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015Y1 - 유연한 중간롤을 갖는 롤러레벨라 - Google Patents

유연한 중간롤을 갖는 롤러레벨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015Y1
KR200172015Y1 KR2019990019212U KR19990019212U KR200172015Y1 KR 200172015 Y1 KR200172015 Y1 KR 200172015Y1 KR 2019990019212 U KR2019990019212 U KR 2019990019212U KR 19990019212 U KR19990019212 U KR 19990019212U KR 200172015 Y1 KR200172015 Y1 KR 200172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haft
leveler
coupled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찬균
오춘만
이순행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9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0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0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71Levelling the roll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벨러를 구성하는 백업롤과 워크롤 사이에 변형과 복원력이 좋은 유연한 중간롤(110)을 설치하여 강판의 부분교정시 백업롤(41)의 압하에 의한 워크롤(42)의 손상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강판의 롤 마크 불량을 방지하는 유연한 중간롤을 갖는 롤러 레벨러에 관한 것이다.
구성으로는 양단부에 레벨러 후레임에 결합되는 베어링(120)이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110)와, 상기 샤프트에 구비된 나사산(111)에 끼워져 나선이동되는 더블너트(130)와, 상기 더블너트에 이어 순차적으로 샤프트(110)를 권선하여 끼워지는 스프링(150) 및 가이드 링(160)과, 상기 가이드 링에 이어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복수개의 가이드 라이너(170)사이 샤프트에 끼워진 러버 쿠션롤(181) 외주면에 사각봉 형상의 강선이 밀착되게 권선되어 있는 중간롤(180)과, 상기 가이드 라이너에 밀착되며 샤프트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후측으로는 베어링에 밀착되는 중간롤 세트를 종래 레벨러의 백업롤(11,41)과 워크롤(12,42) 간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서 구성된 유연한 중간롤을 갖는 롤러 레벨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연한 중간롤을 갖는 롤러레벨라{Flexible Intermedaite Roll of Roller Leveller}
본 고안은 유연한 중간롤을 갖는 롤러 레벨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레벨러를 구성하는 백업롤과 워크롤 사이에 변형과 복원력이 좋은 유연한 중간매개롤을 설치하여 강판의 부분교정시 백업롤의 압하에 의한 워크롤의 손상 및 이로인한 강판의 롤 마크와 같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롤러 레벨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의 제조는 제선, 제강 및 주조공정이 완료된 스라브를 열간압연 냉간압연 소둔등의 공정을 거쳐 박판을 제조하게되며 상술한 과정중 압연공정에서 롤의 마모 혹은 압연기의 이상에 의해 강판의 평탄도가 저해되는 현상, 즉 강판의 중앙부 평탄도가 저해되는 형상불량(Build up)이나 양가장자리의 평탄도가 저해된 Edge Wave 등이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평탄도가 저해된 강판은 수요자들이 후속공정에 투입시 제품불량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압연공정에서는 이러한 평탄도 불량강판을 교정하여 수요자에게 인도하게 되며 이러한 평탄도 불량은 강판품질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여 제품으로써 합격, 불합격 판정에 중요요소가 된다.
레벨러는 이러한 평탄도 불량의 강판에 연신을 부여한 상태로 서로 엇갈리는 롤 사이에 강판을 통과시켜 상,하에서 압하하여 형상을 교정하여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장비이다.
레벨러는 강판을 전체적으로 교정하는 텐션레벨러와 전체와 아울러 강판의 일부를 특별히 교정하는 롤러 레벨러로 구별된다.
부분적 교정 필요성이 없는 텐션레벨러의 경우에는 각 롤이 고정된 수평상태로 배치되어 작용되게 되므로 어느 한 롤이 집중적인 부하를 받지 않으므로 롤 손상요인이 적은데 반하여 강판전체중 평탄도가 심히 불량한 국부교정을 병행하는 롤러 레벨러는 상부 롤 세트인 상부 워크롤(12) 상부 백업롤(11)를 중심으로 하부롤셋트인 하부 워크롤(42) 하부 백업롤(41)이 상측으로 압하되어 상부 워크롤(12)과 하부 워크롤(42) 사이에 강판이 통과되며 교정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중 국부적인 교정이 시행될시에는 도 6에 되시된 바와 같이 5∼7개로 구성된 하부 백업롤(41)중 강판의 교정을 요하는 부위의 하부 백업롤(41)을 상측으로 압하시켜 교정하게 되어 상측으로 압하된 하부 백업롤(41)은 하부 워크롤(42)의 중간부를 밀어올리게 되어 하부 워크롤(42)이 흰상태에서 회전하게 되어 압하된 백업롤(41)의 모서리부분에 집중된 압하력에 의해 하부 워크롤(42)은 변형되거나 손상을 입게된다.
