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276Y1 - 향지지재로서 유리구슬을 사용한 향로 - Google Patents
향지지재로서 유리구슬을 사용한 향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66276Y1 KR200166276Y1 KR2019970018095U KR19970018095U KR200166276Y1 KR 200166276 Y1 KR200166276 Y1 KR 200166276Y1 KR 2019970018095 U KR2019970018095 U KR 2019970018095U KR 19970018095 U KR19970018095 U KR 19970018095U KR 200166276 Y1 KR200166276 Y1 KR 20016627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cense
- chamber
- glass beads
- support material
- burn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향로의 요입실에 충진되는 향지지재로서 유리구슬을 사용한 향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향지지재로서 유리구슬을 사용하여 향을 부러뜨리지 않고 부드럽게 꽂을 수 있으며 향이 타서 발생된 재와 타지 않고 남은 향을 향로로부터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향지지재를 교체하지 않고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잇점을 동시에 갖춘 개선된 향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향료의 요입실, 향지지재로서 요입실에 충진된 직경 500㎛ 내지 4,000㎛의 유리구슬 및 요입실의 상하부에 형성된 배수공을 구성요소로 포함함을 특징으로하고 있으며, 향이 타 들어감에 따라 발생된 재와 타다 남은 향 찌거기는 물을 향로에 붓고 유리구슬을 휘젓음으로써 부유하게되고 향 찌거기는 수작업으로 제거한 다음 향재는 물과 섞여서 배수시킴으로써 향로의 요입실 청소가 매우 간편하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향지지재로서 유리구슬을 사용한 향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직경 500㎛ 내지 4,000㎛의 유리구슬을 향지지재로 사용하여 향이 부러지지 않고 향을 매끄럽게 꽂을 수 있는 한편 요입실의 상하부에 배수공을 설치하여 향이 타서 발생된 재와 타다 남은 향 찌꺼기를 물로 부유시켜 용이하게 배출 제거하도록한, 향지지재로서 유리구슬을 사용한 향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향로는 형상 및 모양이 다양하지만 그 구조는 요입공간을 형성한 요일실과, 임의로, 요입실을 받쳐주는 받침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오래전 향을 피우는 방법으로는 향나무의 숯을 요입실의 요입공간에 소정량 충진한 후 숯에 불을 붙이고 불이 붙은 숯에 향나무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소각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상기 향나무를 한번만 소각시키는 것이 아니라 여러번 소각시켜 사용하였다.
오늘날에 이르러 향을 피우는 방법은 향나무를 가공하여 제조한 가늘고 긴봉형의 향에 향불을 부친다음 그 향을 쌀이나 모래에 꽂아 사용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천은 보다 편리함을 추구하고자 하는 바램에서 변천하였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향지지재로서 모래나 쌀을 사용함으로써 안고 있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예를들면, 향을 모래에 꽂을 때 향이 잘 부러지며, 쌀은 장기간 사용하기가 곤란하여 자주 교체하여야 하고, 향이 타서 발생된 재와 타다 남은 향 찌꺼기를 청소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향로가 큰 경우는 옮기기가 힘들어 그러하며, 게다가 그러한 재와 찌꺼지는 특히 모래를 향지지재로 사용한 경우 모래에 박혀 모래를 점차적으로 굳히는 작용을 하여 향을 꽂는데 점차 어려움을 겪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향로의 요입실에 충진된 향지지재로부터 향재와 향찌꺼기를 쉽게 청소할 수 있고 향을 부드럽게 꽂을 수 있으면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향지지재를 선택하고, 이러한 향지지재의 특성이 구현될 수 있도록 향로의 구조를 고안하여 종래의 모래나 쌀의 향지지재로 인한 문제점을 일시에 해결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향지지재로서 유리구슬을 사용하고 향로의 요입실에 물을 부어 유리구슬로 부터 향재가 물과 섞여 배출될 수 있도록 요입실의 상·하부에 한개 이상의 배수공을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향로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상부 배수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청소가 용이한 향로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향로 2 : 요입공간
3 : 요입실 4 : 유리구슬
5 : 받침대 6 : 상부배수공
7 : 하부배수공 8 : 매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향로의 단면도로서,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이 향로(1)는 상부가 완전히 개방되고 내측으로 요입공간(2)을 형성한 요입실(3)과, 상기 요입실(3)의 요입공간(2)에는 직경이 500㎛-4,000㎛ 사이인 유리구슬(4)이 충진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향지지재로서 사용된 유리구슬(4)의 특정적으로 한정된 직경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 이유는 유리구슬의 직경이 500㎛ 이하인 경우 향재를 청소할 때 구슬과 구슬 사이의 공간으로 끼워져 재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으며 유리구슬의 직경이 4,000㎛ 이상이면 향을 꽂을 때 향이 부러지기 쉬우며 또한 향을 깊숙이 꽂아야하므로 커다란 향찌꺼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유리구슬(4)이 충진된 요입실(3)의 하단으로는 받침대(5)가 형성되어 향료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요입실(3)의 상·하부에는 물을 토출시키는 한개 이상의 배수공(6,7)이 형성되고, 이 배수공에는 각각 마개(6a,7a)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향로(1)가 대형이여서 이동이 용이하지 않을 때에는 하부 배수공(7)에 호스를 설치하여 향로를 이동하지 않고서 재가 섞인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요일실(3)의 하부 배수공(7) 내측으로는 첨부도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배출하고자 할 때 유리구슬(4)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매쉬와 같은 차단망(8)이 구비되어 있다.
