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796Y1 - A portable inhaler of snivel - Google Patents

A portable inhaler of sniv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796Y1
KR200170796Y1 KR2019990018555U KR19990018555U KR200170796Y1 KR 200170796 Y1 KR200170796 Y1 KR 200170796Y1 KR 2019990018555 U KR2019990018555 U KR 2019990018555U KR 19990018555 U KR19990018555 U KR 19990018555U KR 200170796 Y1 KR200170796 Y1 KR 200170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y nose
air
intake
vacuum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55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지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지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지인텍
Priority to KR2019990018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796Y1/en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3719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004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796Y1/en

Links

Classifications

    • A61M1/002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휴대가 가능하고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며 콧물을 흡입할 수 있는 진공이 발생되도록 하여 콧물 안내 부재를 통하여 콧물 통에 콧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전동 콧물 흡입기를 제공하여 스스로 코를 풀지 못하는 유아나 어린이 또는 환자 등의 콧물을 제거할 수 있다.It is portable, driven by a motor, and generates a vacuum to inhale a runny nose so that the runny nose can be stored in a runny nose through a runny nose guide member. Can get rid of a runny nose.

이러한 콧물 흡입기는 한 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안전성이 있다.Such a runny nose inhaler is easy to use and safe to use with one hand.

Description

휴대용 콧물 흡입기{A portable inhaler of snivel}A portable inhaler of snivel

본 고안은 콧물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나 어린이 또는 환자의 콧물을 가정에서 쉽게 제거하고 휴대할 수 있는 가정용 전동 콧물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unny nose inha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me electric runny nose inhaler that can easily remove and carry the runny nose of an infant, child or patient at home.

보통 가정에서 유아나 어린이들은 콧물을 스스로 풀어 내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콧물을 흡입하는 기구를 이용하여 유아나 어린이들의 콧물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콧물을 흡입하는 기구들은 수동으로 동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또한 이러한 기구를 사용할 때에는 두손으로 사용하도록 만들어져 있다.At home, infants and children are often unable to release their runny noses themselves. Therefore, using a device to inhale a runny nose to remove the runny nose of infants and children. At this time, the devices used to inhale the runny nose are generally operated manually, and when using such a device, it is designed to be used with both hands.

따라서 이러한 기구들을 사용하여 유아나 어린이들의 콧물을 제거할 때에는 유아나 어린이들이 움직이게 되는데 두손으로 기구를 작동시키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Therefore, when using these devices to remove the runny nose of the infant or children, the infant or children are moving, because the operation of the device with both hands is inconvenient in use.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할 수 있으며 한 손으로 콧물을 제거하는 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며, 전동으로 콧물 흡입기를 구동하여 효율적이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지속적인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콧물 흡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rry a runny nose with one hand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device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use, by driving the runny nose inhaler by electric and efficient It is to provide a runny nose inhaler that can be used safely and configured to maintain a constant vacuum.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A case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배터리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원과;A drive source disposed in the case and driven by a battery;

상기 구동원의 회전 운동을 직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 전달수단과;Power transmis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e source into a straight motion;

상기 동력 전달수단에 연결되어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수단과;Vacuum generating mean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generating a vacuum;

상기 진공 발생수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 발생수단 내의 공기를 배출하거나 콧물통의 공기를 흡입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와;It is coupled to the vacuum generating means, and discharges the air in the vacuum generating means or sucks the air in the runny nose and at least one intake, exhaust valve assembly;

상기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있는 공기 유통 관로와;An air circulation conduit coupled to the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상기 공기 유통 관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흡입된 콧물을 저장하는 콧물 통과;A runny nose passage connected with the air distribution conduit and storing a runny nose;

상기 콧물 통의 일측에 결합되어 코 속으로 삽입되어 흡입되는 콧물이 콧물 통으로 인입되도록 콧물을 안내하는 콧물 안내 부재;A runny nose guide member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unny nose and guides the runny nose so that a runny nose inserted into the nose is introduced into the runny nose bucket;

를 포함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를 제공한다.It provides a portable runny nose inhaler comprising a.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the main componen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내고 있는 분해 사시도,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FIG. 1;

도 3은 제1 실시예의 공기 출입 장치를 설명하기 일부 구성 요소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illustrating the air access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1 실시예의 공기 출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ir access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제1 실시예의 구동원을 작동시키기 위한 회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5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a circuit device for operating a drive source of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콧물의 흡입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6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halation state of the runny no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주요 부분인 공기 흡입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n air intake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FIG. 6;

도 8은 도 6의 주요 부분인 공기 배출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n operating state of an air discharge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FIG. 6;

도 9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콧물의 흡입 상태 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after the inhalation state of the runny no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주요 부분인 공기 흡입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ir intake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FIG. 9;

도 11은 도 9의 주요 부분인 공기 배출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n operating state of an air discharge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FIG. 9; FIG.

도 12는 길이 가변 피스톤의 신축 및 이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smoothing the expansion and relaxation of the variable length piston;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콧물 흡입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구성도,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unny nose inhaler for explain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의 동력전달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of FIG. 13 in detail;

도 15는 도 13에 적용되는 흡, 배기 밸브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intake and exhaust valve applied to FIG. 13;

도 16은 도 15의 흡, 배기 밸브에서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개폐부재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1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forming a vacuum in the intake and exhaust valves of FIG. 15;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17 is a side view of FIG. 16;

도 1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콧물 흡입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구성도,1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unny nose inhaler for explain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콧물 흡입 상태를 일시 정지시키기 위하여 콧물 흡입기의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1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main part of a runny nose inhaler to pause a runny nose inhalation state;

도 20은 콧물 안내 부재를 케이스로부터 연장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20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runny nose guide member is extended from the cas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내부의 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view of an internal component.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를 가지고 있으며, 이 케이스(1) 내에는 배터리(3)를 포함하여 이 배터리(3)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원인 모터(5), 이 모터(5)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 전달 수단 그리고 이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하여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 수단이 수납되어 있다.It has a case (1) having a space that can be stored therein, in the case (1) including a battery (3), a motor (5) which is a driving source connected to the battery (3), Power transmission means capable of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5 and vacuum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vacuum by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are housed.

