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638Y1 - 오일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오일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638Y1
KR200170638Y1 KR2019990019056U KR19990019056U KR200170638Y1 KR 200170638 Y1 KR200170638 Y1 KR 200170638Y1 KR 2019990019056 U KR2019990019056 U KR 2019990019056U KR 19990019056 U KR19990019056 U KR 19990019056U KR 200170638 Y1 KR200170638 Y1 KR 200170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oil
filtration
filtered
filtr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북천
Original Assignee
정북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북천 filed Critical 정북천
Priority to KR2019990019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6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6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08Por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일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하우징의 저부에서 유입된 여과대상 오일이 등간격으로 적층된 다수의 필터부재에서 여과된 후 오일배출관을 통해 필터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오일의 여과시간을 크게 단축하는 동시에 필터부재에 도포된 여과조제가 박피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필터부재에 여과조제를 도포하므로서 오일의 여과효율을 극대화 한 오일여과장치에 관한 것인바, 본 고안은 상부통과 하부통으로 나누어진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다수의 흡입공이 등간격 형성된 오일배출관이 외부와 연통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일배출관에 이의 흡입공과 각각 대응되게 다수의 여과망을 구비한 필터부재가 적층된 오일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통(12)의 적소에 버플플레이트(18)가 구비된 유입구(15)가 연통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재(30)의 필터디스크(31)와 여과망(34)(45)을 용접결합시키는 한편, 상기 여과망(34)(35)에 다공성재질의 여과조제 (36)를 도포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오일여과장치{The device of a oil filtration}
본 고안은 오일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하우징의 저부에서 유입된 여과대상 오일이 등간격으로 적층된 다수의 필터부재에서 여과된 후 오일배출관을 통해 필터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오일의 여과시간을 크게 단축하는 동시에 필터부재에 도포된 여과조제가 박피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필터부재에 여과조제를 도포하므로서 오일의 여과효율을 극대화 한 오일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오일여과장치는 도 1과 같이 상부통(1a)과 하부통(1b)이 상호 결합되고, 상부통(1a)의 상단에는 여과대상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구(1c)가 형성되고, 하부통(1b)의 저부에는 배출구(1d)가 구비된 필터하우징(1)과; 상기 필터하우징(1)의 배출구(1d)와 수직으로 연통되면서 등간격으로 흡입공(2a)이 형성된 오일배출관 (2)과; 상기 오일배출관(2)에 등간격이 유지되게 다단으로 설치되면서 필터디스크 (3a)의 내부에 여과망(3b)이 클램프(3c)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여과망(3b)을 통해 여과된 오일이 오일받이(3d)에서 오일배출관(2)의 흡입공(2a)으로 흡입되도록 한 필터부재(3); 등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오일여과장치는 여과대상 오일이 필터하우징(1)의 상단에서 그 내부의 저면으로 유입된 다음, 도 1의 화살표와 같이 저부의 필터부재(3)부터 점차 침수되면서 여과망(3b)에 의해 여과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오일의 여과시간이 다소 길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디스크(3a)와 여과망(3b)이 클램프(3c)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클램프(3c)의 돌출된 결합수단(3e)들에 의해 필터부재(3)의 조립 및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동시에 필터부재(3)의 제작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여과망(3b)이 금속재질의 미세망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과대상 오일에 포함된 다소 큰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시킬 수는 있으나 먼지와 같은 미세입자의 이물질은 제대로 여과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필터하우징의 저부로부터 여과대상 오일이 유입되도록 하고, 여과대상 오일이 하부의 필터부재부터 여과되면서 점차 상부의 필터부재를 거쳐 여과된 후 오일배출관을 통해 필터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므로서 오일의 여과시간을 크게 단축하는 한편, 상기 필터디스크와 여과망을 용접결합시키므로서 필터부재의 조립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필터부재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오일여과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또, 상기 여과망에 다공성재질의 여과조제를 도포하므로서 오일의 여과효율을 극대화 한 오일여과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오일여과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여과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일여과장치의 요부를 발취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필터하우징 11:상부통
12:하부통 15:유입구
18:버플플레이트 20:오일배출구
21:흡입공 30:필터부재
31:필터디스크 33:오일받이
34,35:여과망 36:여과조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통과 하부통으로 나누어진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다수의 흡입공이 등간격 형성된 오일배출관이 외부와 연통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일배출관에 이의 흡입공과 각각 대응되게 여과망을 구비한 필터부재가 적층된 오일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통의 적소에 버플플레이트가 구비된 유입구가 연통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재의 필터디스크와 여과망을 용접결합시키는 한편, 상기 여과망에 다공성재질의 여과조제를 도포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여과조제가 규조토로 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여과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일여과장치의 요부를 발취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필터하우징(10)은 상부통(11)과 하부통(12)으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상부통(11)과 하부통(12)은 등각으로 형성된 결합부(11a)(12a)에 볼트(13)가 체결되어지는데, 상기 결합부(11a)(12a)의 사이에는 밀폐링(14)이 설치되어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통(12)의 저부에는 여과대상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구(15)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5) 내측의 하부통(12)에 소정의 압력으로 유입되는 오일을 확산시키는 버플플레이트(18)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통(12)의 중앙 저부에는 배출구(16)가 형성되고, 상부통(11)의 상단에는 그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게이지(17)가 설치된다.
