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166Y1 - 가스렌지의연소장치 - Google Patents

가스렌지의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166Y1
KR200170166Y1 KR2019950006314U KR19950006314U KR200170166Y1 KR 200170166 Y1 KR200170166 Y1 KR 200170166Y1 KR 2019950006314 U KR2019950006314 U KR 2019950006314U KR 19950006314 U KR19950006314 U KR 19950006314U KR 200170166 Y1 KR200170166 Y1 KR 200170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flow path
burner body
ga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6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056U (ko
Inventor
이왕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50006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166Y1/ko
Publication of KR960032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0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1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10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elongated tubular burner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가스를 점화, 연소시키는 가스렌지의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와 같이 종래의 연소장치(1)는 소화시 버너몸체(20)의 유로(21)에서 미처 배출되지 않은 잔류가스에 화염이 발생하는 현상, 즉 역화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불안감을 조성시키는 한편, 전술한 벤추리부(200)가 상당히 커기 때문에 이의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벤추리부(200)를 제작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소장치의 버너몸체내에서 발생하는 역화현상을 방지하고, 가스를 분사, 공급하는 벤추리부를 소형화함으로써, 이의 생산단가를 절감시키는 한편, 전술한 연소장치의 조립효율을 극대화시킨 가스렌지의 연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2도와 같이 가스렌지의 연소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그 상단에 버너헤드(30) 및 버너캡(40)이 차례로 설치되는 버너몸체(20)의 유로(21)에 링형상의 벤추리부(200')를 형성, 설치하는 한편, 상기 버너몸체(20)하단에 몸체(410)일측으로 그 내부에 형성된 유로(411)와 관통하는 공기공급공(414)이, 그리고 상기 유로(411)에는 소정의 노즐부(420)가 구비된 공급부(400)를 형성,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벤추리부(200')에 망상의 역화방지구(300)를 설치한 것이며, 본 고안은 또 상기한 버너몸체(20)일측에 그 유로(21)로 분사되는 혼합연료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나사형상의 속도조절수단(22)을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렌지의 연소장치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연소장치의 요부를 발췌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장치의 요부를 발췌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소장치 10 : 버너부
20 : 버너몸체 21 : 유로
22 : 속도조절수단 30 : 버너헤드
200' : 벤추리부 300 : 역화방지구
400 : 공급부 410 : 몸체
411 : 유로 414 : 공기공급관
420 : 노즐부 500 : 가스공급관
본 고안은 가스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가스를 점화, 연소시키는 가스렌지의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조리에 사용되는 가스렌지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소장치가 설치되는데, 이 연소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심축 선상으로 연료가 공급되는 유로(21)가 형성된 버너몸체(20)와, 이 상단에 설치되면서 하방으로 마련된 환상의 받침턱(미도시)에 연료가 분사되는 복수의 염구홈(미도시)이 등간격으로 배치, 형성된 버너헤드(30)와, 상기 버너헤드(30) 상단에 설치되는 버너캡(40)등으로 조합, 구성된 버너부(10); 및 상기 버너몸체(20)의 유로(21)에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댐퍼부(100)와; 이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가스를 분사, 공급하는 벤추리부(200)와; 상기 버너헤드(30) 일측에 설치되어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수단(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소장치(1)는 소화시 버너몸체(20)의 유로(21)에서 미처 배출되지 않은 잔류가스에 화염이 발생하는 현상, 즉 역화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불안감을 조성시키는 한편, 전술한 벤추리부(200)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이의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벤추리부(200)를 제작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소 장치의 버너몸체내에서 발생하는 역화현상을 방지하고, 가스를 분사, 공급하는 벤츄리부를 소형화함으로써, 이의 생산단가를 절감시키는 한편, 전술한 연소장치의 조립효율을 극대화시킨 가스렌지의 연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상단에 버너헤드 및 버너캡이 차례로 설치되는 버너몸체의 유로에 링형상의 벤추리부를 형성, 설치하는 한편, 상기 버너몸체 하단에 몸체일측으로 그 내부에 형성된 유로와 관통되는 공기공급공이, 그리고 상기 유로에는 소정의 노즐부가 구비된 공급부를 형성, 설치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벤추리부에 망상의 역화방지구를 설치하여서 된 특징이있다.
본 고안은 또, 상기한 버너몸체일측에 그 유로로 분사되는 혼합연료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속도조절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장치의 요부를 발췌도시한 단면도로서, 상단에 버너헤드(30) 및 버너캡(40)이 차례로 설치되는 버너몸체(20)의 유로(21)내주면에 설치되어 혼합연료를 재분사시키는 링형상의 벤추리부(200')를 형성, 설치한다.
상기한 벤추리부(200')상단에 망상의 역화방지구(300)를 설치하여 소화시 잔류가스를 따라 유로(21)로 유입되는 화염을 방지하는데, 상기 역화방지구(300)가 벤추리부(200')에 안정되게 고정, 지지되도록 상기 벤추리부(200')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210')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한 버너부(10)의 버너몸체(20)하단에 연통, 설치되는 공급부(400)는 몸체(410)내부로 소정의 유로(411)가 형성되고, 몸체(410) 상단에는 버너몸체(20)가 끼움, 고정되는 결합턱(412)이 형성됨과 아울러 몸체(410) 하단부에는 가스공급관(500)과 연결되는 체결나사(413)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410)의 상부일측에 공기가 공급되는 소정크기의 공기공급공(414)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410)의 유로(411)적소에 가스공급관(500)을 통해 유입된 가스를 버너몸체(20)로 분사시키는 소정형상의 노즐부(4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한 공기공급공(414)에는 공기유입량을 조절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상기 버너몸체(20)적소에 나사형상과 같은 속도조절수단(22)을 설치하여 예컨대 혼합연료의 분사속도가 느릴 경우에는 제1도의 가상선과 같이 속도조절수단(22)을 유로(21)로부터 빼냄으로써, 혼합연료의 분사속도를 증가시키는 한편, 혼합연료의 분사속도가 빠를 경우에는 실선과 같이 상기 속도조절수단(22)을 유로(21)에 삽입시켜 혼합연료의 분사속도를 다소 감소시킴으로써 화염을 조절한다.
위에서 설명한 연소장치(1)의 구조는 본 고안의 한 가능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이의 구성 및 형상은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그 변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처럼, 버너부(10)의 버너몸체(20) 하단에 노즐부(420) 및 공기공곱공(414)이 형성된 공급부(400)를 설치하고, 상기 버너몸체(20)일측에 나사형상과 같은 속도조절수단(22)을 설치하여 공급부(400)를 통과한 혼합연료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버너몸체(20)의 유로(21)상단에 벤추리부(200')를 설치하여 유로(21)에서 버너캡(40)으로 분사되는 혼합연료를 가속시키는 동시에 상기 벤추리부(200')상단에 망상의 역화방지구(300)를 설치하여 연소장치(1)소화시 잔류가스가 있는 유로(21)내로 불꽃이 역화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연소장치(1)의 버너몸체(20)내에서 발생하는 역화현상을 방지하고, 가스를 분사, 공급하는 벤추리부(200')를 소형화함으로써, 이의 생산단가를 절감시키는 한편, 전술한 연소장치(1)의 조립효율을 극대화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가스렌지의 연소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그 상단에 버너헤드(30) 및 버너캡(40)이 차례로 설치되는 버너몸체(20)의 유로(21)에 링형상의 벤추리부(200')를 형성, 설치하는 한편, 상기 버너몸체(20)하단에 몸체(410)일측으로 그 내부에 형성된 유로(411)와 관통하는 공기공급공(414)이, 그리고 상기 유로(411)에는 소정의 노즐부(420)가 구비된 공급부(400)를 형성,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렌지의 연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벤추리부(200')에 망상의 역화방지구(30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렌지의 연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버너몸체(20)일측에 그 유로(21)로 분사되는 혼합연료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속도조절수단(2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렌지의 연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속도조절수단(22)이 나사, 또는 보울트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렌지의 연소장치.
KR2019950006314U 1995-03-31 1995-03-31 가스렌지의연소장치 KR200170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314U KR200170166Y1 (ko) 1995-03-31 1995-03-31 가스렌지의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314U KR200170166Y1 (ko) 1995-03-31 1995-03-31 가스렌지의연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056U KR960032056U (ko) 1996-10-24
KR200170166Y1 true KR200170166Y1 (ko) 2000-03-02

