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117Y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117Y1
KR200172117Y1 KR2019990020068U KR19990020068U KR200172117Y1 KR 200172117 Y1 KR200172117 Y1 KR 200172117Y1 KR 2019990020068 U KR2019990020068 U KR 2019990020068U KR 19990020068 U KR19990020068 U KR 19990020068U KR 200172117 Y1 KR200172117 Y1 KR 200172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eat
user
fixed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열
Original Assignee
김흥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열 filed Critical 김흥열
Priority to KR2019990020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1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bar or leaf sp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개시된 의자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구조에 따라 머리받이의 위치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리, 사용자가 앉는 자리 및 상기 자리에 앉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구비하는 의자; 및 상기 의자의 등받이와 분리되고 상부에는 좌우 양측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무게 추가 설치되는 머리받이를 구비하고, 또한 의자에는; 상기 자리 및 등받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및 축핀; 상기 다리의 전방 지지간에 고정된 고정구에 고정되고 내부가 중공 관체인 안내관; 상기 안내관의 중공 관체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일단이 상기 자리의 저면에 고정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내봉; 상기 안내관 일측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봉을 구속 및 해제하는 판 스프링; 및 사용자가 회전 놉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안내봉을 구속 및 해제하게 하는 회전축 및 고정 보스로 이루어지는 경사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A chair}
본 고안은 사용자가 편하게 앉아 소정의 업무를 보거나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구조에 따라 머리받이의 위치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의자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의자 전체를 지지하는 다리와, 사용자가 앉는 자리와, 상기 자리에 앉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의자에 최근에는 사용자가 좀 더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등받이의 각도를 사용자 자신의 신체 구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머리 부위 및/또는 목 부위를 받치는 머리받이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구비된 의자는 강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등받이의 각도 조절에 많은 힘이 들었다.
또한 의자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머리 부위 및/또는 목 부위를 받치는 머리받이는 등받이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 구조 즉, 키가 박은 사용자들은 머리받이의 위치가 너무 높아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간단히 등받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구조에 따라 간단히 머리받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의자에 따르면, 다리, 사용자가 앉는 자리 및 상기 자리에 앉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구비하는 의자; 및 상기 의자의 등받이와 분리되고 상부에는 좌우 양측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무게 추가 설치되는 머리받이를 구비한다.
또한 의자에는, 상기 자리 및 등받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및 축핀; 상기 다리의 전방 지지간에 고정된 고정구에 고정되고 내부가 중공 관체인 안내관; 상기 안내관의 중공 관체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일단이 상기 자리의 저면에 고정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내봉; 상기 안내관 일측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봉을 구속 및 해제하는 판 스프링; 및 사용자가 회전 놉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안내봉을 구속 및 해제하게 하는 회전축 및 고정 보스로 이루어지는 경사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의자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의자에서 경사각도 조절부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의자에서 경사각도 고정부를 보인 도 2의 A - A 선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의자에 사용되는 머리받이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리 20 : 자리
30 : 등받이 40, 43a : 힌지
40a, 43b : 축핀 41 : 고정구
42 : 안내관 42b : 개구부
42a : 중공관체 43 : 안내봉
44 : 판 스프링 45 : 고정 보스
45a : 나선 홈 46 : 회전축
46a : 나선 47 : 조절 놉
50 : 머리받이 51 : 연결부
52 : 무게 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의자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의자를 보인 사시도이다.
여기서, 부호 10은 의자 전체를 지지하는 다리이고, 부호 20은 사용자가 앉는 자리이며, 부호 30은 상기 자리(20)에 앉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이다.
이러한 기본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의자에 있어서, 본 고안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3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경사각도 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경사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자리(20) 및 등받이(30)가 힌지(40) 및 축핀(40a)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다리(10)의 전방 지지간(11)에 용접 등으로 고정구(41)가 고정되어 이 고정구(41)에, 내부가 중공 관체(42a)인 안내관(42)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관(42)의 중공 관체(42a)에는 안내봉(43)이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안내봉(43)의 전방 일단은, 상기 자리(20)의 저면에 고정된 힌지(43a)에 축핀(43b)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안내관(42)의 일측에는 개구되어 개구부(42a)가 형성되고, 개구부(42b)의 내측에 판 스프링(44)이 내장되며, 개구부(42b)의 외측에는 나선 홈(45a)이 형성된 고정 보스(45)가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보스(45)의 나선 홈(45a)에는 회전 축(46)의 일단에 구비된 나선(46a)이 나사 결합되어 회전축(46)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판 스프링(44)이 상기 안내봉(43)을 압박 및 해제하게 설치되고, 회전축(46)의 타단은 상기 다리(10)의 측면 지지간(1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조절 놉(47)이 설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의자에 사용되는 머리받이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30)와 분리되어 머리받이(50)가 구비되고, 머리받이(50)의 상단에는 좌우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부(51)가 구비되어, 머리받이(50)에 대향되는 연결부(51)의 내측, 즉, 연결부(51)의 중간부 내측에 머리받이(50)의 중량에 대응되는 무게 추(5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의자는 사용자가 의자의 자리(20)에 앉을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키 등의 신체 구조에 따라 머리받이(50)를 등받이(30)의 적당한 위치에 위치시키고, 머리받이(50)의 연결부(51)를 등받이(30)의 후방으로 넘겨 무게 추(52)가 등받이(30)의 후방에 위치되게 한다.
이와 같이 머리받이(50)의 위치를 사용자 자신의 신체 구조에 적합하게 조절한 후 의자의 자리(20)에 앉고, 사용자의 등을 등받이(30)에 기댄 상태에서 등받이(30)의 각도를 조절할 경우에 조절 놉(47)을 잡고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46)이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축(46)의 일단에 구비된 나선(46a)이 고정 보스(45)의 나선 홈(45a)에서 약간씩 인출되면서 판 스프링(44)의 압박이 해제된다.
그러면, 판 스프링(44)이 자체의 탄성력으로 점차 원상 복귀되면서 안내봉(43)을 압박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안내봉(43)은 안내관(42)의 중공 관체(42a)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자의 자리(20)에 앉은 상태에서 몸을 전후로 이동시킴에 따라 자리(20)가 전후로 이동되면서 안내봉(43)이 안내관(42)의 중공 관체(42a)를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되고, 자리(20)의 전후 이동에 따라 힌지(40) 및 축핀(40a)을 축으로 하여 등받이(30)가 회전 및 경사 각도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 자신의 신체 구조에 적합하게 등받이(30)의 각도가 조절되면, 사용자는 조절 놉(47)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조절 놉(47)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46)이 회전하면서 판 스프링(44)을 압박하게 된다.
그러면, 판 스프링(44)이 안내봉(43) 측으로 휘어지면서 안내봉(43)을 구속하게 되고, 안내봉(43)의 구속에 따라 자리(20)가 이동하지 않고, 현재 위치에 고정되며, 등받이(30)가 각도 조절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구조에 따라 적합한 위치에 간단히 머리받이를 위치시킬 수 있고, 또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편한 자세로 의자에 앉을 수 있다.

