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570Y1 - 공작기계용 절삭유 필터링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절삭유 필터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570Y1
KR200166570Y1 KR2019990016795U KR19990016795U KR200166570Y1 KR 200166570 Y1 KR200166570 Y1 KR 200166570Y1 KR 2019990016795 U KR2019990016795 U KR 2019990016795U KR 19990016795 U KR19990016795 U KR 19990016795U KR 200166570 Y1 KR200166570 Y1 KR 2001665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ed
motor pump
cutting oil
plate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용
Original Assignee
김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용 filed Critical 김재용
Priority to KR2019990016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5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5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5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기계용 절삭유 필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수단에 비하여 이물질의 필터링 효과가 탁월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잦은 보수가 불필요한 등의 특징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체인기어를 가진 채 탱크의 상단에 조립되는 지지판 20의 위에 조립되는 감속모타 21과; 상기 지지판의 저면 중앙에 설치된 채 일측에는 상기 체인기어와 체인 5로 연결되는 체인기어를 가지는 축 31을 지지하는 보스 30과; 상기 축 31에 조립되며 하기의 망체를 조립시킬 수 있는 나사구멍 41들을 가진 채 중앙에는 공간부 42들이 형성된 원형의 회전판 40과; 상기 회전판의 앞면에 나사로 조립되는 망체 50과; 상기 회전판이 회전할 수 있는 공차를 부여한 채 이물질이 상기 회전판의 하방과 측방을 통해 모타펌프 70 쪽으로 통과할 수 없도록 막아주는 막음판 60과; 절삭유의 흡입구 74와 공작기계로의 공급을 위한 관로 75가 형성된 모타펌프 70과; 상기 모타펌프 70에 연결된 관로 71에 조립된 채 상기 망체에 절삭유를 분사시킬 수 있는 노즐 73들을 가지는 노즐헤드 72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절삭유 필터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절삭유 필터링장치{CUTTING OIL FILTERING DEVICE FOR MACHINE TOOL}
본 고안은 공작기계용 절삭유 필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속으로 회전하는 피가공물 또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절삭공구와 접촉되는 절삭공구 또는 피가공물과의 접촉면에는 매우 높은 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냉각작용을 위하여 절삭유를 필히 사용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절삭유는 대체로 고가이기 때문에 재사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사업자에게 경제적으로 이익을 가져다줌은 물론 자연환경 오염을 최대한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물론 재사용 횟수가 증가하여 더 이상 사용하기가 불가능하게 된 폐절삭유는 폐유/폐수처리회사로 이동되어 적절한 수단을 통해 처리된다.
한편, 절삭유 필터링장치에 있어서, 종래에 사용되는 수단을 설명한다. 종래에는 사실 별 다른 수단이 없었고 단지 절삭유가 집합되는 탱크 안에 모타펌프로부터 연장된 호스의 끝을 담근 후, 상기 호스의 끝에는 망체를 묶어서 조립하거나 혹은 장방형으로 형태가 구성된 관 형태의 망체를 조립시켜 사용하였다. 그런데 절삭 가공시 크고 작은 칩이 대량으로 발생되어 절삭유와 함께 추락하고 이들은 절삭유 탱크에 집합된다. 