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669Y1 - 축열및축냉구조의용기 - Google Patents

축열및축냉구조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669Y1
KR200168669Y1 KR2019990015462U KR19990015462U KR200168669Y1 KR 200168669 Y1 KR200168669 Y1 KR 200168669Y1 KR 2019990015462 U KR2019990015462 U KR 2019990015462U KR 19990015462 U KR19990015462 U KR 19990015462U KR 200168669 Y1 KR200168669 Y1 KR 200168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torage
container
heat
present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희
Original Assignee
이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희 filed Critical 이문희
Priority to KR2019990015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6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6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Abstract

본 고안은 축열 및 축냉 구조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밀폐된 내부 공간을 지니는 이중구조의 몸체(10)에 SAP(고흡수성 고분자, Super Absorbent Polymer)와 물을 적량으로 혼합한 축열/축냉용액(20)을 전체의 내부 공간에 대하여 만충전되지 않으면서 대략 50-150㎖ 정도 충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에 따라, 외부와의 열교환을 지연시키면서 축적된 열을 서서히 방출시키거나 융해열을 이용하여 식품 및 음료의 온도를 장시간 그대로 유지하는 기능이 강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축열 및 축냉 구조의 용기{CONTAINER HAVING HEAT AND COOLING SOURCE}
본 고안은 축열 및 축냉 구조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와의 열교환을 지연시키면서 축적된 열을 서서히 방출시키거나 융해열을 이용하여 식품 및 음료의 온도를 유지하는 기능이 강화되도록 하는 축열 및 축냉 구조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와 같은 온음료나 콜라와 같은 냉음료의 온도를 장시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몸체에 진공의 공간을 지니는 보온용기가 사용된다. 그런데 음료의 종류마다 각기 다른 보온용기를 사용하기 곤란하고 이를 마시기 위한 별도의 용기도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컵과 같은 용기의 몸체에 형성된 진공의 공간에 아르곤 등 열전도성이 낮은 기체를 충전하기도 하지만 기체를 충전하고 기밀하는 작업이 곤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작은 충격으로 용기에 균열이 발생하면 기체가 누출되어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와의 열교환을 지연시키면서 축적된 열을 서서히 방출시키거나 융해열을 이용하여 식품의 온도를 장시간 유지하는 기능이 강화되도록 하는 축열 및 축냉 구조의 용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예에 따른 용기의 내부를 부분 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에 적용하는 축열/축냉용액의 조건을 찾는 실험 데이터에 대한 도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와 일반적인 용기의 고온특성을 비교하는 도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와 일반적인 용기의 저온특성을 비교하는 도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몸체 20 : 축열/축냉용액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지니는 이중구조의 몸체(10)에 SAP(Super Absorbent Polymer)와 물을 적량으로 혼합한 축열/축냉용액(20)을 전체의 내부 공간에 대하여 만충전되지 않으면서 대략 50-150㎖ 정도로 충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축열/축냉용액(20)은 물 100㎖에 대하여 SAP 0.2∼0.35g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예에 따른 용기의 내부를 부분 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지니는 이중구조로 성형된 몸체(10)를 지닌다. 용기의 형태는 컵, 접시, 공기 등 다양한 용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기의 소재는 PP(polypropylene), PS(polystyrene), 도자기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내열성, 내화학성을 지니는 외에 온도 변화에 따른 연신율이 작아야 한다.
중공을 지니는 용기의 기계적 강도를 고려하여 용기의 몸체(10) 두께는 적어도 5-10㎜가 되어야 한다.
이때 몸체(10)에는 SAP(국내 송우폴리머 또는 코오롱유화 제품)와 물을 적량으로 혼합한 축열/축냉용액(20)을 만충전되지 않으면서 대략 50-150㎖ 정도로 충전한다. 축열/축냉용액(20)을 그 이상 충전하면 성능은 좀더 향상되지만 가열이나 냉동에 의한 축열/축냉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전체적인 중량도 증가하여 실용성이 저하된다. 도 1에서 부호 10a는 축열/축냉용액(20)을 충전하고 남은 공간부를 나타낸다.
또한 축열/축냉용액(20)에 혼합하는 SAP의 입도는 50∼3500 메쉬의 다양한 범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축열/축냉용액(20)을 하나의 용기에 사용하는 양은 50∼150㎖ 정도, 전체의 내부 공간에 대하여 대략 50∼70% 정도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충전 조건을 찾는 실험 데이터에 대한 도표가 도시된다.
도시에서 사각형으로 표시되는 그래프는 축열/축냉용액(20) 대신 물만 사용한 경우이고, 나머지 그래프는 물과 SAP를 다양한 비율로 혼합한 경우이다. 상기한 용액 70㎖를 가열원 내에서 40초간 가열한 후 온도 변화를 비교하여 볼 때 물만을 사용한 경우 온도 저하가 가장 빠르다. 80℃에서 냉각을 시작하여 45℃에 이르는 시간이 10분 이상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도시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한 그래프는 온도 변화가 최소이므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적절한 바, 물 100㎖에 대하여 SAP 0.2∼0.35g의 비율로 혼합하여 축열/축냉용액(20)을 완성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와 일반적인 용기의 고온특성을 비교하는 도표가 도시된다.
70℃의 커피를 일반 컵, 내벽에 물을 충전한 컵, 내벽에 본 고안에 따른 축열/축냉용액(20)을 충전한 컵에 각각 넣은 후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각각 네모, 동그라미, 세모의 그래프로 나타내는 측정결과를 보면 70℃에서 50℃에 이르는 시간이 상기 컵의 종류에 따라 10분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와 일반적인 용기의 저온특성을 비교하는 도표가 도시된다.
물, 본 고안의 축열/축냉용액(20), 시판되고 있는 아이스팩(냉장팩)용 물질을 각각 100㎖ 씩 냉동시킨 다음 온도 상승을 측정하여 각각 세모, 동그라미, 네모의 그래프로 나타낸다. 측정결과 본 고안의 축열/축냉용액(20)을 사용하는 경우 2시간이 지나도 온도 변화가 없는 반면 나머지의 경우는 급격한 온도 상승이 인식되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용기 구조는 컵, 접시, 공기와 같이 다양한 온도 조건으로 사용되는 용기는 물론 아이스 박스 등의 냉장 및 냉동의 용도로 사용하는 용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식품을 보존하기 위한 용기 외에 냉온 찜질팩 등의 건강기구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고안에 따른 축열 및 축냉 구조의 용기는 외부와의 열교환을 지연시키면서 축적된 열을 서서히 방출시키거나 융해열을 이용하여 식품 및 음료의 온도를 유지하는 기능이 강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밀폐된 내부 공간을 지니는 이중구조의 몸체(10)에 SAP(Super Absorbent Polymer)와 물을 적량으로 혼합한 축열/축냉용액(20)을 전체의 내부 공간에 대하여 만충전되지 않으면서 대략 50-150㎖ 정도로 충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및 축냉 구조의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축냉용액(20)은 물 100㎖에 대하여 SAP 0.2∼0.35g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및 축냉 구조의 용기.
KR2019990015462U 1999-07-30 1999-07-30 축열및축냉구조의용기 KR200168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462U KR200168669Y1 (ko) 1999-07-30 1999-07-30 축열및축냉구조의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462U KR200168669Y1 (ko) 1999-07-30 1999-07-30 축열및축냉구조의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669Y1 true KR200168669Y1 (ko) 2000-02-15

