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300Y1 -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의 제진기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의 제진기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300Y1
KR200171300Y1 KR2019990018724U KR19990018724U KR200171300Y1 KR 200171300 Y1 KR200171300 Y1 KR 200171300Y1 KR 2019990018724 U KR2019990018724 U KR 2019990018724U KR 19990018724 U KR19990018724 U KR 19990018724U KR 200171300 Y1 KR200171300 Y1 KR 200171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main shaft
vibration
treatment plant
sewag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우
Priority to KR2019990018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3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다수의 제진기를 임의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의 제진기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수의 제진기(9)와 동력장치(1) 사이에 하나의 메인축(4)을 설치하여 양측의 스프로킷(3)(30)에 체인(13)을 걸어 메인축(4)이 연동되도록 함과, 메인축(4)에는 각 제진기(9)의 위치에 각각 클러치(5)를 설치하고 클러치(5)의 사이에 메인축(4)을 지지하면서 클러치(5)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베어링(6)(6')을 설치함과, 각 클러치(5)에 설치한 스프로킷(7)과 제진기(9)의 헤드축(10)에 설치한 스프로킷(11)에 체인(14)을 걸어 연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위 기술적 구성에 의해 상기에 의하여유지 및 관리비가 극히 저렴하고 전기사용량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시설할때 시공비를 절감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의 제진기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system of fine screen in sewage treatment plant and draining pump plant}
본 고안은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의 제진기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등의 입구에 설치된 스크린에 걸려지는각종부유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진기를 구동시키는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의 제진기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 폐수처리장 등의 개수로에 각종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걸르도록 도 1에서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격판이 이루어진 스크린이 설치되고 이 스크린의 각 틈새를 훑어주면서 걷어 올리는 갈퀴형상의 제거부재가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구성한 제진기가 설치된다. 이 제진기는 일정간격으로 여러개소에 설치되고 각 제진기마다 제진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타를 포함하는 구동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각 제진기 마다 모타를 포함하는 구동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각 제진기가 개별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에 따라 다수개의 구동장치를 정기 또는 간이적으로 수리 및 점검함에 따라 유지, 관리하는데 따르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각 모타에 소비되는 전력이 비례적으로 상승됨에 따른 전력비용의 과다등으로 유지관리비용이 높았다.
또한 각 제진기마다 모타 및 구동장치를 설치함에 따른 제작단가의 상승원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다수의 제진기를 임의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의 제진기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 폐수처리장 등의 개수로에 각종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걸르도록 일정간격으로 격판이 이루어진 스크린이 설치되고 이 스크린의 사이사이를 훑어주면서 걷어 올리는 갈퀴형상의 제거부재가 모타 를 포함하는 동력장치에 의해 동력전달장치를 거쳐 제진기가 작동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동력장치와 일정간격으로 설치한 제진기의 사이에 메인축을 설치하고 이 메인축은 동력전달부재로 연동되도록 하고 메인축에는 각 제진기의 위치에 한쌍의 클러치를 각각 설치하고 그 사이에 지지하는 베어링을 설치함과, 상기 한쌍의 클러치에서 연동 클러치부는 각 제진기의 헤드축에 설치한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하는 동력전달부재로 연결하고 가변 클러치부는 임의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레바를 설치하여 하나의 동력장치에 의하여 다수의 제진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임의 선택적으로 제진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제진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동력전달수단을 보인 구성도
도 4은 클러치장치의 평면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동력장치 3,7,11,30:스프로킷
4:메인축 5:클러치
6,6':베어링 8:레바
9:제진기 10:헤드축
12:스크린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 폐수처리장 등의 각 개수로에 각종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걸르도록 일정간격으로 격판이 이루어진 스크린(12)의 사이사이를 훑어주면서 걷어 올리는 갈퀴형상의 제거부재(15)가 모타(1) 를 포함하는 동력장치(2)에 의해 동력전달장치를 거쳐 무한궤도로 이동되도록 구성한 제진기(9)가 설치된다.
상기 각 개수로에 각각 설치하는 제진기(9)와 동력장치(1) 사이에 메인축(4)을 설치하고 동력장치(2)의 스프로킷(3)과 메인축(4)에 설치한 피스프로킷(30)을 체인으로 걸어 연동되게 하는 동력전달구조로 메인축(4)이 회전되도록 하고 메인축(4)의 스프로킷(30)의 양측으로 각 제진기(9) 위치의 일직선상에 한쌍의 클러치(5)를 각각 설치하고 그 사이에 메인축(4)을 지지하면서 클러치(5)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베어링(6)(6')을 설치한다.
