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653Y1 - 카렌다 및 텐타기의 필간이음새 자동감지에 의한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렌다 및 텐타기의 필간이음새 자동감지에 의한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653Y1
KR200174653Y1 KR2019970000956U KR19970000956U KR200174653Y1 KR 200174653 Y1 KR200174653 Y1 KR 200174653Y1 KR 2019970000956 U KR2019970000956 U KR 2019970000956U KR 19970000956 U KR19970000956 U KR 19970000956U KR 200174653 Y1 KR200174653 Y1 KR 200174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line
terminal
host computer
sensor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6878U (ko
Inventor
김양진
Original Assignee
이성수
김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수, 김양진 filed Critical 이성수
Priority to KR2019970000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653Y1/ko
Publication of KR199800568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8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6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1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measuring, e.g. calibration and initialisation, measuring workpiece for machining purpos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05B19/4063Monitoring general control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1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cooperation between machine tools, manipulators and conveyor or other workpiece supply system, workcel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렌다 및 텐타기의 필간이음새 자동감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카렌다 및 텐타기 작업에 있어서 필간 이음새를 자동인식하여 필단위별(또는 로트 번호별) 작업현황(길이, 중량)과 작업시간 현황(작업개시, 종료시간)의 자료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저장하고,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함으로써, 필간 이음새를 자동인식하고 자동으로 작업현황 등의 정보를 호스트에 전송하므로 자동 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렌다 및 텐타기의 필간이음새 자동감지에 의한 관리 시스템
본 고안은 카렌다 및 텐타기 작업에 있어서 필간 이음새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필 단위별 작업현황과 작업 시간현황의 자료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주제어시스템과 자동으로 데이타 통신하여 작업관리의 신속성 및 용이성을 도모하고자 한 필간이음새 자동인식에 의한 유무선 통신 관리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화 공장의 관리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현장작업을 하는 장비들과 관리제어를 하는 주제어시스템간의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렌다 및 텐타기등에서의 필간 이음새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이를 주 제어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화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설비에 있어서, 현장작업을 하는 장비들과 주제어시스템 간에는 주로 통신선로가 연결되어 현장장비에서 작업되는 작업현황에 대한 정보를 주제어시스템이 전송받고 이에 따른 제어명령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 경우 유선연결이므로 선로를 설치하는데 불편한 경우도 발생하고, 선로에 이상이 생길 우려도 많아 신뢰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카렌다나 텐타기 등의 작업에 있어서는, 필단위로 작업공정을 제어해야 하나 종래에는 필간 이음새를 인식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이에대한 정확한 제어가 어려웠다.
또한, 작업공정이나 현황을 호스트 컴퓨터가 인식하기 위해서는 필 인식과, 길이 및 각종 정보를 인식해야 하는데, 이러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 없고, 일부의 정보만을 호스트 컴퓨터에 전달하고 있으며, 나머지 부분들에 대해서는 작업자가 일일지 조정하거나 자료를 입력하고 조작제어를 하고 있으므로, 완전한 자동화라는 볼 수 없고, 준 자동화 시스템 정도로 만족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광센서를 이용하여 필간 이음새를 인식하고, 로터리 엔코더 및 로드셀을 이용하여 길이 및 중량을 인식하여 정확한 작업현황을 주제어시스템에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고안은 각 센서를 통해 작업정보를 수집하는 단말기가 주제어시스템에 수집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유선 통신선로 뿐 아니라 무선통신 모듈을 병행설치하여 어느한측의 에러가 발생되어도 작업제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카렌다 및 텐타기의 필간이음새 자동감지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필인식센서의 필간 이음새 감지원리를 보인 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작업현황 감지 및 통신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렌다 및 텐타기 21 : 로타리 엔코더
