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670Y1 - 현수형 램프장치 - Google Patents

현수형 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670Y1
KR200170670Y1 KR2019970018375U KR19970018375U KR200170670Y1 KR 200170670 Y1 KR200170670 Y1 KR 200170670Y1 KR 2019970018375 U KR2019970018375 U KR 2019970018375U KR 19970018375 U KR19970018375 U KR 19970018375U KR 200170670 Y1 KR200170670 Y1 KR 200170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socket member
reflection shade
socke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089U (ko
Inventor
정태영
Original Assignee
정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영 filed Critical 정태영
Priority to KR2019970018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67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0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0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에 현수된 현수형 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램프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반사갓과, 상기 주반사갓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램프가 장착되는 소켓부재와, 상기 주반사갓과 상기 소켓부재사이에 개재되어 소켓부재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승강하게 설치되는 보조반사갓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소켓부재와 보조반사갓의 승강이동을 통하여 필요한 부위에 집중조명이 가능하고, 조사방향과 조사폭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수형 램프장치
본 고안은 천정에 현수된 현수형 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소켓부재와 보조반사갓의 승강이동을 통하여 배광효율을 증가시키고 조사방향과 조사폭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현수용 램프장치는 건물의 복도, 공장이나 대형 창고 및 매장의 천정하부면에 설치되어 복도나 실내를 비추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램프장치는 과거에 조명 조절을 위하여 연결된 전선으로 높낮이를 조절하였다.
이러한 전선에 의한 높낮이 조절은 성가신 일이면서 자칫 잘못하면 감전될 위험이 있어,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천정에 부착시킨 별도의 고정풀리와 추를 결합시킨 유동풀리에 전선을 연결시켜 반사갓과 램프를 자유로이 승하강하도록 한 램프장치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풀리작용에 의한 램프장치는 램프의 승하강운동시, 전선이 심하게 흔들려서 타물체에 부딪히거나 반사갓을 다른 것으로 교체할 경우에 추의 무게가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여 램프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공개공보 제96-11685호에서 소켓홀더의 상하부내면에 다단의 엠보싱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결합돌기를 구비한 소켓부재를 제공하여 소켓부재를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램프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도 3은 이에 관한 램프장치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출원의 램프장치는 램프(60)와 반사갓(61)을 수용하는 본체(63)와 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하강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켓(65)을 지지하는 소켓홀더(67)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소켓홀더(67)에 구비된 안내돌기(69)가 미도시된 안내홈을 따라 본체(63)의 상부 수직면부에 형성된 엠보싱(70)과 서로 맞물리면서 단계적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소켓홀더(67)가 승하강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램프장치는 소켓홀더의 승하강이동을 통하여 조명방향을 조절할 수 있었으나, 외부로 노출된 소켓홀더의 손잡이가 없어 승하강조작시 불편하고 안내돌기와 엠보싱에 의한 단계적인 슬라이딩이동으로 인하여 소켓홀더의 승하강운동에 한계로 작용하면서 램프의 조사방향과 조사폭을 조절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과 선출원의 램프광 조사방향의 조절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주반사갓에 대하여 상대적인 승하강운동을 하는 소켓부재외에도, 보조반사갓을 설치하여 보조반사갓도 소켓부재와 독립적으로 승강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소켓부재와 보조반사갓의 독립적인 승강이동을 통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필요한 부위에 집중조명이 가능하고, 조사방향과 조사폭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램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램프장치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램프장치의 좌측면도,
도 3은 선출원된 램프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램프 20 : 주반사갓
25 : 보조반사갓 27 : 연결편
29 : 위치조절나사 30 : 소켓부재
31 : 안내돌기 40 : 소켓홀더
43 : 밴드결합부 44 : 고정밴드
45 : 소켓안내홈 47 : 반사갓고정홈
상기 목적은, 천정에 현수된 현수형 램프장치에 있어서, 램프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반사갓과, 상기 주반사갓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램프가 장착되는 소켓부재와, 상기 주반사갓과 상기 소켓부재사이에 개재되어 소켓부재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승강하게 설치되는 보조반사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램프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램프장치의 소켓홀더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램프장치는 램프(1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반사갓(20)과, 주반사갓(20)에 대하여 승하강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켓부재(30)와, 주반사갓(20)과 소켓부재(30)사이에 개재되어 소켓부재(3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승하강하게 설치되는 보조반사갓(25)과, 소켓부재(30)를 수용하면서 반사갓(20, 25)을 연결시키는 소켓홀더(40)로 구성된다.
