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125Y1 - 가스배관내의 이물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배관내의 이물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125Y1
KR200171125Y1 KR2019990019335U KR19990019335U KR200171125Y1 KR 200171125 Y1 KR200171125 Y1 KR 200171125Y1 KR 2019990019335 U KR2019990019335 U KR 2019990019335U KR 19990019335 U KR19990019335 U KR 19990019335U KR 200171125 Y1 KR200171125 Y1 KR 200171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pipe
gas pipe
foreign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3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응수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93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1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1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being rotated while moved, e.g. flexible rotating shaft or "sn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by s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배관의 흐름관로상에 응고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주는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배관(100)의 관로내에 삽입되면서 그 중심부에 회전축(11)이 구비됨과 더불어 회전축(11)의 외주면에 이물질(110)을 파쇄하는 와이어브러쉬(12)가 보울팅된 제거장치(10)와; 회전축(11)의 후단부에 유니버설조인트(21)를 통해 연결되면서 그 외주면에 나팔관(22)이 장착됨과 더불어 내부공간에 와이어브러쉬(12)에 의해 파쇄된 이물질을 흡인하는 흡입관(23)이 설치된 비산방지장치(20); 중심축(24)의 후단부에 유니버설조인트(31)를 통해 연결되면서 내부공간에 중심축(24)을 회전시켜주는 구동모우터(32)가 장착됨과 더불어 외주면에 설치된 롤러(33)에는 구동체인(34)이 감겨진 구동장치(30); 흡입관(23)의 후단부에 배출호스(41)를 통해 연결되면서 흡입관(23)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포집하여주는 포집기(42)가 구비된 포집장치(40) 및; 구동모우터(32)에 케이블(51)을 통해 연결된 전원공급장치(50)로 이루어져, 이물질의 제거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이물질의 재처리비용 및 노력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가스배관의 수명이 연장됨은 물론 열효율이 향상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배관내의 이물질 제거 장치 {Device for eliminating the tar of inner gas piping}
본 고안은 가스배관의 흐름관로상에 응고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주는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물질 제거장치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폐기물의 처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가스배관내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배관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가스흐름관체로서 예컨대, 코크스가스(COG)를 열원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내부관로에 타르와 같은 이물질이 다량 잔류응고된다.
이러한, 가스배관내에 타르와 같은 이물질 등이 잔류응고된 경우에는 가스흐름과정을 불량하게하여 원하는 열효율을 기대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그 만큼 열소비가 증대되어 원단위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이물질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제거하여야만 하는 것이다.
즉, 가스배관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는 도 1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배관(100)의 내부관로에는 이물질(110)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구(121)가 형성된 노즐(120)이 장착되되, 노즐(120)에는 대차(200)에 의해 그 위치가 이동되는 제거장치(300)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물질제거장치(300)는, 노즐(12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고압호스(310)와, 대차(200)에 탑재되어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물을 고압호스(310)를 통해 노즐(120)로 압송하는 제트크리너(320)와, 제트크리너(320)의 배출관로상에 구비되어 물을 일정량이상 축적하는 축적기(330)와 축적기(330)에 출적된 물을 공급하는 딜리버리밸브(34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트크리너(320)의 배출관로상에는, 축적기(330)에 의해 축적되어 배출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350)와, 압력계(350)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정밸브(360)와, 딜리버리밸브(340)의 개방에 의해 배출되어지는 물의 흐름량을 조정하는 컨트롤밸브(37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가스배관(100)의 내부관로에 이물질(110)이 부착응고된 경우, 노즐(120)에 고압호스(310)를 연결한 다음 제트크리너(320)를 작동시키게 되면, 물탱크(미도시)에서 압송되어 축적기(330)내에 축적되어 있던 물이, 고압호스(310)와 노즐(120)을 통해 가스배관(100)내로 분사되므로, 가스배관(100)내에 부착응고된 이물질(110)을 제거된다.