22 : 로드셀 23 : 필인식센서
24 : 바코드 스캐너 30 : 단말기
40 : 키조작부 50 : 유선통신선로
51, 82 : 직렬통신(RS232C)선로 52, 83 : 피씨(PC)
53, 84 : 랜 및 통신선로(RS485) 60 : 호스트 컴퓨터
70 : 알에프(RF) 모듈 80 : 무선통신선로
81 : 데이타 인터페이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카렌다 및 텐타기의 길이, 중량, 필간이음새 및 기타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로타리 엔코더, 로드셀, 필인식센서 및 바코드센서와, 상기 각 센서들의 감지값을 수집하여 전송할 데이터 정보로 만들고 그 데이터 정보를 유선 및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말기와, 그 단말기를 운전자가 조작하기 위한 키조작부와, 그 단말기와 호스트 컴퓨터간에 유선통신선로로 연결되는 피씨(PC)를 통해 유선통신하는 유선통신선로와, 그 단말기와 무선(RF) 통신을 하는 알에프모듈을 통하고 피씨를 통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하는 무선통신선로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카렌다 및 텐타기의 필단위별 작업현황과 길이, 중량 및 작업시간 현황 등을 수집하여 유선 및 무선으로 호스트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고, 그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유선 및 무선으로 작업제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필간 이음새 자동인식에 의한 유무선 통신 관리제어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렌다 및 텐타기(10)의 작업진행 길이를 감지하기 위한 로타리 엔코더(21)와,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로드셀(22)과, 필간 이음새를 인식하기 위한 필인식센서(23)와, 바코드센서(24)와, 상기 각 센서들의 감지값을 수집하여 전송할 데이터 정보로 만들고 그 데이터 정보를 유선 및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말기(30)와, 그 단말기(30)를 운전자가 조작하기 위한 키조작부(40)와, 상기 단말기(30)와 직렬통신 선로(RS232C)(51)에 의해 연결된 피씨(PC)(52)를 통한후 랜 및 직렬통신선로(RS485)(53)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 및 서버(60)에 연결되는 유선통신선로(50)와, 무선(RF)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알에프 모듈(70)과 이 알에프모듈(70)과 연결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81) 및 그 데이타 인터페이스(81)와 직렬통신선로(RS232C)(82)에 연결된 피씨(83)를 통한후 랜 및 직렬통신선로(RS485)(84)에 의해 상기 호스트컴퓨터 및 서버(60)에 연결되는 무선통신선로(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렌다 및 텐타기의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각종센서 즉, 로타리 엔코더(21), 로드셀(22) 및 필인식센서(23)를 이용하여 작업현황을 감지한다. 그리고, 호스트컴퓨터(60)에서 발생된 로트 번호(Lot No.)와 작업규격은 단말기(30)의 키조작부(40)를 조작하여 입력하거나 바코드 센서(24)를 이용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와같이 입력된 작업규격에 의거하여 단말기(30)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작업현황을 수집한다. 길이의 측정은 로타리 엔코더(21)를 부착하고, 로타리 엔코더(21)에서 발생되는 펄스 신호를 단말기(30)가 체크하여 길이를 계측한다. 중량은 로드셀(22)을 이용하여 검출하는데, 적당한 인디케이터와 직렬통신(RS232C)을 지원하여 측정하고, 필간 이음새는, 필인식센서(23)를 통해 감지한다.
상기 필인식센서(23)는, 광센서를 이용하는데, 이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필인식센서의 개념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의 빔 반사도를 이용한 인식원리이며, 필인식센서(23)인 광센서가 카렌다 및 텐타기(10)의 진행면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어 빔을 조사하면, 필간이음새(11)가 아닌 다른 부분에서는 즉, 일반면에서는 빔의 조사각도에 의거하여 반사되는 빔이 필인식센서(23)에 입사되지 못하고 외측으로 반사된다. 반면에, 필간이음새(11)는 불규칙면이 존재하므로, 그 불규칙면에 의거하여 반사된 빔이 필인식센서(23)에 입사된다. 이처럼 필인식센서(23)는 빔을 조사하고 있다가 필간 이음새(11)에서 반사되는 빔을 입사받으면 그에따른 수광신호를 발생하여 필간 이음새를 감지한다.
그리고, 필간인식센서(23)와 로타리엔코더(21)를 분리 설치하여 두 센서의 신호에 의거하여 단말기(30)가 자체 프로그램에 따라 길이를 산출하고 측정한다.
이와같이 감지되는 필간 이음새, 길이 및 중량에 따른 작업현황 정보는 단말기(30)에 의해서 데이터 정보로서 호스트 컴퓨터(60)측에 송신한다.
제3도는 데이터 통신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인식센서(23)를 이용하여 필간 이음새를 인식하는 단계(111)와, 로타리 엔코더(21)를 이용하여 이송길이를 측정하는 단계(112)와, 그 로타리 엔코더(21)의 이송길이값 및 필간 이음새 감지에 의거하여 길이를 산출하는 단계(113)와, 로드셀(22)을 이용하여 중량을 계측하는 단계(114)를 차례로 수행하고, 이렇게 측정된 필간 이음새 정보, 길이정보 및 중량정보를 유선통신선로(50) 및 무선통신선로(80)를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60)에 전송한다.
유선통신선로(50)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60)에 전송하는 방법은 통상의 직렬통신(RS232C) 선로(51)를 이용하여 피씨(52)로 전송하고, 피씨(52)에서 랜이나 RS485선로(53)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60)에 전송한다.
그리고, 무선통신선로(80)를 이용하여 호스트 컴퓨터(60)에 전송하는 방법은, 단말기(30)에서 RF모듈(70)을 통해 데이터 인터페이스(81)에 무선으로 전송하고, 그 무선데이타를 수신받은 데이터 인터페이스(81)는 직렬통신(RS232C)선로(82)를 통해 피씨(83)로 전송하고, 그 피씨(83)에서 랜이나 RS485선로(84)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60)에 전송한다.
