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673Y1 - 휴대용냉보온물통 - Google Patents

휴대용냉보온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673Y1
KR200172673Y1 KR2019990004496U KR19990004496U KR200172673Y1 KR 200172673 Y1 KR200172673 Y1 KR 200172673Y1 KR 2019990004496 U KR2019990004496 U KR 2019990004496U KR 19990004496 U KR19990004496 U KR 19990004496U KR 200172673 Y1 KR200172673 Y1 KR 200172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cket
cold
wall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193U (ko
Inventor
윤기흥
Original Assignee
윤기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흥 filed Critical 윤기흥
Priority to KR2019990004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67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1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1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6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18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rig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8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wrappers or flexible containers, e.g. pouches, bags
    • B65D81/389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wrappers or flexible containers, e.g. pouches, bags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e.g. laminated or foam filling betwee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2003/166Hydration systems attached to the body by straps, e.g. incorporated in a backp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냉보온 물통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냉보온 물통을 물통, 냉보온통, 외피 백으로 각각 구분하되, 격벽이 설치되어 양측에 공간부를 갖는물통은 입구가 일측으로 편중되도록 PP재로 성형하고(통상적인 1.5ℓ의 음료수통 재질임), 냉보온통은 내외벽이 플라스틱재로 형성되고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스치로폼으로 된 단열재를 충진시킨 것으로서 상하부가 분리 결합되도록 하며, 외피 백의 상단 테두리부와 정면에는 슬라이드파스너를 봉재하여 냉보온통이 외피 백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출되도록 하고 상하단 외면 양측에는 걸고리를 형성하여 외출시 멜방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여행, 등산 등의 야외에서 컵이 없어도 시원한 물을 마실 수 있으며 또는 학교에서 학생들이 점심 식사 후 시원한 찬물을 마실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냉보온 물통{CARRYING ALONG WATER PAIL TO HAVE CUSTODY OF ICE WATER AND HOT WATER}
본 고안은 여름철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휴대용 물통에 관한 것으로서, 단열재로 형성된 냉보온통을 구비하여 물통을 수납하되 물통 상단 입구는 몸체 상면 테두리 일측으로 편중되도록 성형시켜 내부에 물을 넣으면 얼음이 입구 반대편의 격벽 내 공간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물통을 형성하여 등산, 여행, 농촌의 논 밭 등의 야외 또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점심 식사 후 시원한 얼음 물을 먹을 수 있도록 고안된 휴대용 냉보온 물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여행, 등산, 농촌의 논 밭 등에서 물을 마시기 위하여 별도의 물통을 휴대하게 되는데, 이 때 물통은 통상적인 생수통을 휴대하는 경우가 있으나 여름철에는 외부 기온이 높아 찬물이 미지근한 물로 변하여 시원한 물을 먹지 못하기 때문에 등산하기 전에 생수통을 미리 냉장고에서 얼린 후 가방에 넣고 등산하게 되나 등산 도중 물을 마실 때는 얼음이 빨리 녹아 물이 다시 미지근한 물로 변하여 시원한 물을 마시지 못하게 되는 점이 있으며, 학생들의 경우에는 점심 시간에 찬물을 먹기 위하여 얼린 물통을 책가방에 넣고 등교한 후 점심 식사한 다음 물을 마실 때에는 역시 얼음이 녹아 뜨거워진 상태이므로 시원한 물을 먹기가 어려울 뿐만아니라 얼음 물통이 책가방 내에서 녹아 물이 흘러 내리게 됨으로써 책이 젖는 등의 단점이 있으며, 학교에 설치된 냉·온수기의 물은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몰리게되면 처음 몇 사람은 시원한 찬물을 마실 수는 있으나 뒤에 서 있는 학생들은 