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967Y1 - 쇼트트랙용 스케이트날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쇼트트랙용 스케이트날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967Y1
KR200171967Y1 KR2019990017329U KR19990017329U KR200171967Y1 KR 200171967 Y1 KR200171967 Y1 KR 200171967Y1 KR 2019990017329 U KR2019990017329 U KR 2019990017329U KR 19990017329 U KR19990017329 U KR 19990017329U KR 200171967 Y1 KR200171967 Y1 KR 200171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ate
angle
fastening
stat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정
Original Assignee
김무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정 filed Critical 김무정
Priority to KR2019990017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9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967Y1/ko
Priority to EP00306995A priority patent/EP1078659A3/en
Priority to CA002316054A priority patent/CA2316054A1/en
Priority to US09/996,697 priority patent/US6568710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04Skates fastened by means of clamps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판의 저면에 체결 결합되는 스케이트날의 각도를 사용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맞도록 수시로 임의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코너링시 선수가 자신의 신체를 최대한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스케이트날이 빙판과 수직상태를 최대한 유지함에 따라 스케이트날과 빙판과의 접지력을 최대한 높여 주므로서 회전 원심력에 의해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시켜 안전한 상태에서 코너링을 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스케이트화(10)의 저면 전,후방에 각각 고정체(20)(20a)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의 하단면 일측에 하부로 향하도록 된 체결보울트(3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보울트가 관통되어 체결너트(31)에 의해 결합되는 브라켓트(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트의 하단부에 결합된 홀더(51)의 하단에 스케이트(50)날이 갖추어진 쇼트트랙용 스케이트화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0)의 저면으로 부터 씌워질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일측이 힌지(7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함체(61)의 바닥면에 체결보울트(30)과 관통하도록 하는 장공(62)이 이 형성된 회동부(60)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의 타측 방향인 고정체에 저면으로 부터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부(80)를 형성하며, 상기 요입부에 요입된 상태에서 조절보울트(91)의 조절에 의해 회동부의 경사각을 조절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나선공(90a)이 갖추어진 조절부(90)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쇼트트랙용 스케이트날 각도조절장치{angle controler short track speed skates}
본 고안은 쇼트트랙용 스케이트날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판의 저면에 체결 결합되는 스케이트날의 각도를 사용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맞도록 수시로 임의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코너링시 선수가 자신의 신체를 최대한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스케이트날이 빙판과 수직상태를 최대한 유지함에 따라 스케이트날과 빙판과의 접지력을 최대한 높여 주므로서 회전 원심력에 의해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시켜 안전한 상태에서 코너링을 할수 있도록 한 쇼트트랙용 스케이트날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트트랙은 실내의 좁은 경기장(빙판)내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빙판위를 질주하는 기록경기로서, 경기장이 좁은 관계로 인해 코너 부분의 경사각이 상대적으로 심하게 되어 있어 쇼트트랙용 스케이트는 일반 스케이트에 비해 스케이트날이 신발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외측으로 편심된 상태로 형성되어 빠른 속도를 가지고 경사각이 심한 코너링을 안전하게 돌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쇼트트랙용 스케이트는 신발의 바닥면 전, 후면에 금속제로 된 고정판을 각각 결합시켜 주고,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하부로 향하도록 체결보울트를 갖추어 상기 체결보울트에 스케이트날을 잡아주고 있는 홀더가 결합된 브라켓트가 관통된 상태에서 너트에 의해 체결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는 쇼트트랙용 스케이트는 빠른 속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코너링을 안정하게 질주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케이트날이 신발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일측으로 편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코너링 상태에서 안쪽면의 안전을 최대한 유지시켜 줄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쇼트트랙용 스케이트는 코너링시 외측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고속질주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회전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신발의 하부에 갖추어지는 스케이트날이 신발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외측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갖추어져 있으나, 상기 스케이트날과 신발이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코너링시 선수의 신체가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스케이트날도 함께 기울어지도록 되어있어 스케이트날이 빙판과의 접지력이 그만큼 적어져 회전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많이 일어나 선수들은 자신의 안전을 위해 속도를 줄여주게 되므로서 기록 경기에서 좋은 기록을 얻을수 없는 것이고, 좋은 기록을 얻기위해 코너링시 속도를 줄여주지 않고 그대로 질주할 경우에는 스케이트날이 빙판과의 접지력이 떨어진 상태이므로 외측으로 미끄러져 넘어짐에 따라 안전사고를 당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소개된 것이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8-26579호가 소개된바 있다.
