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521Y1 -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521Y1
KR200165521Y1 KR2019990014646U KR19990014646U KR200165521Y1 KR 200165521 Y1 KR200165521 Y1 KR 200165521Y1 KR 2019990014646 U KR2019990014646 U KR 2019990014646U KR 19990014646 U KR19990014646 U KR 19990014646U KR 200165521 Y1 KR200165521 Y1 KR 200165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window
fixing
fasteners
article
fix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학영
Original Assignee
황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2953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10569A/ko
Application filed by 황학영 filed Critical 황학영
Priority to KR2019990014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5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5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24Key distinguishing mar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식별표를 해당 물품의 양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이들 투명창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를 제공할 목적으로;
물품의 양측부에 일정 깊이를 갖는 원형의 요입부를 형성하고, 이의 요입부에 식별표를 넣은 상태에서 투명창을 고정시킴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이 요입부에 억지 삽입되고, 이의 투명창 일측부에서 상호 대향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구를 각각 형성하여 이의 고정구를 물품의 상기 요입부 일측으로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양 고정구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TRANSPARENT WINDOW FIXING STRUCTURE USED FOR IDENTIFYING COMPONENTS}
본 고안은 각종 물품에 대한 고유번호 또는 장식 무늬, 사용 용도, 홍보 문구등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물품의 각종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컨데, 자동차, 각종 사무실, 일반가정에서는 다수의 잠금수단을 필요로 하게 되며, 이의 잠금수단에는 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각각의 키이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개의 각종 키이에는 별도로 키이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바, 해당 잠금수단에 사용되는 키이를 찾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뒤따르게 된다.
그 일예로서, 일반 가정에서는 각 도어에 사용되는 키이를 하나의 고리에 묶어 놓았다가 필요에 따라 선택 사용하게 되는 데, 이때, 많은 키이가 하나의 고리에 묶여 있는 바, 별도의 식별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는 한 해당 잠금수단의 키이를 찾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대형 주차장등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고객이 맡긴 키이를 찾고자할 때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어려움은 많은 키이가 한번에 보관되는 곳에서는 어디에서나 겪을 수 있는 일이다.
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은 견출지 또는 소정 크기의 종이에 펜으로 차량 번호 또는 사용처 등을 표기하여 키이의 손잡이 부분에 붙히는 수단으로 식별수단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 식별수단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장시간이 경과하다 보면 문구가 지워지거나 부착력이 소멸되어 떨어지게 되는등 식별수단으로서의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오히려 미관만 해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최근에는 키의 손잡이 부분에 요입부를 형성하여 이에 식별표를 넣고 그 외측에 투명창을 결합시키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즉, 키이 손잡이의 수납부 저면에 홈을 형성하고, 이의 수납부에 결합되는 투명창의 가장자리에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홈과 돌기의 결합으로 투명창이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키이 손잡이에 형성되는 수납부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이의 저면 내경부에 홈을 형성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대개는 투명창을 수납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고 있는 바, 그 결합력이 견고하지 못하여 키이를 떨어뜨리거나 하면 그 충격에 의해 투명창이 분리되는등 제기능을 다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식별표를 물품의 양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이들 투명창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제1 실시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Ⅰ- Ⅰ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Ⅱ- Ⅱ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제2 실시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Ⅱ- Ⅱ선에서 본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제3 실시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1의 Ⅱ- Ⅱ선에서 본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제4 실시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제4 실시예 요부의 조립도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물품의 양측부에 일정 깊이를 갖는 원형의 요입부를 형성하고, 이의 요입부에 식별표를 넣은 상태에서 투명창을 고정시킴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이 요입부에 억지 삽입되고, 이의 투명창 일측부에서 상호 대향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구를 각각 형성하여 이의 고정구를 물품의 상기 요입부 일측으로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양 고정구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부호 2는 식별수단이 적용되는 물품을 총칭하며, 이의 물품(2)으로 도면에서는 키이를 일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키이고리, 목걸이의 장식구, 핸드폰 고리의 장식구등과 같이 식별표 또는 사진등을 끼워 넣는 것은 모두 포함한다.