도 5는 하부 워크롤(42)의 변형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하부 백업롤(41)과 접하며 회동되는 과정에서 백업롤(41)과 접촉되는 부위는 손상을 입게되며 이러한 손상부는 강판과 접촉되며 강판에 롤 마크를 형성시켜 강판의 또 다른 불량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손상된 하부 워크롤(42)를 교체하기 위하여는 하부롤셋트(40) 전체가 불록으로 구성되어 셋트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며 교체시간은 장시간을 필요로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또 다른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변형 및 복원력이 우수한 유연한 중간롤을 하부 백업롤과 하부 워크를 사이에 설치하여 백업롤의 힘을 워크롤에 손상을 주지않는 상태에서 전달하여 교정효과를 유지함과 동시에 조합된 롤간 상호 접촉과정에서 발생되는 롤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의 중간롤이 구비된 롤러 레벨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구비된 롤러 레벨러의 롤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종래 롤러 레벨러의 롤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종래 롤러 레벌러의 하부 워크롤의 변형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종래 롤러 레벨러의 구조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면중 주요부호에 관한 설명〕
10 ... 상부 롤 셋트 11 ... 상부 백업롤
12 ... 상부 워크롤 20 ... 실린더
30 ... 상부 롤 후레임 40 ... 하부롤셋트
41 ... 하부 백업롤 42 ... 하부 워크롤
50 ... 구동모타 60 ... 강판
70 ... 롤 마크 110 ... 샤프트
111 ... 나사산 120 ... 베어링
130 ... 더블너트 140 ... 라이너
150 ... 스프링 160 ... 가이드링
170 ... 가이드라이너 171 ... 연장부
180 ... 중간롤 181 ... 라바쿠션 롤
190 ... 샤프트헤드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성취시키기 위한 구성은 업 다운 조정이 가능한 다수개의 하부 백업롤 상측에 설치되며 구동모타에 회동되게 결합된 하부 워킹롤로 이루어진 하부롤셋트와,
상기 하부워킹 롤 상측으로 강판이 통과되는 통로가 구비된 상측에 구비되며 구동모타에 회동되게 결합된 상부 워킹롤 및 상기 상부 워킹롤 상측에 접촉되며 상부 롤 후레임에 회동되게 결합된 상부 백업롤로 이루어진 상부 롤 셋트와,
상부 백업롤이 고정된 상부 롤 후레임에 결합되어 상부 롤 후레임을 업 다운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된 롤러 레벨라에 있어서, 양단부에는 레벨러 후레임에 구비된 베어링 부록에 끼워져 결합되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일측 베어링 내측 원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구비된 나사산에 끼워져 나선이동되는 다블너트와,
상기 더블너트에 이어 순차적으로 샤프트를 권선하며 끼워지는 스프링 및 가이드링과,
상기 가이드링에 이어 순차적으로 샤프트에 끼워지는 가이드라이너와,
상기 가이드라이너에 이어 순차적으로 샤프트에 끼워진 라바쿠션 롤 외주면에 사각봉 형상이 밀착되게 권선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며 그 사각봉 단부는 가이드라이너에 결합되는 중간롤과,
상기 중간롤에 이어 샤프트에 끼워진 가이드라이너와,
상기 가이드라이너에 밀착되어 샤프트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후측으로는 상기한 베어링에 밀착되는 샤프트 헤드로 구성된 유연한 중간롤로 구성된다.
