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436Y1 - 봉인용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봉인용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436Y1
KR200168436Y1 KR2019990016210U KR19990016210U KR200168436Y1 KR 200168436 Y1 KR200168436 Y1 KR 200168436Y1 KR 2019990016210 U KR2019990016210 U KR 2019990016210U KR 19990016210 U KR19990016210 U KR 19990016210U KR 200168436 Y1 KR200168436 Y1 KR 200168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oduct
packing box
catch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제원
Original Assignee
유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제원 filed Critical 유제원
Priority to KR2019990016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4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4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8Drawer-and-shell 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품이 포장되어 있는 상자를 본인이 아닌 타인이 개봉을 해보았는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된 봉인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포장상자(1)의 구성이 상품이 수납되는 상품수납구(3)와 상기 상품수납구(3)가 결합되는 케이스(2)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2)와 상기 상품수납구(3)가 상호 걸림편(5, 7)에 의해 엇갈리게 케이스(2)의 내부에서 결합되어 상품을 꺼내기 위해 케이스(2)로부터 상품수납구(3)의 인출시 상기 걸림편(5, 7)이 떨어져 나가도록 되어 있는 것에 의해, 포장상자(1)의 개봉시 상기 걸림편(5, 7)이 떨어짐에 따라 상품을 받는 사람이 타인에 의한 포장상자(1)의 개봉여부를 확인을 할 수 있게 되고, 상품이 포장되어 있는 포장상자(1)의 개봉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품의 내용물이 타인에 의해 임의적으로 변경이 되었거나 일부가 도난을 당했는가를 육안으로 확인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봉인용 포장상자{A Packing box For Sealing Contents}
본 고안은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이 포장되어 있는 상자를 본인이 아닌 타인이 개봉을 해보았는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된 봉인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을 판매할 때나 배달을 할 때는 상품을 포장상자에 수납을 시켜 판매를 하거나 판매된 상품을 배달하여 주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상품을 구입하는 구매자가 상품을 직접적으로 구입을 하지 않고 상품이 소개 되어 있는 카달로그를 보고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을 전화로 주문하여 상품을 원하는 장소로 배달을 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상품이 수납되어 있는 포장상자는 그 구성이 단순히 내부에 상품을 시켜 상품을 포장하여 주는 것으로 상품의 유통과정이나 배달과정에서 타인이 포장상자를 개봉하여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을 임의적으로 변경을 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타인이 포장상자를 개봉하여 상품을 임의적으로 변경을 시켜도 상품을 받아보는 사람은 포장상자가 타인에 의해 개봉되었는가를 확인을 할 수가 없게 되고, 상품의 일부가 도난을 당해도 상품을 받아보는 사람은 확인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품이 포장되는 포장상자의 개봉여부를 상품을 받는 사람이 확인을 할 수 있도록 된 봉인용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품이 포장되어 있는 포장상자의 개봉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되어 상품의 내용물이 임의적으로 변경이 되었거나 일부가 도난을 당했는가를 육안으로 확인을 할 수 있도록 된 봉인용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상품이 수납되어 진열 및 판매를 하도록 된 포장상자에 있어서, 후방이 밀폐되어 있고, 전방에 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면에서 일부가 절개되어 밀폐된 후방을 향하도록 내측방으로 절곡된 다수의 제 1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 측면에 상기 케이스의 제 1걸림편과 대칭하는 제 2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시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제 1걸림편과 상기 제 2걸림편이 상호 엇갈리게 결합되는 상품수납구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케이스의 밑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내주면에 상기 제 1걸림편의 단부가 상측방을 향하도록 다수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상품수납구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2걸림편의 단부가 하측방을 향하도록 절곡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상기 상품수납구의 결합시 상기 제 1걸림편과 상기 제 2걸림편이 상호 엇갈리게 결합되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봉인용 포장상자의 외관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작용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작용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장상자 2 ; 케이스
3 ; 상품수납구 4 ; 입구
5 ; 제 1걸림편 6 ; 수납공간부
7 ; 제 2걸림편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일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봉인용 포장상자의 외관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로서 이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봉인용 포장상자는 일반적인 포장상자(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포장상자(1)는, 외부에 구비되는 케이스(2)와 상품수납구(3)로 대별이 되게 되는데 상기 케이스(2)는 후방이 밀폐되어 있고, 전방에 입구(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에는 한 쌍의 제 1걸림편(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 1걸림편(5)은, 케이스(2)의 양 측면에서 케이스(2)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된 단부가 케이스(2)의 내측방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내측방으로 절곡된 단부는 케이스(2)의 내부에서 밀폐된 후방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상기 상품수납구(3)는, 상측방에 상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부(6)가 형성되어 있고, 양 측면에는 상기 케이스(2)에 형성되어 있는 제 1걸림편(5)과 대응하는 제 2걸림편(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걸림편(7)은, 양 측면에서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된 단부가 상품수납구(3)의 전방 즉, 상기 제 1걸림편(5)의 단부가 향하는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케이스(2)의 입구(4)를 통하여 상기 상품수납구(3)가 도 2와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이 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케이스(2)의 입구(4)로부터 상기 상품수납구(3)가 삽입되면서 케이스(2)의 내부에 상품수납구(3)가 결합이 되게 된다.
상기 케이스(2)에 상품수납구(3)가 결합되면서 케이스(2)에 형성되어 있는 제 1걸림편(5)과 상품수납구(3)에 형성되어 있는 제 2걸림편(7)이 도면상 확대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엇갈리게 결합되면서 포장상자(1)가 봉인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봉인된 포장상자(1)를 개봉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2)에 결합된 상품수납구(3)를 입구(4)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을 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서 상호 제 1걸림편(5)과 제 2걸림편(7)이 상호 엇갈리게 결합되어 있어서 케이스(2)로부터 상품수납구(3)가 인출이 되는 것이 방지가 되게 된다.