그리고 케이스의 외측에는 진공 발생 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공기 유통 관로(7), 이 공기 유통 관로(7)와 연결되어 있는 콧물 통(9) 및 콧물 통으로 콧물을 안내 할 수 있는 콧물 안내 부재(11)가 연결되어 있다.And on the outside of the case is an air flow passage (7) connected to the vacuum generating means, a runny nose barrel (9) connected to the air flow passage (7) and a runny nose guide member (11) capable of guiding a runny nose to the runny nose barrel. Is connected.

또한 상술한 케이스(1)의 외측에는 모터(5)를 구동할 수 있는 스위치(13)가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switch 13 which can drive the motor 5 is arrange | positioned outside the case 1 mentioned above.

동력 전달 수단은 모터(5)의 회전에 따라 역시 회전하는 편심 캠(15)이 모터 축과 결합되어 있다. 이 편심 캠(15)은 회전 중심부가 모터(5)의 축과 결합되어 있으며, 이 회전 중심부에서 일정한 거리를 이격하여 모터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편심 축(15a)이 마련되어 있다. 이 편심 축(15a)은 편심 캠(5)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별도의 부재를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an eccentric cam 15, which also rot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5, is engaged with the motor shaft. The eccentric cam 15 has a rotational center coupled with the shaft of the motor 5, and the eccentric shaft 15a is pro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tor shaf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otational center. This eccentric shaft 15a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eccentric cam 5 or may be combined with a separate member.

그리고 상술한 편심 축(15a)의 외주에는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 동력 전달 부재(17)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동력 전달 부재(17)는 편심 축(15a)과 직각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1 동력 전달 부재(17)는 편심 축(15a)과 결합되는 반대측에 제2 동력 전달 부재(19)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1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동력 전달 부재(19)는 일단이 제1 동력 전달 부재(17)의 결합공(17a)과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또 다른 결합공(19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2 동력 전달 부재(17, 19)는 결합공(17a, 19a)이 각각 겹쳐지도록 배치한 후 연결핀(21)에 의하여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5)와 연결되는 동력 전달 수단은 모터(5)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 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제2 동력 전달 부재(19)의 다른 일단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진공 발생 수단의 길이 가변 피스톤과 결합됨과 동시에 이 길이 가변 피스톤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17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ccentric shaft 15a as described above to allow free rotation.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17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ccentric shaft 15a.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17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hat is coupled to the eccentric shaft (15a) coupling hole 17a that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19.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19 has another coupling hole 19a corresponding to one end thereof so as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7a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17.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s 17 and 19 are arranged to overlap the coupling holes 17a and 19a, respectively, and then the coupling is performed by the connecting pin 21. As such,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connected to the motor 5 allows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motor 5 to be linearly moved. Then, the other end of the 2nd power transmission member 19 is comprised in disk shape. This is for engaging the variable length piston of the vacuum generating means described later and operating the variable length piston at the same time.

상술한 진공 수단은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21)와, 실링 부재(23)와, 실린더 부재(25) 그리고 길이 가변 피스톤(27)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vacuum mean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n air intake and discharge conduit member 21, a sealing member 23, a cylinder member 25, and a variable length piston 27.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21)는,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며 공기가 인입될 수 있는 제1 흡입 관로(2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흡입 관로(21a)와 연결되어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21)의 내부에 제2 흡입 관로(21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흡입 관로(21b)는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21)의 아래 부분으로 연장되어 관로가 뚫어져 있다(도 3 기준). 그리고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21)에는 제2 흡입 관로(21b)의 일측에 일정한 공간부(21c)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21c)를 연장하여 외부와 연결되는 배출 관로(21d)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air intake and discharge conduit member 21 is provided with a first intake conduit 21a which protrudes out of the case 1 and allows air to be introduced therein. The second suction pipe 21b is formed inside the air suction and discharge pipe member 21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suction pipe path 21a. The second suction pipe line 21b exte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intake and discharge pipe member 21 to pierce the pipe line (see FIG. 3). In addition, the air suction and discharge pipe members 21 have a constant space portion 21c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uction pipe passage 21b, and the discharge pipe passage 21d connected to the outside by extending the space portion 21c is provided. Formed.

실링 부재(23)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21)에 밀착되어 결합되며 제2 흡입 관로(21b)와 배출 관로(21d)와 연통되는 공간부(21c)와 연통되는 위치에 각각 구멍(23a, 23b)이 뚫려져 있다. 그리고 이 구멍(23a)의 하단 및 구멍(23b)의 상단에는 첵 밸브의 역할을 하는 제1, 2 개폐부재(29, 31)가 결합되어 있다. 제1, 2 개폐부재(29, 31)는 구멍(23a, 23b)의 크기를 가릴 수 있는 정도의 크기가 적당하고,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고무재질의 탄성체가 바람직하며 일측을 연장하여 접착 수단,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실링 부재(23)에 부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1, 2 개폐부재(29, 31)는 제1, 2 개폐부재(29, 31)측에서 공기의 압력이 가해지면 구멍(23a, 23b)을 폐쇄하고, 그 반대측에서 공기의 압력이 가해지면 구멍(23a, 23b)을 개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력을 가지므로 아무런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구멍(23a, 23b)을 폐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실링 부재(23)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인입되지 않도록 실링 역할을 하며 실리콘 고무재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4, the sealing member 23 is tightly coupled to the air intake and exhaust conduit member 21 described above, and is a spac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intake conduit 21b and the exhaust conduit 21d. Holes 23a and 23b are drilled at positions communicating with 21c, respectively. The lower end of the hole 23a and the upper end of the hole 23b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 closing members 29 and 31 serving as the valve.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s 29 and 31 may have a size sufficient to cover the sizes of the holes 23a and 23b, and a rubber-like elastic body made of a plate is preferable, and one side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29 and 31 extends one side thereof, and preferably an adhesive means. Has a structure which is attached to the sealing member 23 using an adhesive agent.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s 29 and 31 close the holes 23a and 23b when air pressure is applied o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s 29 and 31, and air pressure is applied on the opposite sides. It is made of a structure for opening the ground holes (23a, 23b), and has a role of closing the holes (23a, 23b) when no pressure is applied because it has an elastic forc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In addition, the sealing member 23 serves as a sealing so that outside air is not drawn into the inside and is made of a silicone rubber material.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로 설명한 첵 밸브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방향으로 공기가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장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본 고안의 실시예로 적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eck valve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y one of the structure to be moun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block air from being drawn in one direction is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o.

