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915Y1 - 지압구 - Google Patents

지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915Y1
KR200174915Y1 KR2019990021461U KR19990021461U KR200174915Y1 KR 200174915 Y1 KR200174915 Y1 KR 200174915Y1 KR 2019990021461 U KR2019990021461 U KR 2019990021461U KR 19990021461 U KR19990021461 U KR 19990021461U KR 200174915 Y1 KR200174915 Y1 KR 2001749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circular
protrusions
connecting ro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훈
Original Assignee
유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훈 filed Critical 유동훈
Priority to KR2019990021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9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9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9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9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42Balls or 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돌기 형성된 세개의 구체형 지압구를 다양하고도 자유자재로 회동시켜 회전원운동을 하면서 지압 자극할 수 있음은 물론, 형태가 변형되지 않아 안정감 있게 손바닥 및 손가락 부위의 지압 자극으로 혈액순환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외부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구체형 지압구의 중앙을 관통시켜 통공과 홈부를 만들고, 일측 통공으로 일측단에 삽입돌부가 형성된 연결봉을 삽입하여 일체로 돌설된 걸림턱을 홈부에 삽입하며, 타측 통공으로 일측단에 삽입홈부가 형성된 연결봉을 삽입하여 삽입돌부와 삽착시켜 일체로 돌설된 걸림턱을 홈부에 각각 삽설하여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봉 양측단으로 각각 형성된 원형돌부에 외부면으로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2 개의 반구체와 원형테로 결합된 2 개의 구체형 지압구를 각각 결합하여서 된 지압구로서, 손바닥으로 파지하여 3 개의 구체형 지압구를 안정감 있게 지압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할 수 있음은 물론, 양측의 구체형 지압구를 다양하고도 자유자재로 회전시키는 회전원운동으로 손가락에 분포된 경혈들을 강력하고도 골고루 지압 자극하여 혈액순환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된 지압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압구{FINGER PRESSURE DEVICE}
본 고안은 지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세개의 구체형 지압구를 연결봉에 삽설하되 양측단에 형성된 원형돌부에는 2 개의 반구체와 원형테로 결합된 구체형 지압구를 결합하므로서 손바닥으로 파지시 형태가 변형되지 않아 안정감 있게 지압 자극하여 혈액순환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양측의 구체형 지압구를 다양하고도 자유자재로 회전시키는 회전원운동으로 손가락에 분포된 경혈들을 강력하고도 골고루 지압 자극하여 혈액순환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된 지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손바닥용 지압구는 단순히 혈맥을 압압하기 위한 구조로 되어 여러 가지가 있으며, 특히 본원인의 선등록으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62413 호가 있었는데, 이는 원통체로 형성된 금속관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를 돌출 성형하고, 금속관의 중공부에 연결봉을 삽입하여 양측 구부에 마개를 결합 하되, 그 내측으로 형성한 괘지홈에 삽착하였으며, 마개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봉의 양측단에 너트를 나사 결합하여서 된 지압구로서, 금속관의 외주면을 손바닥 으로 압압하여 다수개의 돌기가 피부에 분포된 혈맥에 압접되면서 자극을 가하게 되는 것인데, 이는 단조로운 압압운동만 가능한 것으로 손바닥 외에 손가락에 분포된 혈맥 등은 지압 자극할 수 없는 한정된 부위에 효과만을 얻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또, 다른 지압구로서 본원인의 선출원으로서 1999 년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5096 호가 있었는데, 상기 선출원은 지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바닥이나 손가락에 분포된 경혈을 지압 자극하기 위하여 외부면으로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2 개의 구체형 지압구를 연결봉으로 연결시킨 것인데, 상기 연결봉과 원형테로 2 개의 반구체가 결합된 구체형 지압구가 연결봉의 원형돌부와 원형테에 의해 다양 하고도 자유자재로 회전됨은 물론, 양측 구체형 지압구도 회전되며 작동되므로 손바닥으로 파지하여 압압시 손바닥과 손가락에 분포된 경혈들을 강력하고도 골고루 지압 자극하므로 혈액순환 촉진 효과와 분실방지 및 휴대가 용이하고, 오락구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지압구에 