램프(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백열전구로서, 소켓홀더(40)내의 소정의 범위내에서 승강이 가능하도록 소켓부재(30)에 결합되는 부분이 길쭉한 전구이다.
주반사갓(20)은 큰 접시형상을 이루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투명한 유리나 아크릴판과 같은 경질플라스틱, 또는 불투명한 얇은 철판으로 제조되고, 이의 상단부는 천공된 도시되지 않은 나사공이 마련되어 있어 고정나사(23)로 소켓홀더(40)의 하단부와 체결되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주반사갓(20)은 램프(10)의 크기와 램프(10)의 광촛점을 고려하여 양자간에 발란스에 맞게 필요한 조명의 밝기에 따라, 그 크기와 투명여부가 선택되어 진다.
보조반사갓(25)도, 주반사갓(20)과 같이, 접시형상을 이루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불투명한 유리나 아크릴판과 같은 경질플라스틱, 또는 얇은 철판으로 제조되고, 이의 상단부에 천공된 도시되지 않은 나사공이 마련되어 있어 고정나사(23)로 소켓홀더(40)와 연결되는 연결편(27)의 하단부와 체결되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보조반사갓(25)은 주반사갓(20)이 램프(10)를 완전히 애워싸는 반면에, 램프(10)의 절반수준으로 애워싸면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보조반사갓(25)은 주반사갓(20)의 투명 또는 불투명상태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램프(10)의 조명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에서 표시된 보조반사갓의 점선부분은 비대칭성 보조반사갓(25')을 장착하여 좌측면의 집중조명을 효율적으로 하는 경우를 예시하는 것이다. 만일, 우측면의 집중조명을 효율적으로 하고자 한다면, 이와 대칭적인 보조반사갓을 사용하면 될 것이다.
소켓부재(30)는 램프(10)를 수용하면서 전선(13)을 수용하는 파이프(15)와 연결된다. 또한 소켓부재(30)는 파이프(15)와 결합되는 결합부위의 하방에 +(플러스)단자가 돌출되어 있어 램프(10)의 +단자와 접속되고, 가로측 내면에 -(마이너스)단자인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램프(10)의 -단자역할을 하는 숫나사부와 나사결합되어 접속된다. 파이프(15)는 소켓홀더(40)의 외주면을 마련된 소켓안내홈(47)을 통하여 돌출된 안내돌기(31)와 일체로 결합되어 안내돌기(31)의 수동조작으로 승하강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소켓홀더(40)는 소켓부재(30)를 수용하는 홀더몸체(41)와 밴드결합부(43)로 구성된다. 홀더몸체(41)는 꼭지부분이 절단된 원뿔형을 이루면서 외주면에 2개의 반사갓고정홈(45)과 1개의 소켓안내홈(47)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분에는 밴드결합부(43)를 지지하는 지지리브(53)가 경사지게 받쳐져 있으며, 하단부분에는 주반사갓(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플랜지(42)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소켓홀더(40)는 미도시된 연결줄로 미도시된 실내천정에 매달려 있어 램프(10)와 소켓부재(30)를 일정한 공간에 위치시킨다.
밴드결합부(43)는 좌측에는 나사공(48)이 있고, 우측에는 사각홈(46)이 마련되어 있어, 고정밴드(44)에 마련된 "ㅓ"형상의 고정턱(50)을 사각홈(46)에 끼운 후, 밴드결합부(43)과 고정밴드(44)의 나사공(48)을 일치시켜 결합나사(51)로 고정밴드(44)과 결합 고정된다. 플랜지(42)에는 미도시된 나사에 의하여 주반사갓(20)과 연결되도록 상하좌우에 4개의 나사공(49)이 뚫여 있다.
위치조절나사(29)는 소켓홀더(40)의 반사갓고정홈(45)을 통하여 노출되어 있고, 보조반사갓(25)과 연결된 연결편(27)과 체결되어 소켓홀더(40)의 외주면상에서 보조반사갓(25)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소켓홀더(40)상에 보조반사갓(25)을 고정한다. 또한, 위치조절나사(29)는 소켓홀더(40)의 몸체(41)의 외면에 표시된 상대적인 높이의 눈금표시에 따라 보조반사갓(25)을 승하강시킨다.