Family

ID=1958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462U KR200168669Y1 (ko) 1999-07-30 1999-07-30 축열및축냉구조의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6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683A (ko) * 2002-03-20 2003-09-26 김강우 고흡수성 수지 수화젤 보냉제
KR20190111461A (ko) 2018-03-23 2019-10-02 다나제약 주식회사 휴대용 냉온 찜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683A (ko) * 2002-03-20 2003-09-26 김강우 고흡수성 수지 수화젤 보냉제
KR20190111461A (ko) 2018-03-23 2019-10-02 다나제약 주식회사 휴대용 냉온 찜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6470A (en) Microwaveable heat retentive receptacle
JP5258371B2 (ja) 保温用又は保冷用の容器、蓋、ソーサー、皿、魔法瓶
CN104367108B (zh) 一种快速降温保温水杯
KR20090068565A (ko) 식기
KR200168669Y1 (ko) 축열및축냉구조의용기
CN102973092A (zh) 能速冷的保温杯
WO2010012990A2 (en) Liquid container with cooling medium
CN204096323U (zh) 一种预装胰岛素注射器保存杯
CN103622424A (zh) 一种保温杯
US20170122645A1 (en) Instant Freeze Pack
KR200396458Y1 (ko) 냉,온 유지부를 갖는 테이블
CN203137871U (zh) 一种冷冻杯
JP2002039656A (ja) 飲食物保冷温器
CN201189054Y (zh) 螺旋隔离杯
CN206603542U (zh) 一种快速降温和保温两用的饮水杯
KR200392192Y1 (ko) 보온, 보냉기능을 갖는 접시의 실링구조
JP3185084U (ja) 保温用又は保冷用の容器、蓋、ソーサー、皿、魔法瓶
EP3812669A1 (en) Thermal receptacle for cooling containers
CN202445689U (zh) 冷暖两用保温碟
CN209547706U (zh) 一种保温杯
GB2434432A (en) Refrigeration unit for packaged beverages
KR200419597Y1 (ko) 보온 자화컵
CN207693372U (zh) 一种多功能保温杯
CN208784254U (zh) 一种保温杯的物理降温结构
KR200382544Y1 (ko) 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