결국 단말기(30)에서는 호스트 컴퓨터(60)로 작업현황 및 공정현황 등의 정보를 전송하여 호스트 컴퓨터가 작업 및 공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들어, 단말기(30)가 호스트 컴퓨터(60)로 전송하는 데이터는, 로트 번호(Lot No.) 및 필 번호와, 작업개시시간, 작업종료시간, 중량, 길이, 공정코드 및 설비코드 등을 호스트로 전송하여 작업현황 및 공정현황을 보고한다. 여기서, 로트번호나 필번호는 작업자가 키조작부(40)를 통해 입력시킬수도 있고, 바코드 스캐너(24)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공정코드나 설비코드는 단말기(30) 자체에서 미리 정해진 설비코드나 공정별 지행에 의거하여 설정되는 공정코드를 호스트 컴퓨터(60)에 전송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과 같이 여러 가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각종 작업현황 및 공정현황과 시간 등을 호스트컴퓨터로 전송하므로써, 호스트 컴퓨터가 공정관리 및 작업관리를 신속하고 정확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필단위별(또는 로트 단위별) 작업현황과 작업시간현황의 자료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호스트 컴퓨터에 전송하므로써,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고 합리적인 수율관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 필인식의 자동화로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데이터의 자동전송에 의한 작업관리 공수를 절감하고, 데이터의 신속성을 실현시켜 작업관리와 용이성을 도모하며, 생산현황의 실시간 실현에 의한 납기의 혁신적 개선이 도모하고, 궁극적으로 자동 관리 체계의 구축을 통한 생산관리 체계 및 관리체계의 혁신적 개선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카렌다 및 덴타기(10)의 작업진행 길이를 감지하기 위한 로타리 엔코더(21)와,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로드셀(22)과, 필간 이음새를 인식하기 위한 필인식센서(23)와, 바코드센서(24)와, 상기 각 센서들의 감지값을 수집하여 전송할 데이터 정보로 만들고 그 데이터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60)에 전송하는 단말기(30)와, 그 단말기(30)를 운전자가 조작하기 위한 키조작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렌다 및 텐타기의 필간이음새 자동감지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30)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60)간 통신 수단은, 상기 단말기(30)와 직렬통신 선로(RS232C)(51)에 의해 연결된 피씨(PC)(52)를 통한후 랜 및 직렬통신선로(RS485)(53)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60)에 연결되는 유선통신선로(50)와, 무선(RF)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알에프 모듈(70)과 그 알에프모듈(70)과 연결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81) 및 그 데이터 인터페이스(81)와 직렬통신선로(RS232C)(82)에 연결된 피씨(83)를 통한후 랜 및 직렬통신선로(RS485)(84)에 의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 및 서버(60)에 연결되는 무선통신선로(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렌다 및 텐타기의 필간이음새 자동감지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인식센서(23)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빔을 조사하여 필간 이음새에서만 반사 빔을 수신하여 필간 이음새를 감지하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렌다 및 텐타기의 필간이음새 자동감지 관리 시스템.
KR2019970000956U 1997-01-24 1997-01-24 카렌다 및 텐타기의 필간이음새 자동감지에 의한 관리 시스템 KR200174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956U KR200174653Y1 (ko) 1997-01-24 1997-01-24 카렌다 및 텐타기의 필간이음새 자동감지에 의한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956U KR200174653Y1 (ko) 1997-01-24 1997-01-24 카렌다 및 텐타기의 필간이음새 자동감지에 의한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878U KR19980056878U (ko) 1998-10-15
KR200174653Y1 true KR200174653Y1 (ko) 2000-03-02

Family

ID=1949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956U KR200174653Y1 (ko) 1997-01-24 1997-01-24 카렌다 및 텐타기의 필간이음새 자동감지에 의한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6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878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10634B2 (ja) フレキシブル加工系内の工作物の温度測定方法
CN103817427B (zh) 振动焊接设备的自动监测
CN112556564B (zh) 基于双层贴片天线的无源无线形变传感器及监测系统
CA2514577C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quality of industrial processes and method therefrom
JP2009532753A (ja) プロセスコンポーネントの識別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600745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ool usage
US20100185418A1 (en) Continuously-Arranged Sensor System, Network Unit, and Sensor Unit
CN211043666U (zh) 基于激光点云技术的隧道监测系统
CN109406954A (zh) 输电线路故障监测定位指示系统
US7124063B2 (en) Module with sensor means for monitoring industrial processes
JPH0933298A (ja) 設備診断システム
KR200174653Y1 (ko) 카렌다 및 텐타기의 필간이음새 자동감지에 의한 관리 시스템
CN112658039A (zh) 一种棒材轧线自动化控制系统和控制方法
EP2496994B1 (en) System for monitoring industrial processes
KR910000817B1 (ko) 측정데이터 집계 시스템
CN103776401A (zh) 一种汽车车灯面形尺寸的检测方法
CN109896426B (zh) 服务中心模式下的起重机结构健康在线监测系统
CN102686369A (zh) 用于诊断具有活动件的装置的设施
CN1133713C (zh) 推焦操作过程监测管理系统
JP2009169556A (ja) トレーシングシステム
CN207393257U (zh) 一种矿井煤尘遥测监控报警系统
CN208288230U (zh) 一种选煤无线集控系统
CN212512899U (zh) 一种智能立体车库车辆尺寸检测系统
CN105236269A (zh) 用于塔机标准节计数的检测装置、方法及资产统计系统
CN107826981B (zh) 一种通用门桥式起重机主梁扰度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