실린더 부재(25)는 상단부에 실링 부재(23) 및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21)가 각각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별도의 체결 부재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평면에는 상술한 구멍(23a, 23b)과 연통하도록 또 다른 구멍(25a, 25b)이 형성되어 있다.The cylinder member 25 is formed in a plane so that the sealing member 23 and the air intake and discharge conduit member 21 are sequenti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so as to be fixed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or the like. In this plane, further holes 25a and 25b ar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bove-described holes 23a and 23b.

실린더 부재(25)는 상술한 평면의 하단(도 2 참조)에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원통형의 부재 내측에는 길이 가변 피스톤(27)이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cylinder member 25 is coupled to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t the lower end (see FIG. 2) of the plane described above. And the variable-length piston 27 is inserted and fixed inside this cylindrical member.

길이 가변 피스톤(27)은 상단부(도 2 참조)가 실린더 부재(25)의 안쪽 상면에 별도의 체결 부재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어 있다. 또한 길이 가변 피스톤(27)의 하단은 상술한 제2 동력 전달 부재(19)의 상단부(도 2 참조)가 역시 체결 부재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길이 가변 피스톤(27)는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주면에 반복적인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벨로우즈로 신축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variable-length piston 27 is fixedly coupled to an upper end (see FIG. 2) by an additional fastening member or adhesive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member 25. The lower end of the variable piston 27 is also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19 (see FIG. 2) by a fastening member or adhesive. The variable-length piston 27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etc., and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by a bellows in which repeated wrinkl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길이 가변 피스톤(27)은 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개재하고 있다(도 12에 도시하고 있음). 상기 탄성부재는 길이 가변 피스톤(27)이 신축 및 이완 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피아노줄, 낚시줄 또는 탄성력이 있는 와이어 등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ariable-length piston 27 has an elastic member in which the elastic force act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hown in FIG. 12). The elastic member is for smoothing the expansion and relaxation movement of the variable length piston 27,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such as a piano string, fishing line or elastic wire.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21)의 결합되어 있는 제1 흡입 관로(21a)의 외주에는 공기 유통 관로(7)의 일단이 끼움 결합된다. 제1 흡입 관로(21a)의 외주에 공기 유통 관로(7)를 끼울 때 직경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33)를 결합한 후 이 인터페이스(33)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One end of the air distribution line 7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uction line 21a coupled to the air intake and discharge line 21. If the diameter does not match when fitting the air distribution line 7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uction line 21a,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the separate interface 33 and then couple to the interface 33.

상술한 공기 유통 관로(7)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air distribution line 7 consists of a rubber material which has elastic force.

이 공기 유통 관로(7)의 타단은 콧물 통(9)과 결합되어 있다.The other end of the air circulation conduit 7 is coupled to the runny nose 9.

콧물 통(9)은 내부에 콧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공기 유통 관로(7) 측에 세로(도 1 참조)로 격벽(7a)을 형성한 후, 이 격벽(7a)의 상단부에 통공(7b)을 형성한다. 이 통공(7b)은 콧물이 이루는 수면 보다 상측에 형성하여 콧물이 진공 수단 측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만이 유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runny nose container 9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a runny nose therein, and after the partition 7a is formed vertically (see FIG. 1) on the air distribution line 7 side,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7a is formed. A through hole 7b is formed in the hole. The through hole 7b is formed above the surface of the runny nose so that the runny nose is not drawn to the vacuum means and only the air can flow.

상술한 콧물 통의 다른 측에는 콧물 안내 부재(11)가 끼움 결합되어 있다. 이 콧물 안내 부재(11)는 관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유아나 어린이의 코에 직접 삽입되는 부분이므로 부드러운 재질의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ther side of the runny nose described above is fitted with a runny nose guide member (11). The runny nose guide member 11 is made of a pipe, and is also made of a soft rubber material because it is a part directly inserted into the nose of an infant or a child.

한편, 케이스(1)의 외측에는 모터(5)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치(13)가 배치되어 있으며 도 5에 연결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스위치(13)는 단지 모터(5)에 선택적으로 배터리(3)의 전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저항 등을 사용하는 등의 응용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switch 13 for driving the motor 5 is disposed outside the case 1, and a connection circuit diagram is shown in FIG. The switch 13 merely serves to selectively connect the power source of the battery 3 to the motor 5, and may configure an application circuit such as using a resistor or the like as necessary.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operating stat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in this way.

사용자가 콧물 안내 부재(11)의 선단부의 일부를 유아 또는 어린이의 코에 삽입하고, 스위치(13)를 온 시키면 배터리(3)의 전원이 모터(5)로 전달되어 모터가 구동하게 된다. 모터(5)의 구동에 따라 편심 캠(15)이 회전하게 되고, 이 편심 캠(15)의 회전에 따라 제1 동력 전달 부재(17)를 통하여 회전 모터 축의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고,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 구동력은 제2 동력 전달 부재(19)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2 동력 전달 부재(19)는 상, 하 이동을 하게 된다.When the user inserts a part of the tip of the runny nose guide member 11 into the nose of an infant or a child and turns on the switch 13, the power of the battery 3 is transferred to the motor 5 to drive the motor. As the eccentric cam 15 rotates as the motor 5 is drive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ry motor shaft is converted into linear movement through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17 as the eccentric cam 15 rotates. The driving force converted into linear motion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19. Therefore,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19 moves up and down.

우선 제2 동력 전달 부재(19)가 하방으로 내려오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길이 가변 피스톤(27) 역시 하방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길이 가변 피스톤(27)의 내부에는 진공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유아나 어린이의 코속에 있는 콧물은 콧물 안내 부재(11)를 따라 흡입되어 콧물통(9)에 고이게 된다. 그리고 콧물 통(9)의 콧물은 격벽(7a)에 의하여 진공 수단 측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콧물 통(9)에만 고여 있게 된다. 그리고 격벽(7a)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7b)을 통하여 공기만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공기는 공기 유통 관로(7)를 통하여 제1 흡입 관로(21a) 및 제2 흡입 관로(21b)로 이동한다. 이때 공기는 실링 부재(23)의 구멍(23a)을 통과하면서 제1 개폐 부재(29)를 밀게 된다(도 7에 도시하고 있음). 그리고 계속해서 공기는 실린더 부재(25)의 구멍을 통하여 길이 가변 피스톤(27) 내로 인입되어 길이 가변 피스톤(27)의 인장이 이루어지게 된다.First, when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19 descends downward, as shown in FIG. 6, the variable-length piston 27 also descends downward. At this time, a vacuum is generated inside the variable length piston 27. The runny nose in the nose of the infant or child is then sucked along the runny nose guide member 11 and accumulated in the runny nose 9. And the runny nose of the runny trough 9 does not move to the vacuum means side by the partition 7a, and it accumulates only in the runny trough 9. And only air moves in the arrow direction of FIG. 6 through the through hole 7b formed in the partition 7a. This air moves to the first suction line 21a and the second suction line 21b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line 7. At this time, the air pushes the first opening / closing member 29 while passing through the hole 23a of the sealing member 23 (shown in FIG. 7). T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variable length piston 27 through the hole of the cylinder member 25 to tension the variable length piston 27.

