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485Y1 - 회전식 문구 케이스 - Google Patents

회전식 문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485Y1
KR200173485Y1 KR2019990018451U KR19990018451U KR200173485Y1 KR 200173485 Y1 KR200173485 Y1 KR 200173485Y1 KR 2019990018451 U KR2019990018451 U KR 2019990018451U KR 19990018451 U KR19990018451 U KR 19990018451U KR 200173485 Y1 KR200173485 Y1 KR 200173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tationery
main body
rotary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운
Original Assignee
송경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운 filed Critical 송경운
Priority to KR2019990018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4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4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Landscapes

  • Toy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종류의 문구를 용도나 크기등에 따라 분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문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회전식 문구 케이스는 중심부에 코어(12a)가 상부로 돌출된 회전본체(12)의 상부에 다수개의 칸막이가 2단으로 형성된 상부본체(13)가 밀착결합되어 다수개의 방사상 격실(16)(17)구조를 이루는 케이스 본체(11)와,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저면에서 본체(1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받침대(14)와, 하부받침대(14)의 환상활주부(14a)가 안착되는 회전본체(12)의 리브(21)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강구지지공(21a)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강구(15)와,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상부로 돌출된 코어부(13a)에 삽입되는 장식부재(30)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회전식 문구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앙격실부와 그 외측 하단부의 주변격실부에 필기구를 비롯한 각종 문구용품을 용도나 크기등에 따라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고 보관된 물품을 인출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켜 필요한 물품을 사용자의 전면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손쉽게 뽑아 쓸 수 있으며, 외관상 질서 정연한 느낌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아울러 그 외형이 마치 우주선 형상을 취하므로써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유발시켜 완구로서의 기능도 겸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문구 케이스{Stationery case}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종류의 문구를 분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문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각종 문구류를 용도나 크기등에 따라서 보관하기에 적합하도록 상부본체와 회전본체로 구성된 케이스 본체에 다수개의 격실을 형성하여 하부받침대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므로써 사용자가 본체를 회전시켜 필요한 문구를 쉽게 선택하여 쓸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미려한 장식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 회전식 문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필기구를 비롯한 가위나 칼등의 문구를 한 곳에 보관하기 위하여 사무실의 책상이나 학생들의 공부방 책상에 상기 각종 문구를 꽂아 두고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태의 문구 케이스가 제품화 되어 시중에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구 케이스는 그 외형이 원형이나 사각형 또는 기타 형상의 통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 평면적인 무늬나 색상으로 채색된 단조로운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개구부를 이루어 상부만이 다수개의 칸막이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종래의 문구 케이스는 볼펜, 샤프등의 각종 필기구와 가위, 칼등의 기타 문구를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서 세운 상태로 꽂아 두고 사용하므로써 여러가지의 문구가 한 통속에서 무질서하게 뒤섞여 있게 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문구를 찾아 쓰고자 할 경우 쉽게 선별해 내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문구 케이스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단조로워서 디자인적 미감을 중시하는 신세대적 감각에 뒤떨어질 뿐만 아니라 문구 케이스에 꽂아 둔 각종 필기구 및 문구가 뒤섞여 있으므로 해서 미관상 좋지 않게 보이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회전식 문구 케이스는 상기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본체와 회전본체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에 각종 문구를 용도나 크기에 따라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의 격실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저면에 강구가 개재되어 하부받침대상에 결합되는 구조로써 케이스 본체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여러 가지 문구류를 찾기 쉽도록 분류하여 보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마치 우주선 모양을 취하도록 하므로써 전체적인 장식적 미감을 향상시켜 완구로서의 기능도 겸할 수 있도록 한 문구 케이스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 회전식 문구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 회전식 문구 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3은 본 고안 회전식 문구 케이스의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문구케이스 11. 케이스본체
12. 회전본체 12a. 코어
12b. 중앙구획실 12c. 주변구획실
13. 상부본체 13a. 코어부
13b. 칸막이 14. 하부받침대
15. 강구 16. 중앙격실부
17. 주변격실부 21. 리브
21a. 강구지지공 30. 장식부재
40. 유리창 덮개 50. 캡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상부본체와 회전본체가 결합하여 다수개의 격실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 저면에 밀착결합되는 하부받침대와, 회전본체와 하부받침대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개의 강구로 이루어진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은 회전본체의 저면에 개재되어 있는 다수개의 베어링에 의해서 케이스 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한 문구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체적인 형상을 우주선 모양으로 형성하여 외관에서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한 데에 있다.
