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073Y1 - 보일러 - Google Patents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073Y1
KR200171073Y1 KR2019990016712U KR19990016712U KR200171073Y1 KR 200171073 Y1 KR200171073 Y1 KR 200171073Y1 KR 2019990016712 U KR2019990016712 U KR 2019990016712U KR 19990016712 U KR19990016712 U KR 19990016712U KR 200171073 Y1 KR200171073 Y1 KR 2001710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ater
exhaust
reservoir
primary
water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식
Original Assignee
이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식 filed Critical 이순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0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28D21/0005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8D21/0007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24H9/0031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with means for changing or adapting the path of the flue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24H1/43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4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mbustion apparatus, e.g. for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 보일러는 화염분사부를 구비하는 1차 난방수저장통과 배기구를 구비하는 2차 난방수저장통을 보일러 본체에 내장하되, 상기 1차와 2차 난방수저장통의 상부을 배기연결관으로 연결하여 버너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1차 난방수저장통의 배기가 2차 난방수저장통의 하부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배기가스의 남은열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난방수와 온수는 2차 난방수저장통으로 유입되어 일단 예열된 다음 1차 난방수저장통에서 가열되어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물이 신속하게 데워질 뿐만 아니라, 동일한 연료량으로도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보일러{A boiler}
본 고안은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보일러에 비해 열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난방수 및 온수를 보다 신속하게 데울 수 있는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는 물을 데워 난방수로 사용하거나, 온수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보일러는 대부분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다수개의 배기관을 구비하는 난방수저장통이 보일러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난방수저장통 저부에 버너를 설치하여 상기 버너의 연소시 발생하는 화염에 의 해 난방수저장통이 가열되도록 하며, 또한 데워진 공기도 난방수저장통을 가로질러 다수개 배열된 배기관을 통과하면서 다시한번 난방수저장통을 데울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보일러는 난방수저장통을 가로지르는 배기관의 길이가 짧고, 또 본체상부에 곧바로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어 버너에 의해 데워진 공기가 배기관을 통과한 즉시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는 아직도 상당한 열량을 가지고 있는 배기의 손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로인해 종래의 보일러는 연료의 소비량에 비해 열효율은 많이 떨어지는 폐단을 갖는 것이다.
본 고안 보일러는 상당한 열량을 가지고 있는 배기가 곧바로 보일러 외부로 배출되므로써 열효율이 낮아지는 폐단을 해결하고, 종래의 보일러와 같은 연료소비량을 가지면서도 더욱 신속하게 물을 데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화염분사부를 구비하는 1차 난방수저장통과 배기구를 구비하는 2차 난방수저장통을 보일러 본체에 내장하되, 상기 1차와 2차 난방수저장통의 상부을 배기연결관으로 연결하여 버너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1차 난방수저장통의 배기가 2차 난방수저장통의 하부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배기에 포함된 열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난방수와 온수는 2차 난방수저장통으로 먼저 유입되도록 하고, 1차 난방수저장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곧바로 차가운 물이 유입되어 가열되던 종래의 보일러와 달리 본 고안 보일러는 차가운 난방수 및 온수를 2차 난방수저장통에서 일차 예열된 후 1차 난방수저장통에서 버너의 화염에 의해 직접 가열되도록 하므로써 물이 신속하게 데워질 뿐만 아니라 열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 보일러의 분리사시도.
도 2 은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참고도.
도 3 는 종래 보일러의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보일러 10: 본체 11: 버너장착구 12: 배기구 20: 커버
30: 1차 난방수저장통 31: 화염분사부 35: 배기연결관
40: 2차 난방수저장통 50: 난방수유입관 60: 난방수연결관
70: 난방수배출관 80: 온수파이프 81: 온수유입구
82: 온수연결관 83: 온수배출구 90: 1차 배기관
100: 2차배기관 101: 온수파이프 돌출공 110: 뚜껑 120: 단열재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보일러(1)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구성은 버너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다수개의 배기관이 관통되는 난방수저장통과, 난방수와 온수를 얻기위한 배관으로 구성된 종래의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저장통을 화염분사부(31)를 구비하는 1차 난방수저장통(30)과, 배기구(12)를 구비하는 2차 난방수저장통(40)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상기 1차 난방수저장통(30)과 2차 난방수저장통(40)의 상부 일측을 배기연결관(35)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난방수저장통(30,40)은 난방수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배기관(90,100)이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파이프(80)는 상기 배기관을 나선형으로 감싼 상태로 내장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난방수저장통(30,40)에는 난방수와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 설치되며, 본 고안은 난방수유입관(50)과 온수유입구(81)가 2차 난방수저장통(4O)의 하부에 형성하고, 난방수배출관(70)과 온수배출구(83)는 1차 난방수저장통(30)에 상부에 형성한 다음, 상기 난방수유입관(50)과 난방수배출관(70), 온수유입구(81)와 온수배출구(83)가 1차 난방수저장통(30)과 2차 난방수저장통(40) 사이에 형성된 난방수연결관(60)과 온수연결관(82)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난방수저장통(30,40)에 유입되는 난방수와 온수는 난방수저장통(30,40)의 하부에서 유입되도록 하고, 배출되는 난방수와 온수는 난방수저장통(30,40) 상부에서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가장 뜨거운 온도를 가지는 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로인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고안 보일러(1)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1차 난방수저장통(30)에서 미도시된 버너에 의해 데워진 공기는 1차 난방수저장통(30)에 형성된 다수개의 1차배기관(90)을 거치면서 1차 난방수저장통(30)을 가열하게 되고, 배기연결관(35)을 통해 2차 난방수저장통(40)으로 유입된 다음, 다시 2차 난방수저장통(40)의 2차배기관(100)을 거치면서 2차 난방수저장통(40)을 데우고 거의 모든 열을 뺏긴 상태로 배기구(12)를 통해 배출되어진다.