한편 길이 가변 피스톤(27)이 인장되는 경우에 실링 부재(23)에 결합되어 있는 제2 개폐 부재(31)는,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ariable length piston 27 is tensioned, the second opening / closing member 31 coupled to the sealing member 23 blocks the outside air, as shown in FIG. 8.

그리고 제2 동력 전달 부재(19)가 상승하면, 길이 가변 피스톤(27)의 내부는 압축되는데(도 9에 도시하고 있음), 공기의 압력 및 제1 개폐부(29)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되어 실링 부재(23)의 구멍(23a)이 폐쇄되고(도 10에 도시하고 있음), 제2 개폐부(31)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밀리게 되어(도 11에 도시하고 있음) 배출 관로(21d)를 따라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When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19 is raised, the inside of the variable-length piston 27 is compressed (shown in FIG. 9), an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air pressure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portion 29. The hole 23a of the member 23 is closed (shown in FIG. 10), and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ortion 31 is pushed down by the pressure of air (shown in FIG. 11) to open the discharge conduit 21d. It moves along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길이 가변 피스톤(27) 내부의 인장 및 압축 상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콧물을 제거한다.While repeating this process, the runny nose is removed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tension and compression state inside the variable-length piston (27).

특히, 콧물 안내 부재(11) 및 공기 유통 관로(7)는 유연한 고무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유아나 어린이들의 코속에 자극을 줄여줄 수 있으며, 케이스(1)와 콧물 안내 부재(11) 각도가 변하여도 정상적인 기구의 작동이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the runny nose guide member 11 and the air distribution line 7 is made of a flexible rubber material can reduce irritation in the nose of infants and children, even if the case (1) and runny nose guide member (11) angle changes Normal instrument operation is achieved.

이하,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3은 본 고안이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외형을 이루고 있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의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있는 배터리(3) 및 모터(5) 그리고 진공 발생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FIG.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and an outer shape thereof is formed, and a battery housed in a storage space inside the case 1. 3, the motor 5 and the vacuum generating means are shown.

상기 진공 발생 수단은 진공이 발생되는 실린더(100) 및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 104)를 포함하고 있다.The vacuum generating means includes a cylinder 100 for generating a vacuum and a pair of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ies 102 and 104.

스위치(13)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케이스(1)의 외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배터리(3)의 전기를 선택적으로 모터(5)에 전달하여 모터(5)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전기적인 회로로 연결되어 있다.The switch 13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5 to selectively drive electricity of the battery 3 to drive the motor 5. It is connected by a circuit.

상기 모터(5)는 축부에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부재(10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101)는, 도 1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모터(5)의 구동에 따라 모터(5)의 축부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01)의 일측면에는 돌출부(10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01a)는 회전부재(10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01a)에는 회전부재(10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주기 위한 동력 전달부재(103)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103)의 타단은 실린더(100)의 피스톤 로드(105)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로드(105)는 실린더(100)의 내부를 왕복 운동하며, 진공을 발생시키는 피스톤(107)을 구비하고 있다.The motor 5 is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101 made of a disc shape in the shaft portion. As shown in FIG. 14, the rotating member 101 has a structure that can rotate together when the shaft portion of the motor 5 rotates as the motor 5 is driven. And one side of the rotating member 101 is formed with a projection (101a). The protrusion 101a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eccentric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member 101. One end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103 is hinged to the protrusion 101a to change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onal member 101 into a linear motion. The other end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103 is hinged to the piston rod 105 of the cylinder 100. The piston rod 105 is provided with a piston 107 for reciprocating the inside of the cylinder 100 to generate a vacuum.

상기 실린더(100)는 양측에 각각 진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제1, 2 진공 포트(100a, 100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2 진공 포트(100a, 100b)는 피스톤(107)이 이동하는 행정(피스톤이 일끝에서 일끝까지 이동하는 거리)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2 진공 포트(100a, 100b) 는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어 제1, 2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 104)를 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cylinder 100 has first and second vacuum ports 100a and 100b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so as to form a vacuum on both sides,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1st, 2nd vacuum port 100a, 100b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of the stroke (distance which a piston moves from one end to one end) to which the piston 107 moves.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vacuum ports 100a and 100b have screw groove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fasten the first and second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ies 102 and 104.

제1, 2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 104)는, 도 1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편의상 제1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를 예로 들어 설명함), 상기 제1, 2 진공 포트(100a, 100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커넥터(109)와, 상기 커넥터(109)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흡, 배기 부재(111)와, 상기 제1 흡, 배기 부재(111)의 일면에 배치되는 개폐부재(113)와, 상기 제1 흡, 배기 부재(111) 및 개폐부재(113)를 수납하면서 제1 흡, 배기 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제2 흡, 배기 부재(115)를 구비하고 있다.The first and second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ies 102 and 104 are illustrated in FIG. 15 (for convenience, the first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first and second vacuum ports 100a, The connector 109 that can be screwed to the 100b), the first intake, exhaust member 111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or 109 and the first intake, exhaust member 111 is disposed on one surfac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3 and the second suction and exhaust member 115 which are coupled to the first suction and exhaust member while accommodating the first suction and exhaust member 11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3 are provided.

상기 커넥터(109)는 일측이 상기 실린더(100)의 제1, 2 진공포트(100a, 100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돌출되는 결합부(109a)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앙부에는 축 중심 방향으로 에어 통로(109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09)는 결합부(109a)가 형성되어 있는 반대측에 일정한 수납공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수납공간의 외주에는 제2 흡, 배기 부재(115)와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09)의 수납공간부 내주면은 내측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제1 흡, 배기부재가 결합될 때 일정한 공간(109c)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이 공간(109c)은 에어의 유통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connector 109 has a coupling portion 109a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as a thread so that one side thereof may be screwed to the first and second vacuum ports 100a and 100b of the cylinder 100. The air passage 109b is formed in the axial center direction. In addition, the connector 109 has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on the opposite side where the coupling portion 109a is formed,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orage space to engage with the second suction and exhaust member 115. hav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portion of the connector 109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inner side thereof is narrowed so as to secure a constant space 109c when the first suction and exhaust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is space 109c is for the smooth flow of air.