찬물이 아닌 통상적인 물을 마시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휴대용 냉보온 물통을 물통, 냉보온통, 외피 백으로 각각 구분하여 형성하되, 내부 격벽을 갖는 물통은 입구가 상면 테두리 일측으로 편중되도록 PP재로 성형하고(통상적인 1.5ℓ의 음료수통 재질임), 냉보온통은 내외벽이 플라스틱재로 형성되고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스치로폼으로 된 단열재를 충진시킨 것으로서 상하부가 분리 결합되도록 구성하며, 외피 백의 상단 테두리부와 정면에는 슬라이드파스너를 봉재하여 냉보온통이 외피 백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출되도록 하고 상하단 외면 양측에는 걸고리를 형성하여 외출시 멜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여행, 등산, 농촌의 밭과 논 등의 야외에서 컵이 없어도 간편하게 마실 수 있으며 또는 학교에서 학생들이 점심 식사 후 시원한 찬물을 간단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냉보온통 상하 분리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물통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물통을 휴대할 수 있도록 된 외피 백.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물통, 1': 격벽, 1':연통공, 1a, 1b:공간부,
2:입구, 3:뚜껑, 3':지지관, 4:보조밸브,
5:냉보온통, 6, 6':통공, 7:내벽, 8:외벽,
9:상부몸체, 9':환형돌테, 10:하부몸체, 10':요홈테,
11:단열재, 12:외피 백, 13:슬라이드파스너,
14:멜방, 15:걸고리, 16:손잡이, 17:얼음,
18:주름관, 19:물,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을 담아 얼릴 수 있도록 된 물통에 있어서, PP재질로 된 물통(1) 상단 입구(2)가 몸통 상면 테두리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성형되고, 내부에 지지관(3')이 일체로 형성된 뚜껑(3) 상면에 보조밸브(4)을 형성하되 보조밸브(4)를 세우면 뚜껑(3) 저면 지지관(3')에 끼워져 물통(1) 내의 일측 공간부(1a)에 위치하는 주름관(18)과 일치하도록 된 것으로서 물통(1) 내부 3분의 2 지점에는 다수의 연통공(1')을 갖는 격벽(1')이 형성되어 공간부(1b)에 얼음(17)이 위치하고 내부 3분의 1 지점의 공간부(1a)에는 물(19)이 충만되도록 된 구성과;
상기 물통(1)의 입구(2)가 위치하도록 상면에 통공(6)을 갖는 냉보온통(5) 내벽(7)과 외벽(8)을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되 내벽(7)과 외벽(8) 사이에는 스치로폼으로 된 단열재(11)을 충진시켜서 상부몸체(9)와 하부몸체(10)를 구비하되 상부몸체(9) 저면에는 환형돌테(9')가 하부몸체(10) 상면 요홈테(10')에 인입출되도록 형성되어 상부몸체(9)와 하부몸체(10)를 결합하도록 된 냉보온통(5)의 구성과;
상기 냉보온통(5)이 인입출되도록 상단 테두리와 정면에 슬라이드파스너(13)가 봉재되고 상단과 하단 외면 양측에 멜방(14) 걸고리(15)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손잡이(16)가 형성된 외피 백(12) 상면에는 물통(1)의 입구(2)가 끼워지도록 통공(6')이 천공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상단 입구(2)가 일측으로 편중되도록 형성된 물통(1) 내의 공간부(1a)에서 주름관(18)을 빼낸 다음 보리물 또는 생수를 물통(1) 내 공간부(1b)에 가득 채운 후 공간부(1a)와 입구(2)가 상부로 향하도록 물통(1)을 도3과 같이 눕혀서 냉장고에서 얼린 다음 뚜껑(3)을 열어 먼저 보리물 또는 생수를 물통(1)에 담은 후 주름관(18)을 삽입하여 상단부가 뚜껑(3) 저면의 지지관(3')에 끼워지도록 하여 뚜껑(3)을 입구(2)에 결합하게 된다. 이 때 물통(1)내의 3분의 2 위치에 형성된 격벽(1') 일측 공간부(1b)에 있는 얼음(17)이 보리물 일 경우에는 입구(2) 저부 공간부(1a)에는 보리물을 넣고, 얼음(17)이 생수일 경우에는 공간부(1a)에 생수를 넣게 됨으로써 차후 얼음이 녹아 격벽(1')에 다수 형성된 연통공(1')을 통하여 남은 물과 혼합이 되더라도 맛이 변하거나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렇게 물이 담겨진 물통(1) 내의 공간부(1b)에서 얼은 얼음(17)이 녹아 흔들리더라도 격벽(1')이 형성된 관계로 공간부(1a)에 위치한 주름관(18)은 유동되거나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주름관(18)은 약간 수축된 상태로 상단이 지지관(3') 내에 위치하고 말단부는 도1과 같이 바닥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물이 흔들리더라도 물통(1) 내에 위치한 주름관(18)은 전혀 유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통(1) 내의 공간부(1b)와 공간부(1a)에 얼음(17)과 물이 채워지면 내벽(7)과 외벽(8) 사이에 단열재(11)가 충진된 냉보온통(5) 하부몸체(10)에 물통(1)을 넣은 후 상부몸체(9)의 통공(6)이 물통(1)의 뚜껑(3)부가 끼워지도록 하여 상부몸체(9)를 누르면 상부몸체(9) 저면에 돌출된 환형돌테(9')가 하강하면서 하부몸체(10)의 요홈테(10')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물통(1)을 냉보온통(5) 내에 삽입시킨 다음에는 외피 백(12)의 상단 테두리와 정면에 봉재된 슬라이드파스너(13)를 개구시켜 냉보온통(5)을 삽입시킨 후 슬라이드파스너(13)을 닫게 된다.