관한 것이었으나, 지압시 손가락으로 돌려가며 사용하므로 형태가 변형되어 혈맥에 지속적인 지압이 어렵고, 구체형 지압구가 회전원운동만을 하므로 원래 지압구의 목적인 지압구로서는 지압 자극효과에 부족한 점이 많은 문제점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및 보완하기 위하여 안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세개의 구체형 지압구를 다양하고도 자유자재로 회동시켜 회전원운동을 하면서 지압 자극할 수 있음은 물론, 형태가 변형되지 않아 안정감 있게 손바닥 및 손가락 부위의 지압 자극으로 혈액 순환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외부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구체형 지압구의 중앙으로 통공과 양측단에 홈부를 형성하고, 일측 통공으로 일측단에 삽입돌부가 형성된 연결봉을 삽입하여 일체로 돌설된 걸림턱을 홈부에 삽입하며, 타측 통공으로 일측단에 삽입홈부가 형성된 연결봉을 삽입하여 삽입돌부와 삽착시키되 일체로 돌설된 걸림턱을 홈부에 삽설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연결봉의 양측단으로 각각 형성된 원형돌부에 외부면으로 구체형 지압구를 삽설한 것으로,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2 개의 반구체를 상, 하측으로 관통되도록 홈부를 형성하고 내측 중앙으로 오목, 볼록부와 그 주위로 원형홈을 각각 형성하되, 각각의 반구체 사이로 외부면에 다수개의 돌기와 걸림턱부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원형테를 위치시켜준 뒤, 원형테의 공간부에 상기 연결봉의 원형돌부를 삽설시킨 후 반구체의 상, 하측 홈부를 통해 보울트와 너트로 체결한 다음 캡으로 삽착시켜 결합된 3 개의 구체형 지압구로 형성되는 지압구 로서, 손바닥으로 파지하여 3 개의 구체형 지압구를 압압시켜 지압 자극할 수 있으며, 특히 중간의 구체형 지압구는 결합된 연결봉을 축으로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되므로 골고루 지압 자극이 되고, 양측의 구체형 지압구는 손가락으로 상, 하, 좌, 우 회전시켜가며 손가락에 분포된 경혈들을 골고루 지압 자극하여 주되 형태가 변형되지 않아 안정감 있게 지압 자극할 수 있어 혈액순환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회전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회전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압구 10 : 구체형 지압구 11 : 돌기 12 : 통공
13, 13' : 홈부 20, 20' : 연결봉 21 : 삽입돌부
21' : 삽입홈부 22, 22' : 걸림턱 23, 23' : 원형돌부
30, 30' : 반구체 31 : 돌기 32, 32' : 홈부
33, 33': 오목, 볼록부 34 : 원형홈 40 : 원형테 41 : 돌기
42 : 걸림턱부 43 : 공간부 50 : 보울트 60 : 너트
70 : 캡 100 : 구체형 지압구
외부면에 다수개의 돌기(11)가 형성되고 중앙으로 통공(12)과 양측으로 홈부(13)(13')가 형성된 구체형 지압구(10)의 양측으로 각각 일측단에 삽입돌부(21)와 걸림턱(22) 및 끝단에 원형돌부(23)가 형성된 연결봉(20)과 일측단으로 삽입홈부(21')와 걸림턱(22') 및 끝단에 원형돌부(23')가 형성된 연결봉(20')을 상기 통공(12)으로 삽입시켜 삽입돌부(21)와 삽입홈부(21')를 삽착 결합하되 양측 홈부(13)(13')에 걸림턱(22)(22')이 삽입되게 하며, 상기 연결봉(20)(20')의 양측단 원형돌부(23)(23')에 각각 외부면으로 다수개의 돌기(31)가 형성된 2 개의 반구체(30)(30')를 상, 하측으로 관통되게 홈부(32)(32')와 그 주위로 원형홈(34)을 각각 형성하여 각각의 반구체(30)(30') 사이로 외부면에 다수개의 돌기(41)와 걸림턱부(42)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공간부(43)가 형성된 원형테(40)를 위치시키되, 상기 반구체(30)(30')의 원형홈(34)으로 상기 연결봉(20)(20')의 원형돌부 (23)(23')를 삽설후 결합된 반구체(30)(30')의 상, 하측 홈부(32)(32')에 보울트(50)와 너트(60)를 체결하여 캡(70)으로 삽착하여 각각의 구체형 지압구(100)가 형성되도록 결합된 지압구(1)의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외부면에 다수개의 돌기(11)가 형성되고 중앙 으로 통공(12)과 양측으로 홈부(13)(13')가 형성된 구체형 지압구(10)의 통공(12) 양측으로 각각 연결봉(20)(20')을 삽착하되 각 연결봉(20)(20')의 삽입돌부(21)와 삽입홈부(21')를 마주보도록 삽입시켜 견고하게 접착 결합하되, 구체형 지압구(10)의 양측 홈부(13)(13')에 연결봉(20)(20')의 걸림턱(22)(22')이 삽설되어 이탈되지 않고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연결봉(20)(20')의 타측에 각각 형성된 원형돌부(23)(23')에는 2 개의 반구체(30)(30') 사이에 위치하는 원형테(40)의 공간부(43)에 연결봉(20)(20')을 위치토록 하고, 반구체(30)(30')를 오목, 볼록부(33)(33')를 이용하여 결합한 다음, 반구체(30)(30')의 상, 하측 홈부 (32)(32')에 보울트(50)와 너트(60)로 체결후 캡(70)으로 삽착하여 결합된 2 개의 구체형 지압구(100)로 결합된 지압구(1)로서, 손바닥으로 파지하여 압압과 동시에 도 4,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의 구체형 지압구(10)는 삽착된 연결봉(20)(20')을 축으로 일방향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고, 양측단의 구체형 지압구(100)는 원형돌부(23)(23')를 기점으로 가상선과 같이 각각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자유자재 회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손으로 