그런데, 상기한 방법과 같이, 가스배관(100)내에 설치된 노즐(120)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이물질(110)을 세척제거하는 방법은, 이물질의 제거효율이 미약하여 수세작업(flushing)이 불량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가스배관의 열효율이 비정상적으로 유지되며, 수세작업과정에서 세척된 물에 포함된 타르와 같은 이물질을 폐기물로 처리하기 위한 비용이 막대하게 소모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이물질의 처리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스배관의 흐름관로상에 응고부착된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폐기물의 처리비용 및 노력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가스배관내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스배관내 이물질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배관내 이물질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배관내 이물질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제거장치 중 도 3(A)와 (B)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가스배관 110 : 이물질
11 : 회전축 12 : 와이어브러쉬
21,31 : 유니버설조인트 22 : 나팔관
23 : 흡입관 32 : 구동모우터
41 : 배출호스 42 : 포집기
51 : 케이블 52 : 전원공급패널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배관내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배관내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배관애 이물질 제거장치 중 도 3의 (A),(B)를 도시한 부분확대로서, 가스배관(100)의 내부관로에 응고부착된 이물질(110)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제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가스배관(100)의 관로내에 삽입되면서 그 중심부에 회전축(11)이 구비됨과 더불어 회전축(11)의 외주면에 이물질(110)을 파쇄하는 와이어브러쉬(12)가 보울팅된 제거장치(10)와; 회전축(11)의 후단부에 유니버설조인트(21)를 통해 연결되면서 그 외주면에 나팔관(22)이 장착됨과 더불어 내부공간에 이물질을 흡인하는 흡입관(23)이 삽입된 비산방지장치(20); 중심축(24)의 후단부에 유니버설조인트(31)를 통해 연결되면서 내부공간에 중심축(24)을 회전시키는 구동모우터(32)가 장착됨과 더불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동체인(34)이 설치된 구동장치(30); 흡입관(23)의 후단부에 소정길이의 배출호스(41)를 통해 연결설치되면서 흡입관(23)을 통해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흡인하여 포집하는 포집기(42)가 구비된 포집장치(40) 및; 구동모우터(32)와 포집기(42)와 체인구동모우터에 케이블(51)을 통해 전원공급패널(62)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차단시키는 전원공급패널(62)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50)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거장치(10)는, 가스배관(100)의 흐름관로상에 삽입되어 이물질(110)을 제거하여주는 이물질제거장치로서, 그 중심부에는 고정용척(13)을 통해 회전축(11)이 고정설치되며, 회전축(11)의 외주면에는 이물질을 파쇄하는 와이어브러쉬(12)가 보울트(14)로 고정설치되고, 회전축(24)의 후방측 외주면에는 플랜지부(26)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비산방지장치(20)는, 제거장치(10)의 후방측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동력전달장치로서, 회전축(11)의 후단부에는 유니버설조인트(21)를 통해 중심축(24)이 연결되며, 중심축(24)의 외주면에는 유연한 고무재질의 나팔관(2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나팔관(22)의 전방측에는 플랜지부(26)와 보울팅된 방향전환바(25)가 설치되며, 나팔관(22)의 내부에는 와이어브러쉬(12)에 의해 파쇄된 이물질을 흡인하는 흡입관(23)이 삽입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장치(30)는, 비산방지장치(2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제거장치(10)를 구동시켜주는 동력발생장치로서, 중심축(24)의 후단부에 베어링을 매개로 조인트(35)가 연결되며, 조인트(35)에는 와이어브러쉬(1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우터(3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구동모우터(32)의 외주면에는 하우징(36)이 감싸지며, 하우징(36)의 상/하부면에는 지지대(33a)를 사이에 두고 롤러(33)가 축설치되고, 롤러(33)에는 체인구동모우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통해 구동장치(30)를 이동시키는 구동체인(34)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우터(32)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유니버설조인트(31)를 통해 비산방지장치(20)로 전달되면, 비산방지장치(20)와 유니버설조인트(21)로 연결된 제거장치(10)에 의해 와이어브러쉬(12)가 회전되므로, 와이어브러쉬(12)에 의해 가스배관내의 이물질(110)이 제거되는 것이다.