Claims (2)

  1. 다리, 사용자가 앉는 자리 및 상기 자리에 앉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구비하는 의자; 및
    상기 의자의 등받이와 분리되고 상부에는 좌우 양측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무게 추가 설치되는 머리받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에는;
    상기 자리 및 등받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및 축핀;
    상기 다리의 전방 지지간에 고정된 고정구에 고정되고 내부가 중공 관체인 안내관;
    상기 안내관의 중공 관체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일단이 상기 자리의 저면에 고정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내봉;
    상기 안내관 일측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봉을 구속 및 해제하는 판 스프링; 및
    사용자가 회전 놉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안내봉을 구속 및 해제하게 하는 회전축 및 고정 보스로 이루어지는 경사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2019990020068U 1999-09-17 1999-09-17 의자 KR200172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068U KR200172117Y1 (ko) 1999-09-17 1999-09-17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068U KR200172117Y1 (ko) 1999-09-17 1999-09-17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117Y1 true KR200172117Y1 (ko) 2000-03-15

Family

ID=1958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068U KR200172117Y1 (ko) 1999-09-17 1999-09-17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1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3655A (en) Multi-position convertible therapeutic chair
US4695093A (en) Work chair
WO2007021005A1 (ja) 椅子
JPH0822250B2 (ja) 椅 子
JP2009509592A (ja) 椅子
US20060103221A1 (en) Ergonomic chair
CA2087981A1 (en) Work chair, more particularly an office chair
JP2003521956A (ja) 椅子機構
JP2024026561A (ja) 椅子
JPH10179315A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支持構造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JP4185754B2 (ja) 椅子の背もたれ構造
KR200172117Y1 (ko) 의자
GB2390802A (en) Furniture fitted with a motor driven body stretching device to extend the spine of the user
KR200379971Y1 (ko) 요추지지 의자
JP2002119347A (ja) 椅 子
JP2555234Y2 (ja) 椅子の傾動構造
JP3644518B2 (ja) 椅子
KR200423861Y1 (ko) 의자
KR102491240B1 (ko) 틸트기능을 갖는 의자
KR102057254B1 (ko) 팔걸이 의자 어셈블리
CN215015412U (zh) 一种具有腰靠位置调节功能的座椅
KR102104759B1 (ko) 요추전만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각도조절식 의자용 좌판
KR100676208B1 (ko) 척추교정용 의자
KR102057252B1 (ko) 팔걸이 의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