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161Y1 -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161Y1
KR200168161Y1 KR2019990017737U KR19990017737U KR200168161Y1 KR 200168161 Y1 KR200168161 Y1 KR 200168161Y1 KR 2019990017737 U KR2019990017737 U KR 2019990017737U KR 19990017737 U KR19990017737 U KR 19990017737U KR 200168161 Y1 KR200168161 Y1 KR 200168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catalog
folding
fram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자
Original Assignee
이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자 filed Critical 이미자
Priority to KR2019990017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1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1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4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pictures, e.g. in combination with books or seed-bags ; for cards, magazines, newspapers, books or booklike articles, e.g. audio/video cassette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가 개시된다.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절첩가능하며, 카탈로그를 진열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복수개의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어,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펴진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다관절 형상의 지지 프레임, 복수개의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단부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방으로 젖혀지는 경우, 그 상면에 카탈로그를 지지하는 받침대, 그리고 복수개의 플레이트중 가장 상부의 플레이트의 상단면에 장착되는 광고판으로 구성된다. 카탈로그 진열대는 절첩식이므로 진열장소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카탈로그 진열대를 운반하는 경우, 접어서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Exhibition Table For Catalogue Capable Of Being Folded}
본 고안은 카탈로그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탈로그 진열대는 제품 사양서등의 카탈로그(Catalogue)를 비치하는 기구이다. 일반 사용자는 카탈로그 진열대에 비치된 카탈로그중에서 원하는 카탈로그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카탈로그 진열대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카탈로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카탈로그를 효과적으로 진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카탈로그 진열대는 진열형태에 따라 여러 형태로 구분된다. 즉, 카탈로그를 단순히 쌓아 놓는 책상형의 진열대가 있고, 또한 카탈로그를 여러 종류별로 동시에 식별하게 할 수 있는 다단형의 진열대로 구분된다.
다단형의 진열대에는 와이어 등을 이용한 케이지식 진열대 및 판재등을 이용한 플레이트식 진열대등의 다양한 진열대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진열대는 그 자체의 높이가 고정형이므로 여러 진열 장소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열대를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운반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접었다 폈다 하므로써 그 높이를 조절가능하고, 또한 접어서 운반하므로 운반이 편리한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 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2 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의 측면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3 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의 정면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4 는 도1 의 'A' 부분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카탈로그 진열대
4 : 투명판
5 : 절첩부재
6 : 받침대
7 : 복수개의 플레이트
9 : 지지 프레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절첩가능하며, 카탈로그를 진열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펴진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다관절 형상의 지지 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단부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방으로 젖혀지는 경우, 그 상면에 상기 카탈로그를 지지하는 받침대,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중 가장 상부의 플레이트의 상단면에 장착되는 광고판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는 가로틀, 상기 가로틀에 결합부재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조립되는 세로틀, 상기 가로 및 세로틀에 의하여 그 내부에 장착되어 카탈로그를 지지하는 투명판,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 양측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가로 및 세로틀을 서로 일체로 결합하는 절첩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세로틀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수납되며, 그 일단부에 형성된 머리부는 상기 세로틀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머리부에는 상기 가로틀의 오목홈이 끼워지므로써, 상기 가로 및 세로틀은 일체로 결합되고, 마감캡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오목홈에 형성된 원형 돌출턱에는 링크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링크의 타단부는 다른 플레이트의 가로틀의 원형 돌출턱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므로써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마감캡은 반원형상이며, 그 외주면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는 다른 플레이트의 마감캡의 기어와 치합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복수개의 결합나사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결합홀이 상기 복수개의 결합나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므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 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2 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의 측면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그리고 도3 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의 정면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1)는 베이스(8), 베이스(8)의 상부에 접이식으로 장착되어 카탈로그를 전시할 수 있는 복수개의 플레이트(7), 복수개의 플레이트(7)를 펴진상태에서 고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관절 형상의 지지 프레임(9), 그리고 복수개의 플레이트(7)중 가장 상부에 장착되어 광고전단등을 부착할 수 있는 광고판(11)으로 구성된다.
복수개의 플레이트(7)는 가로틀(3), 가로틀(3)에 수직방향으로 조립되는 세로틀(3), 가로 및 세로틀(2,3)에 의하여 그 내부에 장착되어 카탈로그(12)를 지지하는 투명판(4), 가로틀(3)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어 카탈로그(12)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6), 그리고 복수개의 플레이트(7)의 상단 및 하단 양측부에 각각 장착되어 가로 및 세로틀(2,3)을 서로 일체로 결합하는 절첩부재(5)로 구성된다.