따라서 이때 2차 난방수저장통(40)에 유입되는 차가운 난방수와 온수는 배기가스에 의해 데워진 2차 난방수저장통(40)에서 일단 예열된 다음, 다시 난방수 연결관(60)과 온수연결관(82)에 의해 1차 난방수저장통(30)으로 유입되어져 버너에 의해 본격적으로 가열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차가운 온도의 난방수와 온수를 데우기 시작하는 것보다는 현저하게 빠른 속도로 물을 데울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 보일러는 종래 곧바로 배출시켜 버렸던 배기가스를 난방수와 온수를 예열하는데 다시한번 활용하므로써 빠른 속도로 물을 데울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때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온도가 낮아 종래처럼 가열된 배기구에 의한 화재의 우려, 과다한 매연의 발생 등이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보일러와 비교하더라도 동일한 연료로 약 30∼40%이상의 열효율 향상이 이루어졌으며, 이로인해 소비자들에게 경제적 이득을 줄 수 있고, 국가적으로도 연료의 절약으로 인한 막대한 이득과 대기의 오염방지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버너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다수개의 배기관과 온수파이프를 구비하는 난방수저장통과, 난방수와 온수를 얻기위한 배관으로 구성된 종래의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저장통을 화염분사부(31)를 구비하는 1차 난방수저장통(30)과, 배기구(12)를 구비하는 2차 난방수저장통(40)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상기 1차 난방수저장통(30)과 2차 난방수저장통(40)의 상부 일측을 배기연결관(35)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2차 난방수저장통(40)에는 난방수유입관(50)과 온수유입구(81)를 형성하고, 1차 난방수저장통(30)에는 난방수배출관(70)과 온수배출구(83)를 형성하되 상기 1차 난방수저장통(30)과 2차 난방수저장통(40)의 난방수와 온수는 난방수연결관(60)과 온수연결관(82)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KR2019990016712U 1999-03-22 1999-08-10 보일러 KR20017107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597 1999-03-2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597 Division 1999-03-22 1999-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073Y1 true KR200171073Y1 (ko) 2000-03-15

Family

ID=1957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712U KR200171073Y1 (ko) 1999-03-22 1999-08-10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0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340B1 (ko) 수평형 복합보일러
CN100547313C (zh) 一种套管锅炉
KR100846142B1 (ko) 화목보일러
KR200171073Y1 (ko) 보일러
KR200446980Y1 (ko) 난방장치
KR100456069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식 전기 보일러
KR20080094984A (ko) 이중관 파이프를 이용한 스팀 보일러
KR200195776Y1 (ko) 보일러의 폐열회수 난방장치
KR20000021319U (ko) 열효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보일러 구조
KR100486145B1 (ko) 수직형 복합보일러
KR100473326B1 (ko) 보일러의 열교환기
KR960003884Y1 (ko) 저탕식 온수 보일러
KR200207399Y1 (ko) 화목보일러
KR20010100189A (ko) 이중관 보일러
KR100277484B1 (ko) 히팅가스 기포에 의한 열교환식 보일러
KR200221437Y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식 전기 보일러
KR890006766Y1 (ko) 개스, 기름 겸용 보일러
KR200173949Y1 (ko) 스팀 발생용 보일러
KR200394162Y1 (ko) 축열식 복합보일러
KR200359575Y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보일러
KR100239268B1 (ko) 저장탱크 일체형 핫 오일 히터
CN2535704Y (zh) 全效内燃式水加热器
KR920000965Y1 (ko) 가정용 개스 보일러
KR900008388Y1 (ko) 공탄 보일러
KR100453436B1 (ko) 보일러의 배기가스 열을 이용한 온수가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