파지후 압압하다가 손가락으로 회전시키면 손가락 부위에 분포된 다수개의 경혈들을 구체형 지압구(100)의 다수개의 돌기(31)로 지압 자극시킬 수 있는 것이며, 원형테(40) 외주면의 돌기(41)로도 동일하게 지압 자극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연결봉(20)(20')의 각 걸림턱(22)(22')이 구체형 지압구(10)의 양측 홈부(13)(13')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3 개의 구체형 지압구(10)(100)가 일렬 형태에서 변형되지 않고 안정감 있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도 6 과 같이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손바닥을 압압하면 각 구체형 지압구(10)(100)의 외부면에 형성된 돌기(11)(31)(41)들에 의해 지압 자극 되어 혈액순환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종래 일자형 지압구처럼 형태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지압 자극하며, 중간의 구체형 지압구(10)가 삽설된 연결봉(20)(20')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손바닥을 골고루 지압 자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고, 양측의 구체형 지압구(100)는 도 4, 5 에서 보는 것처럼, 원형돌부(23)(23')를 기점으로 상, 하, 좌, 우 자유자재로 회전원운동되므로 손가락으로 회전시켜가며 손가락 부위에 분포된 다수의 경혈들을 돌기(31)(41)에 의해 골고루 지압 자극시켜 혈액순환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외부면에 다수개의 돌기(11)가 형성되고 중앙으로 통공(12)과 양측으로 홈부(13)(13')가 형성된 구체형 지압구(10)의 양측으로 각각 일측단에 삽입돌부(21)와 걸림턱(22) 및 끝단에 원형돌부(23)가 형성된 연결봉(20)과 일측단으로 삽입홈부(21')와 걸림턱(22') 및 끝단에 원형돌부(23')가 형성된 연결봉(20')을 상기 통공(12)으로 삽입시켜 삽입돌부(21)와 삽입홈부(21')를 삽착 결합하되 양측 홈부(13)(13')에 걸림턱(22)(22')이 삽입되게 하며, 상기 연결봉(20)(20')의 양측단 원형돌부(23)(23')에 각각 외부면으로 다수개의 돌기(31)가 형성된 2 개의 반구체(30)(30')를 상, 하측으로 관통되게 홈부(32)(32')와 그 주위로 원형홈(34)을 각각 형성하여 각각의 반구체(30)(30') 사이로 외부면에 다수개의 돌기(41)와 걸림턱부(42)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공간부(43)가 형성된 원형테(40)를 위치시키되, 상기 반구체(30)(30')의 원형홈(34)으로 상기 연결봉(20)(20')의 원형돌부(23)(23')를 삽설후 결합된 반구체(30)(30')의 상, 하측 홈부(32)(32')에 보울트(50)와 너트(60)를 체결하여 캡(70)으로 삽착하여 각각의 구체형 지압구(100)가 형성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구(1).
KR2019990021461U 1999-10-07 1999-10-07 지압구 KR2001749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461U KR200174915Y1 (ko) 1999-10-07 1999-10-07 지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461U KR200174915Y1 (ko) 1999-10-07 1999-10-07 지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4915Y1 true KR200174915Y1 (ko) 2000-03-15

Family

ID=1959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461U KR200174915Y1 (ko) 1999-10-07 1999-10-07 지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9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073A2 (ko) * 2010-06-18 2011-12-22 (주)광진 볼 지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073A2 (ko) * 2010-06-18 2011-12-22 (주)광진 볼 지압기
WO2011159073A3 (ko) * 2010-06-18 2012-04-12 (주)광진 볼 지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6494Y1 (ko) 지압구
KR200174915Y1 (ko) 지압구
TWM555724U (zh) 砭石磁療刮痧頭
KR200306970Y1 (ko) 지압구
KR200221789Y1 (ko) 자석 지압구
KR19990022743U (ko) 양방향회전건강지압구
KR20130062782A (ko) 안마봉
KR200373938Y1 (ko) 손지압구
KR200167072Y1 (ko) 지압구
CN1127331C (zh) 推拿按摩健身球
KR200431412Y1 (ko) 지압구
CN215779881U (zh) 一种开结球
TWM570139U (zh) Head massager
KR200189991Y1 (ko) 열쇠고리 겸용 회전 지압구
KR200261393Y1 (ko) 지압구
KR200212259Y1 (ko) 휴대가 용이한 지압구
JP3034850U (ja) 手のひらマッサージ具
KR102584258B1 (ko) 관절봉 마사지기
KR200192663Y1 (ko) 지압구
KR200208318Y1 (ko) 지압구
CN201119976Y (zh) 保健按摩棒
KR200311339Y1 (ko) 다기능 회전손 지압구
SU169257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ассажа
KR200226165Y1 (ko) 지압구
KR20240000117U (ko) 마사지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