상기에서 식별표라고 함은 물건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번호, 사용처, 홍보문구등이 표식된 것을 의미하며, 본 고안에서는 사진을 이에 포함시켜 이하에서는 식별표라고 칭함을 전제한다.
이와 같이 물품(2)에 식별표(4)를 고정시킴에 있어서, 본 고안에서는 물품(2)의 양측부에 일정 깊이를 갖는 원형의 요입부(6)(8)를 형성하고, 이의 요입부(6)(8)에 식별표(4)를 넣은 상태에서 투명창(10)(12)을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요입부(6)(8)는 식별표(4)와 투명창(10)(12)의 두께를 고려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투명창(10)(12)을 요입부(6)(8)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요입부(6)(8)의 내경을 투명창(10)(12)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창(10)(12)이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요입부(6)(8)의 일측부에 일정 형상의 관통공(14)을 형성하고, 이의 관통공(14)에서 2개의 투명창(10)(12)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구(16)(18)의 결합에 의하여 투명창(10)(12)이 고정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양 투명창(10)(12)에 형성되는 고정구(16)(18) 중 어느 하나의 고정구(16)는 선단면에 일정 크기의 고정돌기(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6)와 결합되는 다른 투명창(12)의 고정구(18)의 선단면에는 상기 고정돌기(20)가 대응 결합되는 결합홈(2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식별표(4)를 삽입시키고자 할 때에는 먼저 요입부(6)(8)에 식별표(4)를 넣은 상태에서 양측 투명창(10)(12)의 고정구(16)(18)가 관통공(14)과 동일선상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양 투명창(10)(12)을 요입부(6)(8)에 삽입시키면 된다.
그러면 투명창(10)(12) 본체는 요입부(6)(8)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이 이루어지고, 이때 양 고정구(16)(18)의 고정돌기(20)가 고정홈(22)이 억지 끼움에 의해 결합되면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투명창(10)(12)은 유동이 전혀없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도3 및 도 4에서와 같은 상태로 식별표(4)를 내장시킴과 동시에 종래와 같이 작은 충격에도 투명창이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고정구(16)(18)가 물품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풀품(2)을 일정 용도로 다른 물체와 걸어서 사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관통공(14)에 삽입됨으로써, 외관을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구(16)(18)의 폭이 관통공(14)의 폭과 동일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에 삽입됨으로써, 투명창(10)(12)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투명창(10)(12)의 회전에 의한 식별표(4)의 연동으로 이의 식별표(4)의 삐뚤어지므로 인한 문제점 발생이 근본적으로 해결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고정구(16)(18)를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형성하되, 그의 두께를 관통공(14) 전체에 삽입될 수 있는 큰 두께로 형성하고,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구(16)의 외주면에 전체폭으로 원주방향의 고정돌기(50)를 형성하고, 이에 접하는 다른 고정구(18)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돌기(30)에 대응하는 고정홈(32)을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고정구(16)(18)의 결합시 상기 고정돌기(30)가 고정홈(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체 탄성력에 의해 그 결합력이 유지되면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6)(18)의 조립면에는 고정구(16)(18)의 길이방향으로 반원형 홈(34)(36)을 각각 형성하여 고정구(16)의 결합시 하나의 홀(38)이 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이는 양 고정구(16)(18)의 두께가 관통공(14) 전체를 차지함으로써, 다른 물체와 연결할 때 이 홀(38)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2 실시예의 다른 작용과 효과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양 투명창(10)(12)의 고정구(40)(42)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40)(42)가 투명창(14)내에서 측면이 상호 접하도록 하되, 그 접촉부에 일측에는 둥근 고정돌기(44)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둥근 돌기(44)가 대응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46)을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의 투명창(10)(12)의 고정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고정구(40)(42) 부분이 도 8에서와 같은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40)(42)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투명창(10)(12)의 분해시 편리함을 위해 요철부 반대측의 면은 선단부로 갈수록 그 폭을 작게 이루어지도록 근부(根部)로부터 경사지게 형성하였으며, 이는 투명창(10)(12)의 분해를 위해 도 8의 화살표에서와 같이 어느 고정구(40)(42)를 밀어내더라도 그의 선단부가 외측으로 약간 벌어지면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3 실시예의 그외 작용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양 투명창(10)(12)의 고정구(50)(52)를 형성함에 있어서,
