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250Y1 - 회전의자용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 Google Patents

회전의자용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250Y1
KR200168250Y1 KR2019970032398U KR19970032398U KR200168250Y1 KR 200168250 Y1 KR200168250 Y1 KR 200168250Y1 KR 2019970032398 U KR2019970032398 U KR 2019970032398U KR 19970032398 U KR19970032398 U KR 19970032398U KR 200168250 Y1 KR200168250 Y1 KR 200168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cylinder
fixing means
fixed
cylindrical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3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066U (ko
Inventor
윤영기
Original Assignee
이세용
주식회사삼홍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용, 주식회사삼홍사 filed Critical 이세용
Priority to KR20199700323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250Y1/ko
Priority to US09/129,093 priority patent/US6371421B1/en
Priority to TW088216765U priority patent/TW427142U/zh
Priority to DE19853012A priority patent/DE19853012B4/de
Priority to US09/193,245 priority patent/US6241316B1/en
Publication of KR199900190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0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2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12Chairs of special material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린더형의 높이조절부재에 있어서,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끼워지는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고, 작업성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는 실린더 12의 피스톤 로드 610의 하단부에 탄성부재 620과, 베어링 서포트 42,44와, 볼베어링 50이 끼워지고, 상기 탄성부재와, 베어링 서포트와, 볼베어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에 리테이너 와셔 1이 고정된다.
피스톤 로드에 리테이너 와셔가 고정된 상기 실린더 12는 실린더의 가이드 602가 내장된 원통형의 외통 600에 삽입되고, 상기 원통형의 외통 60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100의 내면쪽에 상기 리테이너 와셔 1이 접촉되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 100의 외면쪽에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 일부가 돌출되도록 하여 고정된다.

Description

회전의자용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본 고안은 회전의자용 좌판과 지지발 사이에 입설하여 사용하는 높이조절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실린더형의 높이조절부재의 조립과정에서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부에 삽입되는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고, 작업성을 개선하고, 회전과 작동상태를 원활히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린더형의 높이조절부재는 하나의 예를들어 도1의 분해사시도와 도2의 종단면 구조를 갖는다.
상기 도면에서 원통형의 외통 600 내에 실린더 가이드 602가 삽설되고, 실린더 가이드 602의 내부에는 실린더 12가 삽설된다.
실린더 12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피스톤 로드 610의 단부에는 피스톤 로드 610의 상하운동시 실린더 1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적절한 탄성을 발휘하기 위한 탄성부재 620이 끼워지고, 상기 탄성부재 620의 하부의 피스톤 로드에는 베어링 서포트 42,44와 볼베어링 50이 끼워진다.
특히, 상기 베어링 서포트 42,44 및 볼베어링 50은 피스톤 로드 610에 형성된 이동방지턱 35에 의하여 피스톤 로드의 상부쪽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상기 볼베어링 50에는 볼 52가 삽설되고, 볼베어링 50을 센드위치하여 베어링 서포트 42와 44가 끼워지는 구조가 됨으로써, 실린더 12의 몸통부 605에 가해지는 하중이 탄성부재 620을 통하여 볼베어링 50에 직접 가해지더라도 볼베어링 50은 베어링 서포트 42와 44사이에서 충분한 미끄럼 저항을 발휘하여 실린더 1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탄성부재 620과 볼베어링 50, 베어링 서포트 42 및 44가 끼워진 피스톤 로드 610의 단부는 원통형의 외통 600의 저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재 100에 삽설되고, 고정부재 100의 외측에서 피스톤 로드 610의 단부에 형성된 홈 250에 고정클립 230을 끼워 고정부재 100과 피스톤 로드 610을 고정한다.
