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454Y1 - 메탈 엘레먼트를 지니는 필터 - Google Patents

메탈 엘레먼트를 지니는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454Y1
KR200168454Y1 KR2019990017035U KR19990017035U KR200168454Y1 KR 200168454 Y1 KR200168454 Y1 KR 200168454Y1 KR 2019990017035 U KR2019990017035 U KR 2019990017035U KR 19990017035 U KR19990017035 U KR 19990017035U KR 200168454 Y1 KR200168454 Y1 KR 200168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ter
joint pipe
coupled
metal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헌
Original Assignee
김진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헌 filed Critical 김진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4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6Upward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탈 엘레먼트를 지니는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21); 상기 하우징(21)의 상측에 나선을 지닌 유니온(24)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상부이음관(25); 상기 하우징(21)의 하측에 플랜지를 구비한 상태로 결합되는 하부이음관(26);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서 동심축 상에 수용되고, 원주상으로 주름(22a)을 지니는 엘레먼트(22); 및 상기 엘레먼트(22)의 내면에 긴밀하게 접하도록 설치되고, 유체가 통과되는 타공부(23a)를 지니는 리테이너(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함에 따라, 여과기능이 수행되는 면적을 극대화하면서 기포발생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조립과 분해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메탈 엘레먼트를 지니는 필터{A FILTER HAVING METAL ELEMENT}
본 고안은 메탈 엘레먼트를 지니는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기능이 수행되는 면적을 극대화하면서 기포발생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조립과 분해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하는 메탈 엘레먼트를 지니는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터는 고분자공업, 화학공업, 제약식품공업 등 산업의 전반에 걸쳐 유체와 관련되는 각종 설비에 적용되고 있는 바, 설비의 운영에 필요로 되는 유체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설비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엇보다도 필터는 이물질 포집능력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는 하지만 여과저항이 낮아야 압력손실이 줄고 설비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인장·압축·전단에 따른 기계적 강도가 유지되어야 하지만 처리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내열·내식·내마모·내화학성을 구비하는 것도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필터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시에서는 통상적으로 점도가 비교적 높은 유체를 취급하는 고분자공업용 설비에 사용되는 필터(10)를 예로 든다. 하우징(11)의 상부는 플랜지(14)를 이용하여 상부이음관(15)을 결합하고, 하우징(11)의 하부는 하부이음관(16)을 용접하여 접합한다. 하우징(11)의 내부에는 타공부(12a)를 지니는 원통형의 타공관(12)이 동심축 상에 수용되고, 타공관(12)의 내면벽에는 부직포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된 여과백(13)이 설치된다.
상기한 종래의 필터(10)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부이음관(15)으로 유입된 유체가 여과백(13)과 타공관(12)을 거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타공관(12)의 외부 공간을 따라 하부이음관(16)으로 배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필터(10)를 사용하는 경우 실제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여과백(13)에서 여과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인 표면적을 하우징(11)의 표면적보다 크게 할 수가 없다는 한계가 있고, 이와 같이 무효공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체의 이송중 버블현상을 유발하기 쉬워 여과저항이 증가하고 여과기능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랜지(14)를 결합하는 부분에 다수의 볼트(17)를 사용하기 때문에 하우징(11) 상에 타공관(12)과 여과백(13)을 설치하거나 여과백(13)을 교체하기 위해 분해하는 경우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과기능이 수행되는 면적을 극대화하면서 기포발생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조립과 분해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하는 메탈 엘레먼트를 지니는 필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필터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를 단면, 반단면 및 회전단면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20 : 필터 11, 21 : 하우징
12 : 타공관 12a, 23a : 타공부
13 : 여과백 14 : 플랜지
15, 25 : 상부이음관 16, 26 : 하부이음관
17 : 볼트 22a : 주름
22 : 엘레먼트 23 : 리테이너
24 : 유니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21); 상기 하우징(21)의 상측에 나선을 지닌 유니온(24)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상부이음관(25); 상기 하우징(21)의 하측에 플랜지를 구비한 상태로 결합되는 하부이음관(26);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서 동심축 상에 수용되고, 원주상으로 주름(22a)을 지니는 엘레먼트(22); 및 상기 엘레먼트(22)의 내면에 긴밀하게 접하도록 설치되고, 유체가 통과되는 타공부(23a)를 지니는 리테이너(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를 단면, 반단면 및 회전단면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시에서 단면 상태로 나타내는 본 고안의 하우징(21)은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형의 구성을 지닌다. 하우징(21)은 내구성을 고려하여 스테인레스(예컨대 SUS304) 재질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이음관(25)이 상기 하우징(21)의 상측에 나선을 지닌 유니온(24)을 개재하여 결합된다. 유니온(24)은 도시에서 하우징(11)의 상측에 고정되는 내측의 유니온(24)과, 상기 내측의 유니온(24)과 상부이음관(25)을 함께 결합하는 외측의 유니온(24)을 포함한다. 외측의 유니온(24)을 조이고 풀면 상부이음관(25)이 분리되므로 종래에 다수의 볼트(17)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조립 및 해체에 따른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1)의 하측에 하부이음관(26)이 플랜지를 구비한 상태로 결합된다. 하부이음관(26)은 하우징(21)에 유로를 형성하도록 용접으로 접합된다. 하부이음관(26)의 플랜지는 필터(20)를 비교적 고압의 유로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같은 이유에 근거하여 상부이음관(25)도 플랜지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원주상으로 주름(22a)을 지니는 엘레먼트(22)가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서 동심축 상에 수용된다. 도시에서 회전단면으로 나타내는 것처럼 엘레먼트(22)의 주름(22a)이 원주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외측에서는 간격이 넓어지고 내측에서는 간격이 좁아진다. 엘레먼트(22)를 사용하는 대신 종래와 같은 여과백(13)은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엘레먼트(22)의 주름(22a)은 여과를 위한 표면적을 넓혀주고 그 만큼 필터(20) 상의 무효공간이 줄어들게 한다. 이에 따라 여과작용이 진행되는 도중에 기포가 발생될 우려가 줄어든다.
이때 상기 엘레먼트(22)는 미세한 스테인레스의 섬유질 형태인 부직포를 주름(22a) 형태로 접어서 완성한다. 소재는 SUS316L이나 SUS304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유체가 통과되는 타공부(23a)를 지니는 리테이너(23)가 상기 엘레먼트(22)의 내면에 긴밀하게 접하도록 설치된다. 리테이너(23)는 엘레먼트(22)를 지지하는 기계적 강도를 요하므로 스테인레스 소재의 원통을 사용한다. 타공부(23a)는 유체의 여과 작용시 압력저하가 크지 않도록 충분히 크고 촘촘하게 형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필터(20)에서는 하부이음관(26)을 유입구로 사용하고 상부이음관(25)을 배출구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에 따라 유체는 엘레먼트(2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하고 이물질은 주름(22a)의 외면에 집적된다. 유니온(24)을 돌려서 해체하고 엘레먼트(22)를 꺼내어 세척하는 작업이 종래에 비하여 용이해진다.
종래의 필터(10)에 사용되는 여과백(13)은 세척하여 재사용하기 곤란한 일회용인 반면 본 고안의 필터(20)에 사용되는 엘레먼트(22)는 5년 내외의 장기간 동안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어 환경친화적이다.
또한 종래에는 하향식으로 유체가 이동하여 기포가 생성되기 쉬웠으나 본 고안의 필터(20)를 사용하면 상향식으로 유체가 정숙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기포가 생성되지 않는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고안의 메탈 엘레먼트를 지니는 필터는 여과기능이 수행되는 면적을 극대화하면서 기포발생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조립과 분해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21);
    상기 하우징(21)의 상측에 나선을 지닌 유니온(24)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상부이음관(25);
    상기 하우징(21)의 하측에 플랜지를 구비한 상태로 결합되는 하부이음관(26);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서 동심축 상에 수용되고, 원주상으로 주름(22a)을 지니는 엘레먼트(22); 및
    상기 엘레먼트(22)의 내면에 긴밀하게 접하도록 설치되고, 유체가 통과되는 타공부(23a)를 지니는 리테이너(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엘레먼트를 지니는 필터.
KR2019990017035U 1999-05-11 1999-08-18 메탈 엘레먼트를 지니는 필터 KR20016845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926 1999-05-1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926 Division 1999-05-11 1999-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454Y1 true KR200168454Y1 (ko) 2000-02-15