한편, 포집장치(40)는, 대차(200)의 상면에 탑재되어 그 위치가 이동되는 이물질포집장치로서, 흡입관(23)의 후단부에 커플러(43)를 통해 소정길이의 배출호스(41)가 연결설치되며, 배출호스(41)의 후단부에는 포집된 이물질을 축적하기 위한 포집기(4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원공급장치(50)는, 대차(200)의 상면에 탑재되어 그 위치가 이동되는 전기공급장치로서, 구동모우터(32)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케이블(51)과, 케이블(51)에 연결되어 구동모우터와 포집장치와 체인구동모우터에 온/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공급패널(5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체인(34)을 구동하여 구동장치(30)를 작동시키면서, 체인전원공급패널(52)에 구비된 스위치 예컨대, 구동모우터(32)의 스위치와 체인구동모우터의 스위치와 흡입관(23)의 스위치를 '온'시키면, 와이어브러쉬(12)에 의해 이물질이 파쇄됨은 물론 패쇄된 이물질이 포집기(42)내로 포집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예시도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스배관(100)의 흐름관로상에 응고부착된 이물질(110)을 제거하려는 경우, 가스배관(100)의 흐름관로내에 제거장치(10)와 비산방지장치(20)를 삽입한 다음, 전원공급패널(52)에서 구동모우터(32)와 포집기(42)의 스위치를 '온'시킨다.
이 과정에서, 구동모우터(32)의 축에 유니버설조인트(31)를 통해 연결된 중심축(24)이 회전되며, 동시에 중심축(24)에 유니버설조인트(21)를 통해 연결된 회전축(11)이 동시회전되므로, 와이어브러쉬(12)가 회전하면서 가스배관(100)내에 융착된 이물질(110)을 파쇄한다.
물론, 와이어브러쉬(12)가 회전하면서 가스배관(100)의 흐름관로상에 응고부착된 이물질(110)을 파쇄시키게 되면, 파쇄된 이물질(110)은 나팔관(22)에 의해 일단 비산이 방지된 상태에서 흡입관(23)내로 흡인되어, 배출호스(41)를 통해 포집기(42)내로 유입되어 제거되는 것이다.
이후, 가스배관(100)의 내부 깊숙한 곳에 응고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려는 경우에는, 전원공급패널(62)의 체인구동모우터(미도시)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구동체인(34)의 회전에 의해 제거장치(10)가 서서히 전진되므로, 와이어브러쉬(12)에 의해 깊숙한 곳의 이물질(110)이 파쇄된다.
만일, 가스배관(100)의 흐름관로가 굴곡진 경우에는, 유니버설조인트(21,31)에 의해 제거장치(10)와 비산방지장치(20)와 구동장치(30)의 전진방향이 조절되므로, 굴곡진 곳에 있던 이물질(110)도 제거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가스배관(100)내에 응고부착된 이물질(110)의 제거작업이 완료되는 경우, 전원공급패널(52)에 구비된 구동모우터(32)를 '오프'시키고 체인구동용모우터를 '오프'시키게 되면, 구동체인(34)의 후진동작에 의해 본 고안의 장치가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배관내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의하면, 가스배관내에 응고부착된 이물질을 와이어브러쉬로 파쇄하여 제거함과 더불어 파쇄된 이물질을 포집기로 포집하여 축적하게 되므로써, 이물질의 제거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이물질의 재처리비용 및 노력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가스배관의 수명이 연장됨은 물론 열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가스배관(100)의 흐름관로상에 응고부착된 이물질(110)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가스배관(100)의 관로내에 삽입되면서 그 중심부에 회전축(11)이 구비됨과 더불어 회전축(11)의 외주면에 이물질(110)을 파쇄하여주는 와이어브러쉬(12)가 보울팅결합된 제거장치(10)와;
    제거장치(10)의 회전축(11)에 유니버설조인트(21)를 통해 연결되면서 그 외주면에 나팔관(22)이 장착됨과 더불어 내부공간에 이물질을 흡인하는 흡입관(23)이 내장된 비산방지장치(20);
    비산방지장치(20)의 중심축(24)에 유니버설조인트(31)로 연결되면서 내부공간에 중심축(24)을 회전시키는 구동모우터(32)가 내장됨과 더불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동체인(34)이 설치된 구동장치(30);
    흡입관(23)의 후단부에 배출호스(41)를 통해 연결설치되면서 와이어브러쉬 (12)에 의해 파쇄되어 흡입관(23)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흡인하여주는 포집기(42)가 구비된 포집장치(40) 및;