상기 제1 흡, 배기부재(111)는 양면을 관통하도록 공기 흡입공(111a)과 공기 배출공(111b)을 구비하고 있으며, 외주면이 상기한 커넥터(109)의 테이퍼진 부분과 대응하도록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109)와 결합시 공간(109c)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The first suction and exhaust member 111 includes an air suction hole 111a and an air discharge hole 111b so as to penetrate both surfaces thereof, and has a tapered shape so th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corresponds to the tapered portion of the connector 109. It has a size enough to secure a space (109c) when coupled with the connector (109).

상기 개폐부재(113)는 제1 흡, 배기부재(111)의 일측에 배치되며,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2 개폐부(113a, 113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개폐부재(113)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 개폐부(113a, 113b)는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이 상기 개폐부재(113)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개폐부(113a)는 공기 배출부(111b)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3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intake and exhaust member 111 and has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113a and 113b, as shown in FIGS. 16 and 17.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3 is preferably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113a and 113b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nd one side thereof is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3.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3a is preferably arrang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air outlet 111b.

상기 제2 흡, 배기부재(115)는 내부에 상기 제1 흡, 배기부재(111) 및 개폐부재(113)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수납공간측의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넥터(109)의 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흡, 배기부재(115)는 상술한 수납 공간부와 다른 면이 서로 연통되어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공기 흡입공(115a) 및 공기 배출공(11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기 흡입공(115a)은 수납공간 측에서 개폐부재(113)의 제1 개폐부재(113a)가 공기 흡입공(115a)에 접촉되어 공기 흡입공(115a)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second suction and exhaust member 115 has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so as to accommodate the first suction and exhaust member 11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3 therein, an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side The screw groove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thread of the connector 109. In addition, the second suction and exhaust member 115 is provided with an air intake hole 115a and an air discharge hole 115b that allow the air to pass through the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and the other surface. In addition, the air suction hole 115a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3a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3 contacts the air suction hole 115a at the storage space sid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air suction hole 115a. Consists of

상술한 제1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와 제2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4)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만 실린더(10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피스톤의 왕복에 따라 진공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의 에어통로(109b)와 제2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4)의 에어통로(도면의 부호는 생략함)와 관로(117)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로(117)를 분지한 분지 관로(117a)를 형성하여, 이 분지 관로(117a)와 콧물통(9)을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콧물통(9)은 제1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의 외측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제2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의 내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콧물통(9)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케이스(1)의 외측에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설계상 편의에 따라 다양한 위치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102 and the second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104 described above have the same structure, but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ylinder 100 so that the vacuum is continuously generated as the piston reciprocates. It consists of a structure made up of. The air passage 109b of the first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102 and the air passage (not shown in the drawing) of the second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104 are connected to the conduit 117. A branch conduit 117a is formed by branching the conduit 117, and the branch conduit 117a and the runny nose 9 are formed. The runny nose 9 has a structure that is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1 in the first embodiment, but illustrates a structure that is arranged inside the case 1 in the second embodiment. However, the runny nose 9 can also be installed outside the case 1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can be made in various positions and shapes according to design convenience.

한편 상기 콧물통(9)의 일측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콧물 안내부재(11)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runny nose guide member 11 made of a rubber material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unny nose 9 as in the first embodiment.

이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made in this way is explained below.

콧물을 제거할 대상자의 코에 콧물 안내 부재(11)를 넣고, 스위치(13)를 온 상태로 작동시키면, 배터리(3, 도 13 참조)의 전원에 의하여 모터(5)가 구동하여 모터(5)의 축부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부재(101)가 회전한다. 그러면 동력 전달부재(103)는 일측이 회전부재(101)의 돌출부(101a)와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부재(101)의 회전에 따라서 일단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103)의 타단은 피스톤 로드(105)와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부재(101)의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바뀌면서 피스톤(107)이 실린더(100)의 내부에서 일정한 행정을 왕복 이동하게 된다.When the runny nose guide member 11 is placed in the nose of the subject to remove the runny nose and the switch 13 is operated in the on state, the motor 5 is driven by the power source of the battery 3 (see FIG. 13) and the motor 5 Rotating member 101 is coupled to the shaft portion of the rotation. Then, one sid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103 is hinged with the protrusion 101a of the rotating member 101 so that one end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101. Since the other end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103 is hinged to the piston rod 105, the piston 107 reciprocates a certain stroke in the cylinder 100 whil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ng member 101 is changed into a linear movement. Will move.

그러면 피스톤(107)의 왕복 운동에 따라 콧물통(9)에 진공이 형성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rocess of forming a vacuum in the runny nose (9) in accordance with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107).

제1, 2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 104)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1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ies 102 and 104 have the same structure, the first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102 will be described.

피스톤(107)이 제1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의 위치에서 제2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4) 측으로 실린더(100)를 따라 이동하면 제1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 측의 실린더(100)에는 진공압이 형성되고, 이 진공압에 의하여 제1 개폐부재(113a)가 제2 흡, 배기 부재(115)의 공기 흡입공(115a)을 오픈하여 콧물통의 공기를 빨아들이면서 콧물통(9)은 진공이 형성된다. 이때 콧물통(9)의 공기는 분지 관로(117a) 및 관로(117)를 따라 제2 흡, 배기 부재(115)의 공기 흡입공(115a)을 통하여 제1 흡, 배기 부재(111)의 공기 흡입공(111a)을 거쳐 에어 통로(109b)를 지나 실린더(100) 측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콧물통(9)에 진공이 형성되어 콧물이 콧물 안내부재(11)를 통하여 콧물통(9)으로 흡입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piston 107 moves along the cylinder 100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102 to the second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104, the cylinder on the first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102 side Vacuum pressure is formed in the 100, and the first opening / closing member 113a opens the air suction hole 115a of the second suction and exhaust member 115 to suck the air from the runny nose by the vacuum pressure. The runny nose 9 is formed with a vacuum. At this time, the air of the runny nose (9) is the air of the first intake, exhaust member 111 through the air intake hole (115a) of the second intake, exhaust member 115 along the branch pipe (117a) and the conduit (117). The suction hole 111a passes through the air passage 109b and is led to the cylinder 100 side. Therefore, a vacuum is formed in the runny nose 9 so that the runny nose can be sucked into the runny nose 9 through the runny nose guide member 11.