Family

ID=1957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035U KR200168454Y1 (ko) 1999-05-11 1999-08-18 메탈 엘레먼트를 지니는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4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091B1 (ko) 2008-11-25 2009-05-28 주식회사 태광에스씨티 고청정 라인용 메탈 엘리멘트 및 그를 구비하는 필터
KR101098855B1 (ko) 2010-04-14 2011-12-26 주식회사 태광에스씨티 복수 개의 메탈 엘리멘트가 체결된 고청정 가스 여과용 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091B1 (ko) 2008-11-25 2009-05-28 주식회사 태광에스씨티 고청정 라인용 메탈 엘리멘트 및 그를 구비하는 필터
KR101098855B1 (ko) 2010-04-14 2011-12-26 주식회사 태광에스씨티 복수 개의 메탈 엘리멘트가 체결된 고청정 가스 여과용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2089B2 (en) Helical support structure for intake screens
FI59830B (fi) Saett och anordning foer avvattning av suspensioner i roerelse
US4582603A (en) Apparatus for the mechanical cleaning of a cold-water stream
KR101476868B1 (ko) 여과장치의 외부부착 여과재 세정장치
US11083985B2 (en) Vapor relief strainer with cleaner
JP4051395B1 (ja) 回転加圧脱水機
KR100267899B1 (ko) 여과장치
US4172037A (en) Continuous process diffuser
KR101777063B1 (ko) 와류현상을 이용한 역세척 기능을 갖는 여과기
KR200168454Y1 (ko) 메탈 엘레먼트를 지니는 필터
US43790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contaminating particles from a liquid/particle mixture
CN103623626A (zh) 一种高效节能的颗粒状滤料过滤器
JP4051394B1 (ja) 回転加圧脱水機
KR950704792A (ko) 핵발전소의 비상냉각장치용 물의 여과장치(device for filtering water to an emergency cooling system in a nuclear power plant)
KR0179036B1 (ko) 가압 작동식 펄프 세척 기구
CN207445994U (zh) 一种过滤装置
US20020056680A1 (en) Extended area filter basket assembly
CN208260277U (zh) 一种用于改性分子筛的压滤机
FI97448C (fi) Suodatinväline
CN215137393U (zh) 一种新型反冲洗过滤器
US6645379B2 (en) Filter element with a filter medium applied to a support body
KR102565173B1 (ko) 배수관 장착구조를 포함하는 미세플라스틱 필터
JP4518500B2 (ja) ろ過装置
RU259361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фильтрования суспензии в движущемся потоке
RU2682558C1 (ru) Фильтр самоочищающийс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