본 고안 회전식 문구 케이스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1은 본 고안 회전식 문구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 회전식 문구 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회전식 문구 케이스(10)는 중심부에 코어(12a)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본체(12)의 상부에 다수개의 칸막이(13b)가 2단으로 형성된 상부본체(13)가 밀착결합되어 케이스 본체(11)를 이루고, 상기 회전본체(12)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강구(15)가 개재되어 그 저면에 하부받침대(14)가 부착되므로써 상기 하부받침대(14)상에서 케이스 본체(11)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1)는 상부본체(13)의 코어부(13a)가 회전본체(12)의 코어(12a)를 중심축으로 하여 코어(12a)의 외주면상에 삽입되는데, 이렇게 결합된 케이스 본체(11) 중앙부의 코어부(13a) 외측면으로는 깊이가 깊은 3개의 격실로 이루어진 중앙격실부(13b)가 구성되고 중앙격실부(13b)의 외주면 하단부에 깊이가 얕은 다수개의 격실로 구성된 주변격실부(17)의 2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본체(12)는 중앙부에 내부가 비어있는 코어(12a)가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본체(13)의 코어부(13a)에 밀착 삽입되며, 코어(12a)의 외주면상으로 원형의 중앙구획실(12b)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주변구획실(12c)이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본체(12)와 상부본체(13)의 결합시에 회전본체(12)의 중앙구획실(12b)과 주변구획실(12c)은 상부본체(13)의 칸막이(13b)와 결합하여 다수개의 방사상 격실(16)(17)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회전본체(12)의 저면에는 하부받침대(14)상에 밀착결합되도록 환상의 리브(21)가 구비되며, 상기 리브(21)는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강구지지공(21b)이 구비되어 강구지지공(21b)의 내부에 다수개의 강구(15)를 삽입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본체(12)의 저면에 밀착결합되는 하부받침대(14)는 상부 외주면에 회전본체(12)의 리브(21)면에 안착되는 환상활주부(1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 저면에는 체결공(14b)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의 구조물이 순차적으로 유기적인 결합을 이루어 2단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격실(16)(17)을 갖춘 문구 케이스(10)로 조립되며, 그 후에 케이스 본체(11)의 상단부로 돌출되어 있는 코어부(13a)의 상단부에는 동전 삽입구(30a)가 형성된 반구 형상의 장식부재(30)가 끼워지고, 케이스 본체(10)의 주변격실부(17)에는 교호로 투명 합성수지나 유리로 이루어진 유리창 덮개(40)가 중앙격실부(16)의 외주면 하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장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도3은 본 고안 회전식 문구 케이스의 정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회전식 문구 케이스(10)는 케이스 본체(11)의 상부로 내부가 비어있는 코어(12a)와, 그 외주면에 비교적 깊게 형성된 중앙격실부(16)과, 그 외측면 하부에 형성된 깊이가 얕은 주변격실부(17)로 이루어진 수납공간이 구비되며, 케이스 본체(11)의 저부를 이루는 회전본체(12)에 구비된 리브(21)면에 다수개의 강구(15)가 개재되어 회전받침대(14)의 환상활주부(14a)에 활주 가능하게 밀착결합되므로써 회전받침대(14)상에서 케이스 본체(11)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본체(12)의 저면 중앙부에는 회전받침대(14)의 중앙부에 형성된 체결공(14b)에 삽입되어 회전본체(12)를 고정하기 위한 돌출봉(12c)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봉(12c)은 체결공(14b)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본체(12)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봉(12c)을 회전받침대(14)의 중앙에 구비된 체결공(14b)에 삽입하여 케이스 본체(11)와 회전받침대(14)를 조립한 다음에는 돌출봉(12c)의 하단부에 캡(50)을 끼워서 두 부재를 고정한다. 상기 캡(50)은 돌출봉(12c)과 체결공(14b)의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압착고정되어 돌출봉(12c)의 하단부에 단단한 고정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캡(50) 대신에 통상의 워셔나 나사등을 돌출봉(12c)의 하단에 끼워 줌으로써 케이스 본체(11)가 회전받침대(14)상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중심부를 이루는 코어부(13a)의 상단부에는 동전삽입구(30a)가 형성되어 있는 반구 형상의 장식부재가 삽입되어 저금통으로서의 기능도 겸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빛이 점등되거나 일정한 작동에 의해 경보음등이 소리가 날 수 있는 여타의 장식부재를 삽입하여 장식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사용례를 앞서 언급한 도2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회전식 문구 케이스(10)는 케이스 본체(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코어부(13a)를 저금통으로 사용하고, 코어부(13a)의 외주면에 형성된 3개의 중앙격실부(16)에는 각각 비교적 길이가 긴 볼펜, 형광펜등의 필기구와 칼이나 소형자등의 기타 문구류를 필요에 따라 분류하여 꽂아 둘 수 있다.