따라서 상기의 호스 끝 부분에 조립된 망체에 칩이 박혀서 절삭유는 모타펌프로 원활히 흡입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수시로 상기 망체에 박힌 칩을 와이어 브러시로 제거하거나 혹은 에어건 등으로 날려서 제거를 시켜야 하는데, 이는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칩을 제거하는 동안에는 절삭유 공급이 차단되어 작업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이로써 피가공물에 불량부분이 발생될 수 있는 가능성과 함께 칩 제거 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의 집중력이 분산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소지를 다분히 안고 있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직경이 작은 호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절삭유의 필터링 효과가 저조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절삭유의 대용량 필터링 효과가 탁월하며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칩 제거 작업을 자주 행하지 않아도 되는 공작기계용 절삭유 필터링장치를 제공코저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체인기어를 가진 채 탱크의 상단에 조립되는 지지판 20의 위에 조립되는 감속모타 21과; 상기 지지판의 저면 중앙에 설치된 채 일측에는 상기 체인기어와 체인 5로 연결되는 체인기어를 가지는 축 31을 지지하는 보스 30과; 상기 축 31에 조립되며 하기의 망체를 조립시킬 수 있는 나사구멍 41들을 가진 채 중앙에는 공간부 42들이 형성된 원형의 회전판 40과; 상기 회전판의 앞면에 나사로 조립되는 망체 50과; 상기 회전판이 회전할 수 있는 공차를 부여한 채 이물질이 상기 회전판의 하방과 측방을 통해 모타펌프 70 쪽으로 통과할 수 없도록 막아주는 막음판 60과; 절삭유의 흡입구 74와 공작기계로의 공급을 위한 관로 75가 형성된 모타펌프 70과; 상기 모타펌프 70에 연결된 관로 71에 조립된 채 상기 망체에 절삭유를 분사시킬 수 있는 노즐 73들을 가지는 노즐헤드 72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절삭유 필터링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1-1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탱크 20:지지판
30:보스 40:회전판
50:망체 60:막음판
70:모타펌프 72:노즐헤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하고 있는데, 탱크 10의 좌측부 전방에는 어떠한 공작기계가 위치하게 되고 모타펌프 70의 관로 75를 통해서는 공작 기계의 절삭공구 측부에 고정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장치로 연결이 된다. 한편, 탱크 10의 안에는 다량의 절삭유가 충진되어 있는데, 그 수위는 도 1과 같이 축 31의 하방에 머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탱크(도 1 기준)의 좌측부에는 칩과 각종 이물질 등이 추락하게 되고 동시에 탱크 좌측부의 절삭유는 망체 50과 회전판 40의 공간부 42를 통과하여 모타펌프 70의 흡입구 74를 통해 흡입되고 이는 관로 75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되면서 일정량은 관로 71을 통해 노즐헤드 72 안으로 공급이 됨과 동시에 노즐 73들을 통해 망체 50 쪽으로 분사가 된다. 따라서 절삭유와 함께 모타펌프 70 쪽으로 이동되면서 망체 50의 표면에 걸리거나 부착되어 있던 칩 및 이물질 등은 분사된 절삭유에 의해 추락하여 막음판 60의 좌측부로 추락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감속모타 21의 작동에 의해 축 31은 회전하게 되고 축 31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판 40 역시 회전하게 되며 회전판 40에 고정되어 있는 망체 50 역시 회전을 하게 된다. 동시에 막음판 60 좌측에 머물고 있던 절삭유는 모타펌프의 흡인력에 의해 흡입구 74로 흡입되기 때문에 절삭유는 탱크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칩 및 이물질 등은 절삭유를 타고 이동되면서 망체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걸리게 된다. 그러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절삭유의 분사압력에 의해 칩 및 이물질 등은 추락하여 탱크의 좌측부로 추락하는 것이다. 이 과정이 연속적으로 반복됨으로써 탱크 안의 절삭유는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이물질 등이 없는 깨끗한 상태의 절삭유만 모타펌프로 공급이 되며 이는 적절히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모타펌프에 이물질 등이 끼어서 고장이 자주 발생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간단히 해결하며 또한 이물질 등이 섞여있지 않는 깨끗한 상태의 절삭유만 절삭공구로 공급이 되기 때문에 칩 이나 이물질이 절삭유에 섞여서 공급됨으로써 피가공물에 불량이 생기거나 절삭공구를 파손시키는 등의 문제가 간단히 해결된다. 그리고 망체는 항상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절삭유에 의해 이물질 등이 깨끗이 청소가 되기 때문에 망체를 자주 보수할 이유가 없어져서 생산성 및 경제성이 탁월하여 지는 것은 당연하다. 이 상태에서 장기간이 경과하면 절삭유는 수명을 다하여 폐절삭유로 변화되고 이때는 폐절삭유를 미도시된 드레인을 통해 배출시킨 후 새로운 절삭유를 탱크에 충진시켜 사용한다. 물론 이 작업 전에 탱크 안에 쌓여 있는 칩이나 각종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만일 망체 50의 수명이 다하면 나사를 풀고 새것으로 교체를 한다.
