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278Y1 -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278Y1
KR200168278Y1 KR2019990015383U KR19990015383U KR200168278Y1 KR 200168278 Y1 KR200168278 Y1 KR 200168278Y1 KR 2019990015383 U KR2019990015383 U KR 2019990015383U KR 19990015383 U KR19990015383 U KR 19990015383U KR 200168278 Y1 KR200168278 Y1 KR 200168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main body
communicat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기웅
Original Assignee
오기웅
이행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기웅, 이행곤 filed Critical 오기웅
Priority to KR2019990015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2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등과 같은 이동 통신 기기에서 일반적인 건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를 충전시키지 못한 경우에도, 일반적인 소매점등에서 일회용 배터리을 구입하여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동 통신 기기의 본체 배터리 장착부(50)에 접착 부재(1)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일반적인 건전지(B)가 다수 삽입되어 위치 고정된 하우징(2)과, 상기한 하우징(2)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건전지(B)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휴대폰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압을 본체(51)의 단자(T)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원 공급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A battery for a movable communication appratus}
본 고안은 일회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등과 같은 이동 통신 기기에서 비상시에 일반적인 건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CS 단말기등과 같은 이동 통신 기기는 사용자가 휴대중에 사용하게 되는 바, 상기한 휴대폰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별도의 배터리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한 배터리는 휴대폰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결합 시 전원이 본체에 인가되도록 구성되는 바, 배터리를 결합시켜 휴대폰을 사용함과 아울러 사용 후 별도의 충전기등에서 배터리를 충전시켜 연속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휴대폰에서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버튼 및 표시창(미 도시)이 순차 배치됨과 아울러 배터리 장착부(50)가 형성된 본체(51)와, 상기한 배터리 장착부(50)에 고정 부재(52)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배터리(53)와, 상기한 본체(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플립(54)과, 상기한 본체(51)의 상단에 인출/삽입 가능하게 설치된 안테나(55)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배터리(53)와 본체(51)와의 사이에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단자(미 도시)가 각각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휴대폰의 사용 상태는, 사용자가 배터리 장착부(50)에 충전 완료된 상태인 배터리(53)를 결합시켜 일정 시간 사용한 후, 상기한 배터리(53)를 본체(51)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본체(51)에서 분리된 배터리(53)는 가정에 각각 비치된 소정 충전기에 안착시켜 다시 충전한 후 상기한 배터리(53)를 본체(51)에 다시 결합시켜 휴대폰을 연속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배터리(53)는 통상 사용 시간 기준으로 하루 이상을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2개 정도의 배터리를 교대로 충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2개 정도의 배터리를 교대로 사용하여도 출장등과 같이 외부로 나가게 되면, 상기한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부피가 큰 충전기를 별도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게 된다.
또한, 출장지등에 충전기를 설치하고, 배터리를 적정 시간동안 충전해야 다음날 사용할 수 있지만, 업무등에 의해 바쁜 경우 배터리를 충전시키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휴대폰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터리를 충전시키지 못한 경우에도, 일반적인 소매점등에서 일회용 배터리를 구입하여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일회용 배터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부담없이 일회용으로 사용한 후 버릴 수 있는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동 통신 기기의 본체 배터리 장착부에 접착 부재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일반적인 건전지가 다수 삽입되어 위치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건전지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휴대폰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압을 본체의 단자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원 공급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일회용 배터리팩의 조립 단면도,
도3은 도1에서 조립 저면도,
도4는 일반적인 휴대폰에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양면 테이프 2: 하우징
3: 접착 테이프 4: 제1단자
5: 제2단자 6: 배선
7: 단자 8: 브라켓
51: 본체 T: 단자
도1과 도2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조립 단면도와 조립 저면도로서, 상기한 본체 배터리 장착부(50)에 양면 테이프(1)등과 같은 접착 부재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일반적인 AAA 타입 건전지(B)가 다수 삽입되어 위치 고정된 하우징(2)과, 상기한 하우징(2)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건전지(B)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3V 혹은 4.5V를 본체(51)의 단자(T)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원 공급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하우징(2)의 저면을 차폐하여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 시 분리하여 버릴 수 있도록, 접착 테이프(3)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하우징(2)은 일반적인 우유 박스등과 같이 습기에 비교적 강하고 소정 강도를 갖는 저렴한 종이 재질 또는 비닐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건전지(B)에서 전원을 단자(T)로 공급하도록 설치된 전원 공급 수단은, 은박지등과 같이 매우 저렴하고 전도율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되어 있다.
즉, 일회용 배터리를 사용 후 버려도 재질등에 따른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매우 저렴한 재질로 하우징 및 전원 공급 수단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한 전원 공급 수단은 하우징(2) 내면 일측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건전지(B)의 + 또는 -단자와 접촉되고 은박지등으로 이루어진 제1단자(4)와, 상기한 건전지(B)의 타측 단자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제2단자(5)와, 상기한 제1, 2단자(4, 5)를 연결하여 본체(51)에 공급 가능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은박지로 가늘게 구성된 배선(6)과, 상기한 제1, 2단자(4, 5)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본체(51)의 단자(T)에 공급하도록 배선(6)으로 연결되고 하우징(2) 일측에 형성된 단자(7)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제2단자(5)와 단자(7)를 부도체인 브라켓(두꺼운 종이등과 같은)(8)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한 브라켓(8)을 하우징에 부착하게 되면, 보다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휴대폰을 가지고 출장등을 간 상태에서, 충전을 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한 일회용 배터리팩을 소매점등에서 구입하게 된다.