이와 반대로 피스톤(107)이 제2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4) 측에서 제1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 측으로 이동하면 제2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4) 측에서 상술한 제1 흡, 배기 어셈블리(102)에서 일어난 작용이 동일하게 일어나면서 콧물통(9)을 진공상태로 만든다. 이에 대한 작용은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동시에 제1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102) 측의 실린더(100)에 있는 공기는 압축되어 에어 통로(109b)를 통하여 제1 흡배기 부재(111)의 공기 배출공(111b) 및 제2 흡, 배기 부재(115)의 공기 배출공(115b)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작용은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제1 개폐부재(113b)가 오픈되어 공기 배출공(111b, 115b)을 연통시킴과 동시에 제1 개폐부재(113a)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공기 흡입공(115a)을 닫음으로서 가능하다.In contrast, when the piston 107 moves from the second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104 side to the first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102 side, the first intake and exhaust described above on the second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104 side. The action that takes place in the exhaust assembly 102 takes place equally, bringing the runny nose 9 into a vacuum. Since the operation thereof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t the same time, the air in the cylinder 100 on the side of the first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102 is compressed, and the air discharge hole 111b and the second intake and exhaust of the first intake and exhaust member 111 are provided through the air passage 109b.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115b of the exhaust member 115. This action i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3b is opened by the air pressure to communicate the air discharge holes (111b, 115b)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3a is the air intake hole (115a) by the pressure of the air It is possible by closing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콧물통(9)에 진공압이 형성되어 콧물을 빨아들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콧물통(9)은 빨아들인 콧물만 저장하고 공기는 관로(117) 등을 통하여 이동시킨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a vacuum pressure is formed in the runny nose 9 so that the runny nose can be sucked up. Of course, runny nose (9) stores only the runny nose sucked and the air is moved through the conduit (117).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피스톤이 한번 왕복을 할 때 한번의 진공 발생 상태가 형성되는데 비하여, 제2 실시예는 피스톤이 한번 왕복할 때 2번의 진공 발생 상태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므로 콧물통에 어느 정도 일정한 압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콧물을 효율적으로 빨아들일 수 있게 되어 제1 실시예에 비하여 그 콧물의 흡입 효과가 뛰어난 이점이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one vacuum is generated when the piston reciprocates once, whereas the second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vacuums are generated when the piston reciprocates onc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uck the runny nose by maintaining a constant pressure to a constant degre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halation effect of the runny nose is superior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콧물 흡입기의 구성도로서, 콧물 흡입기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1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unny nose inhaler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runny nose inhaler.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른 부분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한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other parts as compared with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ame parts is replaced by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우선 실린더(301)는 일측이 개구를 이루고 있으며, 그 내면에 왕복 운동할 수 있는 피스톤(30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실린더(301)의 일측은 피스톤(303)의 이동에 따라 실린더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을 구비하고 있으며, 콧물통에 진공이 발생할 수 있도록 콧물통과 관로로 연결되어 있고, 개폐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폐 밸브는 상술한 제2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만 제2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있어 연속적인 진공 형성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제3 실시예에서는 피스톤이 1행정으로 한번의 진공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나의 개폐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처럼 하나의 개폐밸브를 사용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구조는, 부품의 수를 줄여 제작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cylinder 301 has an opening on one side thereof, and has a piston 303 that can reciprocate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one side of the cylinder 301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air in the interior of the cylinder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iston 303, is connected to the runny nose and the conduit so as to generate a vacuum in the runny nose, Equipped. This on-off valv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except that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on-off valves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a continuous vacuum. The difference is that one on-off valve is provided so that a single vacuum can be generated by the stroke.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in which the vacuum is formed by using one open / close valve as in the third embodiment ha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제3 실시예의 콧물통(305)은 케이스(1)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점이 제2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In addition, the runny nose 305 of the thir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1.

즉, 케이스(1)의 일측에 오목부(307)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30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콧물통(305)을 성형 제작하여 상기 케이스(1)의 오목부(307)와 상기 콧물통(305)이 억지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That is, the concave portion 307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1, and the runny nose 305 is 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307 to form the concave portion 307 of the case 1. The runny nose 305 is to force the fit.

상기 콧물통(305)에는 진공 관로와 연결될 수 있는 구멍을 마련하고, 케이스(1)에도 진공 관로와 연결되는 구멍을 마련하여 각각의 구멍을 일치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The runny nose 305 is provided with a hol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vacuum pipe, the case 1 also has a structure to match each hole by providing a hole connected to the vacuum pipe.

한편, 상기 진공 관로는 일측에 일시적으로 진공상태를 정지시켜 필요시에만 콧물의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진공 일시 정지 수단을 마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acuum pipe is provided on one side to temporarily stop the vacuum state to provide a vacuum pause means for controlling so that the suction of runny nose can be made only when necessary.

상기 진공 일시 정지 수단은, 도 19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1)에 푸쉬 가능하게 배치되는 버튼(311)과, 상기 버튼(311)에 탄지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311)을 초기 위치로 리턴 시키기 위한 압축 코일 스프링(313)과, 상기 버튼(311)에 결합되어 있으며 진공 관로에 뚫려져 있는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구멍 마개부재(3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멍 마개 부재(315)는 진공 관로의 내측에 배치되어 버튼(311)의 가압에 따라 진공 관로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대기와 연통시키고 버튼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 압축 코일 스프링(313)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311)을 리턴시켜 진공 관로의 구멍을 폐쇄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콧물의 흡입 상태를 일시 정지시키고자 하면 버튼(311)을 가볍게 누름으로서 진공 관로와 대기가 구멍(316)을 통하여 연결되어 진공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9, the vacuum pause means is provided with a button 311 disposed on the case 1 so as to be able to push, and the button 311 is supported, and the button 311 is initially positioned. Compression coil spring (313) for returning to the, and the button 311 is coupled to the hole stopper member 315 for selectively opening or closing the hole drilled in the vacuum pipe. The hole stopper member 315 is disposed inside the vacuum line and communicates the hole formed in the vacuum line with the atmosphere according to the pressurization of the button 311,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313 when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button is released. The button 311 is returned to close the hole of the vacuum pipe. Therefore, if the user wants to pause the inhalation state of the runny nose, by pressing lightly the button 311, the vacuum line and the air are connected through the hole 316 to release the vacuum state.