한편, 상기의 막음판 60은 회전판 40의 회전이 원활히 되도록 하는 한도내에서의 공차를 유지한 채 회전판 40의 하방과 측부를 막아주고 있는데, 이는 망체 이외의 곳을 통해 이물질이나 칩 등이 모타펌프 쪽으로 이동되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본 고안은, 망체만 적당한 시기에 간단히 교체하여 주고 폐절삭유 역시 적당한 시기에 간단히 교체만 하여주면 보수나 고장의 염려없이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대용량의 절삭유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필터링 하여 주는 유용한 효과가 있어 생산성과 경제성, 작업자의 안전성, 제품의 경쟁력 등이 모두 상승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일측에 체인기어를 가진 채 탱크의 상단에 조립되는 지지판 20의 위에 조립되는 감속모타 21과;
    상기 지지판의 저면 중앙에 설치된 채 일측에는 상기 체인기어와 체인 5로 연결되는 체인기어를 가지는 축 31을 지지하는 보스 30과;
    상기 축 31에 조립되며 하기의 망체를 조립시킬 수 있는 나사구멍 41들을 가진 채 중앙에는 공간부 42들이 형성된 원형의 회전판 40과;
    상기 회전판의 앞면에 나사로 조립되는 망체 50과;
    상기 회전판이 회전할 수 있는 공차를 부여한 채 이물질이 상기 회전판의 하방과 측방을 통해 모타펌프 70 쪽으로 통과할 수 없도록 막아주는 막음판 60과;
    절삭유의 흡입구 74와 공작기계로의 공급을 위한 관로 75가 형성된 모타펌프 70과;
    상기 모타펌프 70에 연결된 관로 71에 조립된 채 상기 망체에 절삭유를 분사시킬 수 있는 노즐 73들을 가지는 노즐헤드 72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절삭유 필터링 장치.
KR2019990016795U 1999-08-11 1999-08-11 공작기계용 절삭유 필터링장치 KR2001665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795U KR200166570Y1 (ko) 1999-08-11 1999-08-11 공작기계용 절삭유 필터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795U KR200166570Y1 (ko) 1999-08-11 1999-08-11 공작기계용 절삭유 필터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570Y1 true KR200166570Y1 (ko) 2000-02-15

Family

ID=1958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795U KR200166570Y1 (ko) 1999-08-11 1999-08-11 공작기계용 절삭유 필터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5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63853C (zh) 用于去除沉积在工件上杂质的清洁装置
WO2001021281A1 (en) Coolant fluid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823690B1 (ko) 파이프 고착물 제거장치
KR20120020974A (ko) 차압을 감지하여 필터를 세척하는 메탈 에지 필터장치
CN213469853U (zh) 一种齿轮加工用滚齿装置
CN219541737U (zh) 一种金属配件生产用钻孔设备
KR200166570Y1 (ko) 공작기계용 절삭유 필터링장치
CN113043065A (zh) 一种金属加工用切削机床
KR19990078867A (ko) 공작기계용 절삭유 필터링장치
KR100760621B1 (ko) 가공장비의 가공 잔해물 및 절삭유 자동 배출장치
JPH02139154A (ja) 液中加工可能な加工装置
CN215547098U (zh) 一种高效的立式加工中心
CN216028136U (zh) 一种车削加工用的数控车床
JPH05253553A (ja) タンク内部洗浄法
KR20100102337A (ko) 절삭유 여과장치
JP2963734B2 (ja) フィルタ再生装置
KR100508553B1 (ko) 자가 회전 세척방식의 오일필터
CN217199102U (zh) 一种用于流水线灌装龙头的自动清理装置
CN219234145U (zh) 一种金刚石锯片开刃安装底座
JPH018292Y2 (ko)
KR102020716B1 (ko) 오염액체 정화장치
CN220313053U (zh) 一种平面磨床切削液净化装置
CN219152276U (zh) 自定心数控钻铣床用自动排屑结构
CN109334327A (zh) 一种可多角度调节的智能雕刻蚀刻设备
CN220516192U (zh) 一种金属切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