이하 일실시예에 의하여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단부에는 레벨러 후레임에 구비된 베러링 부록에 끼워져 결합되는 베어링(120)이 장착되며 일측 베어링(120) 내측 원주면에는 나사산(111)이 일정구간 형성된 샤프트(110)과,
상기 베어링(120)에 연이어 상기한 나사산(111)에 끼워져 나선이동되며 양측에는 접촉마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라이너(140)가 구비된 더블너트(130)와,
상기 더블너트(130)에 이어 샤프트를 권선하며 끼워져 그 압축력으로 샤프트내 끼워지는 부품을 밀어주는 스프링(150)과,
상기 스프링(150)과의 접촉마찰을 줄여주기 위하여 스프링(150)에 연이어 샤프트(110)에 끼워지는 라이너(140)와,
상기 가이드라이너에 이어 샤프트에 끼워져 샤프트(110)에 끼워지는 부품을 결속시켜주는 가이드링(160)과,
상기 가이드링에 이어 샤프트(110)에 끼워지며 횡방향으로 외주면이 연장되어 서로 마부보며 공간부를 형성하는 가이드라이너(170)와,
상기한 1쌍의 가이드라이너(170) 사이 샤프트(110)에 끼워진 라바쿠션롤
(181) 외주면에 시각봉 형상의 강선이 밀착되게 권선되어 그 끝단은 가이드라이너
(170)에 구비된 연장부(171) 내측으로 끼워지는 중간롤(180)과,
상기 중간롤(180)이 결합되는 가이드라이너(170)가 밀착되도록 샤프트(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50)의 복원력을 지지하는 샤프트헤드(190)와,
상기 샤프트 헤드 후측으로 샤프트(110)에 끼워지며 베러링과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라이너(140)로 구성된다.
이하 작용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구비된 롤러 레벨러를 이용하여 강판의 국부를 교정하는 경우 하부 백업롤(41)을 업,다운시켜 교정을 요하는 위치에 조정시키고 레벨러를 가동시킴과 동시에 강판을 장입시키면 하부 백업롤(41) 상측에 하측이 접촉되며 상측으로는 워크롤(42)에 접촉되는 중간롤(180)은 백업롤(41)로부터 부분적 압하를 받으면 길이방향으로 신장하게 되며 압하량을 워크롤(42)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압하력이 소멸되면 중간롤을 구성하는 면강의 자체탄성과 압력조절 스프링(150)에 의해 원형을 회복하게 된다. 또한 회전시 롤면은 스프링 형상으로 권선이되어 조립선이 사행하게 되어 경이 서로 다른 롤의 불특정 범위와 접촉되게 되어 상대 롤 면인 워크롤(42)에 롤 마크를 유발시키지 않게 되어 강판교정시 롤 마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간롤면은 사각봉을 스프링 형식으로 권선하여 롤면을 구성하고 있어 유연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내부의 라바쿠션용롤(181)의 고탄성에 의해 유연성이 배가되게 되어 백업롤(41)의 부분압하시 길이방향 신축성이 중대되어 백업롤 압하에 의한 변형 및 복귀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샤프트(110)에 나선결합된 더블너트(130)는 스프링(150)의 압축력을 조정하여 중간롤의 유연성을 높여줌과 동시에 일측방향의 스프링(150)의 압축 복원력을 지지하는 작용을 하며 타측방향에서는 샤프트(110)에 일체로 구성된 샤프트 헤드(190)가 스프링(150)의 압축 복원력을 지지하여 결과적으로 스프링(150)의 압축력을 조정하는 더블너트(130)의 잠금 풀림에 의해 중간롤의 유연성이 조정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효과로는 하부 백업롤에 압하를 가할시 백업롤과 워크롤의 접촉시 백업롤 모서리부에 의해 워크롤에 손상을 주는 요인을 해소하여 강판교정시 롤 손상부에 의해 발생하는 롤 마크에 의한 강판불량을 방지하는 효과와 롤 손상을 방지하여 롤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와 롤 손상에 의한 롤 교체시간을 없애 작업시간 증대에 의한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업 다운 조정이 가능한 다수개의 하부 백업롤(41)상측에 설치되며 구동모타
    (50)에 회동되게 결합된 하부 워크롤(42)로 이루어진 하부롤셋트(40)와,
    상기 하부워킹롤(32) 상측으로 강판이 통과하는 통로가 구비된 상측에 구비되며 구동모타(50)에 회동되게 결합된 상부 워크롤(12) 및 상기 워크롤(12) 상측에 접촉되며 상부롤 후레임(30)에 회동되게 결합된 상부 백업롤(11)로 이루어진 상부롤셋트(10)와,
    상부 백업롤(11)이 고정된 상부롤 후레임(30)에 결합되어 상부롤 후레임(30)을 업 다운시키는 실린더(20)로 구성된 롤러 레벨라에 있어서, 양단부에 레벨러 후레임에 구비된 베어링 부록에 끼워져 결합되는 베어링(120)이 장착되며 일측 베어링(120) 내측 외주면에는 나사산(111)이 형성된 샤프트(110)와,
    상기 샤프트(110)에 구비된 나사산(111)에 끼워져 나선이동되는 더블너트
    (130)와,