한편, 상기 콧물통(305)에 결합되어 있는 콧물 안내 부재를 제거하고, 진공 연장 관로(321)를 끼움 결합하여 이 진공 연장 관로(321)를 보조 케이스(323)에 연결하고, 이 보조 케이스(323)에 보조 콧물통(327) 및 콧물 안내 부재(11)를 각각 연결한 콧물 안내부재 연장 수단을 도 20에 도시하고 있다.Meanwhile, the runny nose guide member coupled to the runny nose 305 is removed, and the vacuum extension conduit 321 is fitted to connect the vacuum extension conduit 321 to the auxiliary case 323, and the auxiliary case ( A runny nose guide member extension means connecting the auxiliary runny nose 327 and the runny nose guide member 11 to 323 is shown in FIG. 20.

상기 보조 케이스(323)에는 상술한 제3 실시예의 진공 일시 정지 수단과 동일한 구조의 또 다른 진공 일시 정지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진공 일시 정지 수단은 상술한 구조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치하며,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한다.The auxiliary case 323 is provided with another vacuum pause means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vacuum pause means of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Since the vacuum pause means has the same structure and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is replaced by the above description, and this structure is various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o facilitate convenience of use.

이러한 콧물 안내부재 연장 수단은 사용자가 본체를 이루는 케이스는 일정한 위치에 놓아둔 채 단지 연장부만을 잡고서 다양한 위치에서 콧물 제거를 할 수 있으므로 제1, 2 실시예에 비하여 사용상 편리한 이점이 있다.The means for extending the runny nose member is advantageous in use compared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because the user can remove the runny nose at various positions by holding only the extension while leaving the case forming the main body at a constant position.

본 고안에 따른 콧물 제거기는 모터에 의하여 진공 수단에서 진공이 형성되고 이 진공으로 유아나 어린이의 콧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휴대할 수 있음은 물론 한 손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편리하고, 안전성 및 콧물 제거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진공 효율이 증대되어 일정한 진공압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unny nose rem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cuum is formed in the vacuum means by the motor and made to remove the runny nose of the infant or child by the vacuum, it is portable and can be used with one hand, convenient, safe And i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runny nose remov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intain a constant vacuum pressure to increase the vacuum efficiency.