안내돌기(31)는 소켓홀더(40)의 소켓안내홈(47)을 통하여 노출되어 있고, 소켓부재(30)와 연결되어 소켓홀더(40)의 외주면상에서 소켓부재(30)의 위치를 조절한다. 또한, 안내돌기(31)는 소켓홀더(40)의 몸체(41)의 외면에 표시된 상대적인 높이의 눈금표시에 따라 소켓부재(30)를 승하강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램프장치에서는 보다 넓은 범위로 램프광을 조사하려면 보조반사갓(25)을 올려 위치조절나사(29)로 소켓홀더(40)의 상측부에 고정시키고, 소켓부재(30)를 하방으로 내려 조사방향과 조사폭을 조절한다. 또한, 좁은 범위로 램프광을 집중시키려면 보조반사갓(25)을 내려 위치조절나사(29)로 소켓홀더(40)의 하측부에 고정시키고, 소켓부재(30)를 상방으로 올려 조사방향과 조사폭을 조절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램프장치에서는 소켓부재와 보조반사갓의 독립적인 승강이동을 통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필요한 부위에 집중조명이 가능하고, 조사방향과 조사폭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천정에 현수된 현수형 램프장치에 있어서,
    램프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반사갓과,
    상기 주반사갓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램프가 장착되는 소켓부재와,
    상기 주반사갓과 상기 소켓부재사이에 개재되어 소켓부재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승강하게 설치되는 보조반사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KR2019970018375U 1997-07-11 1997-07-11 현수형 램프장치 KR200170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375U KR200170670Y1 (ko) 1997-07-11 1997-07-11 현수형 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375U KR200170670Y1 (ko) 1997-07-11 1997-07-11 현수형 램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089U KR19990005089U (ko) 1999-02-05
KR200170670Y1 true KR200170670Y1 (ko) 2000-03-02

Family

ID=19505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375U KR200170670Y1 (ko) 1997-07-11 1997-07-11 현수형 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6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795B1 (ko) 2008-10-20 2009-06-02 노삼례 가로등 등기구 조립수단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9236B1 (ko) * 2001-11-27 2003-12-06 (주)윌즈오브런던 형광등의 이중 반사갓 구조
KR101115394B1 (ko) * 2010-03-08 2012-02-1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조명장치
KR101156979B1 (ko) * 2011-05-09 2012-06-20 (유)삼현조명 각도조절기능을 겸비한 가로등 등기구
KR101156371B1 (ko) * 2011-05-25 2012-06-13 재 동 윤 어댑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조명등용 기구
KR101475655B1 (ko) * 2014-09-16 2014-12-22 주식회사 레젠 빛공해 방지를 위한 회동갓을 갖는 조명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795B1 (ko) 2008-10-20 2009-06-02 노삼례 가로등 등기구 조립수단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089U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49822A1 (en) Hot Aimable Lamp Assembly with Memory for Adjustable Recessed Light
KR101706023B1 (ko) 천장부착형 엘이디 조명등장치
KR200170670Y1 (ko) 현수형 램프장치
EP0802369A3 (de) Lampenabdeckung für eine Aussenleuchte, insbesondere Mast-Aufsetzleuchte
CN214332478U (zh) 一种智能调光的led吊灯
CN212929696U (zh) 一种具有亮度可调灯芯的壁灯
CN212481057U (zh) 可调节吊灯
US8282248B1 (en) Luminaire including upper and lower dome-shaped optical elements
CN215446228U (zh) 护目灯
CN218379128U (zh) 一种采用线性驱动电源的led投光灯具
KR200319674Y1 (ko) 조명기구
CN219102897U (zh) 一种自动调节亮度的智能灯具
US20080310146A1 (en) Light fixture having multiple light sources
CN213362084U (zh) 一种多功能照明灯具
CN219264069U (zh) 一种可调节照射范围的吸顶灯
CN215892150U (zh) 一种具有杀菌和棱晶防眩光功能的教室灯
CN217441408U (zh) 一种t5一体化带开关和运动感应控制灯管
CN216345630U (zh) 迷你diy台灯
CN209386143U (zh) 一种led灯具
CN214535828U (zh) 一种可调节透镜角度的灯体
KR20190067987A (ko) Led 보안등 또는 가로등
CN217273805U (zh) 一种单头灯杯吊灯
KR200225033Y1 (ko) 복수램프부착형 조명기구의 조사각도 조정장치
CN214468334U (zh) 一种可手动控制灯体升降的吊灯灯具
JPS5810245Y2 (ja) じか付形螢光灯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