and conditioning valve
CN211939403U (zh) 一种线切割机床水板喷水嘴
SU1400769A1 (ru) Кристаллизатор дл полунепрерывного и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 заготовок меди и медных сплавов
KR200364265Y1 (ko) 압연용 중간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