가로 및 세로틀(2,3)은 사각단면을 가지며, 알루미늄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시각적으로 미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진열 환경에 따라 알루미늄외에 목재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므로써 중후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로틀(3)의 하부에는 카탈로그(12)를 지지하는 받침대(6)가 각각 힌지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카탈로그를 진열하고자 하는 경우, 받침대(6)를 전방으로 젖히고, 그 상면에 카탈로그를 진열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하지 않거나 카탈로그 진열대를 접을 경우에는, 받침대를 후방으로 접어서 투명판에 접촉시키게 된다.
투명판(4)은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제작되며, 카탈로그(12)의 저면이 지지된다. 카탈로그 진열대는 노천등의 외부충격이 가해지기 쉬운 장소에 설치되므로, 투명판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판을 높은 강도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제작하므로써 외부 충격등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폴리카보네이트 외에도 유리, 폴리에스테르 재질등이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복수개의 플레이트(7)의 상, 하부 양단에는 절첩부재(5)가 각각 장착된다. 이 절첩부재(5)는 복수개의 플레이트(7)가 펴졌다 접혔다 하는 경우, 각각의 플레이트(7)를 서로 일체로 연결시킨다. 도4 를 참조하여 절첩부재(5)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 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의 절첩부재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틀(3)의 일단부의 내부에는 소정의 수납공간(27)이 형성되며, 이 수납공간(27)에는 가로틀(3) 및 세로틀(2)을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가 탄성적으로 수납된다.
즉, 결합부재(13)는 대략 사각바의 형상이며, 그 일단부에는 소정깊이의 홈(16)이 형성되므로써 'T' 자형의 머리부(17)가 형성된다. 또한, 결합부재(13)의 타단부에는 원형홈(26)이 형성되어 탄성부재, 바람직하게는 스프링(14)이 장착되며, 중간부에는 결합부재(13)를 관통하는 결합홀(15)이 형성된다.
이 결합부재(13)는 세로틀(3)의 수납공간(27)에 수납되며, 이때, 스프링(14)은 수납공간(27)의 측벽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결합부재(13)를 세로틀(3)의 수납공간(27)으로부터 인출하는 경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세로틀(3)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홀(28)에 체결나사(29)가 관통하여 결합부재(13)의 결합홀(15)에 체결되므로써 결합부재(13)는 세로틀(3)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때, 머리부(17)는 세로틀(3)의 외부로 소정거리 돌출되며, 스프링(14)은 압축된 상태이다.
머리부(17)에는 가로틀(2)의 오목홈(16)이 결합된다. 즉, 가로틀(2)의 일단부에 형성된 오목홈(20)은 머리부(17)의 일측부에 끼워진다. 그리고, 가로틀(2)의 일단면에는 고정홀(19)이 형성되며, 이 고정홀(19)의 원주에는 소정높이로 돌출된 원형 돌출턱(19a)이 형성된다.
이 원형 돌출턱(19a)에는 링크(21)의 일측이 결합되며, 링크(21)의 타측에는 다른 플레이트의 절첩부재(5a)가 결합된다. 따라서, 각각의 플레이트(7)가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머리부(17)의 타측부에는 마감캡(30)이 장착된다. 즉, 마감캡(30)은 소정 두께를 갖는 반원형상이며, 그 일단부에는 머리부(17)의 타측부가 끼워지는 삽입홈(25)이 형성된다.
그리고, 마감캡(30)의 외주면에는 폭방향으로 기어(22)가 형성된다. 이 기어(22)는 다른 플레이트이 절첩부재(5a)의 기어에 치합된다. 따라서, 진열대(1)가 펴지거나 접혀지는 경우, 서로 치합되므로써 동일한 속력으로 펴지거나 접혀진다.