    구동모우터(32)와 포집기(42)와 체인구동모우터에 케이블(51)을 통해 연결설치된 전원공급패널(62)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차단시키는 전원공급장치(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내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2019990019335U 1999-09-10 1999-09-10 가스배관내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200171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335U KR200171125Y1 (ko) 1999-09-10 1999-09-10 가스배관내의 이물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335U KR200171125Y1 (ko) 1999-09-10 1999-09-10 가스배관내의 이물질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125Y1 true KR200171125Y1 (ko) 2000-03-15

Family

ID=1958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335U KR200171125Y1 (ko) 1999-09-10 1999-09-10 가스배관내의 이물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12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115B1 (ko) * 2001-05-15 2007-05-30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셀 집진관의 도금용액 응고층 제거장치
KR101274039B1 (ko) * 2012-05-08 2013-06-12 안용하 폐기물의 유화시스템
KR101439539B1 (ko) 2007-09-06 2014-09-12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배관 세척장치
KR101482381B1 (ko) 2013-03-08 2015-01-13 주식회사 포스코 노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내부 기동형 로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115B1 (ko) * 2001-05-15 2007-05-30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셀 집진관의 도금용액 응고층 제거장치
KR101439539B1 (ko) 2007-09-06 2014-09-12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배관 세척장치
KR101274039B1 (ko) * 2012-05-08 2013-06-12 안용하 폐기물의 유화시스템
KR101482381B1 (ko) 2013-03-08 2015-01-13 주식회사 포스코 노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내부 기동형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72051A (zh) 一种水利工程管道清障设备
KR200171125Y1 (ko) 가스배관내의 이물질 제거 장치
CN101932276B (zh) 地面清洁设备
CN213222341U (zh) 一种便于对研磨辊进行清理的研磨装置
KR101764776B1 (ko) 동파방지용 탱크예열구조를 갖는 에어스팀장치
CN219136507U (zh) 一种用于曝气生物滤池的污杂物去除装置
CN218148831U (zh) 一种市政排水管道清理装置
JP2719107B2 (ja) 高圧水噴射装置
KR20140086316A (ko) 이동가능한 수평관로 청소장치
CN101932275A (zh) 更低噪音产生的地面清洁设备
CN114876051A (zh) 一种建筑污水管道清渣防堵装置
KR100442940B1 (ko) 스팀 발생기가 장착된 회전형 진공청소기
CN210636488U (zh) 污泥输送施工现场污泥清理车
KR101386534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수도관 내부의 이물질 제거장치
JP2552901B2 (ja) 高圧水等噴射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る集水カバー
JPH0315188Y2 (ko)
CN212200724U (zh) 一种市政公用工程下水道除污设备
CN219507795U (zh) 一种污泥异物清理装置
CN219362331U (zh) 一种运输带清扫器
CN220658624U (zh) 一种供水管道的清管清淤设备
CN220284515U (zh) 一种软土路基处理抽离设备
CN214239041U (zh) 一种废abs塑料回收处理用清洗机
CN218108721U (zh) 一种锅炉管道用清堵设备
CN216026845U (zh) 电池黑粉输送管道清洗机
CN219819075U (zh) 一种管道的打磨机构及祛垢防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