이와 같이 물통(1)과 냉보온통(5) 및 외피 백(12)을 결합시킨 후 등산, 여행, 농사일을 할 때 등에 외피 백(12) 상단 외면 양측에 형성된 걸고리(15)의 멜방(14)을 사용자의 어깨 또는 목에 걸고, 하단의 양측 걸고리(15)의 멜방(14)은 허리에 결착하면 물통은 신체에 밀착 고정되어 간단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등산시 또는 들에서 농사일을 할 때 목이 마르면 물통을 이탈시킬 필요없이 약간 들어 올린 다음 뚜껑(3)의 보조밸브(4)가 수직이 되도록 세우면 저부의 지지관(3')에 지지된 주름관(18) 입구와 일치되어 보조밸브(4)와 주름관(18)은 연통되므로 보조밸브(4)를 입에 물고 빨아 마시면 공간부(1a) 내의 물을 간단 용이하게 마실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물을 마신 다음에는 보조밸브(4)을 닫으면 옆으로 눕혀진 상태가 되어 지지관(3') 내의 주름관(18) 입구는 폐쇄된다.
이 때 물통(1) 내부에 위치한 얼음(17)은 용기 내의 3분의 2 정도의 용량 크기로 형성된 공간부(1b)에 위치한 것으로서 냉보온통(5)의 단열재(11)로부터 외부의 더운 공기를 차단한 상태가 되므로 얼음은 쉽게 녹지 않고 서서히 녹게 되어 완전히 녹을 때까지는 10시간 이상 소요되므로 물통(1) 내의 물은 항상 시원하다. 또한 물통(1) 내 공간부(1a)의 얼지 않은 물은 처음에 담을 때 양은 3분의 1 가량이지만 얼음이 서서히 녹으면서 격벽의 연통공을 통하여 물과 합류하므로 얼음이 완전히 녹을 때까지는 물을 계속해서 마실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여러 사람이 먹을 경우에는 물통(1)의 뚜껑(3)을 개구시켜 컵에 물을 따라 마실 수도 있으며, 혼자서 마실 경우에는 두껑(3) 상단에 형성된 보조밸브(4)를 이용하여 물을 빨아 마실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컵을 사용하지 않고 보조밸브(4)를 이용하여 물을 마실 수 있게 됨으로써 주행 중인 승용차 및 버스 안에서 어린이들이 간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등산, 여행, 농촌에서 들일을 할 때 야외에서 컵이 없어도 간단 용이하게 시원한 얼음 물을 마실 수 있게 됨은 물론 특히 학생들이 책가방에 얼음 물을 넣거나 멜방을 이용하여 별도록 휴대하더라도 외부로 물방울이 맺혀 책이 젖거나 옷이 젖는 일이 없으며, 점심 식사 후 시원한 얼음 물을 마실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물병의 구조상 얼음을 얼리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구조이지만 겨울철에 뜨거운 물을 담아 야외 혹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뜨거운 물을 마실 수 있게 된 것으로서, 중량이 가볍고 휴대가 간편함과 동시에 내부에 주름관이 내장되어 야외에서 간단 용이하게 물을 마실 수 있게 된 효과를 갖게 되었다.