상기의 기술은 신발의 저면에 부착되는 고정판의 하단면에 일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결합부를 형성하여 주므로서 스케이트날이 고정판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하여 줌에 따라 선수가 코너링시 코너링 방향으로 신체를 기울여 주더라도 결합부의 경사각에 의해 스케이트날이 빙판으로 부터 수직상태를 유지할수 있어 상기 스케이트날이 빙판과의 접지력을 그대로 유지하므로 인해 외측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시켜 안전하게 코너링을 할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결합부가 고정판에 일체로 갖추어져 있어 스케이트화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 결합부의 경사각이 맞지 않아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를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수들의 신체적인 조건 또는 선수 개개인의 실력(수준)이 각기 다르므로서 코너링시 속도와 신체의 각도 또한 각기 다른 상태에서 질주를 하게 되는데, 이때 결합부의 경사각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오히려 불안전한 상태에서 코너링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결합부의 경사각에 적당한 신체적인 조건을 갖고있는 선수일 경우에는 안정된 상태에서 코너링을 할수있어 좋은 기록을 얻을수 있으나, 신체적인 조건이 크거나 작을 경우에는 결합부의 경사각이 맞지않아 선수 개개인의 신체적인 조건과 실력에 따라 결합부의 경사각을 각기 다르게 제작하여야 하는 제작상의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고, 선수 개개인의 실력이 향상될 경우 빠른 속도를 가지고 코너링 하고자 할 경우 신체를 코너링 방향으로 낮게 기울여야 하는데, 이때 결합부의 경사각의 각도 이상 신체가 기울어지게 되면 이때 전자와 동일하게 스케이트날이 수직으로 세워지지 않고 경사각에 따라 뉘워진 상태에서 질주하게 되어 스케이트날이 빙판과의 접지력이 떨어져 회전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단점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서는 선수의 실력이 향상될때 마다 결합부의 경사각이 다른 새로운 스케이트화를 구입하여 착용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케이트화를 착용하는 선수의 신체적인 조건및 실력에 따라 스케이트날의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스케이트화를 가지고 실력 향상에 의해 경사각을 조절시켜 안전한 상태에서 빠른 속도로 코너링을 질주할수 있도록 하므로서 좋은 기록을 낼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스케이트날의 경사각에 따른 스케이트를 수시로 교체 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줄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3 -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스케이트화 20:고정체
30:체결보울트 31:체결너트
40:브라켓트 50:스케이트날
60:회동부 61:회동함체
62:장공 63:관통공
70:힌지 80:요입부
90:조절부 91:조절보울트
92:나사공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스케이트화(10)의 저면 전,후방에 각각 고정체(20)(20a)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의 하단면 일측에 하부로 향하도록 된 체결보울트(3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보울트가 관통되어 체결너트(31)에 의해 결합되는 브라켓트(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트의 하단부에 결합된 홀더(51)의 하단에 스케이트(50)날이 갖추어진 쇼트트랙용 스케이트화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0)의 저면으로 부터 씌워질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일측이 힌지(7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함체(61)의 바닥면에 체결보울트(30)과 관통하도록 하는 장공(62)이 이 형성된 회동부(60)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의 타측 방향인 고정체에 저면으로 부터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부(80)를 형성하며, 상기 요입부에 요입된 상태에서 조절보울트(91)의 조절에 의해 회동부의 경사각을 조절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나선공(90a)이 갖추어진 조절부(90)로 형성하여 된 것이다.