일측 고정구(50)의 원주방향 양측면에 고정구 길이방향으로 고정돌기(54)를 형성하고, 타측 고정구(52)는 중앙부분에 상기 고정구(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준기된 상태에서 그 내면에 상기 고정구(50)에 형성된 고정돌기(54)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46)을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 10에서와 같이 양 고정구(50)(52)가 관통홀(14)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4 실시예는 결합구조만 약간 달리할 뿐 그외 작용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투명창(10)(12)의 형상을 원형으로만 한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투명창(10)(12)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상기의 고정구조에 의해 투명창을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서 투명창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은 충격에도 투명창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투명창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이 완전 방지되어 식별표의 삐뚤어짐과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물품의 양측부에 일정 깊이를 갖는 원형의 요입부를 형성하고, 이의 요입부에 식별표를 넣은 상태에서 투명창을 고정시킴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이 요입부에 억지 삽입되고, 이의 투명창 일측부에서 상호 대향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구를 각각 형성하여 이의 고정구를 물품의 상기 요입부 일측으로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양 고정구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고정구의 결합은 반경방향으로 중첩된 상태로 이루어지되, 그의 접촉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호 대응되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을 형성하여 억지 끼움 수단으로 상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구의 결합은 반경방향으로 중첩된 상태로 이루어지되, 그의 접촉면에 원주방향으로 상호 대응되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을 형성하여 고정구의 차체 탄성력에 의해 상호 결합시키되, 양 고정구의 두께를 관통공 전체에 삽입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하고 이들 고정구의 조립면에는 고정구의 길이방향으로 반원형 홈을 각각 형성하여 고정구의 결합시 하나의 홀이 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
  4. 제1 항에 있어서, 고정구의 결합은 양 고정구의 측면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이들 접촉부에 형성된 둥근 고정돌기와, 이의 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고정구의 결합은 일측 고정구의 원주방향 양측면에 고정구 길이방향으로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타측 고정구는 중앙부분에 상기 고정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분기된 상태에서 그 내면에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
KR2019990014646U 1999-07-21 1999-07-22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 KR2001655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646U KR200165521Y1 (ko) 1999-07-21 1999-07-22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537A KR20010010569A (ko) 1999-07-21 1999-07-21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
KR2019990014646U KR200165521Y1 (ko) 1999-07-21 1999-07-22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537A Division KR20010010569A (ko) 1999-07-21 1999-07-21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521Y1 true KR200165521Y1 (ko) 2000-02-15

Family

ID=26635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646U KR200165521Y1 (ko) 1999-07-21 1999-07-22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5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8069Y2 (ja) グロメット
USD443460S1 (en) Exterior face of floor mat backing
BR0002911A (pt) Acessório de conexão para fixação de corpos longos
KR200165521Y1 (ko)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
USD988960S1 (en) Automotive wheel
USD972480S1 (en) Automotive wheel
KR20010010569A (ko)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
USD470890S1 (en) Identification tag
KR890014040A (ko) 시계용 밴드의 연결 구조체 및 그 밴드
US3289991A (en) Support fixture
KR890012595A (ko) 판형상체의 조립구
KR20010000157U (ko)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구조
US6698320B2 (en) Retainer ring for securely retaining a first object to a second object
EP2282067B1 (en) Connecting fitting
KR200180881Y1 (ko) 물품 식별수단의 투명창 고정 구조
JPH0139923Y2 (ko)
CN219693141U (zh) 转动机构及灯具
DE50005427D1 (de) Befestigungselement zur Befestigung von Bauteilen an Möbelteilen oder Möbelteile aneinander
JPH04138115U (ja) 板材の固定構造
USD471785S1 (en) Computer lock
USD444970S1 (en) Prism-shaped element for seating furniture
JP2010037841A (ja) 丸座および丸座セット
USD988962S1 (en) Automotive wheel
KR200395423Y1 (ko) 체결용 봉인장치
JPH0741184Y2 (ja) 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