일회용 배터리를 구입한 후 상기한 일회용 배터리의 저면을 덮고 있는 접착 테이프(3)를 제거하게 된다.
접착 테이프(3)를 제거한 후, 상기한 휴대폰 본체(51)에 결합되어 있는 방전된 배터리를 분리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일회용 배터리를 본체(51)의 배터리 장착부(50)에 밀착시키게 하거나 또한 상기한 휴대폰 배터리(53)에 상기한 일회용 배터리를 부착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배터리 장착부(50)에 일회용 배터리팩을 밀착시킬 때 상기한 본체(51)의 단자(T)와 일회용 배터리의 단자(7)가 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한 일회용 배터리의 양면 테이프(1)가 본체(51)에 접착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회용 배터리가 본체(51)에 접착되면, 상기한 배터리의 단자(7)와 본체(51)의 단자(T)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는 바, 상기한 휴대폰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휴대폰에 일회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한 휴대폰을 사용하게 되고, 이때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기등으로 충전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폰을 충전시키지 않아도 휴대폰을 일정 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시간동안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한 일회용 배터리의 사용 시간은 휴대폰의 배터리와 동일시간 정도 사용이 가능한 바, 그 시간 동안만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시간에 휴대폰 배터리(53)를 충전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회용 배터리 사용 후 배터리를 다시 사용하게 되면, 상기한 일회용 배터리의 양면 테이프(1)를 본체(51)에서 분리시키면 되는 바, 상기한 배터리는 종이 박스, 은박지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재료비가 극히 적게 소요됨으로써, 이를 버려도 재료비 차원에서의 손실은 크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지 못했을 경우, 저렴한 재료로 제작됨과 아울러 일반적인 건전지가 삽입되어 있는 일회용 배터리로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기 출장등과 같은 경우에 비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휴대폰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이동 통신 기기의 본체 배터리 장착부에 접착 부재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일반적인 건전지가 다수 삽입되어 위치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건전지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휴대폰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압을 본체의 단자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원 공급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의 저면을 차폐하여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 시 분리하여 버릴 수 있도록 부착된 접착 테이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원 공급 수단은 하우징 내면 일측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건전지의 + 또는 -단자와 접촉된 제1단자와, 상기한 건전지의 타측 단자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제2단자와, 상기한 제1, 2단자를 연결하여 본체에 공급 가능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배선과, 상기한 제1, 2단자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본체의 단자에 공급하도록 배선으로 연결되고 하우징 일측에 형성된 단자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단자와 단자를 부도체인 브라켓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한 브라켓을 하우징에 부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2단자 및 배선을 은박지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을 비교적 두껍고 수분에 강한 재질인 종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
KR2019990015383U 1999-07-29 1999-07-29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 KR200168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383U KR200168278Y1 (ko) 1999-07-29 1999-07-29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383U KR200168278Y1 (ko) 1999-07-29 1999-07-29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278Y1 true KR200168278Y1 (ko) 2000-02-15

Family

ID=1958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383U KR200168278Y1 (ko) 1999-07-29 1999-07-29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2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323A (ko) 2015-07-07 2017-01-18 김광희 스마트폰의 충전 악세사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323A (ko) 2015-07-07 2017-01-18 김광희 스마트폰의 충전 악세사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70493C (en) Call selective receiver built in with vibrator
JP2777842B2 (ja) 一体型受話器収納およびバッテリ充電装置
US5701067A (en) Battery charger and solar cells for battery charging
JP3907723B2 (ja) 電池パック
JP3293178B2 (ja) 電池内蔵電子機器装置
US5872831A (en) Variable geometry battery compartment for accommodating different sized batteries in telephone craftsperson's test set
US5046131A (en) Portable radio transceiver apparatus
JPH10146213A (ja) 携帯電話用太陽電池付キャリングケース
US11537029B2 (en) Gimbal handle and gimbal having same
KR200168278Y1 (ko) 이동 통신 기기의 일회용 배터리
MY125363A (en) Portable electric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power source.
GB2360641A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ith a connector directly attaching to a chargeable battery pack
CN108834016A (zh) 耳机充电盒
MY127836A (en) Modular stackable batteries for cellular phones
US5980310A (en) Power supply unit for portable apparatus and of the type enabling various types of power source to be used, and corresponding portable apparatus
US5770330A (en) Battery package with multiple surface charging contacts
JPH1069892A (ja) 電池パック
EP0399176A2 (en) Construction of a telephone handset operating as an independent unit
EP1885010B1 (en) Battery pack with nondirectional terminal
CN214756839U (zh) 一种自动开关蓝牙耳机充电的充电盒
KR200212929Y1 (ko) 벨트형 배터리
CN217469477U (zh) 带可折叠支架的磁吸移动电源
JPH0689709A (ja) 2次組電池及び電池収納装置
CN109640206B (zh) 一种电子设备
KR200165484Y1 (ko) 이동 통신 기기용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