    상기 더블너트에 이어 순차적으로 샤프트(110)를 권선하며 끼워지는 스프링 (150) 및 가이드링(16)과,
    상기 가이드링(160)에 이어 샤프트에 끼워진 가이드라이너(170)와,
    상기 가이드라이너(170)에 이어 샤프트(110)에 끼워진 라바구션롤(181) 외주면에 사각봉 형상의 강선이 밀착되게 권선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며 그 사각봉 단부는 가이드라이너(170)에 결합되는 중간롤(180)과,
    상기 중간롤(180)에 이어 샤프트에 끼워진 가이드라이너(170)와,
    상기 가이드라이너(170)에 밀착되며 샤프트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후측으로는 베어링(120)에 밀착되는 샤프트헤드(190)로 구성된 유연한 중간롤셋트를 백업롤(11)(41)과 워크롤(12)간에 위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중간롤을 갖는 롤러 레벨러.
KR2019990019212U 1999-09-09 1999-09-09 유연한 중간롤을 갖는 롤러레벨라 KR200172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212U KR200172015Y1 (ko) 1999-09-09 1999-09-09 유연한 중간롤을 갖는 롤러레벨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212U KR200172015Y1 (ko) 1999-09-09 1999-09-09 유연한 중간롤을 갖는 롤러레벨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015Y1 true KR200172015Y1 (ko) 2000-03-15

Family

ID=1958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212U KR200172015Y1 (ko) 1999-09-09 1999-09-09 유연한 중간롤을 갖는 롤러레벨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0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298B1 (ko) * 2005-09-30 2007-02-15 기득산업 주식회사 벤딩 롤을 이용한 대형 3차원 곡면 벤딩 장치 및 그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298B1 (ko) * 2005-09-30 2007-02-15 기득산업 주식회사 벤딩 롤을 이용한 대형 3차원 곡면 벤딩 장치 및 그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344B1 (ko) 금속 스트립의 레벨링 장치
CA2568829C (en) Convex roll used for influencing the profile and flatness of a milled strip
US5655397A (en) Method for rolling a plate and rolling mill both using roll shift and roll bend and roll for use therefor
US5341664A (en) Roll set for thin metal strip
JPH07232202A (ja) 圧延機用ロールとロールシフト式圧延機
AU731151B2 (en) Roll stand for rolling strip
KR200172015Y1 (ko) 유연한 중간롤을 갖는 롤러레벨라
EP0508475B1 (en) Tension roller leveler
US62200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rip edge relief in a cluster rolling mill
US7134307B2 (en) Plate rolling mill
JPH0825202A (ja) 連続研削ライン
JP3536402B2 (ja) ロールシフト用の圧延ロール及びロールシフト圧延機
JPH08174065A (ja) ローラレベラ
JPS6033825A (ja) ロ−ラ−レベラ−におけるロ−ルシフト装置
KR200447876Y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케이스용 판재 교정장치
SU1750771A1 (ru) Правильна машина
JPH07328713A (ja) 薄板鋼板の縁伸び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6224165B2 (ko)
CN212598053U (zh) 拉弯矫直机
JP2502021Y2 (ja) 金属帯の巻取時における巻シワ及び巻緩み防止装置
JPH09262857A (ja) ゴム状弾性材料のカレンダーロールの撓み矯正方法
JPH03138006A (ja) 分割バックアップロールを用いた圧延機
KR100775321B1 (ko) 자동조심형 버클 발생 방지장치
JPH10128444A (ja) 薄帯材矯正装置
EP0400568A2 (en) Five-high rolling mill, multi high rolling mill skinpass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of multi-high rolling m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