위 한쌍의 클러치(5)에서 연동 클러치부(5a)에 설치하는 스프로킷(7)과 제진기(9)의 헤드축(10)에 설치한 스프로킷(11)과 체인(14)으로 걸어 연동되게 하는 동력전달구조로 제진기(9)의 헤드축(10)이 회전되도록 하고 가변 클러치부(5b)는 연동클러치(5a)에 탈착할 수 있도록 레바(8)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다수의 제진기(9)에 하나의 동력장치(2)를 작동시키면 동력장치(2)의 스프로킷(3)과 체인(13)으로 연결한 메인축(4)의 스프로킷(30)에 의하여 메인축(4)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물려진 다수개의 각 클러치(5)는 메인축(4)의 회전이 동력전달수단인 스프로킷(7)(11) 및 체인(14)에 의하여 제진기(9)의 헤드축(10)이 회전함으로서 제진기(9)가 작동하여 스크린(12)에 걸려진 각종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끌어 올려 후방으로 끌어 올려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일부 제진기를 수리하거나 작동시키지 않을 경우 등에는 작동을 중지시키고자 하는 제진기의 위치선상에 있는 클러치(5)에서 가변클러치(5b)에 설치한 레바를 젖히어 가변 클러치부(5b)를 연동 클러치부(5a)로 부터 분리시키면 연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제진기(9)의 작동이 중지되고 수리 후 다시 레바로 연동 클러치부(5b)에 가변클러치부(5a)를 결합시키면 동력전달이 이루어져 제진기를 작동시킬 수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원하는 부분을 임의로 작동 및 정지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동력장치(2)에 의하여 다수의 제진기(9)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임의 선택적으로 제진기를 작동시킬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각 제진기마다 모타를 포함하는 동력장치를 사용하는 것 보다 유지 및 관리비가 극히 저렴하고 전기사용량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시설할때 시공비를 절감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 폐수처리장 등의 개수로에 각종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걸르도록 일정간격으로 격판이 이루어진 스크린(12)의 사이사이를 훑어주면서 걷어 올리는 갈퀴형상의 제거부재가 모타(1) 를 포함하는 동력장치(2)에 의해 동력전달장치를 거쳐 제진기(9)가 작동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진기(9)와 동력장치(1) 사이에 하나의 메인축(4)을 설치하여 양측의 스프로킷(3)(30)에 체인(13)을 걸어 메인축(4)이 연동되도록 함과,
    메인축(4)에는 각 제진기(9)의 위치에 각각 클러치(5)를 설치하고 클러치(5)의 사이에 메인축(4)을 지지하면서 클러치(5)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베어링(6)(6')을 설치함과,
    각 클러치(5)에 설치한 스프로킷(7)과 제진기(9)의 헤드축(10)에 설치한 스프로킷(11)에 체인(14)을 걸어 연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의 제진기 동력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클러치(5)는 메인축(4)에서 회동되는 연동 클러치부(5a)와 메인축(4)에 레바(8)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도록 가변클러치(5b)로 이루어져 가변클러치부(5b)는 연동클러치(5a)에 탈착되도록 하고, 연동클러치(5a)에 스프로킷(7)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의 제진기 동력전달장치.
KR2019990018724U 1999-09-04 1999-09-04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의 제진기 동력전달장치 KR200171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724U KR200171300Y1 (ko) 1999-09-04 1999-09-04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의 제진기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724U KR200171300Y1 (ko) 1999-09-04 1999-09-04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의 제진기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300Y1 true KR200171300Y1 (ko) 2000-03-15

Family

ID=1958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724U KR200171300Y1 (ko) 1999-09-04 1999-09-04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의 제진기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3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5674B2 (en) Rotary bar screen device
AU2014275092B8 (en) Continuous belt screen
KR101230778B1 (ko)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일체형 펌프게이트
CN106139656A (zh) 一种用于污水处理装置的清理机构
KR200171300Y1 (ko) 하수처리장 및 배수펌프장의 제진기 동력전달장치
KR200436015Y1 (ko) 스컴스키머장치
KR200381939Y1 (ko)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자동스크린
KR100746924B1 (ko)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자동스크린
KR20130034091A (ko) 상하식 제진기
KR100530111B1 (ko)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CN111560845B (zh) 一种公路桥梁桥面排水设施
KR102221382B1 (ko) 각종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제진기
JP2001098531A (ja) 除塵機設備及び除塵機の運転方法
KR100515986B1 (ko) 차량의 동력을 이용한 세륜장치
KR200335743Y1 (ko)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KR200262880Y1 (ko) 협잡물 제거장치
KR100558135B1 (ko) 장방형 흡입식 슬러지수집기
KR200316383Y1 (ko) 제진기용 스크린
CN219240821U (zh) 一种水利工程用排水机构
CN102173466A (zh) 阶梯格栅固液分离设备
SU1395741A2 (ru) Водоочис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одозаборного сооружени
KR200297438Y1 (ko) 롤러 체인식 자동 제진기
CN219637608U (zh) 一种白改黑道路结构
KR100663872B1 (ko) 수로의 이끼 제거장치
KR20210002262A (ko) 우수토실과 차집관로 협잡물 방지 및 수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