이때, 상기의 조절부는 회동함체의 하부에 갖추어진 관통공(63)을 관통하여 조절부(90)의 나선공에 나선체결 되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케이트화(10)의 저면 전,후방측에 각각 고정체(20)(20a)를 고정시켜 주고, 회동함체(61)의 내부에 조절부(90)가 안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함체에 갖추어진 관통공(63)을 관통한 조절보울트(91)가 조절부(90)에 갖추어진 나선공(90a)에 나선체결 시켜 준 상태에서 상기 회동함체(61)를 고정체(20)에 씌워지도록 한 다음 힌지(70)에 의해 회동함체(61)가 임의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준다.
이때, 상기 고정체(20)의 하면에 갖추어져 있는 체결보울트(30)는 회동함체(61)에 형성된 장공(62)를 관통하여 회동함체의 하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보울트(30)에 스케이트날(50)이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트(40)가 끼워지도록 한 다음 체결너트(31)를 체결시켜 주므로서 스케이트의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스케이트화를 사용 즉, 초보자가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이트화(10)와 스케이트날(50)이 직각(90°)를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고, 숙련된 선수들이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절보울트(91)를 조절시켜 자신의 신체적인 조건및 기술(실력)에 맞추어 스케이트화와 스케이트날의 각도를 조절시켜 준 상태에서 안정되게 빙판위를 질주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브라켓트(40)를 조여주고 있는 체결너트(31)를 풀어 상기 브라켓트(40)가 회동함체(61)와 체결너트(31) 사이에서 유동될수 있도록 하면 회동함체(61)가 힌지(70)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회동함체(61)의 하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조절보울트(91)를 돌려주게 되면 이의 조절방향에 따라 조절부(90)가 요입부(80)내에서 승,하강 즉, 조절보울트(90)를 조여주게 되면 상기 조절보울트의 끝단면이 요입부(80)의 요입면에 면 접지된 상태에서 돌려짐에 따라 조절보울트와 나선체결되어 있는 나선공(90a)에 의해 조절부(90)가 상대적으로 하강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자신에 맞도록 각도가 조절되면 느슨하게 풀어져 있는 체결너트(31)를 견고하게 조여주게되면 이들의 조임력에 의해 회동함체(61)가 고정체(20)와 견고히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이트화(10)와 스케이트날(50)의 각도가 변위되어 코너링을 하게 되는 내측방향의 각도가 좁아게 되므로 인해 스케이트날(50)이 수직을 유지한 상태에서 스케이트화(10)가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좁은 링크내를 질주하게 되는데, 이때 스케이트화의 기울어진 각도가 자신의 신체적인 조건및 숙련도에 맞도록 기울어져 있어 코너링을 할때에도 속도를 낮추어주지 않은 상태에서도 안정되게 질주할수 있어 좋은 기록을 얻을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선수 개개인의 신체적인 조건과 숙련도에 따라 자신이 조절보울트의 조작으로 인하여 스케이트화와 스케이트날의 각도를 변위시켜 줄수 있도록 하고있어 스케이트날이 빙판으로 부터 수직을 유지시켜 주게 되면 스케이트화가 코너링 방향으로 하향 경사짐에 따라 코너링시 신체를 억지로 기울여 주지 않아도 됨은 물론, 코너링 상태에서 신체가 코너링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스케이트날은 빙판으로 부터 수직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질주 할수 있으므로 인해 스케이트날이 빙판과의 접지력에 아무런 변위가 이루어지지 않아 고속 질주에 의한 코너링시 회전 원심력에 의해 스케이트날이 외측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일이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함과 아울러, 안정된 상태에서 빠른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코너링을 할수 있어 좋은 기록을 얻을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선수들이 자신의 숙련도에 따라 스케이트화와 스케이트날과의 각도가 바뀌게 되는데, 이때 조절보울트를 이용하여 각도를 임의로 조절시켜 줄수 있어 각도가 변위될때 마다 새로이 스케이트화를 교체시켜 주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및 번거로움이 없이 사용할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스케이트화(10)의 저면 전,후방에 각각 고정체(20)(20a)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의 하단면 일측에 하부로 향하도록 된 체결보울트(3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보울트가 관통되어 체결너트(31)에 의해 결합되는 브라켓트(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트의 하단부에 결합된 홀더(51)의 하단에 스케이트(50)날이 갖추어진 쇼트트랙용 스케이트화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0)의 저면으로 부터 씌워질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일측이 힌지(7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함체(61)의 바닥면에 체결보울트(30)과 관통하도록 하는 장공(62)이 이 형성된 회동부(60)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의 타측 방향인 고정체에 저면으로 부터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부(80)를 형성하며, 상기 요입부에 요입된 상태에서 조절보울트(91)의 조절에 의해 회동부의 경사각을 조절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나선공(90a)이 갖추어진 조절부(90)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트랙용 스케이트날 각도조절장치.