Family

ID=19410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6314U KR200170166Y1 (ko) 1995-03-31 1995-03-31 가스렌지의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1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056U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55041U (ja) ガスライター
KR200170166Y1 (ko) 가스렌지의연소장치
KR20050020553A (ko) 가스버너
KR200354757Y1 (ko) 가스버너용 노즐
KR200274405Y1 (ko) 버너용 노즐 구조.
KR100187034B1 (ko) 역화방지용 버너
KR200207157Y1 (ko) 세라믹 버너
KR100594382B1 (ko) 복합가스 연소용 버너
KR100187039B1 (ko) 화력조절이 용이한 2중버너
KR0127125Y1 (ko) 역화 방지용 버너구조
KR200141457Y1 (ko) 버너의 1차공기 공급장치
KR200141450Y1 (ko) 나선형 분사방식의 고화력 버너
KR100555856B1 (ko) 강제 혼합식 버너
CN219995332U (zh) 一种全预混燃烧器
KR0174895B1 (ko) 캐비넷 히터의 역화방지 구조
KR200200487Y1 (ko) 보일러의 버너구조
KR0146782B1 (ko) 가스렌지의 연소장치
KR0135815Y1 (ko) 캐비넷 히터의 역화방지용 버너
KR101045834B1 (ko) 가스버너용 점화장치
KR100187033B1 (ko) 가스흐름 안내구가 설치된 버너
KR20010095890A (ko) 가스버너
KR100782121B1 (ko) 식당용 고화력 가스버너
KR19980069416A (ko) 고열량 버너
JP2003329215A (ja) ガンタイプバ−ナの点火電極
KR900001675Y1 (ko) 가스스토브용 전1차 공기식 가스버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