즉,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610의 단부가 원통형의 외통과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재 100에 고정되기 때문에 실린더 12 내에 가해지는 가스 또는 유압에 의하여 실린더의 몸통부 605가 실린더 가이드 602 내부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통형의 외통을 의자의 기저부에 고정하고, 실린더 12의 상부에 의자의 좌판을 고정하면 회전이 가능하고,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의자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실린더형의 높이조절부재는 이미 공지된 기술로써 알려져 있으며 그 실린더 12의 내부 구조를 이하에 설명한다.
실린더 몸통부 605의 내부에는 몸통부 605와 밀접하게 장착된 실린더쳄버의 벽체 604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벽체 604의 상부에는 쳄버 내부에서 가스와 오일 등으로 된 작동유체 700을 기밀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오링 607을 장착한 기밀부재 606이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벽체 604의 하부에는 상기 작동유체에 의하여 상하 운동을 하는 피스톤 608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 608은 피스톤 로드 61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밀부재 607의 상부에는 쳄버내에 작동유체를 주입하고, 배설할 수 있는작동유체의 코킹부재 88과 연결되는 보턴 33이 설치된다.
상기 코킹부재 88은 기밀부재 606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실린더형의 높이조절부재는 실린더 12의 피스톤 로드 610을 원통형의 외통 600의 고정부 100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공수가 지연되고, 부품이 빠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린더 12의 피스톤 로드 610을 외통의 고정부 10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선작업으로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탄성부재 620과 베어링 서포트 42,44 및 볼베어링 50을 끼우고, 상기 상태에서 실린더 12와 피스톤 로드 610을 외통의 실린더 가이드 602를 통하여 삽입하고,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형성된 홈 250이 외통의 고정부재 100의 외측으로 나오도록 삽입할 때, 상기 베어링 서포트 42,44 및 볼베어링 50은 피스톤 로드에 헐거운 상태로 끼워져 있기 때문에 피스톤 로드를 주의하여 고정부재 100에 삽입하지 않으면 상기 베어링 서포트와 볼베어링이 피스톤 로드로 부터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설령 피스톤 로드 610을 고정부재 10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베어링 서포트 42,44 및 볼베어링 50이 빠지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주의를 요하여 천천히 삽입하여야 되기 때문에 조립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가이드가 내장된 외통 600과 실린더 12를 분리하여 보관하거나 취급하는 경우에도 상기 베어링 서포트 42,44 및 볼베어링 50이 분실되지 않도록 별도로 보관하거나 관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끼워지는 탄성부재 620, 베어링 서포트 42,44 및 볼베어링 50 등의 부품 이탈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구안의 또 다른 목적은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끼워지는 탄성부재 620, 베어링 서포트 42,44 및 볼베어링 50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성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종래의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의 종단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의 종단면도이고,
도4a∼도4d는 본 고안의 리테이너 와셔의 구조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실린더 로드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테이너 와셔 2 : 지지부
12 : 실린더 35 : 이동방지턱
39 : 돌기 42,44 : 베어링 서포트
50 : 볼베어링 100 : 고정부재
230 : 고정클립 250 : 홈
600 : 외통 602 : 실린더 가이드
610 : 피스토 로드 620 : 탄성부재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실린더형의 높이조절부재는 적어도,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하단부에 탄성부재와, 베어링 서포트와, 볼베어링이 끼워지고, 상기 탄성부재와, 베어링 서포트와, 볼베어링이 상기 피스톤 로드에서 이탈 되지 않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에 고정 수단으로 기능하는 리테이너 와셔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 로드에 탄성부재와, 베어링 서포트와, 볼베어링이 끼워지고, 상기 피스톤 로드에 끼워진 부품이 이탈되지 않도록 리테이너 와셔가 구비된 실린더는 실린더의 가이드가 내장된 원통형의 외통에 삽입되고, 상기 원통형의 외통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의 내면쪽에 상기 리테이너 와셔가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외면쪽에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 일부가 돌출하여 고정된다.