Claims (1)

  1. 물을 담아 얼릴 수 있도록 된 물통에 있어서, PP재질로 된 물통(1) 상단 입구(2)가 몸통 상면 테두리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성형되고, 내부에 지지관(3')이 일체로 형성된 뚜껑(3) 상면에 보조밸브(4)를 형성하되 보조밸브(4)를 세우면 뚜껑(3) 저면 지지관(3')에 끼워져 물통(1) 내의 일측 공간부(1a)에 위치하는 주름관(18)과 일치하도록 된 것으로서 물통(1) 내부 3분의 2 지점에는 다수의 연통공을 갖는 격벽(1')이 형성되어 공간부(1b)에 얼음(17)이 위치하고 내부 3분의 1 지점의 공간부(1a)에는 물(19)이 충만되도록 된 구성과;
    상기 물통(1)의 입구(2)가 위치하도록 상면에 통공(6)을 갖는 냉보온통(5) 내벽(7)과 외벽(8)을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되 내벽(7)과 외벽(8) 사이에는 스치로폼으로 된 단열재(11)을 충진시켜서 상부몸체(9)와 하부몸체(10)를 구비하되 상부몸체(9) 저면에는 환형돌테(9')가 하부몸체(10) 상면 요홈테(10')에 인입출되도록 형성되어 상부몸체(9)와 하부몸체(10)를 결합하도록 된 냉보온통(5)의 구성과;
    상기 냉보온통(5)이 인입출되도록 상단 테두리와 정면에 슬라이드파스너(13)가 봉재되고 상단과 하단 외면 양측에 멜방(14) 걸고리(15)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손잡이(16)가 형성된 외피 백(12) 상면에는 물통(1)의 입구(2)가 끼워지도록 통공(6')이 천공시킨 것으로 물병(1)과 냉보온통(5), 외피백(12)이 결합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보온 물통.
KR2019990004496U 1999-03-20 1999-03-20 휴대용냉보온물통 KR200172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496U KR200172673Y1 (ko) 1999-03-20 1999-03-20 휴대용냉보온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496U KR200172673Y1 (ko) 1999-03-20 1999-03-20 휴대용냉보온물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193U KR19990033193U (ko) 1999-08-05
KR200172673Y1 true KR200172673Y1 (ko) 2000-03-15

Family

ID=1957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496U KR200172673Y1 (ko) 1999-03-20 1999-03-20 휴대용냉보온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6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953B1 (ko) * 2002-09-09 2008-03-10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듀얼 다마신 구조 형성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세정액 및기판의 처리방법
KR200445835Y1 (ko) * 2008-01-21 2009-09-03 유제우 분리형 보온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953B1 (ko) * 2002-09-09 2008-03-10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듀얼 다마신 구조 형성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세정액 및기판의 처리방법
KR200445835Y1 (ko) * 2008-01-21 2009-09-03 유제우 분리형 보온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193U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4329B1 (en) Cooler with beverage dispenser
US5555746A (en) Two liter insulated cooler containers
EP1328449B1 (en) Isothermal bag for bottles and foodstuffs
US4741176A (en) Beverage cooler
US6082896A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a beer or soda keg
US6227004B1 (en) Portable air conditioner/beverage container
US6481014B1 (en) Cooler with integral beverage retainers
US20080237260A1 (en) Beverage Dispenser and Sealed Dispensing unit
US20030230511A1 (en) Fold up insulated bottle holder
CN201920313U (zh) 可再加热的冷暖壶
US7415839B2 (en) Cooler receptacle
US6536637B1 (en) Combination backpack and water container
US6276164B1 (en) Ice chest wrap
KR200172673Y1 (ko) 휴대용냉보온물통
US20080202150A1 (en) Ice keeper
US20230406603A1 (en) System to hold multiple beverage containers
US11141012B1 (en) Float with beverage holder cooler
US20090166368A1 (en) Canteen cup insulator
KR200386022Y1 (ko) 보온보냉이 가능한 가방 겸용 배낭
GB2355644A (en) Attachment for a drinking vessel
AU2021100908A4 (en) Improved wine (beer) or beverage cooler bag ( Temperature maintaining bag)
KR20110004017U (ko) 광고지 삽입이 가능한 휴대용 보온컵
KR200188022Y1 (ko) 휴대용 냉보온 물통
KR200412069Y1 (ko) 이중 용기
KR200433230Y1 (ko) 물통수납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