또한, 중앙격실부(16)의 외측면 하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주변격실부(17)에는 비교적 부피가 작은 접착풀병, 접착테이프 또는 스테플러나 지우개등을 넣고 보관할 수 있으며, 교호로 유리창 덮개(40)가 힌지결합된 격실에는 잃어버리기 쉬운 클립이나 스테플러칩등을 보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회전식 문구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의 중심부에 돌출되어 있는 코어부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3개의 중앙격실부과 그 외측 하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주변격실부에 필기구를 비롯한 각종 문구용품을 용도나 크기등에 따라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고 사용시에 필요한 문구를 선별하기가 용이하고 외관상 질서 정연한 느낌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아울러 회전받침대상에서 케이스 본체를 회전시켜 사용하므로써 필요한 물품을 사용자의 전면으로 이동시켜 손쉽게 뽑아 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회전식 문구 케이스는 그 외형이 마치 우주선 형상을 취하므로써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유발시켜 완구로서의 기능도 겸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문구를 꽂은채로 포장하여 선물용이나 기업체의 판촉용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중심부에 코어(12a)가 상부로 돌출된 회전본체(12)의 상부에 다수개의 칸막이가 2단으로 형성된 상부본체(13)가 밀착결합되어 다수개의 방사상 격실(16)(17)이 구비된 케이스 본체(11)와,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저면에서 본체(1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받침대(14)와, 하부받침대(14)의 환상활주부(14a)가 안착되는 회전본체(12)의 리브(21)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강구지지공(21a)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강구(15)와,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상부로 돌출된 코어부(13a)에 삽입되는 장식부재(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문구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중심부에 형성된 코어부(13a)의 외주면에 3구역으로 나뉘어진 중앙격실부(16)을 형성하며 이 중앙격실부(16)의 외측면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주변격실부(17)로 구성되고, 상기 주변격실부(17)에는 교호(交互)로 유리창 덮개(40)가 적어도 한개 이상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문구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본체(12)의 중앙부에 형성된 돌출봉(12c)이 회전받침대(14)의 저면 중앙에 구비된 체결공(14b)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봉(12c)의 하단부에 캡(50)이 억지끼워맞춤에 의한 압착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문구 케이스.
KR2019990018451U 1999-09-01 1999-09-01 회전식 문구 케이스 KR200173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451U KR200173485Y1 (ko) 1999-09-01 1999-09-01 회전식 문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451U KR200173485Y1 (ko) 1999-09-01 1999-09-01 회전식 문구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485Y1 true KR200173485Y1 (ko) 2000-03-15

Family

ID=1958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451U KR200173485Y1 (ko) 1999-09-01 1999-09-01 회전식 문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48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540B1 (ko) * 2016-01-06 2017-01-1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단형 필기구 꽂이함
KR20210014035A (ko) * 2019-07-29 2021-02-08 김태윤 다단식 원통형 보관함
KR20220074320A (ko) 2020-11-27 2022-06-03 염선영 문구 박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540B1 (ko) * 2016-01-06 2017-01-1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단형 필기구 꽂이함
KR20210014035A (ko) * 2019-07-29 2021-02-08 김태윤 다단식 원통형 보관함
KR102596226B1 (ko) 2019-07-29 2023-11-01 김태윤 다단식 원통형 보관함
KR20220074320A (ko) 2020-11-27 2022-06-03 염선영 문구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7145B2 (en) Novelty item
US6170708B1 (en) Dual-dispenser bottle having middle ornamental window
US6216856B1 (en) Holder for assorted desk articles
US20080175650A1 (en) Combined Toy and Writing Instrument or Other Article
US20160338460A1 (en) Hair accessory and jewelry organizer
US20090013566A1 (en) Desktop organizer
KR200173485Y1 (ko) 회전식 문구 케이스
US6675408B1 (en) Modular airplane-shaped bedroom furniture
US6035857A (en) Fingernail enhancing craft set
KR200467686Y1 (ko) 연필꽂이
JP4033664B2 (ja) 二重キャップ
CN213345128U (zh) 一种工艺品摆件
US4986683A (en) Tubular writing instrument
CN212213124U (zh) 一种组装式办公储物柜
TWM544479U (zh) 可旋轉變化外觀圖案的多用途容器
CN212949890U (zh) 一种木质工艺品笔筒
KR200344558Y1 (ko) 연필꽂이
KR940004669Y1 (ko) 장식용 연필꽂이 저금통
CN219883594U (zh) 一种桌面收纳器
KR930001518Y1 (ko) 문구용품 꽂이
CN219645224U (zh) 一种铅笔及学习工具的盛放装置
CN212089127U (zh) 一种旋转式活动收纳盒
CN201217351Y (zh) 台阶式旋转笔座
KR200271503Y1 (ko) 장식구 겸용 보관함
JP3129424U (ja) 資源再利用可能な紙製花挿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