본 고안의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3, 본 고안의 리테이너 와셔의 다양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4a∼도4d, 본 고안의 피스톤 로드의 단부부분을 확대하여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도5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도면에 있어서 종래의 구조와 같은 부분은 종래의 도면 부호를 그대로 인용하여 사용한다.
본 고안의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구조 및 기능과 거의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에 속하는 실린더 12의 피스톤 로드 610의 단부 부분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피스톤 로드 610의 단부 부분에는 베어링 서포트 42,44 및 볼베어링 50이 피스톤 로드의 상부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이동방지턱 35가 구비된다.
즉, 상기 이동방지턱 35가 형성됨으로써, 실린더 12에 걸리는 하중이 상기 피스톤 로드를 통하여 상기 베어링 서포트 및 볼베어링에 걸리고 상기 베어링 서포트 및 볼베어링은 외통 600의 고정부재 100에 의하여 스토퍼된다.
따라서, 실린더 12에 소정의 하중을 가하더라도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외통 600의 저면부로 밀려나오지 않는다.
한편, 고정부재 10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부에는 홈 250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고정클립 230이 클립된다.
상기와 같이 외통 600의 고정부재 100에 피스톤 로드 610이 고정됨으로써 실린더 12는 고정부재 100을 기준으로하여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실린더 1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적절한 탄성을 발휘하기 위한 탄성부재 620은 상기 이동방지턱 35의 상부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동방지턱 35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베어링 서포트 42,44 및 볼베어링 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어링 서포트 44의 하단부에 고정수단이 되는 리테이너 와셔 1을 고정한다.
상기 리테이너 와셔 1을 고정할 때 고정을 쉽게하기 위하여 이동방지턱 35의 하단부의 피스톤 로드부의 외주면을 따라 여러줄의 띠 모양의 돌기 39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리테이너 와셔 1을 피스톤 로드 610의 단부에 고정함으로써 실린더 12와 피스톤 로드 610을 외통 600에 삽입하고, 피스톤 로드 610을 고정부재 100에 고정하는 작업과정을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피스톤 로드 610에 끼워지는 베어링 서포트 42,44와 볼베어링 50이 조립과정에서 이탈될 염려가 엾다.
또한, 외통에 실린더를 고정하지 않고, 별도로 취급하거나 보관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피스톤 로드에 탄성부재 620과, 베어링 서포트 42,44 및 볼베어링 50 등을 끼우고, 리테이너 와셔 1로 고정하여 두면 부품의 취급이나 관리에 매우 유리한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점을 제공하는 리테이너 와셔 1의 구조는 내주면에 지지부 2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 2가 상기 피스톤 로드 610의 외주면부 즉, 여러줄의 띠 모양의 돌출부 39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리테이너 와셔 1은 피스톤 로드부의 두께에 따라 다르지만 외경치수는 10mm∼30mm 이내로 형성하고, 내경치수는 4mm∼20mm 이내로 형성하고, 두께는 0.2mm∼1mm 이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테이너 와셔의 재질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한다.