이때, 상품이 수납되어 있는 상품수납구(3)에 비교적으로 강한 힘을 가하게 되면 케이스(2)의 내부에서 상호 엇갈리게 결합되어 있는 제 1걸림편(5)이나 제 2걸림편(7)이 파손되면서 상품수납구(3)가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걸림편(5)이나 제 2걸림편(7)이 파손되면서 상품수납구(3)가 인출이 이루어진 후 다시 상품이 수납되어 있는 상품수납구(3)를 케이스(2)에 결합을 시키게 되면 사전에 제 1걸림편(5)이나 제 2걸림편(7)이 파손되어 있어서 재차 케이스(2)로부터 상품수납구(3)를 인출시킬 때는 아무런 저항이 없이 상품수납구(3)가 케이스(3)로부터 인출이 되게 되어 상품을 받아보는 사람은 상품이 도착하는 과정 등에서 봉인되어 있던 포장상자(1)가 타인에 의해 개봉되었는가를 육안으로 확인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s(2)의 밑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내주면에 상기 제 1걸림편(5)의 단부가 상측방을 향하도록 다수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상품수납구(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2걸림편(7)의 단부가 하측방을 향하도록 절곡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상품수납구(3)의 상측으로부터 밑면이 개방된 상기 케이스(2)를 결합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케이스(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걸림편(5)과 상기 상품수납구(3)에 형성되어 있는 제 2걸림편(7)이 상기 케이스(2)의 내부 외주면에서 상호 엇갈리면서 결합되게 되어 포장상자(1)가 봉인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2)와 상품수납구(3)에 형성되는 제 1걸림편(5)과 제 2걸림편(7)은 그 크기와 수량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포장상자(1)의 크기에 따라서 크기가 크게 형성되거나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포장상자(1)의 구성이 상품이 수납되는 상품수납구(3)와 상기 상품수납구(3)가 결합되는 케이스(2)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2)와 상기 상품수납구(3)가 상호 걸림편(5, 7)에 의해 엇갈리게 케이스(2)의 내부에서 결합되어 상품을 꺼내기 위해 케이스(2)로부터 상품수납구(3)의 인출시 상기 걸림편(5, 7)이 떨어져 나가도록 되어 있는 것에 의해, 포장상자(1)의 개봉시 상기 걸림편(5, 7)이 떨어짐에 따라 상품을 받는 사람이 타인에 의한 포장상자(1)의 개봉여부를 확인을 할 수 있게 되고, 상품이 포장되어 있는 포장상자(1)의 개봉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품의 내용물이 타인에 의해 임의적으로 변경이 되었거나 일부가 도난을 당했는가를 육안으로 확인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내부에 상품이 수납되어 진열 및 판매를 하도록 된 포장상자에 있어서,
    후방이 밀폐되어 있고, 전방에 입구(4)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면에서 일부가 절개되어 밀폐된 후방을 향하도록 내측방으로 절곡된 다수의 제 1걸림편(5)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2)와;
    상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부(6)가 형성되어 있고, 양 측면에 상기 케이스(2)의 제 1걸림편(5)과 대칭하는 제 2걸림편(7)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에 결합시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제 1걸림편(5)과 상기 제 2걸림편이 상호 엇갈리게 결합되는 상품수납구(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용 포장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의 밑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내주면에 상기 제 1걸림편(5)의 단부가 상측방을 향하도록 다수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상품수납구(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2걸림편(7)의 단부가 하측방을 향하도록 절곡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에 상기 상품수납구(3)의 결합시 상기 제 1걸림편(5)과 상기 제 2걸림편(7)이 상호 엇갈리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용 포장상자.
KR2019990016210U 1999-08-09 1999-08-09 봉인용 포장상자 KR200168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210U KR200168436Y1 (ko) 1999-08-09 1999-08-09 봉인용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210U KR200168436Y1 (ko) 1999-08-09 1999-08-09 봉인용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436Y1 true KR200168436Y1 (ko) 2000-02-15

Family

ID=1958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210U KR200168436Y1 (ko) 1999-08-09 1999-08-09 봉인용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4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39Y1 (ko) * 2008-03-26 2010-09-24 류제원 포장상자의 봉인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39Y1 (ko) * 2008-03-26 2010-09-24 류제원 포장상자의 봉인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1876B2 (en) Pilfer-resistant packaging with criss-cross grain pattern
US4453629A (en) Mask display package
US6311845B1 (en) Product packaging arrangement having retainer
US7243800B1 (en) Display box with sleeve
US5529174A (en) Product package
US4258842A (en) Cap display package
US7207440B2 (en) Blister pack
US20030098252A1 (en) Security package
US6907987B2 (en) Security tape disc storage case
US11661248B2 (en) Backward-folded opening-resistant container structure
US6234308B1 (en) Product display container and method
KR200168436Y1 (ko) 봉인용 포장상자
EP2616350B1 (en) A tamper evident container
US5381890A (en) Convertible package/shelf organizer
US20070158235A1 (en) Packaging device
US3096877A (en) Packages and methods of packaging
US20040231771A1 (en) Carry bag with viewing window
KR20210052842A (ko) 택배용 포장박스
KR200450339Y1 (ko) 포장상자의 봉인구조
WO2001098171A2 (en) Battery package with rotation prevention
KR200330213Y1 (ko) 포장물품을 진열하기 위한 종이상자
KR101004997B1 (ko) 디스플레이가 용이한 포장용 상자
JP3054867U (ja) 内体及び内体付きカートン
KR200278054Y1 (ko) 액자틀을 이용한 포장 상자 어셈블리
JP3096778U (ja) 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