그런 다음, 상기 하부통(12)의 배출구(16)에는 오일배출관(20)이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오일배출관(20)에는 등간격으로 흡입공(21)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배출관(20)에는 각 흡입공(21)과 독립적으로 대응되는 필터부재(30)가 다단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필터부재(30)는 그 중앙에 오일배출관 (20)으로 삽입되는 삽입공(32)이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공(32)의 주변으로 오일배출관(20)의 흡입공(21)과 대응되는 오일받이(33)가 형성된 필터디스크(31)와; 상기 필터디스크(31)의 상면에 그물눈이 큰 것부터 차례로 용접 설치되는 금속재질의 여과망(34)(35)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필터디스크(31)의 최상단부에 설치되는 미세 그물눈의 여과망 (35)에는 다공성인 규조토재질의 여과조제(36)가 도포되어 극히 미세한 이물질이나 화학적 산화물 등도 여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일여과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여과대상 오일은 하부통(12)의 저부에 구비된 유입구(15)를 통해 필터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유입구(15)의 직상부에 설치된 버플플레이트(18)가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되는 여과대상 오일을 사방으로 확산시키므로서 분사된 여과대상 오일에 의해 필터부재(30)의 여과조제(36)가 박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버플플레이트(18)에 의해 사방으로 확산된 여과대상 오일은 하부통(12)에서 점차 차올라 도 2의 화살표와 같이 최하단에 위치한 필터부재(30)부터 대응하게 되는데, 상기 각 필터부재(30)로 진입한 여과대상 오일은 다공성 재질인 여과조제(36)에서 미세한 이물질과 함께 각종 산화물이 걸러지며, 상기 여과조제(36)를 통과한 여과대상 오일은 그물눈이 작은 여과망(34)을 거쳐 그물눈이 다소 큰 여과망(35)을 통과하면서 마지막 잔여 이물질이 완전히 여과된 다음, 필터디스크(31)의 오일받이(33)에 집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오일받이(33)에 모인 여과된 오일은 흡입공(21)을 통해 흡입된 다음 오일배출관(2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필터하우징(10)의 저부로부터 여과대상 오일이 유입되도록 하고, 여과대상 오일이 하부의 필터부재(30)부터 여과되면서 점차 상부의 필터부재(30)를 거쳐 여과된 후 오일배출관(20)을 통해 필터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므로서 오일의 여과시간을 크게 단축하는 한편, 상기 필터디스크(31)와 여과망(34)(35)을 용접결합시키므로서 필터부재(30)의 조립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필터부재(30)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상부통과 하부통으로 나누어진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다수의 흡입공이 등간격 형성된 오일배출관이 외부와 연통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일배출관에 이의 흡입공과 각각 대응되게 다수의 여과망을 구비한 필터부재가 적층된 오일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통(12)의 적소에 버플플레이트(18)가 구비된 유입구(15)가 연통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재(30)의 필터디스크(31)와 여과망(34)(45)을 용접결합시키는 한편, 상기 여과망(34)(35)에 다공성재질의 여과조제(36)를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제(36)가 규조토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장치.
KR2019990019056U 1999-09-08 1999-09-08 오일여과장치 KR200170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056U KR200170638Y1 (ko) 1999-09-08 1999-09-08 오일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056U KR200170638Y1 (ko) 1999-09-08 1999-09-08 오일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638Y1 true KR200170638Y1 (ko) 2000-02-15

Family

ID=19587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056U KR200170638Y1 (ko) 1999-09-08 1999-09-08 오일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6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848B1 (ko) 2007-04-19 2008-03-10 한국기계연구원 여과장치의 배럴 형성용 유니트링, 및 이를 채용한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848B1 (ko) 2007-04-19 2008-03-10 한국기계연구원 여과장치의 배럴 형성용 유니트링, 및 이를 채용한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2894B2 (en) Spin-on filter including improved seal arrangement and methods
AU772741B2 (en) Filter with preferential fluid affinity
US20020158006A1 (en) Cartridge filter element with housing seal retainer
US6488848B1 (en) Cleanable filter with ported cylinder adjacent screen
US20080047132A1 (en) Quick drain filter
US6345721B1 (en) Filter element including a baffle plate and end cap adhesively bonded thereto
JPS62266113A (ja) フイルタ・モジユ−ル
AU2004201305B2 (en) Filter for Trapping Foreign Matter
KR100314520B1 (ko) 오일여과장치
CN108067025A (zh) 一种带自动反冲洗的杂质过滤装置及过滤方法
EP0163742A1 (en) Filter apparatus for polymers
KR200170638Y1 (ko) 오일여과장치
CA2208670C (en) Spin-on liquid filter with unique straight through flow path
US20070138078A1 (en) Spin-on filter and methods
US6149703A (en) Fuel system filtering apparatus
CN210473229U (zh) 一种三级过滤装置
JPH10328507A (ja) 流体フィルタ
US20080257838A1 (en) Cartridge based filter assembly for use in removing sub micronic particles from fluids
WO2003080215A1 (en) Fluid filter having interchangeable top-load filter and bottom-load filter and methods
CA2026860A1 (en) Oil filter
CN1229001A (zh) 使用纤维软管的微过滤方法及其设备
CN214734909U (zh) 一种污水处理器过滤组件
CN208517097U (zh) 一种带有排气结构的净水器滤芯
RU222612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жидкости и способ регенерации фильтрующих элементов
CN218761280U (zh) 一种改进型的桥箱透气帽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