또, 지지부 2의 넓이는 1mm∼5mm 이내로 형성하고, 라운드 형상, 사각형 형상, 다각형 형상, 반원형 형상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 와셔의 지지부 2는 도4d의 리테이너 와셔의 측면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안에서 밖으로 벌어지는 하향방향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 610의 단부에 탄성부재 620, 베어링 서포트 42,44 및 볼베어링 50을 끼우고, 리테이너 와셔 1로 고정하여 둠으로써, 상기 부품이 이탈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외통 600과 실린더 12를 고정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통에 실린더를 고정하지 않고, 별도로 취급하거나 보관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피스톤 로드에 상기 부품을 끼운 상태로 취급하고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손망실을 방지할 수 있고, 관리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Claims (11)

  1. 적어도 실린더 12의 피스톤 로드 610의 하단부에 탄성부재 620과, 베어링 서포트 42,44와, 볼베어링 50이 끼워지고, 상기 탄성부재와, 베어링 서포트와, 볼베어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에 고정수단 1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 620에 탄성부재 620과, 베어링 서포트 42,44와, 볼베어링 50이 끼워지고, 상기 피스톤 로드에 끼워진 부품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수단 1이 구비된 실린더 12는 실린더의 가이드 602가 내장된 원통형의 외통 600에 삽입되고, 상기 원통형의 외통 60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100의 내면쪽에 상기 고정수단 1이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재 100의 외면쪽에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 일부가 돌출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1은 와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와셔형의 내주면에는 지지부 2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2가 상기 피스톤로드 6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1의 외경치수는 10mm∼30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1의 내경치수는 4mm∼20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1의 지지부 2의 넓이는 1mm∼5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1의 지지부 2는 라운드 형상, 사각형 형상, 다각형 형상, 반원형 형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1의 두께는 0.2mm∼1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높이조절부재.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1의 지지부 2는 안에서 밖으로 벌어지는 하향방향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1의 재질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1이 고정되는 피스톤 로드부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KR2019970032398U 1997-08-23 1997-11-17 회전의자용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KR200168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398U KR200168250Y1 (ko) 1997-11-17 1997-11-17 회전의자용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US09/129,093 US6371421B1 (en) 1997-08-23 1998-08-05 Device for controlling the height of a swivel chair
TW088216765U TW427142U (en) 1997-11-17 1998-11-05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swivel chair
DE19853012A DE19853012B4 (de) 1997-11-17 1998-11-17 Vorrichtung zur Höheneinstellung eines Drehstuhls
US09/193,245 US6241316B1 (en) 1997-11-17 1998-11-17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swivel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398U KR200168250Y1 (ko) 1997-11-17 1997-11-17 회전의자용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066U KR19990019066U (ko) 1999-06-05
KR200168250Y1 true KR200168250Y1 (ko) 2000-02-01

Family

ID=1951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398U KR200168250Y1 (ko) 1997-08-23 1997-11-17 회전의자용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2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415B1 (ko) * 2001-07-24 2004-06-16 주식회사 삼홍사 칼럼 유니트 및 칼럼 유니트의 튜브 가이드
KR102007577B1 (ko) * 2017-11-24 2019-10-01 서문원 이중 피스톤 구조와 유압을 이용한 헤드레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066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4209B1 (en) Drawer slide floating bumper detent
US5002290A (en) Static seal
EP0785366B1 (en) Wall nut and bolt assemblies
EP0638735A1 (en) Ball joint
KR200168250Y1 (ko) 회전의자용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JPS61501758A (ja) 加工片位置決め用側圧部品
KR970704966A (ko) 플런저 펌프
EP2541109A1 (en) Annular sealing assembly, in particualr for insertion between elements subjected to an offset positioning
US7128012B2 (en) Pull-up cleat with infinite position adjustment
EP1599688B1 (en) Boot with o-ring seal
KR100615662B1 (ko) 밀봉 장치 및 그 밀봉 장치용의 밀봉 부재
EP1706660B1 (en) Seal assembly for sealing between a surface of a piston element and a bore surface disposed thereabout and corresponding method
KR20100011061U (ko) 유압호스 연결용 커플링
CN112400071B (zh) 与支撑结构一起使用的阻尼组件和对结构进行减幅的方法
EP1514649A1 (en) Self-adjusting support for moulds and dies
US20040222578A1 (en) Prestressed elastic device with cage and use thereof
CN113998558B (zh) 一种电梯缓冲器用柱塞的防脱结构及电梯缓冲器
JPH0141975Y2 (ko)
KR0135566B1 (ko) 실린더의 스트로크 센서장치의 취부구조
JPH0529589Y2 (ko)
JPH0512530Y2 (ko)
WO1993012362A1 (en) Shock absorber, and head assembly therefor
JP2529107Y2 (ja) シリンダのシール構造
KR960005550Y1 (ko)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950014507A (ko) 난간 구조물의 조립방법 및 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