KR2019990017329U 1999-08-20 1999-08-20 쇼트트랙용 스케이트날 각도조절장치 KR200171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329U KR200171967Y1 (ko) 1999-08-20 1999-08-20 쇼트트랙용 스케이트날 각도조절장치
EP00306995A EP1078659A3 (en) 1999-08-20 2000-08-16 Skate blade angle controlling device of skates for short track
CA002316054A CA2316054A1 (en) 1999-08-20 2000-08-17 Skate blade angle controlling device of skates for short track
US09/996,697 US6568710B2 (en) 1999-08-20 2001-11-30 Skate blade angle controlling device of skates for short tr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329U KR200171967Y1 (ko) 1999-08-20 1999-08-20 쇼트트랙용 스케이트날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967Y1 true KR200171967Y1 (ko) 2000-03-15

Family

ID=1958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329U KR200171967Y1 (ko) 1999-08-20 1999-08-20 쇼트트랙용 스케이트날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96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095A (ko) * 2010-08-11 2012-02-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레인지
KR20120015102A (ko) * 2010-08-11 2012-02-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레인지
CN107736131A (zh) * 2017-11-24 2018-02-27 西安科技大学 一种重力自稳型采摘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095A (ko) * 2010-08-11 2012-02-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레인지
KR20120015102A (ko) * 2010-08-11 2012-02-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레인지
CN107736131A (zh) * 2017-11-24 2018-02-27 西安科技大学 一种重力自稳型采摘机
CN107736131B (zh) * 2017-11-24 2024-01-16 西安科技大学 一种重力自稳型采摘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3940A (en) Skate having angularly mounted wheels
US5807186A (en) Golf club including lie adjusting device
US5876045A (en) Angularly adjustable snowboard boot binding
US20100289230A1 (en) Single foot skate
US6138386A (en) Composite cleat for athletic shoe
KR200171967Y1 (ko) 쇼트트랙용 스케이트날 각도조절장치
US6203028B1 (en) Multiple blade skate
KR20050046708A (ko) 회전 기능을 가진 신발
JP3732156B2 (ja) ローラースケート
RU2580499C2 (ru) Спортивное изделие с направляющей для ботинка
KR20220014957A (ko) 아이스 스케이트화 고정 블레이드 각도 조절 장치
EP1078659A2 (en) Skate blade angle controlling device of skates for short track
US5531480A (en) Ski stabilizing device
KR200199063Y1 (ko) 쇼트트랙의 코너링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스케이트날각도조절장치
US5823545A (en) Roller skate chassis
CN209451274U (zh) 一种新型多功能溜冰鞋
EP1675661B1 (en) Steering device for sports articles provided with supporting and sliding elements in an in-line arrangement
KR200273742Y1 (ko) 롤러 브레이드를 구비한 신발
KR200405998Y1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US5354077A (en) Universally adjustable ice skate base
CN107487415A (zh) 踏板
KR200242864Y1 (ko) 스케이트 보드
WO2022040918A1 (zh) 一种花样轮滑鞋架及花样轮滑鞋
KR20070045759A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KR200342328Y1 (ko) 아우트라인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