Claims (16)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A case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배터리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원과;A drive source disposed in the case and driven by a battery; 상기 구동원의 회전 운동을 직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 전달수단과;Power transmis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e source into a straight motion; 상기 동력 전달수단에 연결되어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수단과;Vacuum generating mean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generating a vacuum; 상기 진공 발생수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 발생수단 내의 공기를 배출하거나 콧물통의 공기를 흡입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와;It is coupled to the vacuum generating means, and discharges the air in the vacuum generating means or sucks the air in the runny nose and at least one intake, exhaust valve assembly; 상기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있는 공기 유통 관로와;An air circulation conduit coupled to the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상기 공기 유통 관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흡입된 콧물을 저장하는 콧물 통과;A runny nose passage connected with the air distribution conduit and storing a runny nose; 상기 콧물 통의 일측에 결합되어 코 속으로 삽입되어 흡입되는 콧물이 콧물 통으로 인입되도록 콧물을 안내하는 콧물 안내 부재;A runny nose guide member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unny nose and guides the runny nose so that a runny nose inserted into the nose is introduced into the runny nose bucket; 를 포함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Portable runny nose inhaler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상기 구동원의 축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원의 회전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회전축에서 일정한 거리를 띄워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편심 위치에 편심 축이 마련되어 있는 편심 캠과;An eccentric cam coupled to the shaft portion of the drive source, the eccentric shaft being rotated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drive source, the eccentric shaft being provided at an eccentric posi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axis by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otation shaft; 상기한 편심 캠에 결합되어 있는 편심축에 직각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원의 회전 운동을 직선으로 변화하는 제1 동력 전달 부재와;A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coupled to the eccentric shaft coupled to the eccentric cam at right angles to change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e source in a straight line; 상기 제1 동력 전달 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동력 전달 부재와 연동하여 직선 이동하는 제2 동력 전달 부재;A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hinged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and linearly moved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Portable runny nose inhal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모터로 이루어져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3. A portable runny nose inhal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said drive source is comprised of a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발생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acuum generating means 상기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를 통하여 공기가 선택적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실린더 부재와;A cylindrical cylinder member having an air hole formed therein for selectively introducing air through the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and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상기 실린더 부재의 내측 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동력 전달수단의 구동력에 의하여 압축 및 인장되어 진공을 발생시키는 길이 가변 피스톤;A variable length piston fixedly coupled to an inner upper end of the cylinder member and compressed and tensioned by a driving forc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o generate a vacuum; 을 포함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Portable runny nose inhaler that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발생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acuum generating means 상기 동력 전달수단의 구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피스톤과;A piston moving by the driving forc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상기 피스톤의 외주에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진공을 발생시키는 실린더;A cylinder arranged to slide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piston to generate a vacuum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iston; 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Portable runny nose inha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통관로는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고무재로 이루어져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The portable runny nose inhaler of claim 1, wherein the air flow channel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constant elastic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ake, exhaust valve assembly is 공기 흡입 관로와 공기 배출관로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와;An air intake and exhaust conduit member in which an air intake conduit and an air exhaust conduit are formed; 상기 공기 흡입 및 배출 관로 부재와 결합되어 있으며 공기 흡입 관로 및 공기 배출 관로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공기를 통과시키거나 공기의 인입 및 배출을 차단하는 복수의 첵 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실링의 역할을 하는 실링 부재;It is coupled with the air intake and discharge pipe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air intake pipe and the air discharge pipe has a plurality of check valves for selectively passing the air or blocking the inlet and discharge of the air, and the sealing acts as a sealing absence; 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Portable runny nose inhal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첵 밸브는8. The valve of claim 7, wherein the shock valve coupled to the sealing member is 상기 실링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흡입구가 길이 가변 피스톤의 하강시에 오픈되고 상승시에는 닫힐 수 있도록 상기 실링 부재의 길이 가변 피스톤 측에 탄성체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제1 개폐부재와;A first opening / closing member coupled to the length variable piston side of the sealing member by an elastic body such that the air inlet formed in the sealing member is opened when the length variable piston is lowered and closed when it is raised; 상기 실링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배출구가 길이 가변 피스톤의 하강시에는 닫히고 상승시에 오픈될 수 있도록 상기 실링 부재의 길이 가변 피스톤 반대측에 탄성체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제2 개폐부재;A second opening / closing member which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variable variable piston of the sealing member so that the air outlet formed in the sealing member is closed when the longitudinal variable piston is lowered and opened when the longitudinal variable piston is opened; 로 이루어져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Portable runny nose inhaler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ake, exhaust valve assembly is 상기 진공 발생수단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발생수단과 연통되는 에어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와;A connector coupled to one side of the vacuum generating means and having an air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vacuum generating means;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 수납되며 공기 배출구 및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흡, 배기 부재와;A first intake and exhaust member accommodated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and having an air outlet and an air inlet; 상기 제1 흡, 배기 부재를 수납하고 있으며, 상기 관로와 연통되는 공기 흡입공 및 상기 콧물통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어 있는 제2 흡, 배기부재와;A second intake and exhaust member accommodating the first intake and exhaust member, an air intak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onduit, and an air exhaust hole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runny nose, and coupled to the connector; ; 상기 제1 흡, 배기 부재와 제2 흡, 배기 부재의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흡, 배기 부재의 공기 배출공 및 제2 흡, 배기 부재의 공기 흡입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제1, 2 개폐부를 가지는 개폐부재;It is provided on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intake, exhaust member and the second intake, exhaust member, and can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air intake hole of the first intake, exhaust member and the air intake hole of the second intake, exhaust member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having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Portable runny nose inhal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는 진공 발생수단의 작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진공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진공 발생수단의 양측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10. The portable runny nose inhale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ies are arranged in plural on both sides of the vacuum generating means so as to continuously generate the vacuum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acuum generat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콧물 통은 저장되는 콧물이 공기 관로를 통하여 상기 진공 발생 수단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공기만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에 콧물이 고이는 수면보다 위쪽에 배치되도록 통공을 형성하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unny nose is formed in the partition to block the runny nose to be stored in the vacuum generating means side through the air pipe and to pass only the air, and the runny nose in the partition above the water surface Portable runny nose inhaler forming a through-hole to be plac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는 일측에 설치되는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 중의 공기 흡입공과 또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흡, 배기 밸브 어셈블리 중의 공기 흡입공을 관로로 연결하고, 이 관로를 분지한 분지 관로를 콧물 통에 연결하여 구성한 휴대용 콧물 흡입기.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air intake hole in the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air intake hole in the intake and exhaust valve assembly provided on the other side by a conduit, the conduit A portable runny nose inhaler constructed by connecting branched branch lines to a runny nose buck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가변 피스톤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variable length piston 내주면에 외측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탄성부재를 개재하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A portable runny nose inhaler interposed between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in a direction of pressing outwar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se 일측에 콧물통의 진공을 일시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버튼과,A button carried by a spring to temporarily release the vacuum of the runny nose on one side, 상기 버튼에 결합되며 진공 관로와 대기를 연통하는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멍 마개 부재;A hole stopper member coupled to the butto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hole communicating with the vacuum pipe and the atmosphere; 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Portable runny nose inha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콧물통에 일단이 연결되는 진공 연장 관로와;According to claim 1, Vacuum extension pipe line is connected to the runny nose end; 상기 진공 연장 관로의 타단이 결합되는 보조 케이스와;An auxiliary case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vacuum extension pipe is coupled; 상기 보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진공 연장 관로와 연통되는 보조 콧물통과;An auxiliary runny nose coupled to the auxiliary case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vacuum extension conduit; 상기 보조 콧물통의 일측에 결합되는 보조 콧물 안내 부재;A secondary runny nose guide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ary runny nose; 를 더 포함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The portable runny nose inhaler further include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케이스는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auxiliary case 일측에 진공을 일시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버튼과,A button carried by a spring so as to temporarily release the vacuum on one side, 상기 버튼에 결합되며 진공 관로와 대기를 연통하는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멍 마개 부재;A hole stopper member coupled to the butto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hole communicating with the vacuum pipe and the atmosphere; 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콧물 흡입기.Portable runny nose inhaler.
KR2019990018555U 1999-05-12 1999-09-02 A portable inhaler of snivel KR20017079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555U KR200170796Y1 (en) 1999-05-12 1999-09-02 A portable inhaler of sniv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980 1999-05-12
KR19990016980 1999-05-12
KR2019990018555U KR200170796Y1 (en) 1999-05-12 1999-09-02 A portable inhaler of snivel
KR1019990037191A KR100300441B1 (en) 1999-05-12 1999-09-02 A portable inhaler of snive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191A Division KR100300441B1 (en) 1999-05-12 1999-09-02 A portable inhaler of sniv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796Y1 true KR200170796Y1 (en) 2000-03-15

Family

ID=2734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555U KR200170796Y1 (en) 1999-05-12 1999-09-02 A portable inhaler of sniv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79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325466A (en) Portable nasal secretion evacuator
US11744690B2 (en) Toothbrush tip
US5941851A (en) Pulsed lavage handpiece with improved handle
KR100611875B1 (en) Skin care device
US5746721A (en) Pulsed lavage pump with integral power source and variable flow control
US4212300A (en) Rubber band powered piston valve aspirator
KR200188585Y1 (en) A portable inhaler of snivel
US20080194907A1 (en) Massaging Device for Sexual Purpose
KR20000068899A (en) Improved accuracy peristaltic pump
EP1532992B1 (en) Manual breast pump
US5214968A (en) Pipet filling and discharge device
US20050084395A1 (en) Vacuum driven pump for a lavage instrument
US6494876B1 (en) Disposable liposuction device and method
KR100300441B1 (en) A portable inhaler of snivel
KR100997032B1 (en) Portable Skin Massaging Apparatus
KR200170796Y1 (en) A portable inhaler of snivel
EP1604121A2 (en) Rechargeable pneumatic power supply
RU203630U1 (en) Reusable Anorectal Ligation Device
JPS645893B2 (en)
JP3599093B2 (en) Endoscope air and water supply valve structure
US7219667B2 (en) Hand press type rapid positioning first-aid device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N218106463U (en) Blackhead suction instrument with massage function
JP3189356B2 (en) Endoscope suction mechanism
KR200300845Y1 (en) Portable cupping pump
RU2151616C1 (en) Control unit for blood su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