또한, 마감캡(30)의 중간부에는 관통홀(23)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23)에는 체결나사(24)가 관통하여 가로틀(2)의 고정홀(19)에 체결되므로써 마감캡(30)은 가로틀(2)에 일체로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가로틀(2) 및 세로틀(3)은 1 차적으로 결합부재(13)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결합되며, 마감캡(30)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복수개의 플레이트(7)중 가장 상부의 플레이트(7)는 그 상단부에 광고판(11)이 장착된다. 즉, 상부 플레이트(7)의 상단부에는 소정깊이의 홈(도시안됨)이 형성되며, 이 홈(도시안됨)에는 사각형상의 광고판(11)이 끼워지게 된다. 광고판(11)의 양면에는 회사로고등을 새긴 광고지를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9)은 복수개의 플레이트(7)의 양측면에 장착되며, 다관절로 구성된다. 즉, 지지 프레임(9)은 그 중간부에 구멍이 형성되며, 중간부에 형성된 구멍은 복수개의 플레이트(7)의 양측면의 중간부에 체결나사(9a)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9)의 상, 하단부는 다른 지지 프레임(9)과 나사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플레이트(7)가 절첩되는 경우, 지지 프레임(9)도 동시에 절첩된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9)중 가장 하단의 지지 프레임(9)은 베이스(8)에 분해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지지 프레임(9)의 하단부에는 '∪'자 형상의 결합홀(10a)이 형성되며, 이 결합홀(10a)은 베이스(8)의 양측면에 돌출된 제1 및 제2 결합나사(10)에 선택적으로 분해가능하게 결합가능하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9)의 결합홀(10a)를 제1 및 제2 결합나사(3)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므로써 카탈로그 진열대(1)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카탈로그 진열대(1)를 펴고자 하는 경우, 소정높이로 복수개의 플레이트(7)를 펴게되면, 지지 프레임(9)도 동시에 펴지게 된다. 그리고, 가장 하부의 지지 프레임(9)을 베이스(8)의 제1 및 제2 결합나사(1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므로써 카탈로그 진열대(1)는 소정 높이로 고정된다. 높이고정 후, 받침대(6)를 전방으로 젖히고 카탈로그(12)를 그 상면에 진열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써 조명장치가 부착된다. 즉, 광섬유는 각각의 플레이트(7)의 틀의 내부를 통과하며, 가장 하부의 플레이트(7)로부터 가장 상부의 플레이트(7)까지 설치된다. 그리고, 발광부로부터 발생된 빛은 광섬유를 통과하여 복수개의 플레이트(7)의 상단부에서 하부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따라서, 발광부의 빛은 광섬유에 의하여 복수개의 플레이트(7) 각각을 조명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카탈로그 진열대는 절첩식이므로 진열장소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카탈로그 진열대를 운반하는 경우, 접어서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알루미늄재질을 사용하므로써 시각적으로 미려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절첩가능하며, 카탈로그를 진열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펴진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다관절 형상의 지지 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단부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방으로 젖혀지는 경우, 그 상면에 상기 카탈로그를 지지하는 받침대;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중 가장 상부의 플레이트의 상단면에 장착되는 광고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는 가로틀, 상기 가로틀에 결합부재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조립되는 세로틀, 상기 가로 및 세로틀에 의하여 그 내부에 장착되어 카탈로그를 지지하는 투명판,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 양측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가로 및 세로틀을 서로 일체로 결합하는 절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세로틀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수납되며, 그 일단부에 형성된 머리부는 상기 세로틀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머리부에는 상기 가로틀의 오목홈이 끼워지므로써, 상기 가로 및 세로틀은 일체로 결합되고, 마감캡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오목홈에 형성된 원형 돌출턱에는 링크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링크의 타단부는 다른 플레이트의 가로틀의 원형 돌출턱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므로써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반원형상이며, 그 외주면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는 다른 플레이트의 마감캡의 기어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복수개의 결합나사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결합홀이 상기 복수개의 결합나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므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
KR2019990017737U 1999-08-25 1999-08-25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 KR200168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737U KR200168161Y1 (ko) 1999-08-25 1999-08-25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737U KR200168161Y1 (ko) 1999-08-25 1999-08-25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161Y1 true KR200168161Y1 (ko) 2000-02-15

Family

ID=19586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737U KR200168161Y1 (ko) 1999-08-25 1999-08-25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1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0652A (ko) 2015-01-29 2015-02-26 신종범 중소형가축거세용 보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0652A (ko) 2015-01-29 2015-02-26 신종범 중소형가축거세용 보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4465A (en) Display system
USD544922S1 (en) Convertible billboard display
US4919498A (en) Collapsible desk
US8113605B2 (en) Foldable display module
JPS6337227B2 (ko)
US6323406B1 (en) Guitar stand
CA2123182A1 (en) Portable easel
CA2397249A1 (en) Fold-up sign panel assembly
WO2008096266A1 (es) Modulo para exhibicion y venta de articulos portatil y plegable
US20060249642A1 (en) Foldable furniture base
US20070272641A1 (en) Multipurpose stereoscopic display shelf
US5513746A (en) Portable display device
CA1087673A (en) Display rack for packaged and dispensable beverages
US6735022B1 (en) Viewing and inspection box
KR200464378Y1 (ko) 엘이디 조명광고장치 탈부착 구조의 이동식 상품 판매대
KR200168161Y1 (ko) 접이식 카탈로그 진열대
US7140307B1 (en) Display booth framework
CN212853068U (zh) 一种室内设计用产品展架
WO2006095980A1 (en) Easel for panels
KR20190027487A (ko) 광고판 겸용 접이식 시식대 장치
DE60035817D1 (de) Zusammenlegbarer Behälter
US6854696B2 (en) Portable foldable floral fixture apparatus
RU2306096C2 (ru) Складной стенд-стол
CN216089827U (zh) 一种可移动的展厅背板
CN212957816U (zh) 一种文创会展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