요입실(3)의 하부 배수공(7)은 향로의 형상에 따라 그 설정위치가 다양하겠으나 물을 완전히 배출해 줄 수 있는 곳이면 어떠한 위치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대체로 향로의 밑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입실의 배수공은 첨부도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의 형태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도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이 힌지 회동되도록 도어(9)가 설치되고 요입실(3)의 내측을 향하는 일 측에는 돌환테(9a)가 형성되며, 이 돌환테(9a)에는 실링부재(9b)가 설치되어 요입실(3)의 단턱(3a)에 실링부재(9b)가 압착되어 누수를 방지토록한 도어 형태일 수 있다. 이외에도 요입실의 배수공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떠한 변형된 요입실의 배수공도 향재를 물과 함께 씻어내기 위한 수단으로 설치되는 것이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향지지재로서 유리구슬을 사용한 본 고안의 향로(1)의 사용은 첨부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요입실(3)의 요입공간(2)에 충진된 소정량의 유리구슬(4)에 향을 꽂아 불을 부치고 (반대로 향에 불을 부친다음 유리구슬에 꽂을 수도 있다) 이에따라 형성된 향재와 타다 남은 잔류의 향조각을 청소시에는 상부에는 요입공간(2)로 물을 채운후 막대를 이용하거나 직접 손으로 유리구슬을 휘젖음으로써 재와 향조각을 부유시킨후 일단 뜰채로 향조가가을 먼저 걷어내고, 그런다음 물에 섞여 있는 향재는 상부 배수공(6)의 마개(6a)를 열어 배출제거하고나서 하부 배수공(7)의 마개(7a)를 열어 유리구슬내에 존재하는 수분이 서서히 빠져나가도록 한다. 필요한 경우, 상부 배수공(6)은 막고 하부 배수공(7)은 열어둔 상태에서 요입실에 물을 추가로 부어 여전히 유리구슬에 남아 있던 향재를 하부 배수공을 통해 말끔히 씻어내릴 수 있다.
향로가 어려움 없이 들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인 경우는 요입실의 상부에 배수공을 형성하지 않고 직접 향로를 기울여 물을 배수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상부배수공(6)으로 유리구슬(4)이 완전히 개방된 상부로 빠져나가기 전까지 기울여서 물을 토출시킨 후 요입실(3) 하단에 구비된 하부배출공(7)의 마개(7a)를 열어 물을 완전히 배수시킨다. 그러나, 향로가 대형인 경우는 이동하기가 불편하므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향로의 요입실 상부에 배수공을 필수적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라 향지지재로서 유리구슬이 요입실에 충진된 향로는 향이 부러짐을 방지하는 한편 향재와 향찌꺼기를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음으로써 향로 내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고 특히 향지지재를 교체할 필요가 없음으로써 거의 영구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다중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 향지지재로서 직경이 500㎛-4,000㎛인 유리구슬(4)이 충진되며 상단과 하단에 배수공(6,7)이 형성된 요입실(3)과, 배수공(6,7)에 밀착고정되어 선택적으로 배수공을 개폐하는 마개(6a,7a)와, 배수공(7) 내측에 밀착고정되어 유리구슬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망(8)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향지지재로서 유리구슬을 사용한 향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18095U KR200166276Y1 (ko) | 1997-07-09 | 1997-07-09 | 향지지재로서 유리구슬을 사용한 향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18095U KR200166276Y1 (ko) | 1997-07-09 | 1997-07-09 | 향지지재로서 유리구슬을 사용한 향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4853U KR19990004853U (ko) | 1999-02-05 |
KR200166276Y1 true KR200166276Y1 (ko) | 2000-03-02 |
Family
ID=1950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18095U KR200166276Y1 (ko) | 1997-07-09 | 1997-07-09 | 향지지재로서 유리구슬을 사용한 향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6276Y1 (ko) |
-
1997
- 1997-07-09 KR KR2019970018095U patent/KR20016627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4853U (ko) | 1999-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74400A (en) | Dirt trap for flush basins | |
JP3515785B2 (ja) | 水平流出オイル密封保存排出臭気トラップ | |
EP0432242B1 (fr) | Installation de nettoyage central par aspiration, à chasse d'eau et double rinçage | |
US5991934A (en) | Bad odor removing stool seat and seat cover | |
KR200166276Y1 (ko) | 향지지재로서 유리구슬을 사용한 향로 | |
US20050135979A1 (en) | Device for deodorizing a sink drain and method therefor | |
KR101178011B1 (ko) | 배수트랩 | |
KR200262197Y1 (ko) | 하수구트랩 | |
US2087341A (en) | Deodorant container | |
KR200175969Y1 (ko) | 오수처리 반자동 기구 | |
KR200218233Y1 (ko) | 하수구 맨홀용 냄새방지장치 | |
US7650890B2 (en) | Trash container for disposal of cigarette waste | |
JPH11318308A (ja) | 蚊取り線香用容器 | |
EP1782720A1 (en) | Drain cover | |
KR200178086Y1 (ko) | 재떨이 | |
JP3603149B2 (ja) | 蚊取線香容器の線香皿 | |
KR19990030022U (ko) | 가스요리기구의 버너캡 연결구조 | |
KR200222358Y1 (ko) | 담배재떨이 | |
JP3023073U (ja) | たばこ消火用の消火材入れ付き灰皿 | |
KR200362970Y1 (ko) | 오물수거통 | |
KR200235658Y1 (ko) | 부력식 배수트랩 | |
KR100809283B1 (ko) | 배수구체 | |
KR20240003946A (ko) | 숯불 소화장치 | |
KR200192130Y1 (ko) | 모기향의 연소통 | |
CA1153662A (en) | Ashtr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